할리우드 투자 자금난 속, AI 활용한 영상 창작 지원 나선 두 스타트업(Amid Hollywood's funding crunch, two startups use AI to help create films)
AI협업 스튜디오 드림플레어, 엔터테인먼트 기업 언리즌블과 함께, AI기반 창작 프로젝트 지원. 지원 규모 10만 달러 이상 투자. 새로운 형태의 공동 제작 프로젝트
유튜브 광고 매출 10.3% 증가 89억 달러…유료 구독자도 2억 7,000만 명 돌파..한국에 주는 의미는(YouTube ad revenue grew 10.3% to $8.9 billion...paid subscribers surpassed 270 million...What it means for Korea)
20년 된 유튜브 광고 매출 지속 증가... 새로운 TV가 되고 있는 유튜브. 2025년 1분기 알파벳의 유료 구독자 2억 7,000만 명 돌파;..유튜브의 성장은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덕
생성 AI와 저작권의 미래: 혁신과 창작자 권리의 균형점(Generative AI and the Future of Copyright: Balancing Innovation and Creator Rights)
생성 AI시대 흔들리는 저작권법의 근간. 공정이용(fair Use)의 원칙도 바뀌어야. 그러나 창작에 대한 저작권 약화는 '창작 의지'를 크게 낮출 것이라는 우려도. k콘텐츠에 대한 영향은?
넷플릭스 최근 5년 간 미국 경제 기여도 166조 원(Netflix 'contributed $125 billion to the U.S. economy over 20-24')
넷플릭스 '최근 5년 간 미국 경제 기여도 1250억 달러 166조 원. 그러나 엔터테인먼트 산업은 제조업에 비해 '정책 배려'에서 홀대 당하고 있다고 테드 사란도스 공동 CEO밝혀
맥스(Max), 필수 서비스 대신 선택적 서비스로 전환...스트리밍 2.0시대, 아시아 보다 K콘텐츠 플랫폼이 중요한 이유(Max Moves From Mandatory to Optional...Why K-Content Platforms Are More Important Than Asia in the Age of Streaming 2.0)
모두 다 넷플릭스가 될 수 없다. 필수 서비스에서 핵심 선택 서비스로 전환하는 맥스(MAX). 맥스의 전략이 한국에 의미 있는 이유 "아시아 번들에 앞서 K콘텐츠 번들과 K FAST의 중요성'
ETRI, AI 3D 실감미디어 기술로 부산국제단편영화제 진출(ETRI’s AI 3D Immersive Media Technology Makes Debut at Busan International Short Film Festival)
ETRI, 국내 콘텐츠 제작사 펄스나인과 협력해 딥리얼 AI 기술로 구현한 가상 걸그룹 ‘이터니티(IITERNITI)’ 제42회 부산국제단편영화제 공식 홍보대사로 활동. 세계최초로 ATSC3.0 기반 입체미디어 기술이 적용된 뮤직비디오를 공개하는 3D 특별 세션도 진행
크리에이터 이코노미의 부활? 2025년 1분기 투자 급증… AI·음악·쇼핑 분야 견인(Creator Economy Resurgence? Investment Surges in Q1/25... AI, Music, and Shopping Lead the Way)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기업 투자 다시 증가.. AI, 음악, 쇼핑 등 커머스가 주도. 슈퍼팬 커뮤니티 지향하는 세시, 700만 달러 유치 성공. 변화하는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지형도
인플루언서 마케팅과 AI로 변화하는 쇼핑 시장…중·장년층도 핵심 소비자로 부상(Influencer Marketing and AI Transform the Shopping Landscape – Older Demographics Emerge as Key Consumers)
불황기 쇼핑 시장 트렌드 '중장년 인플루언서'와 AI가 핵심. X세대와 밀레니얼 세대의 소셜 미디어 이용이 늘어나면서 인플루언서 마케팅에도 주도층으로 부상. 틱톡 대신 유튜브가 강세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공세에 직면한 할리우드… “중국 시장 악화도 놓쳐선 안 돼”(Hollywood faces tariffs from Trump administration..."We can't afford to let the Chinese market deteriorate")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공세에 당황한 할리우드. 내부와 광고 줄어드는 등 시장 불확실성 가중... 중국 시장도 잃을 수 없어
트럼프의 ‘51번째 주’ 발언이 부른 캐나다 방송 정책 변화: 미디어 선거의 핵심 이슈로 부상(Trump's '51st State' comment sparks change in Canadian broadcasting policy: Media has become a key issue in the election)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캐나다를 미국의 51번째 주로 만들겠다”고 선언하면서, 보수당 우세였던 캐나다 총선 판세가 뒤집히고 문화·미디어 정책이 핵심 이슈로 부상 보수당 CBC 예산 삭감을 내세웠으나, 캐나다인들의 문화주권 의식이 강화되면서 자유당이 CBC 예산 확대를 공약하며 지지율 상승. CBC는 캐나다의 정체성·민주주의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는 인식 확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