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 광고 매출 10.3% 증가 89억 달러…유료 구독자도 2억 7,000만 명 돌파..한국에 주는 의미는(YouTube ad revenue grew 10.3% to $8.9 billion...paid subscribers surpassed 270 million...What it means for Korea)

올해로 20년 된 유튜브(YouTube)가 전 세계 광고주들로부터 여전히 막대한 수익을 올리고 있다.

2025년 1분기 유튜브의 광고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0.3% 증가한 89억 3,000만 달러(약 11조 8,000억 원)를 기록했다. 이미 거대한 매출 규모를 바탕으로 두 자릿수 성장세를 이어간 셈이다. 구글과 유튜브의 모기업인 알파벳(Alphabet)은 이번 분기에 월가의 예상치를 큰 폭으로 웃도는 실적을 발표했다.

유튜브의 광고 매출 89억 3,000만 달러는 시장 조사 기관 스트리트어카운트(StreetAccount)가 예측한 89억 7천만 달러에는 다소 미치지 못했지만, 실질적으로 유튜브 프리미엄(YouTube Premium), 유튜브 TV(YouTube TV) 같은 구독 서비스에서 발생하는 수익은 포함되지 않은 수치다. (알파벳 측은 유튜브의 구독 매출을 따로 구체적으로 공시하지 않는다.)

YouTube Ad Revenue Grows 10.3% to $8.93 Billion, Alphabet Q1 Net Profit Up 46%

1. YouTube’s Advertising Performance

Advertising Revenue
YouTube’s global ad revenue for Q1 2025 reached $8.93 billion, up 10.3% year over year.

Slightly missed analysts’ consensus of $8.97 billion (per StreetAccount).

Does not include subscription-based revenue from YouTube TV, YouTube Premium, etc.

Paid Subscriptions Surpass 270 Million

Alphabet attributes more than 270 million paid subscriptions to YouTube and Google One (the company’s cloud storage service).

YouTube Music and YouTube Premium collectively exceeded 125 million subscribers in Q1.

Launched a cheaper “Premium Lite” in the U.S. for $7.99/month (compared to $13.99/month for full YouTube Premium and $10.99/month for YouTube Music).

2. Alphabet’s Overall Q1 2025 Results

Revenue and Profit

Total revenue: $90.23 billion (up 12%).

Net profit: $34.54 billion (up 46%), translating to $2.81 earnings per share.

Surpassed market estimates of $89.12 billion in revenue and $2.01 EPS (LSEG Data & Analytics).

Comments from Sundar Pichai (CEO, Alphabet/Google)

Praised the “healthy growth and momentum” across the company’s businesses.

Highlighted strong growth in Search, citing AI Overviews used by 1.5 billion monthly users.

Emphasized the continued growth in YouTube, Google One, and Cloud.

3. YouTube at 20

YouTube marks its 20th anniversary since launching in 2005.

More than 20 billion videos have been uploaded to the platform.

Analyst firm MoffettNathanson estimates YouTube’s 2024 annual revenue at $54.2 billion (second-largest media company behind Disney), predicting YouTube may take the top spot in 2025.

Alphabet’s chief business officer Philipp Schindler indicated it’s too early to comment on Q2 advertising performance amid macroeconomic uncertainty.

Legal challenges continue in the U.S.:

A federal judge recently ruled that Google maintains illegal monopolies in the internet ad-tech market (Google is appealing).

A separate 2024 ruling found Google violated antitrust laws in search by paying Apple, Samsung, and others to make Google the default search engine.

The U.S. government has proposed that Google divest the Chrome browser to address anticompetitive behavior.

2024년 1분기 및 2025년 1분기 실적 요약 (단위: 백만 달러)

항목2024년 1분기2025년 1분기
Google 검색 및 기타46,15650,702
YouTube 광고8,0908,927
Google 네트워크7,4137,256
Google 광고 합계61,65966,885
Google 구독, 플랫폼, 기기8,73910,379
Google 서비스 총계70,39877,264
Google 클라우드9,57412,260
기타 사업(Other Bets)495450
헤징 이익(손실)72260
총 매출80,53990,234
TAC(트래픽 획득 비용)12,94613,748
직원 수180,895185,719

유튜브·구글 원, 유료 구독 2억7,000만 명 돌파

알파벳은 1분기 현재, 유튜브와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인 구글 원(Google One)을 중심으로 유료 구독자가 총 2억7,000만 명을 넘었다고 밝혔다. 유료 구독자 2억7,000만 명 돌파는, 구글이 광고 중심에서 구독 기반 멀티수익 구조로 빠르게 전환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유튜브가 글로벌 미디어 시장에서 디즈니 등 전통 강자를 추월하는 핵심 성장축으로 자리 잡았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갖는다.

그중 유튜브 뮤직(YouTube Music) 및 유튜브 프리미엄의 가입자는 1분기에만 1억 2,500만 명을 돌파했고, 회사는 월 7.99달러짜리 ‘프리미엄 라이트(Premium Lite)’를 미국 시장에도 출시해 좀 더 저렴한 가격대로 유튜브 프리미엄 기능 일부를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기존 유튜브 프리미엄은 월 13.99달러, 유튜브 뮤직은 월 10.99달러)

시장·산업적 의미

  • 유튜브는 광고 기반 무료 서비스에서 유료 구독 기반의 멀티수익 구조로 진화하고 있다. 2024년 유튜브의 비광고(구독 등) 매출은 151억3,000만 달러로 1년 새 38% 급증하며,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빠르게 늘고 있다.
  • 유튜브 유료 구독자 수는 넷플릭스, 디즈니 등 전통 미디어·스트리밍 기업을 위협하는 수준으로 성장했으며, 2025년에는 매출·수익 등 모든 면에서 디즈니를 추월할 것으로 전망된다.
  • 유튜브와 구글 원 등 구독 서비스는 알파벳 전체 수익의 30% 이상을 차지하며, 검색 광고 의존도를 낮추고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자리 잡고 있다.

출처 버라이어티

아래는 2015년부터 2024년까지 유튜브 분기별 광고 수익을 한글 표로 정리

연도1분기2분기3분기4분기
20151.01.21.52.0
20161.31.41.72.2
20171.51.82.02.8
20182.22.52.83.0
20192.73.03.53.8
20204.74.03.85.2
20216.86.07.07.3
20228.77.07.38.0
20236.77.57.89.0
20248.28.89.210.5

*단위: 십억 달러(Billion USD)

지속적 성장: 2015년 1분기 10억 달러에서 2024년 4분기 105억 달러까지 꾸준한 증가세를 보임.

연말 효과: 대부분 연말(4분기)에 수익이 가장 높으며, 연말 광고 수요 증가가 반영됨.

코로나19 영향: 2020년 2~3분기에 소폭 하락이 있으나, 이후 빠르게 반등.

최근 추이: 2023~2024년에도 성장세가 이어지며, 2024년 4분기 사상 최대치 기록.


유튜브와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유튜브가 전 세계적으로 폭발적인 성장을 이어온 데에는 알고리즘, 플랫폼 투자 등 다양한 요인이 있지만, 무엇보다도 크리에이터들의 독창성과 영향력이 핵심 역할을 해왔다. 특히 “미스터비스트(MrBeast)”라는 예명으로 활동하는 지미 도널드슨(Jimmy Donaldson)은 거대한 상금이 걸린 도전 영상, 초대형 스케일의 자선 이벤트 등으로 유튜브의 확장에 크게 이바지한 대표적 사례로 꼽힌다.

그는 이를 기반으로 ‘비스트 인더스트리즈(Beast Industries)’라는 거대한 비즈니스를 일구어, 이제는 미디어·식음료·소프트웨어까지 포괄하는 ‘크리에이터 제국’을 구축하고 있다.

YouTube and the creator economy


YouTube's explosive global growth has been driven by a variety of factors, including algorithms and platform investments, but the creativity and influence of its creators has been key.

Jimmy Donaldson, aka "MrBeast," is a prime example of a creator who has helped drive YouTube's expansion with big-prize challenge videos and mega-scale charity events.


He has since built a huge business, Beast Industries, and is now building a "creator empire" that spans media, food, beverages, and software.

미스터비스트와 ‘비스트 인더스트리즈’의 탄생

지미 도널드슨은 2012년, 10대 시절에 유튜브에 첫 영상을 업로드했다. 그로부터 약 10여 년 만에 유튜브 구독자 수 3억8,000만 명 이상을 보유하며 세계 최고 구독자 수를 자랑하는 크리에이터로 부상했다.

높은 조회수를 올린 대표작으로는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오징어 게임’을 모티브로 한 “456,000달러 스퀴드 게임 현실판!”이 있으며, 수십만 달러에 달하는 상금과 초대형 세트장을 활용한 스케일로 ‘미스터비스트식’ 대규모 이벤트를 유행시켰다.

이처럼 독보적인 콘텐츠 스타일로 쌓은 명성과 자본을 토대로, 도널드슨은 자사 비즈니스 통합 법인인 ‘비스트 인더스트리즈’를 설립했다. 비즈니스 인사이더에 따르면 비스트 인더스트리지는  △미디어 △소비재(CPG) △소프트웨어 부문으로 확장하며, 2024년에만 약 4억7,300만 달러(한화 약 6,300억 원)의 매출을 올렸다. 이는 전년 대비 114% 증가한 수치이며, 2025년에는 매출 목표를 8억9,900만 달러로 잡고 있다.

(유료 구독자를 위한 미스터 비스트 상세 분석은 아래쪽, 미래 청사진: “넥스트 디즈니”를 꿈꾸며)

Mr. Beast and the birth of Beast Industries
Jimmy Donaldson uploaded his first video to YouTube as a teenager in 2012. Nearly a decade later, he has become one of the world's most subscribed creators, with more than 380 million subscribers.
Some of his most-viewed videos include "$456,000 Squid Game Real Life!" based on the Netflix original series "Squid Game," which popularized the "Mr. Beast" style of large-scale events with hundreds of thousands of dollars in prizes and huge sets.


With the fame and capital he's garnered from this unique style of content, Donaldson has formed Beast Industries, an entity that incorporates his businesses. According to Business Insider, Beast Industries has expanded into the media, consumer packaged goods (CPG), and software sectors, and is expected to generate approximately $473 million in revenue in 2024 alone. That's a 114% year-over-year increase, and the company is targeting $899 million in revenue in 2025.

알파벳 분기 실적 요약

알파벳 전체로 보면 1분기 매출액은 902억 3,000만 달러(전년 동기 대비 12% 증가), 순이익은 345억 4,000만 달러(46% 증가)로 집계되었고, 주당순이익(EPS)은 2.81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분석기관 LSEG 데이터앤애널리틱스(LSEG Data & Analytics)가 전망한 매출 891억 2천만 달러, 주당순이익 2.01달러를 모두 상회한 것이다.

순다 피차이(Sundar Pichai) 알파벳 및 구글 CEO는 “이번 분기 좋은 실적은 비즈니스 전반에서 건실한 성장세와 지속적인 모멘텀을 보여준다”며 “검색(Search) 부문은 AI 오버뷰(AI Overviews)처럼 월간 15억 명이 사용하는 기능들로 인해 꾸준히 성장 중이다. 유튜브와 구글 원을 중심으로 유료 구독자 수가 2억7,000만 명을 넘어섰고, 클라우드 역시 기업들의 강한 수요에 힘입어 빠르게 성장 중”이라고 설명했다.

유튜브는 올해로 출범 20주년을 맞았다. 2005년 등장 이래 약 200억 건 이상의 영상이 업로드된 것으로 알려졌으며, 시장분석기관 모펫내선슨(MoffettNathanson)은 유튜브의 2024년 연간 매출이 약 542억 달러에 이르렀다고 추정했다. 이는 디즈니(Disney)에 이어 세계 2위 규모이며, 2025년에는 1위에 오를 것으로 예측된다.

2분기 광고 실적에 대한 거시경제적 전망에 대해서는 필립 신들러(Philipp Schindler) 알파벳 최고비즈니스책임자(CBO)가 “아직은 예측하기 이른 상황”이라고 언급했다.

구글, 독점 소송 문제 계속

한편, 구글은 지난주 미국 연방판사로부터 ‘인터넷 광고기술(ad-tech) 시장에서 불법 독점을 행사하고 있다’는 판결을 받은 후 항소 의사를 밝혔다. 이는 2024년 8월 또 다른 연방법원 판결에서 구글이 인터넷 검색 분야에서 독점적 지위를 누리고 있고, 애플과 삼성 등 스마트폰 제조사, 브라우저 업체에 구글 검색을 기본값으로 설정하도록 수십 억 달러 규모의 계약을 체결한 행위가 독점 금지법 위반에 해당한다고 본 것과 같은 맥락이다. 미 정부 측은 이 같은 행위를 이유로 구글에 크롬(Chrome) 브라우저 등을 매각하라는 조치를 제안하고 있다.


유튜브와 한국 시장

국내 크리에이터 시장 확대 및 경쟁 심화

유튜브가 광고 매출에서 지속적으로 높은 성장세를 유지한다는 것은, 국내 유튜브 크리에이터 및 MCN(Multi-Channel Network) 업체에도 긍정적인 신호로 볼 수 있다. 유튜브 플랫폼을 통한 광고 수익 창출이 더욱 안정적으로 가능해지면, 콘텐츠 창작에 뛰어드는 개인 및 기업이 계속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

동시에 틱톡, 인스타그램, 네이버의 숏폼 플랫폼(네이버 쇼츠 등)과의 경쟁도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유튜브가 구독자와 광고주를 계속 확보하기 위해 새로운 형태의 광고 상품, 크리에이터 수익 배분 모델, 숏츠(Shorts) 활성화 등의 정책을 강화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국내 크리에이터들도 이에 발맞춰 전략을 세워야 한다.

프리미엄 서비스 확대에 따른 소비자 선택지 증가

최근 유튜브가 ‘프리미엄 라이트’를 미국에 도입했고, 이는 향후 한국 등 다른 지역에까지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 국내에서도 유튜브 프리미엄이나 유튜브 뮤직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증가 추세인데, 가격대가 다양해지면 소비자들의 구독 의향이 높아질 수 있다.

유튜브와 비슷한 구독 모델을 도입하거나 경쟁하는 국내 스트리밍(웨이브, 티빙, 디즈니+ 코리아, 넷플릭스 코리아 등)에게는 또 다른 경쟁 압박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구글 광고 독점 관련 규제 이슈

미국에서 구글이 광고·검색 분야 독점 문제로 지속적으로 제소되는 상황은, 국내 공정거래위원회 등 규제 당국에도 일정 부분 시사점을 준다. 한국 역시 광고·플랫폼 시장에서 공정 경쟁과 소비자 보호에 대한 관심이 점차 커지고 있다. 민주당과 국민의힘 모두 방송법을 개정해 유튜브나 스트리밍 서비스를 규제의 틀 안에 포함하고 분담금 등을 부가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만약 미국 소송 결과와 연계되어 구글이 일부 광고 사업을 분할하거나 영업 방식을 변경한다면, 국내 온라인 광고 시장의 지형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

클라우드 시장 및 AI 기술 경쟁 가속화

이번 실적 발표에서 언급된 ‘클라우드’와 ‘AI 오버뷰’ 등은 구글이 미래 핵심 성장동력으로 꼽는 분야다. AI 인프라와 클라우드 서비스는 한국 기업들도 많이 도입하고 있으며, 구글 클라우드의 국내 점유율이 늘어나면 아마존 웹서비스(AWS), MS 애저(Azure) 등과 함께 국내 시장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입니다.

특히 GPT 계열 및 다양한 AI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구글이 AI 기술에 지속적으로 투자하고 있는 점이 한국 IT 업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AI를 활용한 검색, 광고, 데이터 분석 및 창작 툴이 더 활발히 등장할 것으로 예상됩된다.

콘텐츠 판권·저작권 시장에 미치는 파급효과

유튜브가 광고와 구독 매출을 통해 막대한 자금을 확보하면, 음악·영화·방송 등을 포함한 다양한 콘텐츠 판권 거래와 투자를 확대할 가능성이 있다. 이는 K-POP, K-드라마, K-무비 등 한류 콘텐츠 제작사나 국내 저작권 단체에도 새로운 기회와 과제를 동시에 제시한다.

구독 기반의 수익 모델이 커질수록, 한국의 엔터테인먼트 산업은 유튜브나 넷플릭스 등 글로벌 플랫폼과의 협업을 통해 더 큰 해외 진출 가능성을 모색할 수 있으나, 동시에 수익 배분 구조나 저작권 보호 문제 등에서 더욱 면밀한 협의가 필요해진다.

2025년 1분기 기준, 유튜브와 알파벳의 탄탄한 실적은 전 세계 디지털 광고와 구독형 미디어가 계속 성장 추세라는 사실을 다시금 확인시켜준다. 한국에서도 유튜브의 영향력이 커지는 상황에서, 크리에이터와 미디어 기업, 광고주, 규제 당국은 각각의 이해관계와 전략을 재점검해야 한다. 특히 미국 시장에서 불거진 구글의 독점 소송 결과는 향후 한국의 온라인 광고·플랫폼 규제 및 경쟁 정책에도 적잖은 파장을 일으킬 수 있다.

유튜브가 20년 만에 세계 최대 동영상 플랫폼으로 자리 잡으면서, 국내 콘텐츠 생태계에서도 ‘필수 채널’로 인식되는 경향이 더욱 뚜렷해지고 있다. 앞으로 유튜브가 어떤 방향으로 진화해 나가느냐에 따라, 한국 시장에서도 광고 모델 및 유료 구독 형태, 크리에이터 경제의 판도는 계속 바뀌어 갈 것으로 전망된다.

유튜브 광고 및 크리에이터 시장 데이터

구분수치/내용출처/비고
2025년 1월 유튜브 광고비약 891억 원2
2021년 국내 유튜버 총수익8,600억 원20
2021년 유튜버 등록자 수34,219명20
상위 1% 유튜버 평균 연소득7억 1,300만 원20
하위 50% 유튜버 연평균 소득40만 원20
유튜브 마켓쉐어(제품 정보 검색)48%17
국내 유튜브 사용자 수(2025)약 4,360만 명6
인플루언서 마케팅 광고비(2025)약 4억 8,924만 달러6

숏폼·플랫폼 경쟁

플랫폼숏폼 이용률(%)특징 및 동향출처
유튜브 Shorts87.4국내 숏폼 시장 1위, 크리에이터 유치 강화7
인스타그램 Reels58.3MZ세대 중심 성장7
틱톡31.6글로벌 시장 강세, 국내선 약세7
네이버 Clip24.8창작자 지원 확대, 사용자 유입 강화7

유튜브 프리미엄 및 구독 서비스

구분가격(원/월)주요 내용/변경사항출처
유튜브 프리미엄(2025)14,9002023년 43% 인상, 광고 제거 서비스18
유튜브 뮤직 단독11,990별도 판매8
프리미엄 라이트(미국 등)약 10,700광고만 제거, 뮤직·백그라운드 미포함, 한국 도입 검토89
유튜브 뮤직 MAU(2025.2)902만 명국내 1위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10
멜론 MAU(2025.2)677만 명국내 2위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10

주요 트렌드 및 경쟁 환경 요약

트렌드/이슈내용 및 시사점출처
크리에이터 시장 성장유튜브 광고·구독 수익 증가 → 창작자·MCN 진입 확대, 상위 1% 소득 집중20
숏폼 경쟁 심화유튜브 Shorts, 인스타그램 Reels, 네이버 Clip 등 국내외 플랫폼 경쟁 격화7
프리미엄 서비스 다양화프리미엄 라이트 등 구독 옵션 확대, 소비자 선택권 증가89
광고 독점 규제 이슈美·韓 공정위, 구글 광고 독점 규제 강화, 시장 구조 변화 가능성1113
AI·클라우드 경쟁구글 클라우드·AI 투자 확대, 국내 시장 AWS·MS·네이버 등과 경쟁141516
콘텐츠 판권·저작권 이슈유튜브 광고·구독 매출로 한류 콘텐츠 판권 거래·수익 분배 협상력 강화1920

Impact on the Korean Market

Growth of the Creator Economy and Intensified Competition

YouTube’s ongoing ad revenue expansion signals potential for stable earnings among Korean YouTubers and MCN (Multi-Channel Network) companies.

Competition with short-form platforms (TikTok, Instagram, local Korean platforms) will likely intensify. YouTube may continue to roll out new ad products, revenue-sharing models, and Shorts initiatives to stay ahead, meaning Korean creators should adapt their strategies accordingly.

Expansion of Premium Services and Consumer Choices

YouTube’s cheaper “Premium Lite” has debuted in the U.S., and could expand to other regions, including South Korea.

With more flexible pricing, Korean users may become more receptive to subscribing, which could increase competition with local and global OTT services (Wavve, TVING, Disney+ Korea, Netflix Korea, etc.).

Regulatory Concerns Over Google’s Dominance

Ongoing antitrust litigation in the U.S. around Google’s advertising and search monopolies may influence Korean regulators.

If Google is forced to modify business practices or divest parts of its ad-tech operations, the domestic online advertising landscape in Korea could shift accordingly.

Cloud and AI Competition Intensifies

Google’s emphasis on Cloud and AI Overviews highlights the company’s focus on AI-driven products.

Korean companies already rely on global cloud providers (AWS, Microsoft Azure, Google Cloud). A stronger push from Google may spark greater competition in the Korean market.

Heightened interest in AI (GPT-style models and beyond) could spur more integrations of Google’s AI tools into Korean businesses’ workflows.

Implications for Content Rights and Licenses

Higher revenues for YouTube could translate into increased investment in content licensing, including music, films, and TV shows.

This poses both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for Korean content creators and rights holders (K-pop labels, K-drama/film producers).

As subscription-based revenue grows, Korean entertainment companies may find more avenues to collaborate with (or negotiate licensing terms with) platforms like YouTube, though ongoing discussions about fair revenue sharing and copyright protection will be key.

Conclusion

YouTube’s strong Q1 2025 performance and Alphabet’s robust earnings underscore the ongoing global growth in digital advertising and subscription-based media. In South Korea, YouTube’s influence continues to expand, affecting how creators, media companies, advertisers, and regulators engage with online video and advertising platforms. Moreover, U.S. antitrust actions against Google may eventually reshape platform policies and market structures abroad. With YouTube now celebrating 20 years as the leading video platform, its continued evolution—particularly around new ad formats, subscription models, and AI-driven features—will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Korea’s content ecosystem and creator economy.

유료 구독자를 위한 미스터 비스트 기업 상세 분석

미디어 제국: 유튜브와 아마존 ‘Beast Games’

비즈니스 인사이더(Business Insider)가 확보한 2025년 2월자 투자 유치 관련 ‘피치덱’(기업 설명 자료)에 따르면, 미디어 부문에는 도널드슨의 유튜브 채널들과 아마존 프라임(Prime)에서 방영된 리얼리티 게임쇼 「Beast Games」가 포함된다.

유튜브 채널

도널드슨은 한 달 평균 30억 뷰에 달하는 트래픽을 유튜브에서 기록하고 있으며, 영상을 AI를 이용, 40여 개 언어로 더빙해 70%에 달하는 해외 시청자를 확보하고 있다고 밝혔다.

Beast Games

아마존 프라임(Amazon Prime)에서 공개된 10부작 리얼리티 쇼로, 계약 규모만 1억 달러에 달할 정도로 거대 프로젝트였다고 전해진다. 덕분에 ‘프라임’의 비(非) 대본형 예능 중 역대 최고의 흥행 성적을 거뒀지만, 안전 문제와 제작 환경 등의 논란이 불거지면서 도널드슨 개인의 추가 지출이 컸다고 알려졌다. 이를 포함 미디어 부문은 2024년에만 2억2,600만 달러의 매출을 거둔 것으로 파악된다.


"Beast Games: Total Minutes Watched, by Day" 차트 분석

2. 에피소드별 시청 시간 변화

에피소드프리미어 날짜시청 시간(백만 분)특징
1-22024-12-22약 55M첫 공개, 높은 관심도
32024-12-29약 30M전주 대비 상승, 이후 다시 급증
42025-01-05약 40M공개 후 최고치(약 65M) 기록
52025-01-12약 35M마지막 프리미어, 직후 최고치(65M)

"Beast Games"는 각 에피소드 공개일마다 시청 시간이 급증하며, 시리즈 후반부에 이르러 최고 시청 시간을 기록했다. 이는 정기적 공개와 프리미어 효과가 스트리밍 플랫폼의 시청자 유입 및 체류 시간 증대에 매우 효과적임을 보여준다.


소비재(CPG) 부문: 초콜릿부터 도시락까지

도널드슨은 식음료 분야에서 다양한 시도를 해왔는데, 이 과정에서 성공과 좌초 사례가 엇갈리고 있다.

Feastables(피스트어블즈)  

윤리적 원료 조달을 강조하는 초콜릿 브랜드로, 2024년 2억1,500만 달러의 순매출을 달성했다(2023년 9,600만 달러 대비 2배 이상 성장). 향후 우유·아이스크림 제품군에도 확장을 검토 중이다.

- Lunchly(런칠리)

유명 크리에이터 로건 폴(Logan Paul), KSI 등과 협업해 출시한 간편도시락 브랜드로, 출시 후 11주 만에 500만 달러의 매출을 기록하며 순항 중이다. 올해 6월부터 미국 내 주요 리테일 매장 13곳으로 유통망을 확대할 계획이다.

MrBeast Lab

도널드슨이 직접 참여하는 피규어·토이 브랜드로, 출시 후 6개월 동안 6,500만 달러의 매출을 올렸다.

이 밖에 ‘MrBeast Burger’라는 고스트 키친 버거 브랜드에 참여했으나, 파트너사인 버추얼 다이닝 컨셉츠(Virtual Dining Concepts)와 소송전을 벌이게 되며 관련 사업은 현재 중단 상태다.

소프트웨어 및 신사업: 크리에이터·핀테크까지

소프트웨어 부문에서는 소셜 미디어 서비스 분석 플랫폼 ‘Viewstats’를 운영 중이다. 이는 크리에이터들이 자신의 채널 성장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브랜드 협업 성과를 측정하는 데 사용된다.

앞으로는 △비디오 게임 플랫폼 △유료 멤버십(조기 시청/독점 콘텐츠 제공) △크리에이터 지원 플랫폼 △핀테크 서비스 ‘Beast Financial’ 등의 론칭도 검토 중이라고 피치덱에서 밝혔다.

자산, 투자, 그리고 ‘자선’의 역설

도널드슨은 지금껏 벌어들인 수익을 대부분 다시 콘텐츠와 사업 확장에 재투자해 왔다고 강조하고 있다. 2025년 2월 인터뷰에서는 “서류상으로는 억만장자(billionaire) 지위를 가졌을 수 있으나, 실제 예금 계좌에는 100만 달러도 채 없을 정도”라고 밝하기도 했다.

그는 또한 자선활동으로도 유명하다. 과거 #TeamTrees, #TeamSeas 등 다양한 소셜미디어 기반 기부 운동을 통해 수백만 달러 규모의 기부금을 모았으며, 전용 유튜브 채널 ‘MrBeast Philanthropy’를 별도로 운영 중이다. 다만 일부에서는 콘텐츠를 통한 자선이 ‘시청자 관심을 끌기 위한 마케팅’이라는 비판도 제기하고 있다.

미래 청사진: “넥스트 디즈니”를 꿈꾸며

도널드슨은 2029년까지 비스트 인더스트리즈 매출을 48억 달러 규모로 키우겠다는 계획을 내놨다. 이를 위해 애니메이션·게임·웹툰·장난감 등 다양한 IP를 개발하고, 자신이 직접 영상에 출연하지 않는 방식의 콘텐츠 제작까지 검토하고 있다. 비스트 스튜디오르 꿈꾸고 있는 것이다.

CPG 분야에서는 건강보조제, 개인위생용품, 음료 등으로 제품군을 확장할 예정이며, 핵심 브랜드인 피스트어블즈는 2025년 순매출 3억7,500만 달러를 목표로 잡았다.  

한편, 블룸버그(Bloomberg)에 따르면 비스트 인더스트리즈는 올해 약 50억 달러 가치(기업가치)로 투자 유치를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유튜브 성장 속 크리에이터의 무한 잠재력

유튜브의 글로벌 영향력이 커짐에 따라, 크리에이터가 단순 영상 제작자가 아닌 ‘기업가’로 나아가는 사례는 점차 늘어나고 있다. 미스터비스트는 이를 대표하는 아이콘으로, 막대한 구독자 수와 콘텐츠 파급력을 바탕으로 다양한 산업에서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있다.  

현재 그의 시도들은 온라인 플랫폼에서 자라난 크리에이터가 얼마나 빠르게 전통 미디어 및 소비재 시장을 흔들 수 있는지 보여주는 사례이기도 하다. 유튜브가 제공하는 광고 수익 분배와 브랜드 협업 기회는 크리에이터들이 자본을 축적하고 재투자할 수 있게 만들었고, 이를 통해 개인 채널을 넘어 미디어 기업으로 성장하는 ‘크리에이터 생태계’가 확립되고 있다.

결국 미스터비스트의 사례는 유튜브라는 플랫폼이 전 세계적으로 수십억 명의 시선을 사로잡을 수 있는 무대가 되었고, 여기서 콘텐츠 경쟁력을 갖춘 크리에이터라면 전통적인 기업 못지않은 영향력과 수익 창출 기회를 얻을 수 있음을 여실히 보여준다.  앞으로도 그의 행보는 크리에이터 경제의 미래를 가늠하는 지표로 주목받을 수 있다.

Inside MrBeast’s Expanding Empire: How One Creator Is Reshaping Media, CPG, and Beyond*

As YouTube’s global reach continues to surge, creators are increasingly finding ways to transform themselves from online personalities into full-fledged entrepreneurs. Jimmy Donaldson—better known as MrBeast—stands out as a prime example, building a multifaceted business known as Beast Industries that now spans media, consumer products, software, and more.*

A Media Empire: YouTube and Amazon’s “Beast Games”

Recent investor pitch materials from February 2025, obtained by Business Insider, reveal that Beast Industries’ media division encompasses Donaldson’s suite of YouTube channels as well as an Amazon Prime reality competition series titled “Beast Games.”

YouTube Channels

Donaldson reports an average of 3 billion monthly views across his various YouTube channels. He credits much of his international popularity to a rigorous dubbing process powered by AI, enabling content to be presented in over 40 different languages. With roughly 70% of his viewers located outside the United States, MrBeast’s global fan base underscores his ability to capture attention far beyond the English-speaking world.

Beast Games on Amazon Prime

“Beast Games,” a ten-episode reality show on Amazon Prime, is said to have secured a contract worth $100 million—a testament to the show’s massive scale.

Despite setting record viewership for a non-scripted title on Prime, the production reportedly faced controversies related to safety protocols and overall working conditions. These issues led to significant additional expenditures from Donaldson’s personal funds.  

Despite the setbacks, Beast Industries’ overall media segment—including YouTube channels and “Beast Games”—generated$226 million in revenue in 2024 alone.

Consumer Packaged Goods: From Chocolate to Ready-to-Eat Meals

Donaldson has tried his hand at multiple endeavors in the food and beverage sector, with varying degrees of success and setbacks.

Feastables

Launched with an emphasis on ethically sourced ingredients, Feastables is a chocolate brand that brought in $215 million in net revenue in 2024—more than double its 2023 earnings of \$96 million. Looking ahead, Feastables intends to branch out into additional product lines such as milk and ice cream.

Lunchly

Donaldson joined forces with creators Logan Paul and KSI to introduce Lunchly, a line of ready-to-eat packaged meals. Just 11 weeks post-launch, Lunchly brought in **\$5 million** in sales. The brand is slated to expand its retail footprint to 13 major national retailers in the US starting in June 2025.

MrBeast Lab

This toy and collectible brand—which Donaldson has personally helped develop—racked up \$65 million in sales during its first six months.  

Donaldson’s earlier venture into the ghost-kitchen burger business, MrBeast Burger, is currently on hold amid legal disputes with Virtual Dining Concepts.

Software and New Ventures: Creator Tools to Fintech

Within the software sector, Beast Industries operates Viewstats, a platform that offers analytics for creators who want to monitor channel growth and gauge the success of brand collaborations. Looking ahead, a pitch deck outlines several new ventures in the pipeline:

- Video game platform

- Paid membership program (including early video access and exclusive content)  

- Creator support platform(offering resources to aspiring YouTubers)  

- "Beast Financial,” a potential fintech service  

Assets, Investments, and the “Paradox of Philanthropy”

Donaldson claims to reinvest the majority of his earnings back into his content and businesses. In a February 2025 interview, he revealed that while “on paper” he might be a billionaire, his personal bank account holds less than \$1 million. These statements suggest his considerable stake in Beast Industries makes up the bulk of his net worth.

He is also known for large-scale charitable endeavors—though some critics label them as marketing devices designed to attract viewers. Donaldson has run several social-media-driven campaigns, such as #TeamTrees and #TeamSeas, raising millions of dollars for environmental causes. He also manages a dedicated YouTube channel for philanthropic content called “MrBeast Philanthropy,”** boasting over 27 million subscribers.

The Road Ahead: “Beast Studios” and the Quest to Become the Next Disney

Donaldson has publicly declared his ambition to grow Beast Industries’ revenue to $4.8 billion by 2029. Part of this strategy involves creating a diversified portfolio of intellectual property (IP) in animation, gaming, webcomics, and toys. He is also exploring content models where he wouldn’t appear on camera, envisioning a full-fledged “Beast Studios” capable of producing entertainment on par with Hollywood powerhouses.

On the consumer side, future product lines could include health supplements, personal-care items, beverages, and more. Feastables, Beast Industries’ flagship brand, is aiming for $375 million in net revenue by 2025.

At the same time,Bloomberg reports that Beast Industries is pursuing investments at a $5 billion valuation.

YouTube’s Growth and the Boundless Potential of Creators

As YouTube’s global influence continues to soar, more creators are evolving from online entertainers into major corporate players. MrBeast stands at the forefront of this transformation, leveraging his colossal subscriber base and viral storytelling to fuel growth across media, consumer goods, and software.

His ventures vividly illustrate how quickly a web-native creator can disrupt traditional media and retail sectors. YouTube’s revenue-sharing and brand-collaboration opportunities enable creators to amass the capital necessary for expansion. Over time, personal channels morph into robust media enterprises, underscoring the emergence of a new creator-centric ecosystem.

In the end, MrBeast’s path highlights YouTube’s status as a global platform capable of commanding billions of viewers—and demonstrates that any creator with the right blend of content prowess and business acumen can achieve a level of impact and profitability once reserved for legacy corporations. With Beast Industries hinting at even broader ambitions, his journey will undoubtedly remain a central indicator for the future of the creator economy.

Newsletter
디지털 시대, 새로운 정보를 받아보세요!
1 이달에 읽은
무료 콘텐츠의 수

1 month 10,000 won, 3 months 26,000 won, 1 year 94,000 won

유료 구독하시면 비즈니스에 필요한 엔터테크 뉴스, 보고서, 영상 자료를 보실 수 있습니다(Subscribe to get the latest entertainment tech news, reports, and videos to keep your business in the know)

Powered by Bluedot, Partner of Mediasphere
닫기
SH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