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Battle of TV Blackouts: Negotiating for the Survival of the Media Industry

채널 사용을 댓가로 지급하는 프로그램 사용료(Carriage Fee)와 재전송동의료(retransmission Consent Fee)를 둘러싼 갈등이 깊어지고 있다.

채널 공급 업체들은 매년 프로그램 사용료와 재전송동의료를 높이려고 하지만, 넷플릭스 등 스트리밍 서비스 시대의 개막으로 성장의 내리막을 걷고 있는 유료 방송 사업자들은 인상을 거부하고 있다.

이런 갈등으로 방송 중단 사태가 벌어지기도 한다. 2023년 9월 디즈니와 차터(Charter) 간 갈등으로 방송이 10일 정도 중단됐으며 2025년 1월에도 뉴욕 지역 스포츠 지상파 방송과 케이블TV 사업자의 재전송 동의료 협상이 마무리되지 않아 뉴욕 거주민들이 지역 스포츠 경기를 보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했다.

한국 역시 마찬가지다. 2024년 12월, 홈쇼핑 CJ온스타일은 딜라이브, 아름방송, CCS충북방송에 대한 송출을 중단했다. 이는 홈쇼핑 업계 최초의 '블랙아웃' 사태로, 송출수수료 협상 결렬이 원인이었습니다. 롯데홈쇼핑은 딜라이브와, 현대홈쇼핑은 LG유플러스와 송출수수료 협상에서 합의점을 찾지 못해 정부에 대가검증협의체 구성을 요청하기도 했다.

이런 방송 중단(Blackout)이 발생하면 피해는 가입자가 고스란히 떠안아야 한다. 이에 블랙아웃으로 인한 시청자 피해를 막기 위한 법안이 미국에서 발의됐다.

The battle over program carriage fees and retransmission consent fees, which are paid for the use of channels, is deepening.


Channel providers want to increase program carriage fees and retransmission consent fees every year, but Pay-TV operators, whose growth has been on the decline since the advent of streaming services such as Netflix, refuse to increase them.
This conflict has led to some blackouts. In September 2023, a dispute between Disney and Charter led to a 10-day broadcast blackout, and in January 2025, New Yorkers were unable to watch local sports events in New York because the terrestrial broadcasters and cable TV operators were unable to finalize retransmission fees.


South Korea is no different. In December 2024, home shopping company CJ OnStyle stopped transmissions of D'live, ABN, CCS Chung buk Broadcasting.

This was the first "blackout" in the home shopping industry, and was caused by a disagreement over broadcasting fees. Lotte Home Shopping was unable to reach an agreement with D'live and Hyundai Home Shopping was unable to reach an agreement with LG U+ on program fees and requested the government(MICT) to form a price verification committee.


When such blackouts occur, subscribers bear the brunt of the damage. In response, a bill has been proposed in the United States to prevent blackouts from harming viewers.

방송 채널 블랙아웃 보상 의무화 법안 발의

미국 팻 라이언 하원의원(Ryan D-N.Y.)과 크리스 머피 상원의원(D-Conn.)은 케이블 및 위성 방송이 블랙아웃(방송중단 Black out)으로 시청자들이 이미 결제한 채널을 시청하지 못할 경우 환불하도록 하는 '스포츠 블랙아웃 정전 방지법(Stop Sports Blackouts Act)'을 발의했다.

Legislation introduced to mandate blackout compensation


U.S. Representative Pat Ryan (D-N.Y.) and Senator Chris Murphy (D-Conn.) have introduced the Stop Sports Blackouts Act, which would require cable and satellite networks to refund viewers if they are unable to watch channels they have paid for due to a blackout.

이 법안은 최근 스포츠 채널 MSG네트웍스와 케이블TV 사업자 알티스 USA 옵티멈(Optimum) 간 프로그램 사용료 분쟁으로 뉴욕시  3개 주 지역의 백만 명 이상의 고객들이 뉴욕 닉스, 뉴욕 레인저스, 뉴욕 아일랜더스, 뉴저지 데블스의 경기를 보지 못하게 된 사건이 계기가 됐다.

MSG네트워크는 성명에서 “알티스는 그들은 고객에게는 가격을 인상하면서 보장은 적게 주려 한다”며 “ 알리스는 현재 Optimum 가입자에게는 거의 50%, (프로모션 혜택이 만료된 후) 신규 Optimum 가입자에게는 70%의 가격을 인상했다”고 말했다.

알티스는 우리가 계속 협상을 시도하는 동안 MSG 네트워크를 방송에 계속 내보내겠다는 안 등 모든 제안을 거부했다. 우리는 여전히 성실하게 협상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말했다. .

The legislation was prompted by a recent programming fee dispute between sports channel MSG Networks and cable TV provider Altice USA Optimum that left more than a million customers in the New York City tri-state area without access to games from the New York Knicks, New York Rangers, New York Islanders, and New Jersey Devils.


"Altice is attempting to raise prices and provide less coverage for their customers," MSG Network said in a statement. "Altice has increased prices by nearly 50% for current Optimum subscribers and 70% for new Optimum subscribers (after the promotional offer expires).


"Altis has rejected all of our proposals, including an offer to keep the MSG network on the air while we continue to try to negotiate. We said we are still prepared to negotiate in good faith. .

이와 별개로  넥스타 미디어 그룹이 소유한 지역 방송 WPIX 뉴욕 블랙아웃으로 인해 옵티멈 고객들은 10일 이상 '주디 저스티스(Judy Justice)'와 지역 뉴스를 시청할 수 없었다고 의원들은 말했다.

Separately, a blackout of local station WPIX New York, which is owned by Nextel Media Group, left opt-in customers unable to watch "Judy Justice" and local news for more than 10 days, lawmakers said.

지난 14년 간 3,350일 블랙아웃 경험(뉴욕지역)

두 의원은 2010년부터 2024년까지 뉴욕 주민들은 총 3,350일 동안 총 100번의 블랙아웃을 경험했고, 이 기간 동안 소비자들이 유료 콘텐츠를 시청할 수 없었다고 강조했다.

알리스USA는 WPIX 송출 중단과 관련 재전송동의료(Retransmission consent fee)협상에 대한 민원을 FCC에 제기했다. 영향을 받는 곳은 42개 권역에 63개 방송에 달한다.

의회에 따르면 2010년 2024년까지 뉴욕 지역 주민들은 총 100번의 블랙아웃을 겪었으며 방송이 중단된 날짜는 3,350일에 달한다. 이로 인해 소비자들이 유료로 구매한 콘텐츠를 시청할 수 없어 경제적인 피해도 발생했다.

라이언(Ryan) 하원 의원은 엔터테인먼트 업계에서 소비자 보호가 중요하다고 지적하며  이전에도 블랙아웃에 대한 조사를 요구하고 팬들의 경기 관람을 어렵게 만든 스포츠 리그를 비난한 바 있다.

라이언 의원은 “방송 중단으로 인해 수백만 명의 사람들이 몇 주 동안 뉴욕 닉스, 주디 저스티스 또는 기타 수십 개의 프로그램을 시청하지 못했다는 것은 터무니없는 일”이라며 "그리고 우리 모두가 여전히 검은 화면을 보면서 돈을 내는 것은 말도 안되는 일이다.  케이블TV사업자는  제공하지 않는 서비스에 대해 광고하고 요금을 청구할 수 없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미국 전역의 스포츠 팬들을 대신해 블랙아웃으로 TV를 시청할 수 없게 되면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모두 환불해드리겠다”고 말했다.

그는 또 “이는 여러분의 주머니에 돈을 돌려주는 것을 의미한다”며 “더 중요한 것은 수십억 달러 규모의 기업들에게 앞으로 이러한 블랙아웃이 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엄청난 인센티브를 제공한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요금 보상을 피하기 위해 케이블 TV회사들이 적극적으로 협상에 임할 것이라는 이야기다. 머피 의원도 “케이블TV 공급 협상이 교착상태에 있는 것은 말도 안되는 일”이라며 “법안은 간단하다. 방송이 나오지 않으면 보상하라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3,350 blackout days in the last 14 years (New York)


The two lawmakers emphasized that from 2010 to 2024, New Yorkers experienced 100 blackouts totaling 3,350 days, during which consumers were unable to watch paid content.
Alice USA filed a complaint with the FCC challenging the WPIX blackout and the associated retransmission consent fee negotiations.  Affected are 63 stations in 42DMAs.

According to Congress, between 2010 and 2024, New Yorkers experienced a total of 100 blackouts, totaling 3,350 broadcast blackout days. This has caused economic harm as consumers are unable to watch the content they pay for.


Congressman Ryan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consumer protection in the entertainment industry and has previously called for an investigation into blackouts and criticized sports leagues for making it difficult for fans to attend games.


"It's outrageous that millions of people have been unable to watch the New York Knicks, Judge Justice, or dozens of other shows for weeks due to blackouts," Ryan said. "And it's outrageous that we're all still paying to watch a black screen.  Cable TV providers shouldn't be able to advertise and charge for services they don't provide."


"On behalf of sports fans across America, if you can't watch TV because of the blackout, we will refund your money, no questions asked," he said.


"That means putting money back in your pocket," he said, "and more importantly, it gives these multi-billion dollar companies a huge incentive to make sure these blackouts don't happen in the future." This means that cable TV companies will be aggressively negotiating to avoid the bill. "It's outrageous that cable TV negotiations are at an impasse," Murphy said. "The bill is simple. The bill is simple: if you don't carry it, pay for it."

알티스 USA(Altice USA) 가입자 뉴스와 스포츠 모두 블랙아웃

지난 1월 1일 옵티멈과 뉴욕 지역 스포츠 방송인 MSG네트웍스는 프로그램 사용료 협상이 결렬돼 기존 송출 계약을 갱신할 수 없다고 밝혔다.

이로 인해 가입자는 시즌 도중 NBA와 NHL 경기를 시청할 수 없게 됐다.  1월 10일에는 판사 주디 셰인딘이 출연하는 인기 프로그램 '주디 저스티스(Judy Sheindlin)'와 뉴스네이션 네트워크(NewsNation network)의 신디케이션 권리를 소유한 넥스스타 미디어의 WPIX와 합의에 실패했다고 발표하면서 옵티멈 가입자들은 추가 정전 사태를 겪어야 했다.

라이언 의원과 머피 상원의원의 "스포츠 블랙아웃 방지법"은 연방통신위원회(FCC)에 유료 방송 플랫폼이 분쟁으로 인해 발생하는 방송 블랙아웃에 대해 가입자에게 리베이트를 제공하도록 지시하는 법안이다. 지난 1월 FCC는 케이블 및 위성 유료 TV 사업자가 재송신 동의 계약(retransmission-consent agreement)에 대한 협상 실패로 인해 발생한 24시간 이상 블랙아웃이 발생했을 경우 보고를 강제화했다.

Altice USA subscribers blacked out of both news and sports


On January 1, Optimum and New York-area sports broadcaster MSG Networks announced that they could not renew their existing carriage agreement after negotiations broke down over programming fees.


This left subscribers without access to NBA and NHL games during the season.  On Jan. 10, the network announced that it had failed to reach an agreement with Nexstar Media's WPIX, which owns the syndication rights to the hit show Judge Judy Sheindlin and the NewsNation network, causing additional blackouts for its subscribers.


Representative Ryan and Senator Murphy's "Sports Blackout Prevention Act" would direct the Federal Communications Commission (FCC) to require pay-per-view platforms to provide rebates to subscribers for blackouts caused by disputes.

In January, the FCC required cable and satellite pay-TV providers to report blackouts of 24 hours or more that resulted from failed negotiations over retransmission-consent agreements.

출처 FCC

미국 역시 스트리밍 서비스의 확대로 시청률이 감소하고 광고도 줄자, 지상파 방송사의 경우 재전송 동의 비용이 주된 수익이 됐다.

FCC가 발간한 ‘미국 방송통신 시장 보고서(2024 Communications Market Report)에 따르면 2022년부터 2023년까지 가입자당 연간 재전송 동의 수수료는 평균 16.2% 증가하여 231.52달러에서 268.99달러로 상승했다.

방송사별 가입자당 월평균 재전송 동의 수수료는 같은 기간 동안 2.27달러에서 2.70달러로 19% 사용했다. 2013~2023년 동안 가입자당 재전송 동의 수수료의 연평균 증가율은 27.3%였다. 미국 지역 방송은 정치 광고를 제외한 다른 분야 광고가 정체 상태다.

In the U.S., retransmission consent fees have become a major source of revenue for terrestrial broadcasters as the proliferation of streaming services has reduced viewership and cut into advertising.
According to the FCC's 2024 Communications Market Report, annual retransmission consent fees per subscriber increased by an average of 16.2% from 2022 to 2023, rising from $231.52 to $268.99.
The average monthly retransmission consent fee per subscriber by broadcaster increased 19% over the same period, from $2.27 to $2.70. From 2013 to 2023, the compound annual growth rate of retransmission consent fees per subscriber was 27.3%. Outside of political advertising, U.S. local broadcast advertising is stagnant.

MVPD 법안 반대 “지상파에만 유리, 소비자 이용 가격만 인상할 것”

하지만 재전송 동의 수수료 인상과 보상 법안 발의는 유료 방송 사업자들의 반발을 불러오고 있다. 소규모 독립 MVPD들의 모임인 미국 텔레비전 연합(American Television Alliance)은 이러한 법안이 가격만 인상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ATVA 대변인 헌터 윌슨(Hunter Wilson)은 “대형 방송사가 일방적으로 TV 라인업에서 채널을 제거하여 소비자로부터 콘텐츠를 차단하고 유료 고객에게 중요한 지역 뉴스 보도, 스포츠 이벤트 및 엔터테인먼트 프로그램을 제공하지 않는 것은 터무니없는 일”이라고 말했다.

ATVA는 "의도는 좋지만 이 법안은 소비자 가격만 인상할 것”이라며 “블랙아웃은 지상파 방송사 및 기타 대형 프로그램 제공업체가 유료 TV플랫폼에 더 높은 가격의 프로그램 계약을 강요하기 위해 몸값을 받고 채널을 장악한 결과”이라고 설명했다.

American Television Alliance

또 “유료 TV 제공업체에 리베이트 지급을 의무화하는 것은 재전송 동의 수수료가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는 상황에서 대형 방송사가 가격을 더 올리도록 부추길 뿐이라고 지적했다.

ATVA는 “잘못된 재전송 동의 시스템으로 인해 지난 10년 동안 거의 천 건에 가까운 TV 방송 중단 사태가 발생했다”며 “ ATVA는 소비자를 희생시키면서 대형 방송사에게 막대한 이익을 안겨주는 낡은 규제를 현대화하기 위해 의회와 협력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설명했다.

MSG네트워크는 이 법안에 박수를 보냈다. MSG네트워크는 “공무원들이 유권자들을 위해 참여하고 옹호하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라며 “이제 Altice가 옳은 일을 하고 구속력 있는 중재에 동의하여 스포츠 팬들이 다시 좋아하는 팀의 경기를 시청할 수 있도록 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MVPD bill opponents say "only favors major Networks will only raise prices for consumers"


However, the proposed retransmission consent fee increases and compensation bills are drawing pushback from pay-TV providers. The American Television Alliance, a group of small, independent MVPDs, warned that the bills would only raise prices.


"It is outrageous that large broadcasters can unilaterally remove channels from their TV lineups, cutting off content from consumers and depriving paying customers of important local news coverage, sporting events, and entertainment programming," said ATVA spokesperson Hunter Wilson.


"While well-intentioned, this bill will only raise prices for consumers," ATVA said, explaining that "blackouts are the result of terrestrial broadcasters and other large program providers holding channels to ransom in order to force pay-TV platforms to sign higher-priced programming deals."
"Requiring pay-TV providers to pay rebates will only encourage big broadcasters to raise prices further at a time when retransmission consent fees are at record highs.


"The broken retransmission consent system has caused nearly 1,000 TV blackouts over the past decade, and ATVA stands ready to work with Congress to modernize an outdated regulation that enormously benefits big broadcasters at the expense of consumers."


MSG Network applauded the legislation. "It's no surprise that public officials are stepping up and advocating on behalf of their constituents," said MSG Network, "It's time for Altice to do the right thing and agree to binding arbitration so sports fans can get back to watching their favorite teams play."

한국 영향은 ?

앞서 언급했듯 한국도 콘텐츠 공급 비용과 관련한 갈등이 이어지고 있다. 한국에서는 아직 미국의 '스포츠 블랙아웃 정전 방지법'과 같은 구체적인 법안은 발의되지 않았다.  그러나 통신 서비스 중단에 대한 보상 강화 조치는 향후 방송 블랙아웃 관련 정책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2022년 6월, 방송통신위원회는 통신 서비스 중단에 대한 이용자 피해 구제를 강화하는 조치를 발표했다. 서비스 중단 보상 기준 시간을 3시간에서 2시간으로 단축하고 해당 서비스 장애시간 요금의 10배로 보상 금액을 높였다. 이용자 신청이 없어도 다음달에 자동으로 요금이 반환되게 했다.

What is the impact in South Korea?
As mentioned above, South Korea is also facing an ongoing conflict over the cost of content delivery. While Korea has yet to introduce specific legislation like the Sports Blackout Prevention Act in the U.S., the measures to strengthen compensation for telecommunications service interruptions may have implications for future broadcast blackout policies.


In June 2022, the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announced measures to strengthen user compensation for interruptions in telecommunications services.

It shortened the time limit for compensation for service interruptions from three hours to two hours and increased the amount of compensation to 10 times the amount of the service interruption fee. The compensation will be automatically returned the following month even if the user does not apply.

케이블 및 지상파 네트워크의 ‘전송(carriage)’ 및 ‘재송신(retransmission)’료 문제

전송·재송신료란

  • 케이블 사업자(MVPD)가 유료 TV 채널 및 지상파 방송(네트워크)을 제공하기 위해 지불하는 수수료
  • 1970년대부터 시작된 개념으로, 당시에는 인터넷이 없었고 케이블 TV가 맑은 화질(‘눈(snows)’ 없는 화면) 제공이라는 핵심 가치를 지녔기 때문에 이 수수료의 존재가 큰 이슈가 되지 않았음.

오늘날의 변화

  • 이제 미국 케이블 회사들 대부분은 TV 서비스보다는 브로드밴드(인터넷) 접속료를 통해 수익을 창출.
  • TV는 사실상 ‘손해를 보더라도 가입자를 묶어 두기 위한(이탈 방지)’ 서비스로 전환됨.
  • 따라서 수익성이 떨어지고 있는 TV 쪽에 계속 전송료·재송신료를 내야 하는 모델이 점점 부담으로 작용.

이 문제가 중요한 이유

  • 미국 내 유료 TV 가입자가 감소함에 따라 전송·재송신료를 통해 벌어들이던 수익도 감소.
  • 대형 방송사·케이블 채널(네트워크)들은 이 문제를 어느 정도 다른 수익원(스트리밍 등)으로 상쇄할 수 있으나, 중소형 케이블 채널이나 지역 방송국들은 타격이 클 수밖에 없음.
  • 특히 스트리밍(FAST, 스트리밍 앱 등)으로 넘어갈 경우, 스트리밍 사업자들은 케이블처럼 네트워크에 전송료를 지불하지 않음. 이로 인해 해당 채널들은 광고 수익만으로 버텨야 하는데, 광고만으로 과거 ‘광고+전송료’ 수익을 대체하기 어려움.

해외 사례

  • 미국 외 다른 나라(예: 캐나다)에서는 전송·재송신료가 일반적이지 않음.
  • 이미 전송료 없이도 케이블 채널이 운영되는 시장에서는 스트리밍 전환이 “단순히 송출 방식이 바뀌는 것” 정도로 여겨질 수 있음.
  • 즉, 북미(특히 미국)와 달리 글로벌 시장에서는 이러한 수익 감소 압박이 상대적으로 크지 않음.

무엇을 해야 하나?

중소·중견 케이블 채널

  • 전송료 없이 광고와 콘텐츠 판매(해외 판매나 VOD/FAST 라이선싱 등)만으로 생존하는 모델 재정립 필요.
  • 기존 캐나다·유럽 케이블 채널 사례를 참고하여, 광고와 기타 다양한 수익원 확보가 관건.

지역 지상파 방송

  • 대형 그룹(Tegna, Sinclair)에 속해 있지 않은 소규모 방송국은 향후 생존 전략 고민이 필수.
  • 정치·행정 기관(FCC, 의회)이 지상파 지역 방송국의 권리를 어떻게 보장해줄지가 관건이지만, 확실치 않음
  • 스트리밍으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생길 수 있는 광고수익 배분이나 지역 독점권 등에 대한 대책 필요.

스마트 TV 제조사(OEM)나 FAST 플랫폼

  • 소규모 채널에서 ‘전송료’를 요구할 가능성은 낮지만, 반대로 대형 SVOD 서비스들이 기기 제조사들에게 “우리 앱을 빼면 당신들은 경쟁력이 떨어진다”라며 지불을 요구할 가능성은 높음.
  • 이에 대한 사전 대비책을 마련해 두어야 함.


Newsletter
디지털 시대, 새로운 정보를 받아보세요!
SH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