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sla Diner Opens in West Hollywood: Where the Future Meets Classic American Dining (미래가 도착했다: 테슬라 다이너가 보여준 25년 LA 엔터 테크의 현재)
테슬라 다이너 개장: 웨스트 할리우드에 상륙한 미래
충전소·레스토랑·드라이브인이 만난 새로운 엔터테인먼트 기술의 실험장
팁 없는 레스토랑 '테슬라 다이너'
LA는 언제나 미래를 먼저 보여주는 도시다.
할리우드가 영화로 상상했던 미래가 실리콘밸리의 기술로 현실이 되고, 그것이 다시 LA의 독특한 문화와 만나 새로운 경험을 만들어낸다. 바로 엔터테인먼트 테크가 현실화되는 허브가 LA인 셈이다.
7월 21일. 또 하나의 엔터테크 공간이 신설됐다. 웨스트 할리우드에 문을 연 테슬라 다이너가 바로 그 곳이다.
이곳은 단순한 레스토랑도, 전기차 충전소도 아니다. '테슬라 슈퍼팬 공간(Tesla Superfan Space)'이라고 불러야 할 완전히 새로운 개념의 장소다. 1950년대 아메리칸 다이너의 향수와 2025년의 첨단 기술이 충돌하며 만들어낸 테슬라 신도들을 위한 성지 같은 공간이다.

세계 최대 규모의 도심형 슈퍼차저 80개, 66피트 LED 메가스크린 2개, 휴머노이드 로봇이 서빙하는 팝콘 스탠드까지. 일론 머스크(Elon Musk)는 단순히 전기차를 충전하는 '기다림'을 완전한 '경험'으로 바꿔놓았다. LA타임스는 이를 "자동차 쇼인가, 레스토랑 개장인가?"라고 표현했다.
하지만 이것이 LA다운 지점은 따로 있다. 개장 첫날부터 몰려든 천 명의 고객들과 함께 나타난 시위자들, 사이버트럭 모양 박스에 담긴 햄버거를 먹으며 웃는 사람들과 "억만장자가 아닌 노동자가 권력을 가져야 한다"고 외치는 목소리들. 혁신과 논란, 열광과 저항이 한 블록 안에서 동시에 벌어지는 이 풍경이야말로 LA가 기술을 받아들이는 방식이다.
Tesla Diner Opens in West Hollywood: Where the Future Meets Classic American Dining
The intersection of charging stations, restaurants, and drive-in entertainment creates a new experimental space for entertainment technology
Los Angeles has always been a city that shows us the future first. Hollywood's cinematic visions of tomorrow become reality through Silicon Valley's technology, which then meets LA's unique culture to create entirely new experiences. This is precisely how LA serves as the hub where entertainment tech becomes reality.
On July 21st, another entertainment tech space was born. The Tesla Diner that opened in West Hollywood represents exactly this kind of space.
This isn't simply a restaurant or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It should be called a "Tesla Superfan Space" – a completely new concept that merges 1950s American diner nostalgia with 2025's cutting-edge technology, creating a sacred space for Tesla devotees.
The World's Largest Urban Supercharger Hub Meets Hollywood Spectacle
Featuring 80 of the world's largest urban Superchargers, two 66-foot LED mega screens, and even a popcorn stand served by humanoid robots, Elon Musk has transformed the simple act of waiting to charge an electric vehicle into a complete "experience." The LA Times described it as asking: "Is this a car show or a restaurant opening?"
But what makes this uniquely LA is something else entirely. From opening day, a thousand customers flocked to the location alongside protesters. People laughing while eating hamburgers from Cybertruck-shaped boxes mixed with voices shouting "Workers, not billionaires, should have power!" This scene of innovation and controversy, enthusiasm and resistance all happening within one city block perfectly captures how LA embraces technology.
새벽부터 시작된 테슬라 순례
7월 21일 월요일 새벽, 웨스트 할리우드 산타모니카 블러바드 7001번지는 이미 축제 분위기였다. LA타임스 보도에 따르면, 개장을 기다리는 사람들이 새벽부터 줄을 서기 시작했고, 사이버트럭과 테슬라 차량들이 블록을 둘러쌌다. 보라색 글리터로 치장된 차량, 반짝이는 폴카닷 무늬 차량, 머스크가 사랑하는 암호화폐 밈 강아지 도지(Doge)의 얼굴이 붙어있는 차량까지. 차량들 자체가 하나의 아트 갤러리였다.
일론 머스크 특유의 밈 감각으로 오후 4시 20분에 문을 연 이 레스토랑은 단순한 식당 오픈이 아니라 테슬라 슈퍼팬들의 성지 순례 같았다. LA타임스는 "사이버트럭과 테슬라들이 주차장으로 몰려들어 블록 주변에 줄을 섰다"고 보도했다.

약 9,300평방피트 규모의 이 2층 건물은 레트로 모던과 미래주의가 만난 독특한 공간이다. LA타임스가 "디즈니의 토모로우랜드에서 가져온 듯한 공간에서 In-N-Out의 냄새가 난다"고 묘사한 이곳에서, 셰프 에릭 그린스팬(Eric Greenspan)은 주방 뒤에서 "에픽 베이컨", 참치 멜트, 그릴드 치즈, 계란 샌드위치를 외쳤다. 대부분의 음식이 사이버트럭 모양 종이 박스에 담겨 나오는데, LA타임스는 "일부 고객들이 이를 모자처럼 쓰기도 했다"고 전했다.
운영진 빌 차이트(Bill Chait)에 따르면 개장 첫날만 최소 천 명의 고객이 몰렸다. 일부는 수 시간을 여행해 와서 새벽 일찍부터 거의 예고 없이 문이 열릴 때까지 기다렸다. 샌디에이고에서 새벽 4시에 출발해 온 테슬라 오너 네이선 후버(Nathan Hoover)는 LA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푸드 서비스업에 종사하는 입장에서 혁신을 보는 것은 항상 좋다. 인상적이었고 기다릴 만한 가치가 있었다"고 말했다.
메뉴 (한글) | 메뉴 (영어) | 가격(USD) |
---|---|---|
테슬라 버거 | Tesla Burger | $13.5 |
핫도그 | Hot Dog | $13 |
다이너 클럽 샌드위치 | Diner Club Sandwich | $15 |
참치 멜트 | Tuna Melt | $14 |
치킨&와플 | Fried Chicken & Waffles | $13.5~15 |
그릴드 치즈 | Grilled Cheese | $9 |
에그 샌드위치 | Egg Sandwich | $12 |
아보카도 토스트 | Avocado Toast | $11 |
그릭 요거트 파르페 | Greek Yogurt Parfait | $9 |
브렉퍼스트 타코 | Breakfast Tacos | $11 |
비스킷 & 레드 그레이비 | Biscuits & Red Gravy | $15 |
시나몬 롤 | House-Baked Cinnamon Roll | $7 |
감자튀김 | Fries | $4 |
해시브라운 바이트 | Hash Brown Bites | $8 |
와규 비프 칠리컵 | Wagyu Beef Chili Cup | $8 |
버터밀크 와플 | Buttermilk Waffle | $5 |
마켓 샐러드 | Market Salad | $10 |
에픽 베이컨 | Epic Bacon | $12 |
키즈 버거 | Kids Burger | $13 |
키즈 그릴드 치즈 | Kids Grilled Cheese | $13 |
치킨 텐더(키즈) | Chicken Tenders (Kids) | $13 |
소프트 아이스크림 | Soft Serve | $6 |
애플파이 a la mode | Slice of Pie à la Mode | $12 |
초코칩 쿠키 | Chocolate Chip Cookie | $5 |
탄산음료/아이스티/커피 등 | Fountain Drinks/Iced Tea/Coffee | $4~$6.5 |
유기농 draft 콤부차 | Organic Draft Kombucha | $8 |
셰이크 | Shake | $8 |
The Tesla Pilgrimage Begins at Dawn
Monday morning, July 21st, before dawn, 7001 Santa Monica Boulevard in West Hollywood was already in festival mode. According to LA Times reporting, people began lining up before sunrise to wait for the opening, with Cybertrucks and Tesla vehicles surrounding the block. Vehicles decorated with purple glitter, sparkling polka dot patterns, and even faces of Doge – Musk's beloved cryptocurrency meme dog – turned the parking area into an art gallery.
Opening at 4:20 PM with Musk's characteristic meme sensibility, this restaurant launch felt less like a simple restaurant opening and more like a pilgrimage site for Tesla superfans. The LA Times reported that "Cybertrucks and Teslas flooded into the parking lot and lined up around the block."
A 9,300-Square-Foot Fusion of Retro Modern and Futurism
This two-story, approximately 9,300-square-foot building represents a unique space where retro modern meets futurism. In what the LA Times described as "a space that looks like it was borrowed from Disney's Tomorrowland but smells like In-N-Out," Chef Eric Greenspan called out orders from behind the kitchen for "Epic Bacon," tuna melts, grilled cheese, and egg sandwiches. Most food comes in Cybertruck-shaped paper boxes, with the LA Times noting that "some customers wore them like hats."
According to operator Bill Chait, at least a thousand customers showed up on opening day alone. Some traveled for hours and waited from early dawn until the doors opened with almost no advance notice. Nathan Hoover, a Tesla owner who left San Diego at 4 AM, told the LA Times: "Being in the food service industry, it's always good to see innovation. It was impressive and worth the wait."
세계 최대 도심 슈퍼차저(Charger)와 완전 전기 주방
테슬라 다이너의 핵심은 80개의 V4 슈퍼차저를 갖춘 세계 최대 규모의 도심형 충전 시설이다. 테슬라뿐만 아니라 NACS(North American Charging Standard) 지원 타사 전기차도 충전할 수 있다. 차이트는 LA타임스에 "주차장이 어떤 전기차와도 호환되는 80개의 슈퍼차저로 구비되어 있다"고 설명했다.
더 인상적인 것은 레스토랑 자체가 완전 전기화되어 있다는 점이다. LA타임스는 "다이너가 프라이어부터 그리들까지 완전히 전기로 운영된다(가스 스토브 없음)"고 보도했다. 이는 단순한 친환경 마케팅이 아니라 테슬라의 전체적인 비전과 일치하는 선택이다. 바 한쪽에는 테슬라의 미션 스테이트먼트가 적혀있다: "지속 가능한 에너지로의 세계적 전환 가속화."
World's Largest Urban Supercharger Network with Fully Electric Kitchen
The core of Tesla Diner is its 80 V4 Superchargers, making it the world's largest urban charging facility. It can charge not only Teslas but also other electric vehicles supporting NACS (North American Charging Standard). Chait explained to the LA Times that "the parking lot is equipped with 80 Superchargers compatible with any electric vehicle."
More impressive is that the restaurant itself is completely electrified. The LA Times reported that "the diner runs entirely on electricity from fryers to griddles (no gas stoves)." This isn't just environmental marketing but a choice consistent with Tesla's overall vision. On one side of the bar, Tesla's mission statement is displayed: "Accelerating the world's transition to sustainable energy."
테크놀로지와 음식의 완벽한 융합 '드 테크'
이 다이너의 진짜 혁신은 기술 통합에 있다. 테슬라 차량 소유자들은 차량 터치스크린의 '테슬라 다이너 앱'을 통해 24시간 전까지 미리 주문할 수 있다. 더 놀라운 것은 새로운 '지오펜스(geofence)' 시스템이다. 차이트는 LA타임스에 "새로운 지오펜스 시스템이 테슬라가 설정된 경계에 진입하는 것을 추적해 도착 15-20분 전에 주방에 주문 준비를 알린다"고 설명했다.

주문한 음식은 차량 옆까지 배달되고, 66피트 LED 메가스크린에서 상영되는 영화를 차 안에서 스트리밍으로 시청할 수 있다. 이는 전통적인 드라이브인의 개념을 21세기식으로 재해석한 것이다.
차이트는 음식과 기술의 통합을 "터무니없다(outrageous)"고 표현했다. LA타임스에 따르면, 손님들은 "식당에서 식사하거나 카홉에서 영감을 받은 배달을 선택할 수 있다. 주차장의 두 개 대형 스크린에 투영된 영화를 차량 내에서도 시청할 수 있다"고 한다.
메뉴에는 "이스터 에그"가 숨겨져 있는데, 차이트는 LA타임스에 "일부는 주문할 때 특정 버튼을 얼마나 오래 누르는지와 관련이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Perfect Fusion of Technology and Food: 'Food Tech'
The diner's real innovation lies in its technology integration. Tesla vehicle owners can pre-order up to 24 hours in advance through the 'Tesla Diner App' on their vehicle's touchscreen. Even more remarkable is the new 'geofence' system. Chait explained to the LA Times that "a new geofence system tracks when a Tesla enters the set boundaries and alerts the kitchen to prepare orders 15-20 minutes before arrival."
Ordered food is delivered directly to vehicles, and customers can stream movies showing on the 66-foot LED mega screens from inside their cars. This represents a 21st-century reinterpretation of the traditional drive-in concept.
Chait described the integration of food and technology as "outrageous." According to the LA Times, guests can "choose to dine in the restaurant or opt for carhop-inspired delivery. Movies projected on two large screens in the parking lot can also be viewed from inside vehicles."
The menu includes hidden "Easter eggs," with Chait telling the LA Times that "some may or may not be related to how long you hold certain buttons when ordering."
로봇이 서빙하는 미래 레스토랑
2층 루프탑 '스카이패드'로 올라가는 경험 자체가 하나의 여행이다. LA타임스는 "360도 루프탑이 박물관 같은 디스플레이와 함께 모든 흰색 나선형 계단으로 접근 가능하며, 유리 케이스에 테슬라의 휴머노이드 옵티머스 로봇들이 전시되어 있다"고 보도했다.
바에는 다이너 샵이 있어 40달러짜리 테슬라 다이너 티셔츠와 175달러짜리 공중부양 사이버트럭 모델에 고객들이 몰려들었다고 LA타임스가 전했다. 신제품이 지속적으로 출시될 예정이어서 상품 선택도 계속 바뀐다고 한다.
그 옆에는 옵티머스 로봇이 운영하는 팝콘 스탠드가 있어, LA타임스는 "팬들이 로봇이 천천히 종이 박스에 팝콘을 채우고 고객들에게 건네주며 손을 흔들고 평화 사인을 보내는 것을 보며 웃었다"고 묘사했다. 이는 미래 레스토랑의 모습을 미리 보여주는 시연이자, 고객들에게는 독특한 엔터테인먼트 경험이었다.
개장일에는 소문이 무성했다고 LA타임스가 보도했다. 암호화폐 결제가 가능한가? 차이트는 적어도 현재로서는 아니라고 답했다. 로봇이 음식을 배달할까? 아니지만, 팝콘을 서빙하는 로봇은 있었다. 미래는 점진적으로 도입되고 있었다.

Robots Serving the Future Restaurant
The experience of going up to the second-floor rooftop 'Skypad' is a journey in itself. The LA Times reported that "the 360-degree rooftop is accessible by an all-white spiral staircase with museum-like displays, with Tesla's humanoid Optimus robots displayed in glass cases."
The bar features a diner shop where customers flocked to $40 Tesla Diner t-shirts and $175 levitating Cybertruck models, according to the LA Times. New products are continuously being released, so merchandise selection constantly changes.
Next to it sits a popcorn stand operated by an Optimus robot, with the LA Times describing how "fans laughed as they watched the robot slowly fill paper boxes with popcorn and hand them to customers while waving and making peace signs." This served as both a demonstration of future restaurant possibilities and a unique entertainment experience for customers.
On opening day, rumors were rampant, the LA Times reported. Cryptocurrency payments available? Chait said not currently, at least. Would robots deliver food? No, but there was a robot serving popcorn. The future was being introduced gradually.
지역 생산자와의 혁신적 연대
흥미롭게도 테슬라는 지역 경제와의 연대도 강조했다. LA타임스에 따르면, "그린스팬과 차이트는 테슬라 한 번 충전으로 갈 수 있는 거리 내에서 찾을 수 있는 공급업체를 사용해 메뉴를 구성하려고 했다"고 한다. 이는 전기차의 주행 거리가 실제 비즈니스 모델에 영향을 미치는 흥미로운 사례다.
"버뱅크의 RC 프로비전스가 다이너의 와규 칠리를 만들고, 콜튼의 치노 밸리 랜처스가 달걀을 제공하며, 부에나 파크의 브랜트 비프가 버거 패티를 공급한다. 두 블록 떨어진 타르틴이 빵을 배달한다"고 LA타임스가 보도했다. 이는 지속 가능성에 대한 테슬라의 철학이 음식 공급망에까지 확장된 것이다.

Innovative Partnership with Local Producers
Interestingly, Tesla emphasized partnership with the local economy. According to the LA Times, "Greenspan and Chait tried to compose the menu using suppliers that could be found within the distance of one Tesla charge." This represents a fascinating case where electric vehicle range actually influences business models.
"RC Provisions in Burbank makes the diner's wagyu chili, Chino Valley Ranchers in Colton provides eggs, and Brandt Beef in Buena Park supplies burger patties. Tartine, two blocks away, delivers bread," the LA Times reported. This shows Tesla's sustainability philosophy extending into the food supply chain.
레트로와 미래가 만난 메뉴
그린스팬은 유사 레트로 다이너를 구상했다고 LA타임스에 말했다. "드래프트에서 나오는 '차지드 소다'는 인산염을 연상시키도록 만들어졌고, 아침 식사는 하루 종일 제공된다. 핫도그, 클럽 샌드위치, 그레이비를 곁들인 비스킷, 탤로 감자튀김, 시나몬 번, 바닐라 아이스크림을 곁들인 애플파이 조각이 있다"고 보도됐다.
LA타임스는 "테슬라의 브랜딩과 때로는 머스크의 밈 중심 유머가 음식에 스며들어 있다"고 전했다. "와플에는 테슬라의 번개 볼트가 찍혀 나오고, 흰 종이 상자에는 메이플 글레이즈를 바른 '에픽 베이컨' 4조각이 들어있다"고 묘사했다.
특히 인상적인 것은 테슬라 엔지니어들이 자체 개발한 스매시버거 프레스다. LA타임스에 따르면 "테슬라 엔지니어들이 자체적으로 스매시버거 프레스를 고안했는데, 이는 캐러멜라이즈된 양파, 잘게 썬 양상추, 피클, 강력한 '일렉트릭 소스', 그린스팬의 아메리칸 치즈가 토핑된 버거의 바삭한 가장자리와 육즙이 풍부한 중심부를 만들어낸다"고 한다. 자동차 제조 기술이 요리 도구 개발에까지 적용된 것이다.
Menu Where Retro Meets Future
Greenspan told the LA Times he envisioned a retro-adjacent diner. "Draft 'Charged Sodas' are designed to evoke phosphates, and breakfast is served all day. There are hot dogs, club sandwiches, biscuits with gravy, taro fries, cinnamon buns, and slices of apple pie with vanilla ice cream."
The LA Times reported that "Tesla's branding and sometimes Musk's meme-centric humor permeates the food." "Waffles come imprinted with Tesla's lightning bolt, and white paper boxes contain four strips of maple-glazed 'Epic Bacon.'"
Particularly impressive is the smash burger press developed by Tesla engineers themselves. According to the LA Times, "Tesla engineers devised their own smash burger press, creating burgers with crispy edges and juicy centers topped with caramelized onions, shredded lettuce, pickles, powerful 'Electric Sauce,' and Greenspan's American cheese." Automo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applied to cooking tool development
직원 처우의 혁신: 팁 없는 레스토랑
직원들에 대한 접근도 혁신적이다. LA타임스는 "다이너는 직원들의 팁 받기를 허용하지 않는다. 대신 차이트에 따르면 테슬라가 20% 팁 풀을 부담해 전면과 후면 하우스 직원 모두에게 분배한다"고 보도했다. 이는 미국 레스토랑 업계의 팁 문화에 대한 대안적 접근법으로, 직원들에게 더 안정적인 수입을 보장한다.

Innovation in Employee Treatment: No-Tip Restaurant
The approach to staff is also innovative. The LA Times reported that "the diner doesn't allow staff to accept tips. Instead, according to Chait, Tesla covers a 20% tip pool distributed to both front and back-of-house staff." This represents an alternative approach to American restaurant industry tip culture, ensuring more stable income for employees.
산업 베테랑들이 만든 미래
이런 혁신 뒤에는 업계 베테랑들이 있다. LA타임스에 따르면 "다이너의 중심에는 두 명의 업계 베테랑이 있다. 타르틴, 미안, 팔로마, 퍼스트본 등의 이력을 가진 레스토랑 경영자 차이트와, 전 파운드리, 패티나 셰프이자 뉴 스쿨 아메리칸 치즈의 창시자이며 미스터비스트 버거의 요리 책임자인 그린스팬"이다.
차이트는 LA타임스에 "회사가 차이트와 그린스팬에게 테슬라 브랜드 내에서 다이너를 운영할 수 있는 거의 완전한 자유재량권을 주었다"고 말했다. 2018년부터 계획된 이 다이너는 "테슬라의 수석 자동차 디자이너 프란츠 폰 홀츠하우젠(Franz von Holzhausen)이 레스토랑 디자인의 대부분을 감독하고 차이트, 그린스팬과 상의해 머스크의 비전을 실현했다"고 LA타임스가 보도했다.
차이트는 머스크를 "큰 그림을 그리는 사람(big thinker)"이라고 평가했다고 LA타임스가 전했다. "장기간 테슬라 팬이자 투자자이며 영화 촬영기사인 제임스 밀러(James Miller)는 월요일 오전 6시 30분에 다이너에 도착했는데, 그를 미켈란젤로나 '스테로이드를 맞은 스티브 잡스'에 비유했다"고 보도됐다.
하지만 이런 매끄러운 운영에도 불구하고, LA타임스는 "때로는 레스토랑 경영자들이 나머지 세계와 마찬가지로 소셜 미디어 폭발을 통해 소식을 듣는다"고 전했다. 차이트는 "보통은 그가 포스팅하기 전에 듣지만, 밤중에 포스팅하는 것들도 있다. 선언문들이 나온다"고 LA타임스에 말했다. 이는 머스크의 즉흥적인 소셜 미디어 활용이 실제 비즈니스 운영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준다.
Industry Veterans Creating the Future
Behind this innovation are industry veterans. According to the LA Times, "at the diner's heart are two industry veterans: restaurant operator Chait, with credits including Tartine, Mian, Paloma, and Firstborn, and Greenspan, former Foundry and Patina chef, founder of New School American Cheese, and culinary director for MrBeast Burger."
Chait told the LA Times that "the company gave Chait and Greenspan almost complete discretion to operate the diner within the Tesla brand." This diner, planned since 2018, had "Tesla's lead car designer Franz von Holzhausen oversee most of the restaurant design, consulting with Chait and Greenspan to realize Musk's vision," the LA Times reported.
Chait described Musk as a "big thinker" to the LA Times. "James Miller, a long-time Tesla fan, investor, and cinematographer who arrived at the diner at 6:30 AM Monday, compared him to Michelangelo or 'Steve Jobs on steroids,'" according to reporting.
Despite this smooth operation, the LA Times noted that "sometimes restaurant operators learn through social media explosions like the rest of the world." Chait told the LA Times: "Usually I hear before he posts, but there are things he posts in the middle of the night. Manifestos come out." This shows how Musk's spontaneous social media use affects actual business operations.
복잡한 개발 과정
LA타임스에 따르면, "차이트는 수년 전 다이너 제안서를 제출했고, 테슬라가 다른 운영팀을 선택했다가 결별한 후 차이트가 다시 등장했다"고 한다. 셰프를 선택할 때 그는 누구에게 전화해야 할지 알고 있었다. 그와 그린스팬은 이미 라 브레아에 10월 3일 오픈 예정인 현대식 유대인 델리 '미시(Mish)' 개발에 착수한 상태였다.
차이트는 LA타임스에 "그는 아메리칸 셰프이고, 이런 음식을 정말 잘 알고 있으며, 시스템을 이해한다"고 그린스팬에 대해 설명했다. 이는 테슬라 다이너가 단순한 마케팅 스턴트가 아니라, 실제로 성공 가능한 레스토랑 비즈니스로 설계되었음을 보여준다.
Complex Development Process
According to the LA Times, "Chait submitted a diner proposal years ago, and after Tesla chose another operating team and then parted ways, Chait emerged again." When choosing a chef, he knew exactly who to call. He and Greenspan were already developing 'Mish,' a modern Jewish deli set to open October 3rd on La Brea.
Chait explained Greenspan to the LA Times: "He's an American chef, really knows this food well, and understands systems." This shows that Tesla Diner was designed not as a simple marketing stunt but as an actually viable restaurant business.
논란과 저항: LA만의 복잡한 반응
하지만 모든 것이 순탄하지는 않았다고 LA타임스가 보도했다. "모든 사람이 플러그를 꽂고 식사하러 온 것은 아니었다. 산타모니카 블러바드 입구 밖에서는 한 남성이 '억만장자가 아닌 노동자가 권력을 가져야 한다!'고 적힌 팻말을 들고 블록을 걸어다녔다."
동네 주민 찰스 해폴드(Charles Happold)는 첫 번째 시위자였지만 마지막이 아닐 것이라고 약속했다고 LA타임스가 전했다. 그는 "액션 네트워크와 다양한 테슬라 타도 조직들에 소식을 전하고 있어, 앞으로 우리는 대규모로 이곳에 나타날 것"이라며 "우리는 그가 이곳을 팔고 떠나도록 모든 수단을 동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LA타임스에 따르면, 해폴드는 "주말마다 테슬라 딜러십을 정기적으로 시위하며, 머스크를 트럼프 대통령과 함께 민주주의에 대한 위협으로 간주한다"고 한다. "해폴드는 또한 머스크와 그의 트랜스젠더 딸 사이의 소원함을 나쁜 인격의 증거로 지적했다"고 보도됐다.
"해폴드가 보도를 걸으며 지나가는 차들로부터 때때로 지지의 경적을 받았다"고 LA타임스가 전했다. "손님들이 레스토랑에서 나올 때 그는 왜 머스크를 지지하는지 물으며 그들을 막아섰는데, 많은 이들이 억만장자의 개입을 모른다고 응답했다. '그들은 바보인 척하고 있다'고 그는 말했다."
해폴드는 LA타임스에 "로스앤젤레스는 머스크에게 수용적인 도시가 아니다. 하지만 테슬라들이 다이너 주차장에 들어가기 위해 블록을 따라 줄을 섰다"고 말했다. "오늘 이 비밀 그랜드 오픈에서 확실한 존재감이 있도록 하여, 이것이 로스앤젤레스에서 용인되지 않을 것임을 사람들이 이해하도록 하고 싶었다. 그가 팔지 않는 한 우리는 이 레스토랑을 원하지 않는다. 독특한 장소이고 그것은 괜찮지만, 머스크가 전혀 관여하지 않기를 원한다"고 말했다.
Controversy and Resistance: LA's Complex Response
But not everything went smoothly, the LA Times reported. "Not everyone came to plug in and dine. Outside the Santa Monica Boulevard entrance, a man walked the block carrying a sign reading 'Workers, not billionaires, should have power!'"
Neighborhood resident Charles Happold was the first protester but promised he wouldn't be the last, the LA Times reported. He said: "I'm getting the word out to Action Network and various anti-Tesla organizations, so we're going to show up here en masse in the future" and "We're going to do everything we can to get him to sell this place and leave."
According to the LA Times, Happold "regularly protests Tesla dealerships on weekends and views Musk as a threat to democracy alongside President Trump." "Happold also pointed to the estrangement between Musk and his transgender daughter as evidence of bad character."
"Happold occasionally received supportive honks from passing cars as he walked the sidewalk," the LA Times reported. "As customers emerged from the restaurant, he stopped them to ask why they supported Musk, with many responding that they were unaware of the billionaire's involvement. 'They're playing dumb,' he said."
Happold told the LA Times: "Los Angeles is not a receptive city to Musk. But Teslas lined up along the block to enter the diner parking lot." "I wanted to make sure there was a definite presence at this secret grand opening today, so people understand this won't be tolerated in Los Angeles. We don't want this restaurant unless he sells it. It's a unique place and that's fine, but we want Musk to have no involvement whatsoever."
전 세계 확장을 향한 야심
머스크는 X(구 트위터)에 "우리의 레트로 퓨처리스틱 다이너가 잘 되면, @Tesla는 전 세계 주요 도시와 장거리 노선의 슈퍼차저 사이트에 이런 곳들을 설립할 것"이라며 "슈퍼차징하는 동안 좋은 음식, 좋은 분위기, 엔터테인먼트의 섬이 될 것"이라고 포스팅했다고 LA타임스가 보도했다.
LA타임스는 "성공한다면 소유주 일론 머스크가 자신의 소셜 미디어 플랫폼 X에 포스팅한 대로 LA 테슬라 다이너가 많은 것 중 첫 번째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이는 테슬라가 단순한 자동차 회사를 넘어 생활 전반의 경험을 제공하는 기업으로 확장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다.
테슬라 슈퍼팬 공간의 새로운 패러다임
테슬라 다이너는 '테슬라 슈퍼팬 공간'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제시한다. 이는 단순한 매장이나 서비스 센터를 넘어서, 브랜드에 대한 극도의 충성심을 가진 고객들을 위한 전용 성지 같은 공간이다. 전통적으로 엔터테인먼트는 영화관, 레스토랑, 쇼핑센터 등이 각각 별도의 공간에서 제공되었다. 하지만 테슬라는 이 모든 것을 전기차 충전이라는 필수적 행위와 결합해 하나의 통합된 '슈퍼팬 경험'으로 만들어냈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일반 고객보다는 테슬라 브랜드에 대한 강한 애착을 가진 '슈퍼팬'들을 타겟으로 한다는 것이다. LA타임스가 보도한 바와 같이, 장기간 테슬라 팬이자 투자자인 제임스 밀러가 새벽 6시 30분에 도착해서 머스크를 "스테로이드를 맞은 스티브 잡스"에 비유하는 모습이 이를 잘 보여준다.
이는 한국의 복합문화공간과도 유사하지만, 특정 브랜드의 슈퍼팬들을 위한 전용 공간이라는 점에서 더 특화되어 있다. 고객들은 단순히 차를 충전하는 것이 아니라, 그 시간을 활용해 같은 브랜드를 사랑하는 사람들과 함께 식사, 쇼핑, 영화 관람을 동시에 즐길 수 있다.
Ambitious Plans for Global Expansion
Musk posted on X (formerly Twitter): "If our retro futuristic diner does well, @Tesla will establish these at Supercharger sites in major cities and along long-distance routes worldwide," adding "They'll be islands of good food, good vibes & entertainment while Supercharging," the LA Times reported.
The LA Times stated: "If successful, the LA Tesla Diner will be the first of many, as owner Elon Musk posted on his social media platform X." This shows Tesla expanding beyond a simple car company to provide comprehensive life experiences.
New Paradigm of Tesla Superfan Spaces
Tesla Diner presents a new concept of 'Tesla Superfan Space.' This goes beyond simple stores or service centers to create dedicated sanctuary-like spaces for customers with extreme brand loyalty. Traditionally, entertainment was provided separately in movie theaters, restaurants, shopping centers, etc. But Tesla has combined all of this with the essential act of electric vehicle charging to create one integrated 'superfan experience.'
Notable here is targeting 'superfans' with strong brand attachment rather than general customers. As the LA Times reported, long-time Tesla fan and investor James Miller arriving at 6:30 AM and comparing Musk to "Steve Jobs on steroids" perfectly illustrates this.
While similar to Korea's complex cultural spaces, it's more specialized as a dedicated space for specific brand superfans. Customers aren't simply charging cars but using that time to enjoy dining, shopping, and movie watching together with others who love the same brand.
LA라는 공간의 의미
LA는 이런 실험이 가능한 독특한 도시다. 자동차 문화가 발달한 동시에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중심지이며, 새로운 기술에 대한 개방성과 동시에 사회적 이슈에 대한 저항 문화도 강하다. 테슬라 다이너의 성공과 논란은 모두 이런 LA의 특성을 반영한다.
특히 웨스트 할리우드라는 위치도 의미가 있다. 이곳은 LGBTQ+ 친화적인 지역이면서 동시에 부유한 테크 업계 종사자들이 많이 사는 곳이다. 머스크에 대한 정치적 논란과 지역 주민들의 복잡한 반응이 교차하는 지점이기도 하다.
LA타임스는 이런 복잡성을 잘 포착했다. "로스앤젤레스는 머스크에게 수용적인 도시가 아니라고 해폴드는 말했다. 하지만 테슬라들이 다이너 주차장에 들어가기 위해 블록을 따라 줄을 섰다."
한국에의 시사점
테슬라 다이너의 사례는 한국의 전기차 인프라 확충과 엔터테인먼트 산업에도 시사점을 준다. 단순히 충전소를 늘리는 것을 넘어, 충전 시간을 활용한 새로운 '슈퍼팬 공간' 비즈니스 모델을 고민해볼 필요가 있다.
한국의 휴게소 문화, K-팝과 결합한 엔터테인먼트 공간, 지역 특산품과 연계한 푸드 코트 등 한국만의 특색을 살린 전기차 복합 공간을 상상해볼 수 있다. 특히 한국의 발달한 IT 인프라와 콘텐츠 산업, 그리고 강력한 팬덤 문화를 활용한다면 테슬라 다이너보다 더 혁신적인 '슈퍼팬 공간' 모델도 가능할 것이다.
현대자동차, 삼성, LG 등 한국의 글로벌 브랜드들도 자신들만의 '슈퍼팬 공간'을 통해 브랜드 충성도를 극대화하는 전략을 고려해볼 수 있다. 특히 K-팝 아이돌의 팬클럽 문화에서 볼 수 있듯이, 한국은 이미 '슈퍼팬' 문화가 잘 발달한 사회다.

The Meaning of LA as a Space
LA is a unique city where such experiments are possible. It's simultaneously developed in car culture and the center of the entertainment industry, with openness to new technology alongside strong resistance culture around social issues. Both Tesla Diner's success and controversy reflect these LA characteristics.
The West Hollywood location is particularly meaningful. It's an LGBTQ+-friendly area while also home to many wealthy tech industry workers. It's also where political controversy around Musk intersects with complex community reactions.
The LA Times captured this complexity well: "Los Angeles is not a receptive city to Musk, Happold said. But Teslas lined up along the block to enter the diner parking lot."
Implications for Korea
Tesla Diner's case offers implications for Korea's electric vehicle infrastructure expansion and entertainment industry. Beyond simply increasing charging stations, there's need to consider new 'superfan space' business models utilizing charging time.
We can imagine electric vehicle complex spaces with Korean characteristics: rest stop culture, entertainment spaces combined with K-pop, food courts linked with local specialties. Particularly utilizing Korea's advanced IT infrastructure, content industry, and strong fandom culture could enable even more innovative 'superfan space' models than Tesla Diner.
Korean global brands like Hyundai, Samsung, and LG could also consider strategies to maximize brand loyalty through their own 'superfan spaces.' Especially given Korea's well-developed 'superfan' culture as seen in K-pop idol fan clubs.
결론: 미래는 불확실성 위에 선 무대, 그리고 변화의 진앙지
테슬라 다이너의 LA 개장은 한 도시의 발전을 넘어, 전 세계가 맞이할 미래 문명의 단면을 보여주는 중요한 신호탄이다. 엔터테인먼트의 심장과 기술 혁신의 수도가 만나는 이곳, LA는 단순한 트렌드가 아니라 근본적인 패러다임의 이동, 즉 일상과 테크놀로지, 소비와 경험, 평범함과 경이로움이 맞부딪히는 새로운 실험실이 되고 있다.
단순한 호기심이나 유행이 아닌, 수용과 거부의 경계가 이곳을 감싼다. 새벽 공기를 가르며 길게 늘어선 슈퍼팬들은 ‘혁신’이라는 키워드에 스스로를 맡긴 사람들이다. 이들은 단순한 소비자가 아니라, 브랜드의 철학과 미래의 청사진을 자기 삶에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는 존재다. 이들이 받는 사이버트럭 모양의 햄버거 박스, 센서와 인공지능이 섞여있는 로봇의 팝콘 서비스는 단순히 ‘최첨단’이라는 수식어를 넘어서, ‘경험’ 그 자체가 상품이 되는 시대를 상징한다.
하지만 그 한편에는, 같은 공간에서 이 풍경을 불편하게 바라보며 거리를 메우는 시위자들이 있다. “억만장자 타도”, “혁신이 아닌 착취”라는 구호는 첨예한 사회적 갈등과 테크노로지에 따른 분열, 그리고 미래에 대한 불안과 회의의 목소리를 상징한다. 이 충돌은 우연이 아니라 필연이다. 기술이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는 만큼, 불평등과 소외, 개인의 주체성이라는 오래된 논쟁이 한층 더 날카롭게 표면 위로 올라온다.
미래라는 단어의 이중성―놀라움과 불편함, 희망과 위협―은 LA 한복판의 테슬라 다이너에서 가장 진하게 드러난다. 여기서 벌어지는 모든 일들은 아직 확실한 성공도, 실패도 아니다. ‘누구를 위한 미래인가’라는 질문에 명확한 답을 내리기는 어렵다. 다만, 한 가지 분명한 것은 있다. 미래는 더 이상 소극적 소비를 허용하지 않는다. 단순한 고객이 아닌, 세계관을 공유하고 정체성을 경험하는 ‘슈퍼팬’의 탄생, 그리고 그들이 모이는 무대가 필수적이 된다는 사실이다.

이제 미래는 가장 ‘이상하고’, 때때로 가장 ‘논란이 많은’ 곳에서 태어난다. 사이버트럭 박스에 담긴 햄버거를 한 입 베어물고, 인공지능 로봇의 팝콘을 받아드는 그 찰나―우리는 불현듯 ‘지금 이 순간이 바로 미래’임을 실감한다. 테슬라 다이너는 레스토랑이 아닌, 문화의 전환점, 감정의 실험실, 그리고 새로운 세상의 예고편이다.
그리고 이 실험의 방향과 결과가 아직은 명확하지 않다는 점―그 불확실성이야말로, 진정한 미래다운 모습이다. 여기, 우리가 마주한 LA의 작은 블록에서, 세계는 이미 변하고 있다.
Conclusion: The Future is Complex and Controversial
The LA Times' detailed coverage of Tesla Diner's opening perfectly showed how LA handles technology – not complete acceptance nor complete rejection, but the complex and dynamic appearance of a city where enthusiasm and skepticism coexist.
Tesla superfans lining up from dawn to receive robot-served popcorn and eat hamburgers from Cybertruck-shaped boxes, alongside protesters chanting "Down with billionaires" right in front of them. All of this happening within one city block represents LA in 2025.
The future is strange, surprising, and controversial. But what's certain is that it's being made more user-friendly, more integrated, and more experience-centered. At the center is a new concept of loyal customer base called 'superfans' beyond simple customers. And there's need for spaces where entertainment and tech can meet.
At least receiving hamburgers in Cybertruck-shaped boxes while humanoid robots hand over popcorn is definitely futuristic.
Tesla Diner isn't simply a restaurant but an experimental ground for future lifestyles and 'superfan culture.' The results of that experiment remain unknown. But what's certain is that everything happening here is showing us what the world we'll live in looks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