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ferring Silicon Valley Experience to Korean Startups"(조기환 페이스메이커스 부대표 "실리콘밸리 경험 한국 스타트업에 전수")
"실리콘밸리 근무 경험을 한국 스타트업에 전수한다"
글로벌 스타트업 멘토 프로그램을 만든 페이스메이커스 조기환 부대표
10월 젠엑시스, 법무법인 미션, 메디온테크 등과 함께 'K스타트업 네바다 진출 프로그램' 기획
삼성전자에서 시작해 실리콘밸리 글로벌 기업을 포함하여 20여 년간 쌓은 경험을 바탕으로 한국 스타트업 생태계에 새로운 멘토링 모델을 제시하고 있는 인물이 있다.
페이스메이커스(Pacemakers) 조기환 부대표가 기획하고 운영하는 GSMP(글로벌 스타트업 멘토 최고위 과정)는 4기에 걸쳐 100여 명의 전문 멘토를 배출했고, 올해 새롭게 시작하는 K-Startup Nevada Bridge 프로그램은 한국 스타트업들의 미국 진출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조 부대표와 줌 인터뷰를 진행했다.
"Transferring Silicon Valley Experience to Korean Startups"
Pacemakers Deputy CEO Mathew Cho Draws Attention with Global Startup Mentor Program
There is an individual presenting a new mentoring model to Korea's startup ecosystem based on 20 years of experience accumulated from Samsung Electronics to global Silicon Valley companies.
The GSMP (Global Startup Mentor Program) planned and operated by Pacemakers Deputy CEO Cho has produced over 100 professional mentors across four cohorts, and the newly launched K-Startup Nevada Bridge program this year is presenting new possibilities for Korean startups' expansion into the United States. We conducted a Zoom interview with Mr. Cho.

삼성전자에서 실리콘밸리까지, 글로벌 무대서 쌓은 다양한 경험
조기환 부대표의 커리어는 한국 대기업에서 글로벌 테크 기업까지 다양한 무대를 아우른다. 성균관대학교 산업공학과를 졸업한 후 1997년 삼성전자 네트워크 사업부에 입사하였으나 IMF 시절 부서 통폐합 이후 영상디스플레이 사업부로 옮겨 DVD/블루레이 시스템 SW 개발을 담당하며 글로벌 협업의 첫 경험을 쌓았다.
"삼성에서 DVD 플레이어, 블루레이 등을 개발할 때 미국의 첨단 시스템 반도체 회사들의 메인 칩셋과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를 활용하여 제품을 생산했기 때문에 2000년대 초반부터 실리콘밸리 출장을 자주 다니며 협업 경험을 쌓을 수 있었습니다."
2002년부터는 본격적으로 실리콘밸리로 활동 무대를 옮겼다. Zoran에서 Staff Engineer로 시작해 고객 개발 PM과 반도체 기술지원 업무를 담당했고, 이후 Clearplay International(영국), Teleca(스웨덴), Cambridge Silicon Radio(영국), Qualcomm CDMA Korea 등 글로벌 ICT 기업을 거치며 엔지니어링부터 마케팅, 사업 개발까지 다양한 역할을 경험했다.

From Samsung Electronics to Silicon Valley: Diverse Experience Built on the Global Stage
Cho's career spans various stages from Korean conglomerates to global tech companies. After graduating from Sungkyunkwan University's Industrial Engineering department, he joined Samsung Electronics' Network Business Division in 1997. However, following departmental consolidation during the IMF crisis, he moved to the Visual Display Business Division where he was responsible for DVD/Blu-ray system SW development, gaining his first experience in global collaboration.
"When developing DVD players and Blu-ray at Samsung, we used main chipsets and application processors from advanced US system semiconductor companies to produce products, so from the early 2000s I was able to gain collaboration experience through frequent business trips to Silicon Valley."
From 2002, he began moving his activities to Silicon Valley in earnest.
Starting as a Staff Engineer at Zoran, he was responsible for customer development PM and semiconductor technical support, and later experienced various roles from engineering to marketing and business development at global ICT companies including Clearplay International (UK), Teleca (Sweden), Cambridge Silicon Radio (UK), and Qualcomm CDMA Korea.
특히 퀄컴(Qualcomm)에서는 IoT 솔루션 분야에서 LG전자, 삼성전자와 협업하며 음성인식 기반 스마트 스피커 프로젝트를 담당하는 등 기술과 비즈니스를 아우르는 업무를 수행했다.
자신이 개발한 제품이 글로벌 시장에서 성공하는 것을 직접 목격한 경험은 특별한 의미가 있었다고 회상했다.
"가장 기뻤던 순간은 제가 개발에 참여한 제품들이 베스트바이 등 현지 시장에서 판매되는 것을 보며 정말 희열을 느꼈고, 작은 힘이지만 세상을 바꿀 수 있다는 것을 경험했습니다."
Particularly at Qualcomm, he performed work encompassing both technology and business, including being responsible for voice recognition-based smart speaker projects while collaborating with LG Electronics and Samsung Electronics in the IoT solutions field.
He recalled that witnessing products he helped develop succeed in global markets was a particularly meaningful experience.
"The most joyful moment was when I felt real excitement seeing products I participated in developing being sold in local markets like Best Buy, and I experienced that even with small efforts, one can change the world."
스타트업 현실을 체험하며 멘토링의 필요성 절감
2018년부터는 스타트업 생태계에 본격적으로 발을 담그기 시작했다. 한국 NFC에서 이사로 핀테크 해외 사업을 총괄하고, VMS Solutions에서 스마트팩토리 솔루션 SaaS 마케팅을, 크리온에서는 CTO/이사로 글로벌 플랫폼 기획과 IR 업무를 담당하며 스타트업의 현실을 몸소 체험했다.
이러한 경험이 현재 스타트업 멘토링에 대한 그의 철학으로 이어졌다.
"스타트업을 경험하다 보니 대표님들이 혼자서 해야 할 일들이 많은데 사람과 시스템이 부족한 상황을 자주 목격했습니다. 경험이 풍부한 전문 인력들이 은퇴 후 퇴물로 취급받는 현실이 안타까워 이를 극복하기위해 보다 더 적극적으로 활동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하던 중 스타트업 멘토링의 가능성을 발견했습니다."
Experiencing Startup Reality and Feeling the Need for Mentoring
From 2018, he began seriously entering the startup ecosystem. He served as a director at Korea NFC overseeing fintech overseas business, handled smart factory solution SaaS marketing at VMS Solutions, and worked as CTO/Director at Kreon responsible for global platform planning and IR work, directly experiencing startup realities.
These experiences led to his current philosophy on startup mentoring.
"Experiencing startups, I frequently witnessed situations where CEOs had many tasks to handle alone but lacked people and systems. I felt sorry seeing experienced professionals being treated as obsolete after retirement, and while contemplating ways to be more actively involved to overcome this, I discovered the potential of startup mentoring."
페이스메이커스 합류, 글로벌 딥테크 액셀러레이터로서의 성과
2022년 조기환 부대표가 합류한 페이스메이커스는 2017년 김경락 대표가 창업한 글로벌 딥테크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터다. 김경락 대표는 삼성과 신한을 거쳐 패션 온라인 커머스 플랫폼인 W컨셉을 창업해 성공적인 엑싯을 경험한 시리얼 앙트러프러너로, 현재 한국초기투자액셀러레이터협회 부회장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김경락 대표는 저와 같은 학교 같은 과 동기동창입니다. 제가 나중에 합류하였지만 창업자 레벨의 보드 멤버로 소신있게 일할 수 있도록 아낌없는 지원을 해주고 있습니다."
페이스메이커스의 대표적인 투자 보육의 성공 사례는 제이치글로벌이다. 광촉매를 활용한 친환경 소재를 개발하는 이 회사는 인조잔디에 특수 소재를 섞어 온도를 낮추고 인장 강도를 높이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보통 인조잔디에서 슬라이딩할 때 화상을 입는 문제가 많이 제기되는데, 이를 방지하는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현재 현대건설과 MOU를 체결해 힐스테이트 모든 아파트 놀이터 등에 이 자재가 적용될 예정입니다."
이 회사는 15억 원 밸류에 페이스메이커스의 투자를 받아 현재 300억 원 밸류까지 성장했다. 또한 사우디아라비아의 사빅(SABIC)에서도 이 기술을 표준으로 채택하기 위한 작업을 진행하고 있어 글로벌 시장 진출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Joining Pacemakers: Achievements as a Global Deep-tech Accelerator
Pacemakers, which Mathew Cho joined in 2022, is a global deep-tech startup accelerator founded by CEO Kyungrak Kim in 2017. Kim is a serial entrepreneur who went through Samsung and Shinhan before founding and successfully exiting the fashion online commerce platform W Concept and currently serves as Vice Chairman of the Korea Early-stage Investment Accelerator Association.
"Kyungrak Kim is my classmate from the same school and department. Although I joined later, he provides unreserved support so I can work with conviction as a board member at the founder level."
Pacemakers' representative success story in investment and incubation is Jchi Global.
This company develops eco-friendly materials using photocatalysts and possesses technology that mixes special materials into artificial turf to lower temperature and increase tensile strength.
"There are often issues with burns when sliding on artificial turf, and we developed technology to prevent this. Currently, we've signed an MOU with Hyundai Engineering & Construction, and this material will be applied to all Hillstate apartment playgrounds."
This company received investment from Pacemakers at a 1.5 billion won valuation and has now grown to a 30 billion won valuation. Additionally, work is underway for Saudi Arabia's SABIC to adopt this technology as a standard, showing potential for global market expansion.
GSMP, 체계적 멘토 양성의 혁신적 모델 구축
조기환 부대표가 가장 자랑스럽게 여기는 성과는 자신이 직접 기획하고 운영중인 글로벌 스타트업 멘토 프로그램(GSMP)이다. 2023년 동국대학교 경영전문대학원과 함께 시작한 이 프로그램은 기존 멘토링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탄생했다.

"다양한 사업을 통해 멘토들을 초청해 스타트업과 연결하는 멘토링을 다수 진행했는데, 멘토마다 개인적 역량과 멘로링에 임하는 자세의 차이가 커서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체계적인 멘토 교육의 필요성을 절감했습니다."
GSMP는 동국대학교 경영전문대학원과 페이스메이커스가 공동으로 운영하는 13주, 24회 과정으로 3월 부터 6월, 9월 부터 12월, 일년에 2기수로 매주 화요일 저녁에 진행된다. 수강생들은 동국대학교 총장 명의 수료증과 함께 동국대학교 멘토단 및 페이스메이커스 제다이 멘토단 정회원 자격, 동국대학교 MBA 입학 시 30% 장학금 등의 혜택을 받는다.
프로그램의 핵심은 실전 중심의 스타트업 멘토링 교육이다. "스타트업 생태계 이해를 위한 액셀러레이터, VC, 전문가 강의가 있고, 각 조별로 스타트업 대표 한 분과 해당 비즈니스 모델에 가장 적합한 멘토 세 분을 매칭해 6주간 함께 조별멘토링 실습을 진행합니다."
GSMP: An Innovative Model for Systematic Mentor Training
The achievement Mr. Cho is most proud of is the Global Startup Mentor Program (GSMP) that he directly planned and operates. This program, which began in 2023 in partnership with Dongguk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Business, was creat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existing mentoring.
"Through various projects, we conducted numerous mentoring sessions by inviting mentors and connecting them with startups, but problems often occurred due to large differences in individual mentors' capabilities and attitudes toward mentoring. I keenly felt the need for systematic mentor education."
GSMP is a 13-week, 24-session program jointly operated by Dongguk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Business and Pacemakers, running two cohorts per year from March to June and September to December, held every Tuesday evening.
Students receive a certificate of completion in the name of Dongguk University's president, along with benefits including full membership in Dongguk University's mentor group and Pacemakers' Jedi mentor group, and a 30% scholarship when entering Dongguk University's MBA program.
The program's core is practical startup mentoring education. "There are lectures from accelerators, VCs, and experts for understanding the startup ecosystem, and each team is matched with one startup CEO and three mentors most suitable for that business model to conduct six weeks of team mentoring practice together."
은퇴 전 전문가들의 새로운 활약 무대
GSMP의 특별한 점은 은퇴 후 삶을 고민하는 50대 뿐만 아니라 다양한 연령과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여한다는 것이다. 4기에 걸쳐 배출된 100여 명의 졸업생 중에는 박사, 의사, 변호사, 변리사, 회계사 등 각종 자격을 보유한 전문가들이 많다.
"현재 삼성전자에 근무중인 전자공학 박사님 같은 경우 이 과정을 수료한 후 저희가 요청하는 멘토링이나 심사 위원 역할을 정말 즐거워하십니다."
이들이 스타트업에 제공할 수 있는 가치는 단순한 기술 자문을 넘어선다. "기술뿐만 아니라 글로벌 비즈니스 매너나 HR 인프라 등 스타트업에 부족한 부분들을 대기업이나 글로벌 기업의 경험을 바탕으로 조언해줄 수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전문가들이 한 과정에서 만나 시너지를 창출한다는 점도 중요하다. "변호사, 변리사, 의사, 한의사, 회계사 등 다양한 직군과 연령대가 함께 스타트업 발전을 위해 고민하고 노력하기 때문에 60대, 70대가 되어도 지속적으로 활동할 수 있는 스타트업 멘토의 게이트웨이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A New Stage for Pre-retirement Professionals
What's special about GSMP is that not only people in their 50s contemplating post-retirement life participate, but professionals of various ages and fields. Among the approximately 100 graduates produced over four cohorts, there are many professionals holding various qualifications including PhDs, doctors, lawyers, patent attorneys, and accountants.
"For example, an electronics engineering PhD currently working at Samsung Electronics really enjoys the mentoring and judging roles we request after completing this program."
The value these professionals can provide to startups goes beyond simple technical consulting. "Beyond technology, they can advise on areas where startups are lacking, such as global business manners and HR infrastructure, based on their experience at large corporations or global companies."
It's also important that various professionals meet in one program to create synergy. "Because lawyers, patent attorneys, doctors, oriental medicine doctors, accountants, and other various professions and age groups work together and strive for startup development, it serves as a gateway for startup mentors who can continue to be active even in their 60s and 70s."

실무 중심 커리큘럼과 차별화된 운영 방식
GSMP 커리큘럼은 입문 과정, 멘토링 실무 과정, 멘토링 심화 과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스타트업 창업 생태계 이해부터 기업가정신 및 MVC, 투자유치 전략, IR 피칭, 글로벌 멘토링 전략까지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
특히 실제 스타트업과의 실전 멘토링 실습이 GSMP만의 차별화 포인트다. "전체 참가자의 1/4 정도는 스타트업 대표이고 나머지는 전문가이신 멘토 후보자들입니다. 함께 과정에서 공부하면서 실제 워킹하는 비즈니스에 대해 멘토링을 실습할 수 있는 구조입니다."
실제 멘토링 과정에서 가장 특별한 점은 비포 애프터(Before & After) 발표 시스템이다. "멘토링 전후의 변화를 기록해서 발표합니다. '멘토링 전에는 이런 문제가 있었는데, A 멘토가 이런 조언과 네트워크를 제공해줘서 현재 이런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고 앞으로 이렇게 발전할 예정이다'라는 구체적인 사례를 공유합니다."
기수별 네트워킹도 활발하다. "1, 2, 3, 4기 기수별 모임 뿐만아니라 전체 총동문회 모임을 통해 성공 사례를 발표하고 네트워킹 행사를 자주 개최합니다. 단순히 13주 과정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인 멘토링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Practical Curriculum and Differentiated Operation
The GSMP curriculum consists of an introductory course, practical mentoring course, and advanced mentoring course. It covers various topics from understanding the startup ecosystem to entrepreneurship and MVC, investment attraction strategies, IR pitching, and global mentoring strategies.
Particularly, practical mentoring practice with actual startups is GSMP's differentiating point. "About a quarter of all participants are startup CEOs, and the rest are mentor candidates who are professionals. It's structured so that while studying together in the program, they can practice mentoring on actually working businesses."
The most special aspect of the actual mentoring process is the Before & After presentation system. "We record and present changes before and after mentoring. We share specific cases like 'Before mentoring, there was this problem, but Mentor A provided this advice and network, so we're currently proceeding with this project and plan to develop like this in the future.'"
Networking by cohort is also active. "Not only do we have meetings by cohorts 1, 2, 3, and 4, but we also frequently hold networking events through overall alumni meetings where we present success stories. It doesn't simply end as a 13-week program but builds a continuous mentoring ecosystem."
실전 경험 기반의 차별화된 지원
조기환 부대표는 자신의 실전 경험이 만드는 차별화된 지원을 강조했다. "미국에서 실제로 생활하고 근무했기 때문에 대표들이 해외 진출할 때의 어려움을 잘 이해하고 있습니다. 또한 스타트업 입장에서 직접 투자를 받아보고 투자자 입장에서 투자를 집행해 본 경험도 있어서 투자 유치에 대한 실질적인 조언을 할 수 있습니다."
특히 그가 보유한 글로벌 VC 네트워크는 프로그램의 핵심 자산이다. "한국에서 어느 정도 성공한 스타트업들을 미국이나 싱가포르, 일본 등에 동행해서 기회를 만들고 연결해주는 일들을 해왔습니다."
Differentiated Support Based on Experience
Cho emphasized differentiated support created by his practical experience. "Because I actually lived and worked in the US, I understand well the difficulties CEOs face when expanding overseas. Also, having experience both receiving investment from a startup perspective and executing investments from an investor perspective, I can provide practical advice on investment attraction."
Particularly, the global VC network he possesses is a core asset of the program. "I've been creating opportunities and making connections by accompanying startups that have achieved some success in Korea to the US, Singapore, Japan, and other countries."
K-Startup Nevada Bridge, 미국 진출의 새로운 관문
올해 조기환 부대표가 새롭게 추진하고 있는 프로젝트는 K-Startup Nevada Bridge 2025다. 10월 5일부터 10일까지 5박 6일간 미국 네바다주 리노 및 샌프란시스코에서 개최되는 이 프로그램은 한국 스타트업들의 미국, 특히 네바다 진출을 지원한다.
이 프로그램은 네바다주립대학교 경영대학 창업지원센터 오즈만센터(UNR)와 젠엑시스, 페이스메이커스, 메디온테크, 법무법인 미션 등 한국 AC, 네트워킹 플랫폼, 법무법인이 공동 주최하며, AI, 메디컬, 뷰티, 엔터테인먼트 테크, 에너지 등 분야의 혁신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한다. 각 주최기관은 네바다 기업 환경 소개부터 투자 설명회, 세제혜택, 피칭 지원, 트렌드 발표, 법률 컨설팅까지 다양한 역할을 분담해 참가 기업들에게 종합적인 지원을 제공할 예정이다.
프로그램의 핵심은 10월 7일 리노 현지 방문 일정이다. 오전에는 리노 현지 주정부, 네바다주 경제청 등 공공기관을 방문하고, 오후에는 한국 참가 기업들이 10분 내외로 비즈니스 모델, 시장 기회, 확장 전략 등을 발표하는 피칭 세션도 진행된다. 운영 사무국은 “피칭 세션에서는 각 스타트업이 현지 투자자들의 질의응답을 통해 실질적인 피드백을 받고, 이후 1:1 미팅을 통해 구체적인 협력 방안을 논의한다”며 “조만간 구체적인 프로그램 운영안과 참가 기업 모집이 시작될 것”이라고 말했다.
K-Startup Nevada Bridge 2025
항목 | 내용 |
---|---|
행사명 | K-Startup Nevada Bridge 2025 |
기간 | 2025년 10월 5일(일) ~ 10월 10일(금) (5박 6일) |
장소 | 미국 네바다주 리노 및 샌프란시스코 |
주최기관 | 오즈만센터(UNR), 젠엑시스, 페이스메이커스, 메디온테크, 법무법인 미션 |
기획의도 | 한국 혁신 스타트업의 미국 네바다주 및 서부 지역 진출 지원을 통한 글로벌 성장 촉진 |
참가 대상 | AI, 메디컬, 뷰티, 엔터테인먼트 테크, 에너지 등 혁신 스타트업 (최대 10팀) |
참가 조건 | 미국 네바다주 등 글로벌 진출 의지가 있는 기업, 참가 비용은 참가사 부담 |
주요 내용 | - 네바다 기업 환경 소개 - 글로벌 테크 트렌드 발표 - 투자 설명회 - 피칭 세션 및 1:1 미팅 - 현지 공공기관/기업 방문 - 네트워킹 및 리셉션 - 맞춤형 법률·비자·투자 컨설팅 |
참가 혜택 | - 현지 투자자/기업과의 1:1 미팅 - 네트워킹 기회 - 실질적인 비즈니스 연결 - 법률·비자·투자 컨설팅 |
일정 요약 | - 10/5: 출국 및 리노 도착, 오리엔테이션 - 10/6: 오즈만센터 행사(기업 환경, 테크 트렌드, 투자 설명회, 네트워킹) - 10/7: 현지 공공기관 방문, 피칭 세션, 1:1 미팅, 공식 만찬 - 10/8: 현지 기관/기업 방문, 네트워킹, 출발 준비 - 10/9: 샌프란시스코 이동, 기업 투어 또는 자유 일정 - 10/10: 귀국 |
네바다, 실리콘밸리 진출의 전략적 거점
미국 네바다를 선택한 이유에 대해 조기환 부대표는 전략적 가치를 강조했다. "네바다는 미국 서부 지역 진출의 관문 역할을 할 수 있고, 세금 혜택이나 규제 환경이 스타트업에게 유리합니다. 또한 샌프란시스코와 가까워서 실리콘밸리 생태계와의 연결도 용이합니다."
실제로 네바다에는 테슬라 기가팩토리를 비롯해 다양한 혁신 기업들이 자리잡고 있다. 리노 지역에는 WISEcode(AI 기반 맞춤 영양 솔루션), DayaMed(AI 의료 데이터 관리), Dragonfly Energy(친환경 리튬 배터리) 등 AI, 메디컬, 에너지 분야의 혁신 기업들이 활동하고 있어 한국 스타트업들에게 좋은 벤치마킹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샌프란시스코에서는 OpenAI 등 글로벌 테크 산업의 중심지로서 다양한 혁신 기업들과의 네트워킹 기회도 제공된다. 네바다 브릿지 기획 사무국은 "방문 기업은 참가 스타트업의 산업 분야에 따라 맞춤형으로 조정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K-Startup Nevada Bridge: A New Gateway to US Expansion
The project Mr. Cho is newly pursuing this year is K-Startup Nevada Bridge 2025. This program, held for 5 nights and 6 days from October 5-10 in Reno, Nevada and San Francisco, supports Korean startups' expansion to the US, particularly Nevada.
This program is co-hosted by the University of Nevada, Reno's College of Business Entrepreneurship Support Center Ozmen Center (UNR), Genaxis, Pacemakers, Mediontech, and Mission Law Firm - a collaboration of Korean accelerators, networking platforms, and law firms. It targets innovative startups in fields including AI, medical, beauty, entertainment tech, and energy.
Each hosting organization will share various roles from introducing Nevada's business environment to investment briefings, tax benefits, pitching support, trend presentations, and legal consulting to provide comprehensive support to participating companies.
The program's core is the October 7 local Reno visit schedule. In the morning, they'll visit local public institutions including the Reno local state government and Nevada State Economic Development, and in the afternoon, there will be a pitching session where Korean participating companies present their business models, market opportunities, and expansion strategies in about 10 minutes.
The operation secretariat said, "In the pitching session, each startup will receive practical feedback through Q&A with local investors, and then discuss specific cooperation plans through 1:1 meetings," adding that "specific program operation plans and participating company recruitment will begin soon."
Nevada: Strategic Base for Silicon Valley Expansion
Regarding why Nevada was chosen, Cho emphasized its strategic value. "Nevada can serve as a gateway for expansion into the western US region, and the tax benefits and regulatory environment are favorable for startups. Also, being close to San Francisco makes connections with the Silicon Valley ecosystem easy."
Indeed, Nevada hosts various innovative companies including Tesla's Gigafactory. In the Reno area, innovative companies in AI, medical, and energy fields are active, including WISEcode (AI-based personalized nutrition solutions), DayaMed (AI medical data management), and Dragonfly Energy (eco-friendly lithium batteries), providing good benchmarking opportunities for Korean startups.
In San Francisco, as the center of the global tech industry including OpenAI, networking opportunities with various innovative companies are also provided. The Nevada Bridge planning secretariat explained that "visiting companies can be customized according to the industry fields of participating startups."
Category | Details |
---|---|
Event Name | K-Startup Nevada Bridge 2025 |
Date | October 5 (Sun) – October 10 (Fri), 2025 (5 nights, 6 days) |
Location | Reno, Nevada & San Francisco, USA |
Host Organizations | Ozmen Center (UNR), Genexis, Pacemakers, Mediontech, Mission Law Firm |
Purpose | Support for Korean innovative startups’ entry into Nevada and the US West Coast to accelerate global growth |
Participants | Innovative startups in AI, medical, beauty, entertainment tech, energy, etc. (up to 10 teams) |
Participation Criteria | Startups with global expansion intentions (e.g., entry into Nevada), participation costs borne by participants |
Main Activities | - Nevada business environment introduction - Global tech trends briefing - Investment seminar - Pitching sessions & 1:1 meetings - Visits to local government agencies/companies - Networking and reception - Customized legal/visa/investment consulting |
Benefits | - 1:1 meetings with local investors/companies - Networking opportunities - Practical business connections - Legal/visa/investment consulting |
Schedule Overview | - 10/5: Departure & arrival in Reno, orientation - 10/6: Ozmen Center event (business environment, tech trends, investment seminar, networking) - 10/7: Visit to local government agencies, pitching session, 1:1 meetings, official dinner - 10/8: Visit to local institutions/companies, networking, preparation for departure - 10/9: Travel to San Francisco, company tours or free time - 10/10: Departure from San Francisco, arrival in Seoul |
한국 스타트업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현재 조기환 부대표는 벤처창업학회 이사, 창업진흥원 창업사업 평가위원, 창업진흥원 리본멘토단 전문 멘토, 경기지역 창업촉진위원회 글로벌액셀러레이팅 분과위원 등 다양한 공적 역할도 수행하고 있다. 또한 Slush-D 부산과 COMEUP에서 글로벌 IR 심사위원으로 활동하며 스타트업 생태계 전반에 걸친 폭넓은 경험을 쌓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경험이 GSMP와 네바다 프로그램의 품질을 높이는 핵심 요소가 되고 있다. 그는 "스웨덴, 핀란드, 룩셈부르크 등을 포함한 유럽이나 아시아 등 다양한 국가에서의 멀티내셔널 프로젝트 경험을 살려서 스타트업에게 실질적 도움을 드릴 수 있는 방법을 계속 찾고 있습니다."라고 말했다.
Impact on Korea's Startup Ecosystem
Currently, Deputy CEO Jo Ki-hwan also performs various public roles including director of the Venture Entrepreneurship Society, evaluation committee member for Korea Institute of Startup & Entrepreneurship Development startup projects, professional mentor for the RIBON mentor group, and global accelerating subcommittee member of the Gyeonggi Regional Startup Promotion Committee. He's also building extensive experience across the startup ecosystem by serving as a global IR judge at Slush-D Busan and COMEUP.
These diverse experiences are becoming key elements that enhance the quality of GSMP and the Nevada program. He said, "I'm continuing to find ways to provide practical help to startups by utilizing my multinational project experience in various countries including Sweden, Finland, Luxembourg, and other European and Asian countries."

실리콘밸리 경험이 만든 새로운 멘토링 생태계
조기환 부대표가 직접 설계한 GSMP는 그의 실리콘밸리 경험과 스타트업 현장 노하우가 집약된 결과물이다. 한국 스타트업 생태계에서 "정말 추천할 만한 프로그램"이라는 평가를 받는 이유도 단순한 이론이 아닌 실전 경험을 바탕으로 한 차별화된 접근법 때문이다.
"미국에서 살면서 쌓은 경험을 바탕으로, 제가 투자하거나 멘토링한 스타트업들이 미국에 진출할 때 실질적인인 도움이 되는 멘토가 되고 싶습니다."
그의 비전은 단순히 프로그램 운영에 그치지 않는다. GSMP를 통해 배출된 100여 명의 전문 멘토들이 네바다 브릿지 프로그램과 연결되면서 한국 스타트업들의 글로벌 진출을 위한 실질적인 인프라가 구축되고 있다. 체계적인 멘토 양성부터 현지 네트워킹까지, 조기환 부대표가 그려나가는 글로벌 멘토링 생태계가 한국 스타트업들에게 어떤 새로운 기회를 열어줄지 기대가 모아지고 있다.
A New Ecosystem Created by Silicon Valley Experience
The GSMP directly designed by Cho is the result of his Silicon Valley experience and startup field know-how combined. The reason it receives evaluation as a "truly recommendable program" in Korea's startup ecosystem is because of its differentiated approach based on practical experience rather than simple theory.
"Based on my experience living in the US, I want to become a mentor who provides practical help when startups I invest in, or mentor expand to the US."
His vision doesn't stop at simply operating programs. As the approximately 100 professional mentors produced through GSMP connect with the Nevada Bridge program, practical infrastructure for Korean startups' global expansion is being built. From systematic mentor training to local networking, expectations are gathering for what new opportunities the global mentoring ecosystem that Mr Cho is drawing will open for Korean startu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