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 and YG Entertainment Launch FAST Channels, Opening the Era of Superfan TV(SM, YG엔터의 FAST 채널 런칭, 슈퍼팬 TV시대를 열다)
FAST는 왜 슈퍼팬과 만나는 가 'FAST 취향 저격 콘텐츠 K팝 팬들은 영광시키다'
- 엔터테인먼트 기업의 FAST 채널, 팬덤과 실시간 소통의 새로운 지평
- 한류 컨텐츠, FAST 플랫폼을 타고 세계 시장으로 확장
- FAST테크 혁신, 팬 경험과 브랜드 가치를 한 단계 높여
Why FAST meets superfans: 'FAST taste sniper content glorifies K-pop fans'
- FAST channel for entertainment companies, a new horizon of real-time communication with fandom
- Korean Wave Hallyu content expands to global markets on the FAST platform
- FAST technology innovation, elevating fan experience and brand value to the next level
SM, YG엔터의 FAST 채널 런칭, 슈퍼팬 TV시대를 열다. K엔터테인먼트는 다음달(7월) 초 엔터테테인먼트 산업에서 슈퍼팬의 중요성, 슈퍼팬 육성을 위한 AI 등 엔터테인먼트 테크 전략과 다양한 사례를 담은 '슈퍼팬이 온다'라는 책을 발간한다.
엔터테인먼트 콘텐츠 미디어 기업들의 AI를 통한 콘텐츠 현지화, AI프로덕션 등이 엔터테크의 공급자적인 측면을 만한다면 '슈퍼팬'은 엔터테크가 수요자 관점에서 어떤 의미기 있는 지를 강조한다. 책에 나오는 내용 일부를 발췌해 독자 여러분들에게 전달한다.
SM, YG Entertainment's FAST channel launches, ushering in the era of superfan TV. K Entertainment will publish a book titled 'Superfans are Coming' early next month (July), which contains various examples of entertainment technology strategies and cases, including the importance of superfans in the entertainment industry and AI for fostering superfans.
If entertainment content media companies' AI-enabled content localization and AI production are the provider side of entertainment tech, 'Superfan' highlights what enttech means from the consumer side. Here are some excerpts from the book to share with our readers.
FAST시장 성장
무료 광고 기반 스트리밍 TV, FAST는 TV의 미래다. FAST(Free Ad-Supported Streaming TV) 채널은 광고를 보는 대신 프리미엄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는 미디어 플랫폼이다. FAST는 CTV(Connected TV)를 통해 주로 서비스된다. CTV는 FAST성장 등에 힘입어 레거시 TV시장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FAST채널 플랫폼은 다양하다. 미국의 플루토TV, 로쿠, 아마존 프리비, 국내의 삼성 TV 플러스, LG채널 등이 대표적이다. 스마트TV와 인터넷만 있으면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으며, 24시간 편성표를 통해 영화, 드라마, 음악, 예능, 스포츠 등 다양한 장르의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즐길 수 있다. 최근에는 라이브 이벤트, 공연, 뉴스 등 실시간성이 강조된 콘텐츠도 점차 확대되고 있다
FAST는 기존의 스트리밍 서비스와 달리, 사용자가 콘텐츠를 자유롭게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방송처럼 편성표에 따라 콘텐츠가 제공된다는 점에서 차별화된다. 그러나 최근에는 일부 VOD(주문형 비디오) 기능도 도입돼 시청자의 선택권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FAST 채널 시장은 글로벌 차원에서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스태티스타에 따르면 2025년 기준, 전 세계 FAST 시장 규모는 약 116억 8,000만 달러(약 15조 7,000억 원)에 달하며, 2030년에는 167억 4,000만 달러(약 22조 6,000억 원)로 확대될 전망이다. 연평균 성장률(CAGR)은 7.47%로 예측된다.
한국 FAST 시장은 동북아시아에서 가장 빠른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다. 연평균 25% 이상의 성장률을 보이며, 2028년에는 1조 1,000억~1조 2,000억 원(약 8억 7,600만~12억 1,000만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한국의 경우, K-드라마, K-예능, K-POP 등 한류 콘텐츠의 글로벌 인기에 힘입어 미래 전망이 매우 희망적이다.
What Makes FAST Channels Different
FAST (Free Ad-Supported Streaming TV) channels are internet-based TV services that provide various content in real-time without subscription fees, based on advertising revenue. Representative examples include Pluto TV, Roku, and Amazon Freevee in the US, and Samsung TV Plus and LG Channels domestically. Anyone can easily access these services with just a smart TV and internet connection, enjoying various genres of content including movies, dramas, music, entertainment, and sports in real-time through 24-hour programming schedules. Recently, real-time content such as live events, performances, and news has been gradually expanding.
FAST differs from existing OTT services in that users don't freely choose content, but rather content is provided according to programming schedules like traditional broadcasting. However, recently, some VOD (Video on Demand) features have been introduced, gradually expanding viewers' choices.
Market Size and Growth Rate
The FAST channel market is experiencing explosive growth globally. According to Statista, as of 2025, the global FAST market size reaches approximately $11.68 billion (about 15.7 trillion won), and is projected to expand to $16.74 billion (about 22.6 trillion won) by 2030. The compound annual growth rate (CAGR) is predicted to be 7.47%.
The Korean FAST market is recording the fastest growth rate in Northeast Asia. With an annual growth rate of over 25%, it is projected to grow to 1.1-1.2 trillion won (approximately $876 million-$1.21 billion) by 2028. Particularly in Korea's case, the future outlook is very promising, powered by the global popularity of Hallyu content such as K-dramas, K-variety shows, and K-POP.
슈퍼팬 전략과 엔터테인먼트 기업의 FAST 채널 런칭
FAST채널은 엔터테인먼트 기업의 비즈니스 모델에 깊숙히 자리 잡고 있다. 특히, 팬들이 수요를 응집시키고 새로운 수요를 만들어내는 역할을 충실히 수행한다. 무료 광고 기반 서비스인만큼, 접근성도 매우 뛰어나다.
엔터테인먼트 기업들은 FAST 채널을 통해 팬들과 직접 소통하는 ‘슈퍼팬 전략’을 적극적으로 펼치고 있다. 슈퍼팬은 단순한 소비자가 아니라, 아티스트와 콘텐츠에 깊이 몰입하고, 공연과 이벤트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핵심 팬덤이다.
2025년 4월, SM엔터테인먼트는 삼성 TV 플러스와 협업해 ‘SMTOWN’ 채널을 론칭했다. 이 채널은 미국, 영국, 프랑스, 인도 등 전 세계 18개국에서 동시 서비스되며, 에스파, NCT, 라이즈 등 SM 소속 아티스트들의 뮤직비디오, 스페셜 클립, 공연 영상 등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한다.
특히 2025년 5월 11일,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열린 ‘SMTOWN LIVE 2025 in L.A.’ 공연이 삼성 TV 플러스 SMTOWN 채널을 통해 전 세계에 독점 생중계됐다. 동방신기, 슈퍼주니어, 샤이니, EXO, 레드벨벳, NCT 127, NCT DREAM, WayV, 에스파, 라이즈, NCT WISH, 하츠투하츠 등 SM 대표 아티스트들이 출연한 이 공연은 18개국에서 실시간으로, 14개국에서 6개월간 다시보기가 가능해 팬들의 열띤 반응을 얻었다
https://news.samsung.com/global/category/corporate/people-culture
YG엔터테인먼트 역시 LG채널, 플렉스 등 다양한 FAST 플랫폼에 ‘YG TV’ 채널을 운영하며, BLACKPINK 등 소속 아티스트들의 음악, 예능, 다큐멘터리 등 다채로운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이를 통해 과거 콘텐츠의 재활용과 신규 수익 창출, 그리고 글로벌 팬덤과의 소통을 동시에 실현하고 있다.

Superfan Strategy and Entertainment Companies' FAST Channel Launches
Entertainment companies are actively implementing 'superfan strategies' through FAST channels to communicate directly with fans. Superfans are not mere consumers, but core fandoms that deeply engage with artists and content and actively participate in performances and events.
In April 2025, SM Entertainment launched the 'SMTOWN' channel in collaboration with Samsung TV Plus. This channel is simultaneously serviced in 18 countries worldwide including the US, UK, France, and India, providing various content such as music videos, special clips, and performance videos from SM artists including aespa, NCT, and RIIZE.
Particularly on May 11, 2025, the 'SMTOWN LIVE 2025 in L.A.' concert held in Los Angeles was exclusively live-streamed worldwide through the Samsung TV Plus SMTOWN channel. This performance, featuring SM's representative artists including TVXQ, Super Junior, SHINee, EXO, Red Velvet, NCT 127, NCT DREAM, WayV, aespa, RIIZE, NCT WISH, and Hearts2Hearts, was broadcast live in 18 countries and available for replay for 6 months in 14 countries, receiving enthusiastic responses from fans.
YG Entertainment also operates 'YG TV' channels on various FAST platforms including LG Channels and Plex, providing diverse content including music, variety shows, and documentaries from artists like BLACKPINK. Through this, they are simultaneously achieving content recycling, new revenue generation, and communication with global fandoms.
엔터테인먼트 스튜디오 FAST 채널 런칭의 의미
엔터테인먼트 기업이 직접 브랜드 채널을 런칭한다는 것은 콘텐츠의 소유권과 배급 경로를 확보하고, 팬과의 소통을 더욱 강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전략적 가치를 지닌다.
FAST 채널은 팬들의 참여와 소통을 극대화하는 플랫폼으로 자리잡고 있다. AI 기반의 추천, 실시간 분석, 맞춤형 콘텐츠 제공 등 기술 혁신이 더해지며, 팬 경험은 한층 개선되고 있다. 엔터테인먼트 기업들은 데이터 분석을 통해 팬의 취향과 행동을 파악하고, 맞춤형 콘텐츠와 이벤트로 팬 경험을 개선한다. 또한, 소셜 미디어와 협업을 통한 홍보, 실시간 댓글·투표 등 상호작용 기능을 통해 팬과의 소통을 강화하고 있다
이처럼 FAST 채널은 단순한 콘텐츠 소비를 넘어, 팬덤 커뮤니티 형성과 브랜드 가치 제고로 이어진다.
FAST 팬덤과 유튜브 채널의 차이점
구분 | FAST 채널 | 유튜브 채널 |
---|---|---|
운영 방식 | 24시간 편성표, 실시간 스트리밍 중심 | 주로 VOD(주문형 비디오) 중심 |
소통 방식 | 실시간 채팅, 투표, 라이브 이벤트 등 상호작용 강화 | 댓글, 커뮤니티 기능, 라이브 방송도 있으나 구조상 실시간성은 다소 약함 |
콘텐츠 제공 | 방송처럼 편성된 콘텐츠, 실시간 공연·이벤트 등 | 자유롭게 업로드, 플레이리스트 활용 가능 |
팬 경험 | 실시간 공연, 생중계 등으로 팬과의 연결감 강화 | 다양한 콘텐츠 접근성, 검색 및 추천 중심 |
기술 활용 | AI 추천, 실시간 데이터 분석, 맞춤형 콘텐츠 | 알고리즘 기반 추천, 광고 타겟팅 |
배급 경로 | 글로벌 TV, 스마트TV 등 다양한 기기 지원 | 인터넷 기반, 모바일·PC 중심 |
FAST 채널은 유튜브와 달리, 24시간 편성된 콘텐츠와 실시간 스트리밍 중심의 경험을 제공하여 팬과의 연결감을 극대화한다는 점에서 차별화된다.
특히 공연 생중계, 실시간 채팅, 투표 등 상호작용 기능을 통해 팬덤 커뮤니티 형성과 브랜드 충성도 강화에 유리하다. 또한, 다양한 기기(스마트TV, 모바일 등)에서 접근과 편리한 시청이 더 넓은 시청자 층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유튜브는 주로 VOD 중심의 콘텐츠와 자유로운 업로드, 검색 및 추천 알고리즘을 통해 팬과의 접점을 넓히지만, 실시간 공연과 이벤트의 상호작용성에서는 FAST 채널이 더 강점을 보인다.
사실 가장 중요한 것은 FAST 채널은 엔터테인먼트 기업이 직접 콘텐츠의 소유권과 배급 경로를 확보하며, 데이터 기반의 맞춤형 팬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전략적 가치가 높다.
유튜브는 개인 창작자와 기업 모두가 활용하는 개방형 플랫폼이지만, FAST는 브랜드 채널 중심의 폐쇄적이면서도 전문화된 팬덤 경험을 제공한다는 차이가 있다.
재외동포 등 글로벌 팬덤을 위한 미디어 전략에서도 FAST 채널은 실시간성과 접근성 면에서 유튜브와 차별화된 가치를 지닌다.
What it means to launch an entertainment studio FAST channel
For entertainment companies, launching their own branded channel has significant strategic value as it allows them to take ownership of their content, secure distribution channels, and further engage with their fans.
FAST Channel is positioned as a platform to maximize fan engagement and interaction. Technological innovations such as AI-powered recommendations, real-time analytics, and personalized content delivery are further enhancing the fan experience. Entertainment companies are using data analytics to understand fan tastes and behaviors and enhance the fan experience with personalized content and events. They are also using social media, collaborative outreach, and interactive features such as real-time commenting and voting to enhance fan engagement.
As you can see, the FAST channel is more than just content consumption; it's about building a community of fans and enhancing brand value.
Differences between a FAST Fandom and a YouTube Channel
Unlike YouTube, FAST channels are differentiated by offering round-the-clock curated content and a live streaming-centric experience to maximize fan connection. In particular, interactive features such as live streaming of performances, live chat, and voting help build fan communities and strengthen brand loyalty. It also has the advantage of being accessible on a variety of devices (smart TVs, mobile, etc.), allowing it to reach a wider audience.
While YouTube is mainly focused on VOD-oriented content, with its free upload, search, and recommendation algorithms, FAST channels have the advantage of interactivity for live performances and events.
FAST channels are also strategically valuable because they allow entertainment companies to take direct ownership of their content, control distribution channels, and deliver data-driven, personalized fan experiences. While YouTube is an open platform for both individual creators and businesses, FAST offers a closed, specialized fandom experience centered around branded channels.
FAST channels are also valuable in media strategies for global audiences, such as expatriates, because of their real-time and accessibility.
글로벌 확장과 한류 콘텐츠의 영향
한류 콘텐츠의 글로벌 인기는 FAST 채널의 성장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 플랫폼 뉴아이디(NEW ID)는 전 세계에 1,000시간 이상의 K-POP 콘텐츠를 방송하고 있으며, 글로벌 대형 플랫폼인 투비(Tubi) 등도 K-콘텐츠 전용 섹션을 신설하는 등 ‘FAST 한류’ 현상이 확산되고 있다.
한국 방송사들도 FAST 시장에 적극적으로 진입하고 있다. KBS, MBC, SBS, JTBC 등 주요 방송사가 자체 FAST 채널을 운영하며, 한류 콘텐츠의 글로벌 확산에 힘을 보태고 있다.
정부 역시 FAST 채널을 통한 한류 확대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4년 ‘K-FAST 얼라이언스’를 출범시키고,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와 함께 미디어 산업의 국제 경쟁력 강화에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이 얼라이언스는 세계 시장 진출을 위한 콘텐츠 발굴 및 홍보, 현지화 사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민관 협업을 진행한다. 정부는 AI 더빙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해 한국 콘텐츠의 현지화를 지원하고, 해외 투자 유치와 글로벌 마케팅도 적극 추진하고 있다. 이재명 정부의 K컬처 플랫폼에서 FAST채널은 핵심이다.
The Significance of FAST Channel Launches
Entertainment companies directly launching brand channels holds important strategic value in securing content ownership and distribution channels while strengthening communication with fans. FAST channels are establishing themselves as platforms that maximize fan participation and communication. With technological innovations such as AI-based recommendations, real-time analysis, and personalized content delivery, fan experiences are being significantly improved.
Entertainment companies analyze fan preferences and behaviors through data analysis, improving fan experiences with customized content and events. They are also strengthening communication with fans through social media collaborations for promotion and interactive features like real-time comments and voting. Thus, FAST channels go beyond simple content consumption to lead to fandom community formation and brand value enhancement.
Global Expansion and the Impact of Hallyu Content
The global popularity of Hallyu content plays a significant role in FAST channel growth. Platform NEW ID broadcasts over 1,000 hours of K-POP content worldwide, and major global platforms like Tubi are establishing dedicated K-content sections, spreading the 'FAST Hallyu' phenomenon.
Korean broadcasters are also actively entering the FAST market. Major broadcasters including KBS, MBC, SBS, and JTBC operate their own FAST channels, contributing to the global expansion of Hallyu content.
The government is also actively pursuing Hallyu expansion through FAST channels.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 launched the 'K-FAST Alliance' in 2024 and, together with the Korea Association for ICT Promotion, announced its focus on strengthening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the media industry. This alliance conducts public-private collaboration in various fields including content discovery and promotion for global market entry and localization projects.
The government supports localization of Korean content using advanced technologies like AI dubbing and actively promotes overseas investment attraction and global marketing. FAST channels are core to the Lee Jae-myung government's K-Culture platform.
결론: FAST, 엔터테크 혁신과 슈퍼팬 시대의 도래
FAST 채널의 급속한 성장과 엔터테인먼트 기업의 슈퍼팬 전략은 엔터테크(엔터테인먼트+테크놀로지) 산업의 미래를 바꾸고 있다. 팬들은 더 이상 수동적인 소비자가 아니라, 아티스트와 함께 콘텐츠와 브랜드를 만들어가는 주체로 성장하고 있다.
앞으로도 엔터테인먼트 기업들은 FAST 채널과 슈퍼팬 전략을 통해 글로벌 팬덤과의 소통을 더욱 강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처럼 FAST 채널은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며, 엔터테크 혁신의 핵심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한국을 포함한 글로벌 시장에서 FAST 채널은 앞으로도 빠른 성장세를 이어갈 것이며, 엔터테인먼트 기업의 브랜드 가치와 팬덤 경험을 혁신적으로 변화시킬 것으로 보인다.
Conclusion: FAST, The Advent of Entertech Innovation and the Superfan Era
The rapid growth of FAST channels and entertainment companies' superfan strategies are transforming the future of the entertech (entertainment + technology) industry. Fans are no longer passive consumers but are growing into subjects who create content and brands together with artists.
Entertainment companies are expected to further strengthen communication with global fandoms through FAST channels and superfan strategies. Thus, FAST channels present a new paradigm for the entertainment industry and are establishing themselves as core platforms for entertech innovation.
FAST channels in the global market, including Korea, will continue rapid growth and are expected to innovatively transform entertainment companies' brand value and fandom experi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