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 is rapidly emerging as a new hub for sustainable and environmental technology
LA, 지속가능한 테크 허브로 부상 중… ‘비 만드는 기술’로 기후 위기 돌파 시도
미국 로스앤젤레스(LA) 지역이 기존 엔터테인먼트·소프트웨어 강국을 넘어, 기후 위기를 해결하는 지속가능 테크(Sustainable Tech)·환경 테크(Environmental Tech)의 신흥 허브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물 부족·에너지 위기 등 실제 생존 문제를 다루는 ‘생존 테크(survival tech)’와 ‘하드테크(hard tech)’ 분야가 빠르게 성장하면서, LA가 전 세계 환경 혁신의 중심지로 떠오르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Los Angeles is rapidly emerging as a new hub for sustainable and environmental technology,
moving beyond its traditional strengths in entertainment and software. The region is drawing global attention for its efforts to tackle climate challenges-especially water scarcity and energy crises-by fostering innovation in “sustainable tech” and “environmental tech.” Sectors like “survival tech” and “hard tech,” which address real-world needs such as water and energy infrastructure, are experiencing rapid growth, positioning LA at the forefront of environmental innovation worldwide
미국 엘 세군도 AI 클라우드 씨딩 스타트업 ‘레인메이커’, 2,500만 달러 투자 유치…기후 위기 속 ‘비 만드는 기술’ 주목
엘 세군도(El Segundo)에 본사를 둔 스타트업 레인메이커(Rainmaker)가 최근 시리즈 A 라운드에서 2,500만 달러(약 340억 원)의 투자를 유치했다. 이번 투자는 로어카본 캐피털(Lowercarbon Capital)이 주도했으며, 스타십 벤처스(Starship Ventures), 1517 펀드, 롱 저니 벤처스(Long Journey Ventures), 그리고 엔젤 투자자 네이벌 라비칸트(Naval Ravikant) 등이 참여했다.
LA’s Rainmaker Raises $25M for AI-Powered Cloud Seeding Tech: “Making Rain” in a Time of Climate Crisis
El Segundo-based startup Rainmaker recently secured a $25 million Series A round, signaling rising investor enthusiasm for climate-tech solutions. The round was led by Lowercarbon Capital, with participation from Starship Ventures, 1517 Fund, Long Journey Ventures, and angel investor Naval Ravikant.

AI 드론으로 ‘구름 씨딩’ 혁신…가뭄 극복의 열쇠
레인메이커는 기존 유인 항공기 기반의 구름 씨딩(cloud-seeding) 기술을 AI 드론으로 대체한다는 점에서 혁신성을 인정받고 있다. 이 회사의 드론은 인공강우 입자를 싣고 목표 구름에 정밀하게 살포하며, 자체 개발한 소프트웨어가 기상 예측과 분석을 자동화해 기존 방식보다 훨씬 빠르고 경제적이다. 드론 1대의 시간당 운영비는 약 50달러 수준으로, 유인 항공기 대비 비용 효율성과 정밀성이 뛰어나다.
특히 레인메이커는 자체 레이더 시스템과 알고리즘을 통해 인공강우 효과를 과학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기술도 보유하고 있다. 이로써 농업, 도시, 에너지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실제 물 공급량을 늘리고, 가뭄과 물 부족에 대응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Reimagining Cloud Seeding Through AI Drones
Rainmaker is revolutionizing traditional cloud seeding—historically performed by crewed aircraft—by replacing it with AI-driven drones. These drones carry rain-making particles and release them with pinpoint accuracy, guided by in-house software that automates weather forecasting and analysis. Each drone costs about $50 per hour to operate, significantly more cost-effective and precise than crewed planes.
Crucially, Rainmaker has developed a proprietary radar system and algorithms to scientifically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its seeding operations. This capability has practical applications across agriculture, city water supplies, and energy, where boosting water availability can help mitigate drought conditions.
캘리포니아 가뭄, LA를 ‘생존 테크’와 '하드테크'의 중심지로 만들다
캘리포니아와 미국 서부는 심각한 물 부족과 가뭄에 시달리고 있다. 기존 지하수에 의존해왔지만, 기후 변화로 인해 저수량이 급감하고 있어 단순한 절약만으로는 한계에 봉착했다. 이에 따라 레인메이커의 AI 클라우드 씨딩 기술은 실제로 유타, 콜로라도 등 주 정부와 산타바바라 시 등에서 도입되어 활용되고 있다.
레인메이커 사례에서 보듯, 소프트웨어 중심이던 LA 테크 생태계를 넘어, 물·에너지·인프라 같은 ‘생존 테크(survival tech)’와 ‘하드테크(hard tech)’ 분야로의 확장되고 있다. 하드테크(Hard Tech)는 소프트웨어나 단순한 디지털 서비스가 아닌, 실제 물리적 제품과 첨단 공학 기술, 과학적 발견을 바탕으로 한 혁신적인 솔루션을 일컫는 용어다. 하드테크는 실제로 만질 수 있는 물리적 제품(드론, 센서, 로봇, 첨단 소재, 반도체, 에너지 설비 등)에 집중한다.
최근 LA에서는 우주·방위·제조·에너지 등 하드테크 스타트업 창업이 급증하고 있으며, 레인메이커 역시 2024년 LA 하드테크 50에 선정되는 등 생태계 내 존재감을 키우고 있다.
California’s Drought Crisis Pushes LA Toward “Survival Tech” and Hard Tech
California and the broader American West have grappled with severe drought for years. As reservoirs drop to historic lows, mere water conservation is no longer sufficient. Rainmaker’s AI cloud seeding technology is already in use in states like Utah and Colorado, as well as Santa Barbara, demonstrating its real-world impact.
This shift also spotlights how Los Angeles’ tech ecosystem—once dominated by software and apps—has broadened to embrace “survival tech,” focusing on water, energy, and infrastructure. This domain aligns closely with hard tech, which involves physical products, advanced engineering, and scientific breakthroughs (e.g., drones, sensors, robotics, advanced materials, semiconductors, energy facilities).
LA has seen a boom in hard tech startups, especially in space, defense, manufacturing, and energy. Rainmaker exemplifies this trend, earning recognition in 2024’s “LA Hard Tech 50.”
하드테크 vs. 소프트테크
구분 | 하드테크(Hard Tech) | 소프트테크(Soft Tech) |
---|---|---|
정의 | 물리적 제품, 첨단 공학·과학 기반 | 소프트웨어, 전략, 서비스, 개념 |
예시 | 드론, 반도체, 로봇, 신소재, 에너지 | 앱, 플랫폼, 데이터 분석, 교육 |
진입장벽 | 높음 (자본·시간·기술 필요) | 상대적으로 낮음 |
대표 분야 | 제조, 에너지, 우주, 인프라 | IT, 미디어, 금융, 교육 |
LA 등지에서 하드테크 스타트업이 급증하는 것은, 단순한 앱이나 플랫폼을 넘어 실제로 세상을 바꾸는 물리적 혁신(물, 에너지, 환경 문제 해결)에 대한 수요가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Hard Tech vs. Soft Tech
Hard Tech
Focuses on tangible products and engineering breakthroughs—drones, sensors, robotics, advanced materials, and more.
Aims to solve real-world challenges (water, energy, environment) by applying physical and scientific innovation.
Soft Tech
Centers on software, digital platforms, and apps.
While it can disrupt markets and streamline processes, it typically does not deal with physical products.
The surge of hard tech startups in Los Angeles suggests growing demand for “real-world innovation” that addresses pressing problems, such as drought and climate resilience.
투자와 미래 전망: AI+기후테크, 글로벌 시장도 주목
레인메이커는 기후 테크 기업이기도 하다. 2025년 들어 레인메이커처럼 기후테크와 AI가 융합된 기업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AI+기후테크는 환경 문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온실가스 감축, 기후 모델링, 물·에너지 등 실질적 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하는 ‘딥테크’ 로 각광 받고 있다. 딥데크 기업에 대한 투자는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레인메이커는 이번 투자금을 바탕으로 드론 보유 대수를 늘리고, 대기 과학 연구를 강화하며, 정부·공공기관과의 협력을 확대할 계획이다. 중국 등 일부 국가는 이미 드론 기반 인공강우 기술을 국가 차원에서 적극 도입하고 있어, 향후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도 본격화될 전망이다..
용어 | 정의 및 특징 | 예시 분야 |
---|---|---|
딥테크 | 기초과학·공학 기반의 심도 깊은 연구개발(R&D)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넘는 혁신적 기술. | 반도체, AI, 바이오, 신소재, 에너지, 로켓, 양자컴퓨팅 등 |
하드테크 | 소프트웨어 중심이 아닌, 물리적 실체(하드웨어)와 첨단 공학·과학이 결합된 기술. 딥테크와 거의 유사하게 쓰이기도 함. | 드론, 로봇, 배터리, 신재생에너지, 우주항공 등 |
생존테크 | 기후 변화, 물·에너지 부족 등 인류의 생존에 직결되는 문제를 해결하는 기술. 딥테크/하드테크 중에서도 사회적·환경적 생존과 직결된 분야에 강조. | 인공강우, 수처리, 에너지저장, 기후테크 등 |
Investment and Future Outlook: AI + Climate Tech, a Growing Global Market
Rainmaker sits at the nexus of climate tech and AI, tapping into a rising wave of investor interest in “deep tech”—solutions that cut to the core of major societal and environmental challenges. With the new capital, Rainmaker plans to:
Expand its fleet of AI-driven drones
Enhance atmospheric research
Deepen partnerships with governments and public agencies
Countries like China have already begun deploying drone-based cloud seeding at a national level, indicating that global competition in this arena will likely intensify.
Deep Tech, Hard Tech, Survival Tech
Term | Definition & Key Features | Example Fields | Relationship/Notes |
---|---|---|---|
Deep Tech | Innovations based on fundamental scientific or engineering breakthroughs; often long R&D cycles, high capital, high risk. | AI, quantum computing, biotech, robotics, advanced materials, fusion, photonics, blockchain12456 | Broader than hard tech; may include software-based breakthroughs (e.g., AI, algorithms)14. |
Hard Tech | Focuses on tangible, physical products requiring advanced engineering, materials science, or manufacturing. | Drones, semiconductors, batteries, robotics, clean energy, aerospace14 | Often overlaps with deep tech; sometimes used as a synonym, but emphasizes hardware/physical aspect14. |
Survival Tech | Technologies directly addressing existential challenges like water, energy, climate, food security. | Cloud seeding, water treatment, renewable energy, climate adaptation, agri-tech | Subset of deep/hard tech; emphasizes societal and environmental impact (not a strict technical term) |
국내 시사점: 기후 변화와 물 관리 혁신
한국 역시 기후 변화로 인한 가뭄, 집중호우 등 극단적 기상 현상이 잦아지면서, AI·드론·기상 데이터 분석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한 물 관리와 인공강우 연구가 더욱 중요해질 수 있다. 또한 공공·민간 협력을 통해 하드테크·생존 테크 생태계를 육성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엘에이의 차세대 혁신 기술은 엔터테인먼트나 SNS가 아니라, ‘비를 만드는 기술’일지 모른다.”
기후 위기가 가속화되는 시대, 레인메이커의 AI 클라우드 씨딩 도전은 미래 물·에너지 위기 대응을 위한 새로운 해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는 단순한 스타트업 성공 스토리를 넘어, 전 세계가 직면한 환경·자원 문제 해결에 있어 딥테크·기후테크·생존 테크 등이 더욱 각광받을 것임을 시사한다.
Implications for South Korea and Beyond
South Korea, too, faces extreme weather—from droughts to torrential rains—triggered by climate change. Rainmaker’s progress highlights the growing significance of AI, drone technology, and weather-data analytics in water management and research on artificial precipitation. It also underscores the potential need for public-private collaboration to foster hard tech “survival tech” ecosystems.
“LA’s next big innovation might not be in entertainment or social media—it could be in ‘making rain.’”
In an era of accelerating climate volatility, Rainmaker’s efforts transcend mere startup success—offering a glimpse into how cutting-edge technology might help tackle looming water and energy cri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