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llywood's AI Revolution: Amazon-Backed 'AI Netflix' Showrunner Launches Personalized TV Production Revolution (할리우드 혁명: 아마존 투자받은 'AI 넷플릭스' 쇼러너, 개인 맞춤형 TV 제작 혁명 시작)

  • Amazon-backed 'AI Netflix' showrunner revolutionizes personalized animation with a line of text
  • Hollywood court battles vs. studio AI adoption, new paradigm emerges in dual reality
  • From passive viewing to active creation, 40% revenue sharing structure leads the creator economy ecosystem

'AI의 넷플릭스’

AI와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경계를 뒤흔드는 혁명적 플랫폼이 출범했다. 샌프란시스코 기반의 스타트업 페이블(Fable)은단 몇 마디 텍스트만으로 누구나 자신만의 애니메이션 프로그램을 제작하고, 원하는 세계관과 캐릭터를 창조할 수 있는 AI 창작툴  ‘쇼러너(Showrunner)’를 공개했다.

쇼러너는 단순한 영상 생성 도구를 넘어, 사용자가 직접 캐릭터로 등장하고 수십만 명이 창작한 이야기 속에 자신만의 에피소드를 더할 수 있는 완전히 새로운 형태의 스트리밍 경험을 제시한다.

아마존 등 테크 대기업이 전략적으로 투자한 이 플랫폼은, 기존 TV와 시청자 간의 일방향 관계를 뒤집어, 소비자가 곧 창작자가 되는 ‘인터랙티브 플레이어블 미디어’ 시대로의 대전환을 예고한다. 인터랙티브 플레이블 미디어(Interactive Playable Media)는 기존의 ‘일방향’ TV, 영화 같은 전통 미디어와 달리, 시청자(사용자)가 직접 콘텐츠 생성에 참여하거나 이야기의 흐름, 캐릭터, 결말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미디어를 의미합니다.

페이블은 이를 ‘AI의 넷플릭스’로 정의하며, 월 10~40달러 구독 모델과 최대 40%의 수익 배분 구조를 도입해 창작자와 참여자 모두의 새로운 경제 생태계를 선도하고 있다. 한계와 도전도 존재하지만, 쇼러너가 제시하는 미디어 패러다임의 변화는 앞으로의 엔터테인먼트 시장에 거대한 지각변동을 예고한다

Hollywood's AI Revolution: Amazon-Backed 'AI Netflix' Showrunner Launches Personalized TV Production Revolution

The Rise of 'AI Netflix'

A revolutionary platform is shaking up the boundaries between AI and the entertainment industry. San Francisco-based startup Fable has unveiled "Showrunner," an AI creative tool that allows anyone to create their own animated programs and craft desired worlds and characters with just a few lines of text.

Showrunner goes beyond simple video generation tools, presenting a completely new form of streaming experience where users can appear as characters themselves and add their own episodes to stories created by hundreds of thousands of others.

Strategically invested in by tech giants like Amazon, this platform signals a major transformation toward an "Interactive Playable Media" era, flipping the traditional one-way relationship between TV and viewers, where consumers become creators. Interactive Playable Media refers to a new form of media where viewers (users) can directly participate in content creation or influence the flow of stories, characters, and endings, unlike traditional 'one-way' TV and movies.

Fable defines this as 'AI's Netflix,' leading a new economic ecosystem for both creators and participants through a subscription model of $10-40 per month and a revenue-sharing structure of up to 40%. While challenges and limitations exist, the media paradigm shift that Showrunner presents signals massive upheaval in the future entertainment market.

쇼러너


할리우드 AI 혁명의 현재 상황

법정에서는 싸우고, 스튜디오에서는 협력하는 이중성

할리우드 거대 기업들이 AI의 침입에 맞서 강력히 반발하고 있다. 디즈니와 유니버설은 최근 미드저니(Mid Journey)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하며, 이 회사가 기술을 사용해 자신들의 유명한 캐릭터들을 도용했다고 비난했다.

하지만 엔터테인먼트 회사들 내부에서는 완전히 다른 이야기가 펼쳐지고 있다. 가장 큰 스튜디오들과 영화 제작자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AI 기술을 사용하고 있으며, 할리우드 사람들이 이를 주목하고 있다. 5월에 열린 'AI on the Lot' 컨퍼런스는 3년 만에 참석자가 1,200명으로 두 배 증가했고, AI 편집 회사 런웨이(Runway)는 세 번째 영화제에 약 1,000명을 끌어모았다.

미디어 기업들에게 조언을 제공하는 피터 채시(Peter Csathy)는 비즈니스 인사이더 인터뷰에서 "미디어와 엔터테인먼트 비즈니스에서 AI 도구에 대해 어떻게 느끼든, 이들은 여기 머물러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Hollywood's Current AI Revolution: Fighting in Courts, Collaborating in Studios

Hollywood giants are strongly pushing back against AI's intrusion. Disney and Universal recently filed lawsuits against Midjourney, accusing the company of using their technology to steal their famous characters.

But inside entertainment companies, a completely different story is unfolding. The biggest studios and filmmakers are using AI technology in various ways, and Hollywood insiders are taking notice. The "AI on the Lot" conference in May saw attendance double to 1,200 people over three years, and AI editing company Runway drew about 1,000 people to its third film festival.

Peter Csathy, who advises media companies, told Business Insider: "However media and entertainment businesses feel about AI tools, they're here to stay."

AI의 약속: 콘텐츠 발견과 제작비 절감

AI의 매혹적인 약속은 콘텐츠 발견과 높은 제작비 같은 엔터테인먼트 비즈니스의 큰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이다. 투자자들은 에코(Ecco) 같은 회사들에 뛰어들고 있다. 이 AI 스타트업은 "F1에 관한 모든 프로그램을 찾아줘" 같은 쿼리를 사용해 여러 스트리머에서 타이틀을 찾는 데 도움을 준다. 에코는 벤 실버맨(Ben Silverman), 샤킬 오닐(Shaquille O'Neal) 등으로부터 700만 달러를 조달했다.

쇼러너: AI 콘텐츠 제작의 새로운 패러다임

개인 맞춤형 TV 제작 플랫폼의 등장

페이블의 CEO 에드워드 사치(Edward Saatchi)가 이끄는 쇼러너는 사용자들이 간단한 텍스트 입력만으로 완전한 TV 프로그램 장면이나 에피소드를 생성할 수 있게 해준다. 1만 명의 알파 테스터들과 함께 몇 달간 비공개 테스트를 거친 후 7월 말 정식 서비스를 시작한다.

초기에는 무료로 제공되지만, 향후 창작자들에게 월 10-20달러의 구독료로 수백 개의 TV 장면을 제작할 수 있는 크레딧을 판매할 예정이다. 비즈니스 인사이더(Business Insider)가 입수한 피치덱에 따르면, 사치(Saatchi)는 "시청은 무료이고, 누구나 AI 비디오를 유튜브나 다른 외부 플랫폼에서 공유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Showrunner: A New Paradigm in AI Content Creation

The Emergence of Personalized TV Production Platform

Led by Fable CEO Edward Saatchi, Showrunner allows users to generate complete TV program scenes or episodes with simple text input. After months of private testing with 10,000 alpha testers, it officially launched at the end of July.

Initially offered for free, the company plans to sell creators monthly subscriptions of $10-20 for credits to produce hundreds of TV scenes. According to a pitch deck obtained by Business Insider, Saatchi explained: "Viewing is free, and anyone can share AI videos on YouTube or other external platforms."

게임과 엔터테인먼트의 융합 비전

사치(Saatchi)는 AI를 단순한 특수효과 도구로 보는 시각을 강력히 비판한다. "AI를 순전히 VFX 도구로 사용하는 것은 '조금 슬픈' 일입니다. 'AI의 토이 스토리'는 단순히 저렴한 '토이 스토리'가 아닐 것입니다. 우리의 아이디어는 'AI의 토이 스토리'가 플레이 가능하고, 수백만 개의 새로운 장면을 가지며, 모두 디즈니가 소유하는 형태가 될 것이라는 것입니다"라고 그는 설명했다.

페이블이 할리우드 스튜디오들에게 제시한 피치덱에서는 스튜디오들이 자신들의 IP를 쇼러너 플랫폼에 제공하면, 사용자들이 해당 IP를 활용해 콘텐츠를 제작할 때 발생하는 수익의 일부를 받게 되는 구조를 제안하고 있다.

Vision for Gaming and Entertainment Convergence

Saatchi strongly criticizes the view of AI as merely a special effects tool. "Using AI purely as a VFX tool is 'a bit sad.' The 'AI Toy Story' won't simply be a cheaper 'Toy Story.' Our idea is that the 'AI Toy Story' will be playable, have millions of new scenes, and all be owned by Disney," he explained.

In pitch decks presented to Hollywood studios, Fable proposes a structure where studios provide their IP to the Showrunner platform and receive a portion of revenue generated when users create content using that IP.

할리우드 AI 생태계의 다양한 플레이어들

투자자들의 관점: 포인트72 벤처스의 전략

포인트72 벤처스(Point72 Ventures)의 소비자 파트너 이샨 신하(Ishan Sinha)는 AI 생성 비디오를 둘러싼 과대광고가 소비자 관심으로 이어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는 개인화, 번역, IP 소유권을 통해 유통을 촉진하기 위해 AI를 사용하는 회사들에서 가장 큰 잠재력을 본다고 밝혔다. 그는 “우리는 성공하는 소비자 비즈니스가 시선을 집중시킨다고 믿는다. 콘텐츠 집계, 플레이리스트, 독점 IP 등 사용자를 획득하고 유지하는 어떤 형태의 고리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포인트72 벤처스의 투자에는 글로벌코믹스(GlobalComix)가 포함되어 있다. 이 회사는 AI를 사용해 만화책과 망가 독자들이 달리 찾을 수 없는 추천과 언어 번역을 제공한다. 또한 스튜디오들과 협력해 애니메이션을 단순화하는 치후(Cheehoo)에도 투자했다.

이 회사는 또한 애니메이터들이 청중을 늘리고 유튜브 너머에서 프로젝트를 수익화하는 데 도움을 주는 것을 목표로 하는 크로니클 스튜디오스(Chronicle Studios)에도 투자했다.

Hollywood AI Ecosystem's Diverse Players

Investor Perspective: Point72 Ventures' Strategy

Point72 Ventures consumer partner Ishan Sinha said the hype around AI-generated video hasn't translated into consumer interest. He sees the greatest potential in companies using AI to drive distribution through personalization, translation, and IP ownership. "We believe successful consumer businesses capture attention. They need some form of hook to acquire and retain users—content aggregation, playlists, exclusive IP," he said.

Point72 Ventures' investments include GlobalComix, which uses AI to provide recommendations and language translations for comic book and manga readers that they couldn't find otherwise. They've also invested in Cheehoo, which works with studios to simplify animation.

The firm has also invested in Chronicle Studios, which aims to help animators grow audiences and monetize projects beyond YouTube.


애니메이션 분야의 AI 혁신

더 빠르고 저렴한 애니메이션 제작

AI는 아직 장편 영화를 만들기에는 갈 길이 멀지만, 애니메이션 분야에서는 빠르게 침투하고 있다. "스티븐 앤 파커(StEvEn & Parker)" 뒤에 있는 스타트업 툰스타(Toonstar)는 스토리라인 개발부터 이미지 생성까지 다양한 작업에 AI를 사용하며, 기존 방법보다 훨씬 적은 비용으로 에피소드를 만들 수 있다고 말한다.

크로니클 스튜디오스(Chronicle Studios)는 워너브러더스와 컴캐스트의 드림웍스에서 애니메이션 부문 대표를  역임한 크리스 드파리아(Chris deFaria)가 공동 창립한 스타트업으로, AI를 사용해 창작자들이 레벨업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애니메이터들에 중점을 두고 있다.

크로니클은 애니메이터 등 크리에이터들이 유튜브를 넘어 더 넓은 팬층을 확보하고 수익화할 수 있도록 AI 도구, 자금, 사업 계획 등을 제공한다. AI는 유튜브 썸네일 자동 생성, 소셜미디어 반응 모니터링 등 유통·마케팅에 주로 활용하며, 창작 자체보다 효과적인 팬덤 구축과 커뮤니티 형성에 집중한다.  현재까지 지원 대상 크리에이터 200여 명을 평가했고, 6명에게 약 5만달러씩 투자했으며 올해 말까지 최대 15명을 목표로 하고 있다. 구체적 크리에이터 명단은 밝히지 않았지만, 유튜브 애니 'Hazbin Hotel'과 'Helluva Boss'의 비비안 메드라노 같은 유형의 창작자를 지원하고 싶다고 밝혔다.

크로니클 외에도 AI 및 크리에이터를 지원하는 Promise, Further Adventures, Spotter 등 다양한 투자사와 스튜디오가 할리우드에 등장하고 있습니다. 크로니클의 최종 목표는 단순 조회수 상승이 아닌, 독창적 IP와 진성 팬덤을 기반으로 스트리밍 서비스 계약, FAST 채널 론칭, 뮤지컬화 등 다양한 방식으로 크리에이터들의 장기적 수익화를 돕는 것입니다.

애니메이션이나 독립 창작자 기회를 추구하는 다른 회사들로는 디지털 창작자와 독립 영화 제작자들에게 투자하는 새로운 스튜디오인 퍼더 어드벤처스(Further Adventures), 세븐 세븐 식스(Seven Seven Six)가 지원하는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인비저블 유니버스(Invisible Universe), 그리고 피터 체르닌(Peter Chernin)의 노스 로드(North Road), 안드리센 호로위츠(Andreessen Horowitz), 구글이 지원하는 AI 스튜디오 프로미스(Promise) 등이 있다.

드파리아(deFaria)는 비즈니스 인사이더에 "AI는 정말로 지속적인 스토리를 만들 수 없습니다. 가장 큰 고충은 청중을 얻는 것입니다"라고 말했다.

Innovation in Animation

AI is rapidly penetrating the animation field, though it's still far from making feature films. Toonstar, the startup behind "StEvEn & Parker," uses AI for everything from storyline development to image generation, saying it can make episodes at much lower costs than traditional methods.

Chronicle Studios, co-founded by Chris deFaria, who served as animation division head at Warner Brothers and Comcast's DreamWorks, is a startup that uses AI to help creators level up, focusing on animators.

Chronicle provides AI tools, funding, and business plans to help creators like animators build broader fanbases and monetize beyond YouTube. AI is primarily used for distribution and marketing—automatically generating YouTube thumbnails, monitoring social media reactions, etc.—focusing on effective fandom building and community formation rather than creation itself. To date, they've evaluated about 200 creators for support, invested about $50,000 each in six, and aim for up to 15 by year's end. While they haven't revealed specific creator names, they've expressed interest in supporting creators like Vivian Medrano of YouTube animations "Hazbin Hotel" and "Helluva Boss."

Beyond Chronicle, various investment firms and studios supporting AI and creators are emerging in Hollywood, including Promise, Further Adventures, and Spotter. Chronicle's ultimate goal isn't simply increasing views, but helping creators achieve long-term monetization through various means—streaming service contracts, FAST channel launches, musicalization, etc.—based on original IP and authentic fandom.

Other companies pursuing animation or independent creator opportunities include Further Adventures, a new studio investing in digital creators and independent filmmakers; Invisible Universe, an animation studio backed by Seven Seven Six; and Promise, an AI studio supported by Peter Chernin's North Road, Andreessen Horowitz, and Google.

deFaria told Business Insider: "AI really can't create ongoing stories. The biggest pain point is getting an audience."

툰스타의 혁신적 접근법

툰스타는 밀라 쿠니스(Mila Kunis)가 지원하는 NFT 애니메이션 시리즈를 통해 주목받았다. 이 회사는 AI를 사용해 전통적인 애니메이션 제작 과정을 혁신하고 있으며, 특히 독립 창작자들이 더 쉽게 고품질 애니메이션을 제작할 수 있도록 도구를 제공하고 있다.

Toonstar's Innovative Approach

Toonstar gained attention through an NFT animation series backed by Mila Kunis. The company is using AI to innovate traditional animation production processes, particularly providing tools for independent creators to more easily produce high-quality animation.

특수효과와 후반작업의 AI 변혁

런웨이의 업계 선도적 역할

제너럴 애틀랜틱(General Atlantic) 등으로부터 5억 4,500만 달러를 조달한 런웨이(Runway)와 커넥트 벤처스(Connect Ventures)가 지원하는 딥 부두(Deep Voodoo) 같은 다른 회사들은 AI를 사용해 노화 방지 및 기타 특수효과 작업을 위한 도구를 제공하고 있다.

런웨이는 작년에 라이온스게이트(Lionsgate)와 계약을 맺어 그들의 라이브러리에서 AI 모델을 훈련시키고, AMC 네트웍스와도 계약을 맺어 자사 프로그램의 홍보 자료를 생성하는 도구를 사용하게 했다는 소식으로 화제가 되었다.

인수합병 활발한 특수효과 AI 시장

일부는 통합 단계에 진입했다. 로버트 저메키스(Robert Zemeckis) 영화 "히어(Here)"에서 톰 행크스(Tom Hanks)와 로빈 라이트(Robin Wright)의 노화 방지로 유명한 메타피직(Metaphysic)은 2월에 DNEG 그룹의 AI 회사 브라마(Brahma)에 인수되었다. 페이퍼컵(Papercup)의 음성 복제 IP는 6월에 콘텐츠 솔루션 회사 RWS에 인수되었고, 팀은 스케일 AI(Scale AI)에 인수되었다.

더빙과 번역 기술의 혁신

AI는 또한 더빙 과정을 가속화하고, 과거 배우들의 목소리를 재현하며, 오래된 영화와 TV 시리즈를 복원하는 데도 적용되고 있다. 스트리머들이 글로벌화되면서 새로운 시장을 위해 타이틀을 번역하는 수요가 크고, AI에 대한 새로운 접근법은 과거의 어색한 더빙을 제거할 것을 약속한다.

딥덥(Deepdub)은 AI를 사용해 영화와 프로그램을 더빙하는 회사로, 최근 기술을 라이브 스포츠 해설, e스포츠 실황중계, 속보 보도의 실시간 더빙으로 확장했다.

딥덥의 CEO 오피르 크라코프스키(Ofir Krakowski)는 "처음으로 방송사들이 단어뿐만 아니라 라이브 콘텐츠의 에너지, 긴급성, 진정성을 포착하는 실시간 다국어 더빙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고 말했다.

AI Transformation in VFX and Post-Production

Runway's Industry-Leading Role

Runway, which raised $545 million from General Atlantic and others, and other companies like Deep Voodoo, backed by Connect Ventures, are providing tools using AI for anti-aging and other special effects work.

Runway made headlines last year by signing with Lionsgate to train AI models on their library and with AMC Networks to use tools that generate promotional materials for their programs.

Active M&A in the VFX AI Market

Some have entered the consolidation phase. Metaphysic, famous for de-aging Tom Hanks and Robin Wright in Robert Zemeckis' film "Here," was acquired in February by DNEG Group's AI company Brahma. Papercup's voice cloning IP was acquired by content solutions company RWS in June, with the team acquired by Scale AI.

Innovation in Dubbing and Translation Technology

AI is also being applied to accelerate dubbing processes, recreate past actors' voices, and restore old movies and TV series. As streamers globalize, there's high demand for translating titles for new markets, and new approaches to AI promise to eliminate awkward dubbing of the past.

Deepdub uses AI to dub movies and programs, recently expanding the technology to real-time dubbing of live sports commentary, esports broadcasts, and breaking news reports.

Deepdub CEO Ofir Krakowski said: "For the first time, broadcasters can provide real-time multilingual dubbing that captures not just words but the energy, urgency, and authenticity of live content."

콘텐츠 제작 과정의 AI 통합

스크립트부터 배급까지 전 과정의 혁신

AI 스타트업들이 할리우드에서 활발하게 활동하는 세 번째 영역은 더 광범위한 콘텐츠 제작 과정이다. 이는 스크립트 읽기 단계의 AI부터 과거에 잘 수행된 것을 기반으로 타이틀에 대한 새로운 아이디어를 생성하기 위해 비디오 라이브러리를 탐색하는 것까지 모든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파리 기반의 모멘츠 랩(Moments Lab)은 최근 워너브러더스 디스커버리(Warner Bros. Discovery), 허스트(Hearst) 등이 사용하는 AI 도구를 확장하기 위해 OXX와 오렌지 벤처스(Orange Ventures)를 포함한 지원자들로부터 2,400만 달러를 조달했다.

AI Integration in Content Production Process

Innovation from Script to Distribution

The third area where AI startups are actively operating in Hollywood is the broader content production process. This can include everything from AI in the script reading stage to mining video libraries to generate new ideas for titles based on what has performed well in the past.

Paris-based Moments Lab recently raised $24 million from backers including OXX and Orange Ventures to expand AI tools used by Warner Bros. Discovery, Hearst, and others.

모멘츠 랩의 혁신적 솔루션

모멘츠 랩의 공동창립자 필 페티퐁(Phil Petitpont)은 최근 비즈니스 인사이더에 내부 연구를 인용하며 모멘츠가 소셜 미디어용 클립을 기존 접근법보다 7배 빠르게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미디어 회사들이 몇 달 안에 AI를 사용해 자신들의 비디오 라이브러리를 기반으로 장편 다큐멘터리를 만드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으며, 청중 증대 변화를 제안할 수 있는 예측 모델링 도구는 1년 후에 나올 것이라고 밝혔다.

"유튜브에서 청중 데이터를 매우 쉽게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우리는 그것에서 그리 멀지 않습니다"라고 그는 말했다.

Moments Lab's Innovative Solutions

Moments Lab co-founder Phil Petitpont recently told Business Insider, citing internal research, that Moments can create clips for social media seven times faster than traditional approaches. He said media companies could be helped to create feature documentaries based on their video libraries using AI within months, with predictive modeling tools that can suggest audience growth changes coming in a year.

"We're not far from that because audience data is so readily available on YouTube," he said.

미스터비스트와 함께하는 새로운 AI 도구

또 미스터비스트(MrBeast) 같은 최고 유튜버들이 테스트하고 있는 새로운 AI 제품은 창작자의 카탈로그를 스캔해 새로운 비디오 아이디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는 AI 역할이 텐츠 창작 과정에서 단순한 제작 도구를 넘어 창의적 아이디어 발굴까지 확장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New AI Tools with MrBeast

A new AI product being tested by top YouTubers like MrBeast scans creators' catalogs to provide new video ideas. This shows AI's role in content creation expanding beyond simple production tools to creative idea discovery.

쇼러너가 제시하는 독특한 가치 제안

할리우드 스튜디오들을 위한 피치덱 분석

페이블이 할리우드 스튜디오들에게 제시한 피치덱을 통해 쇼러너의 구체적인 비즈니스 모델을 엿볼 수 있다. 첫 번째 슬라이드에서 쇼러너는 "새로운 AI 스트리밍 서비스"로 자신을 소개하며, 사람들이 자신이 좋아하는 캐릭터들을 기반으로 구축할 수 있는 장소로 상상한다고 설명한다.

스트리밍 구독이 성숙해지고 있다는 전제 하에, 페이블은 스튜디오들이 사람들이 자신들의 IP와 참여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에 동참해야 한다고 피치하고 있다. 회사는 대형 언어 모델, 맞춤형 확산 모델 등을 사용해 "사우스 파크" 같은 기존 TV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고품질 에피소드 콘텐츠를 만드는 방법을 설명하는 연구 논문에 링크를 제공한다.

Showrunner's Unique Value Proposition

Analysis of Pitch Deck for Hollywood Studios

Through the pitch deck Fable presented to Hollywood studios, we can glimpse Showrunner's specific business model. In the first slide, Showrunner introduces itself as a "new AI streaming service," explaining that it envisions being a place where people can build based on their favorite characters.

Under the premise that streaming subscriptions are maturing, Fable is pitching that studios need to join new ways for people to engage with their IP. The company provides links to research papers explaining how to create high-quality episodic content based on existing TV programs like "South Park" using large language models, custom diffusion models, and more.

프로그램 제작을 새로운 놀이 형태로 재정의

페이블은 쇼러너를 놀이의 한 형태로 본다. 프로그램을 만드는 것이 새로운 형태의 엔터테인먼트가 될 것이라고 믿고 있다. 피치덱에서는 사람들이 자신이 만든 작품을 공유해 스튜디오 IP에 대한 화제를 불러일으킬 것이라는 쇼러너의 소셜 측면을 강조한다.

사용자들은 쇼러너에서 자신만의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고, 넷플릭스와 같은 모양으로 디자인된 홈페이지를 통해 'AI의 넷플릭스'라고 불리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사용자들은 자신만의 프로그램을 만드는 것부터 기존 프로그램을 변형하는 것까지 다양한 방법으로 쇼러너를 사용할 수 있다.

Redefining Program Creation as a New Form of Play

Fable sees Showrunner as a form of play, believing that creating programs will become a new frm of entertainment. The pitch deck emphasizes Showrunner's social aspect, where people will share their creations to generate buzz about studio IP.

Users can create their own programs on Showrunner and use the service called 'AI Netflix' through a homepage designed to look like Netflix. Users can use Showrunner in various ways, from creating their own programs to modifying existing ones.

과거 경험에서 얻은 교훈과 미래 비전

VR에서 AI로의 성공적 피봇(Pivot)

사치(Saatchi)는 현재의 성공을 위해 과거의 실패에서 중요한 교훈을 얻었다. 그는 이전에 2014년 메타(당시 페이스북)에 20억 달러에 인수된 VR 회사 오큘러스 VR의 한 부서인 오큘러스 스토리 스튜디오를 공동 창립했다. 오큘러스 스토리 스튜디오는 에미상을 수상한 "헨리(Henry)"를 포함해 여러 VR 타이틀을 제작했다.

하지만 VR 엔터테인먼트가 하나의 카테고리로 실현되지 않았고, 메타는 2017년 스토리 스튜디오를 폐쇄했다. "2014년에 우리는 'VR 헤드셋 판매량이 특정 이정표를 넘으면 모든 것이 이륙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그렇게 되지 않았습니다"라고 사치(Saatchi)는 회상했다.

2019년, 사치(Saatchi)는 페이블 스튜디오의 설립을 주도했고, VR에서 현재의 AI 기반 플레이 가능한 스토리 모델로 비즈니스 모델을 전환했다.

Lessons from Past Experience and Future Vision

Successful Pivot from VR to AI

Saatchi gained important lessons from past failures for current success. He previously co-founded Oculus Story Studio, a division of VR company Oculus VR that was acquired by Meta (then Facebook) for $2 billion in 2014. Oculus Story Studio produced several VR titles, including Emmy-winning "Henry."

But VR entertainment didn't materialize as a category, and Meta shut down Story Studio in 2017. "In 2014, we said 'once VR headset sales cross certain milestones, everything will take off.' But that didn't happen," Saatchi recalled.

In 2019, Saatchi led the founding of Fable Studio, pivoting from VR to the current AI-based playable story model.

시장 타이밍과 기술 성숙도의 중요성

VR의 실패에서 얻은 가장 중요한 교훈은 기술적 가능성과 시장 수용도 사이의 간극, 그리고 적절한 타이밍의 중요성이었다. 사치(Saatchi)는 이번에도 비슷한 불확실성을 인정한다. "아마도 아무도 이것을 원하지 않을 수도 있고 작동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라고 그는 솔직하게 말했다.

하지만 이번에는 다른 접근법을 택했다. VR처럼 하드웨어 보급을 기다리는 대신, 이미 널리 보급된 웹 브라우저와 스마트폰을 통해 접근 가능한 플랫폼을 만들었다.

Importance of Market Timing and Technology Maturity

The most important lesson from VR's failure was the gap between technological possibility and market acceptance, and the importance of proper timing. Saatchi acknowledges similar uncertainty this time. "Maybe nobody wants this and it won't work," he honestly said.

But this time he took a different approach. Instead of waiting for hardware adoption like VR, he created a platform accessible through already widely adopted web browsers and smartphones.

할리우드 AI 시장의 투자 동향

대규모 투자 라운드들

할리우드 AI 분야에는 상당한 투자가 몰리고 있다. 런웨이는 제너럴 카탈리스트(General Catalyst) 등으로부터 8,400만 달러를 조달한 문밸리(Moonvalley)처럼, 할리우드와 다른 크리에이터들을 위한 AI 도구를 강화하기 위해 대규모 자금을 유치하고 있다.

크로니클 스튜디오스의 경우 전 드림웍스 사장이 AI를 사용해 프랜차이즈를 구축하기 위해 1,160만 달러를 조달했다. 이는 기존 할리우드 인사들이 AI 기술의 잠재력을 인정하고 직접 스타트업을 창업하는 추세를 보여준다.

다양한 분야별 스타트업들의 성장

콘텐츠 제작 간소화에 중점을 둔 AI 스타트업 스트라다(Strada)는 200만 달러를, 사전 제작 간소화에 중점을 둔 AI 스타트업 필무스테이지(Filmustage)는 150만 달러를 조달했다. 이는 AI가 할리우드의 거의 모든 제작 단계에 침투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Large Investment Rounds

Significant investment is flowing into Hollywood AI. Like Moonvalley, which raised $84 million from General Catalyst and others, Runway is attracting large-scale funding to strengthen AI tools for Hollywood and other creators.

Chronicle Studios raised $11.6 million for a former DreamWorks president to use AI to build franchises. This shows a trend of existing Hollywood figures recognizing AI technology's potential and directly founding startups.

Growth of Startups by Various Fields

AI startup Strada, focused on streamlining content production, raised $2 million, while AI startup Filmustage, focused on streamlining pre-production, raised $1.5 million. This shows AI penetrating almost every production stage in Hollywood.

기술적 혁신과 현재의 한계

SHOW-2 AI 모델의 기술적 우위

쇼러너는 페이블의 독자적인 AI 모델인 SHOW-2로 구동된다. 이 시스템은 페이블의 자체 비디오와 1만 명의 알파 테스트 사용자들의 데이터로 훈련되었다. 작년에 회사는 SHOW-1 모델 구축 방법에 대한 연구 논문을 발표한 바 있다.

페이블은 사실적인 실사 콘텐츠를 만드는 대형 AI 회사들과의 "칼싸움"을 피하고 있다. 사치(Saatchi)는 "구글과 경쟁해서 이길 수 있겠습니까?"라며 "우리의 목표는 가장 창의적인 모델을 만드는 것입니다"라고 밝혔다.

페이블의 기술 책임자이자 쇼러너 공동 창작자인 제이콥 매든(Jacob Madden)은 "쇼러너가 사람들의 창의성을 불러일으키는 것을 보는 것이 매우 흥미진진했습니다. 이 플랫폼은 쇼러너들이 실시간으로 스토리를 실험하고 지속적으로 반복하며 비전을 다듬을 수 있게 해줍니다"라고 말했다.

Technical Innovation and Current Limitations

SHOW-2 AI Model's Technical Advantage

Showrunner is powered by Fable's proprietary AI model, SHOW-2. This system was trained on Fable's own videos and data from 10,000 alpha test users. Last year, the company published a research paper on how to build the SHOW-1 model.

Fable is avoiding "sword fights" with large AI companies creating realistic live-action content. "Can we compete with Google and win?" Saatchi said. "Our goal is to create the most creative model."

Jacob Madden, Fable's CTO and Showrunner co-creator, said: "It's been very exciting to see Showrunner spark people's creativity. This platform allows showrunners to experiment with stories in real-time, continuously iterate, and refine their vision."

AI 기술의 현재 한계와 적합한 콘텐츠

하지만 사치(Saatchi)는 현재 AI 기술의 한계도 솔직하게 인정했다. "오늘날 AI는 한 에피소드를 넘어서는 스토리를 지속할 수 없습니다"라고 사치(Saatchi)는 설명했다. "AI가 가장 강한 분야는 캐릭터가 매 에피소드마다 대부분 리셋되는 깊이 있는 에피소드 형태의 프로그램들입니다. 시트콤, 수사물, 우주 탐험 같은 장르 말입니다."

이는 '브레이킹 배드'나 '왕좌의 게임' 같은 복잡한 서사 구조를 가진 콘텐츠에는 현재 기술로는 한계가 있음을 의미한다.

Current Limitations of AI Technology and Suitable Content

However, Saatchi also honestly acknowledged current AI technology limitations. "Today's AI cannot sustain stories beyond one episode," Saatchi explained. "Where AI is strongest is in deep episodic programs where characters are mostly reset every episode—sitcoms, procedurals, space exploration genres."

This means current technology has limitations for content with complex narrative structures like 'Breaking Bad' or 'Game of Thrones.'

윤리적 고려사항과 업계 대응

저작권 보호와 가드레일 시스템

사치(Saatchi)에 따르면, 페이블의 AI 모델에는 저작권 침해를 포함한 불법적이거나 공격적인 행위를 차단하는 "가드레일"이 포함되어 있다. 이는 디즈니와 NBC유니버설이 스타트업 미드저니를 상대로 AI 관련 저작권 소송을 제기한 상황에서 특히 중요하다.

이러한 보호 장치 외에도, 사치(Saatchi)는 쇼러너가 "스토리 관련 가드레일"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예를 들어, 시스템이 특정 캐릭터가 "정말로 이런 행동을 할 것인지"를 평가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할리우드의 이중적 AI 접근법

할리우드는 AI에 대해 이중적 접근을 보이고 있다. 공개적으로는 저작권 침해를 우려해 법적 조치를 취하지만, 내부적으로는 AI 기술을 적극 도입하고 있다. 많은 주요 스튜디오들이 프로덕션에서 어느 정도 AI를 사용하고 있지만, 일자리와 창작 과정에 대한 위협에 대한 민감성 때문에 이에 대해 공개적으로 이야기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Ethical Considerations and Industry Response

Copyright Protection and Guardrail Systems

According to Saatchi, Fable's AI model includes "guardrails" that block illegal or offensive behavior, including copyright infringement. This is particularly important as Disney and NBCUniversal have filed AI-related copyright lawsuits against startup Midjourney.

Beyond these protections, Saatchi said Showrunner has "story-related guardrails." For example, the system can evaluate whether a particular character would "really act this way."

Hollywood's Dual AI Approach

Hollywood shows a dual approach to AI. Publicly, it takes legal action over copyright infringement concerns, but internally, it's actively adopting AI technology. Many major studios use AI to some extent in production, but rarely talk about it publicly due to sensitivity about threats to jobs and creative processes.

창작자 경제의 새로운 모델

수익 분배의 혁신적 구조

쇼러너는 독특한 수익 분배 시스템을 도입했다. 사용자가 자신만의 프로그램을 쇼러너에서 제작하면, 다른 사용자가 그것을 기반으로 새로운 콘텐츠를 만들 때 원 창작자가 수익의 약 40%를 받게 된다. 이 수익은 사용자들이 기존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구축하기 위해 지불하는 크레딧을 기반으로 한다.

사치(Saatchi)는 "이는 매우 다른, 창작자 우선 모델로, AI 창작자 커뮤니티에게 매우 매력적일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또한 이는 사용자들이 창작자의 스토리 세계 내에서 더 많은 에피소드와 장면을 만들수록 프로그램이 더 많은 관심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라고 설명했다.

New Models for Creator Economy

Innovative Revenue Distribution Structure

Showrunner has introduced a unique revenue distribution system. When users create their own programs on Showrunner, the original creator receives about 40% of revenue when other users create new content based on it. This revenue is based on credits users pay to build on existing programs.

Saatchi explained: "This is a very different, creator-first model that we think will be very attractive to the AI creator community. It also means programs can get more attention as users create more episodes and scenes within the creator's story world."

기존 플랫폼과의 차별화

이는 기존 소셜 미디어나 스트리밍 플랫폼들과는 완전히 다른 접근법이다. 유튜브나 틱톡이 광고 수익을 창작자와 분배하는 것과 달리, 쇼러너는 창작물 자체가 다른 창작자들의 기반이 되어 지속적인 수익을 창출하는 구조를 만들었다.

Differentiation from Existing Platforms

This is a completely different approach from existing social media or streaming platforms. Unlike YouTube or TikTok sharing ad revenue with creators, Showrunner has created a structure where creations themselves become the foundation for other creators, generating ongoing revenue.

론칭 콘텐츠와 사용자 반응

오리지널 프로그램과 사용자 참여

쇼러너의 공개 출시는 사용자들이 실험할 수 있는 두 개의 오리지널 "프로그램"으로 시작된다. 첫 번째는 "'심 프란시스코'를 배경으로 한 '패밀리 가이' 스타일의 TV 코미디로 AI 기술 리더들인 샘 알트먼(Sam Altman), 일론 머스크(Elon Musk) 등을 풍자하는" "엑시트 밸리(Exit Valley)"이다.

두 번째는 "에브리씽 이즈 파인(Everything Is Fine)"으로, 이케아에 간 부부가 큰 싸움을 한 후 서로 분리된 세계로 이동해 서로를 찾아야 하는 스토리다.

자기 삽입 기능의 예상치 못한 인기

피치덱에서 보여주는 것처럼, 사용자들은 자신을 캐릭터로 캐스팅해 자신만의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다. 캐릭터의 몸, 목소리, 역할을 맞춤화할 수 있고, 완전한 에피소드를 만들어 공유할 수 있다.

알파 테스터들을 통해 이러한 자기 삽입 기능이 예상보다 훨씬 인기가 높다는 것이 발견됐다. 사치(Saatchi)는 "사람들이 자신과 친구들을 이런 스토리에 넣는 것에 관심을 보이는 것이 놀라웠습니다. 우리가 염두에 두고 설계한 것이 아니었는데, 사람들은 가상 세계에 있고 싶어하고 자신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싶어합니다"라고 설명했다.

Launch Content and User Response

Original Programs and User Engagement

Showrunner's public launch begins with two original "programs" for users to experiment with. The first is "Exit Valley," a "'Family Guy'-style TV comedy set in 'Sim Francisco' that satirizes AI tech leaders like Sam Altman and Elon Musk."

The second is "Everything Is Fine," where a couple who had a big fight at IKEA are transported to separate worlds and must find each other.

Unexpected Popularity of Self-Insert Feature

As shown in the pitch deck, users can cast themselves as characters to create their own programs. They can customize the character's body, voice, and role, and create and share complete episodes.

Through alpha testers, it was discovered that this self-insert feature was much more popular than expected. Saatchi explained: "It was surprising to see people's interest in putting themselves and friends into these stories. It wasn't something we designed with in mind, but people want to be in virtual worlds and tell stories about themselves."


할리우드 AI 미래의 전망

단기적 전망: 에피소드 콘텐츠 중심

현재 AI 기술의 한계를 고려할 때, 당분간은 에피소드 형태의 콘텐츠가 AI 생성 콘텐츠의 주류를 이룰 것으로 예상된다. 시트콤, 수사물, 우주 탐험 같은 장르에서 AI의 활용도가 높을 것이며, 복잡한 서사 구조를 요구하는 장편 드라마는 여전히 인간 창작자들의 영역으로 남을 가능성이 크다.

중장기적 비전: 상호작용하는 엔터테인먼트

사치(Saatchi)의 비전은 더 야심적이다. "할리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들이 곧 인터랙티브 플레이블 엔터테인먼트가 될 것"이라며, "향후 5년 내에 엔터테인먼트와의 관계가 완전히 달라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는 수동적 시청에서 능동적 참여로, 일방향 콘텐츠에서 양방향 상호작용으로의 패러다임 전환을 의미한다. 디즈니의 에픽게임즈 투자 사례처럼, 기존 미디어 회사들도 이미 이러한 변화에 대비하고 있다.

Future Prospects for Hollywood AI

Short-term Outlook: Episode Content Focus

Given current AI technology limitations, episodic content is expected to dominate AI-generated content for some time. AI utilization will be high in genres like sitcoms, procedurals, and space exploration, while feature dramas requiring complex narrative structures will likely remain in human creators' domain.

Medium to Long-term Vision: Interactive Entertainment

Saatchi's vision is more ambitious. "Hollywood streaming services will soon become interactive entertainment," he said, predicting that "the relationship with entertainment will completely change within five years."

This means a paradigm shift from passive viewing to active participation, from one-way content to two-way interaction. Like Disney's Epic Games investment, existing media companies are already preparing for these changes.

투자 생태계와 경쟁 환경

아마존 투자의 전략적 의미

아마존의 페이블 투자는 단순한 재정적 지원을 넘어 대형 테크 기업들이 AI 기반 엔터테인먼트의 미래를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신호다. 아마존은 이미 프라임 비디오(Prime Video)를 통해 넷플릭스와 경쟁하고 있으며, AWS를 통해 AI 인프라를 제공하고 있다.

페이블에 대한 투자는 이 두 영역의 교집점에서 새로운 기회를 모색하는 전략적 움직임으로 해석된다. 특히 사용자 생성 콘텐츠(UGC)와 AI의 결합은 기존 스트리밍 플랫폼들이 직면한 콘텐츠 비용 증가 문제에 대한 새로운 해답이 될 수 있다.

할리우드 AI 스타트업들의 자금 조달 현황

할리우드 AI 분야는 현재 투자 붐을 경험하고 있다. 런웨이(Runway)의 5억 4,500만 달러부터 크로니클 스튜디오스의 1,160만 달러, 모멘츠 랩의 2,400만 달러까지 다양한 규모의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투자자들이 AI 기술이 엔터테인먼트 산업에 미칠 변혁적 영향을 인정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기존 할리우드 인사들이 직접 스타트업을 창업하는 사례들은 업계 내부에서도 AI의 잠재력을 인정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Investment Ecosystem and Competitive Environment

Strategic Significance of Amazon's Investment

Amazon's investment in Fable is an important signal showing how major tech companies view the future of AI-based entertainment, beyond simple financial support. Amazon is already competing with Netflix through Prime Video and providing AI infrastructure through AWS.

Investment in Fable is interpreted as a strategic move to explore new opportunities at the intersection of these two areas. Particularly, the combination of user-generated content (UGC) and AI could be a new solution to rising content costs faced by existing streaming platforms.

Funding Status of Hollywood AI Startups

The Hollywood AI sector is currently experiencing an investment boom. Various scales of investment are happening, from Runway's $545 million to Chronicle Studios' $11.6 million to Moments Lab's $24 million.

This shows investors recognizing the transformative impact AI technology will have on the entertainment industry. Particularly, cases of existing Hollywood figures directly founding startups suggest the industry internally recognizes AI's potential.

결론

쇼러너의 등장은 현재 할리우드 전반에서 일어나고 있는 AI 혁명의 대표적 사례다. 법정에서는 저작권을 둘러싼 분쟁이 계속되지만, 스튜디오 내부에서는 AI 기술의 적극적 도입이 이루어지고 있는 이중적 현실 속에서, 쇼러너는 완전히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다.

아마존의 투자와 할리우드 스튜디오들과의 협력 논의는 이 새로운 접근법이 단순한 기술적 실험을 넘어 실질적인 비즈니스 모델로 자리잡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특히 창작자 중심의 수익 분배 모델과 사용자 참여형 콘텐츠 제작은 기존 플랫폼들과는 완전히 다른 가치 제안을 제공한다.

하지만 사치(Saatchi) 자신도 인정했듯이 "아무도 이것을 원하지 않을 수도 있고 작동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불확실성이 존재한다. VR의 실패를 경험한 그에게 이번 도전은 기술적 가능성과 실제 사용자 수요 사이의 간극을 메우는 중요한 시험대가 될 것이다.

무엇보다 쇼러너가 제시하는 비전 - 수동적 소비자에서 능동적 창작자로의 전환, 일방향 미디어에서 양방향 인터랙션으로의 진화 - 은 할리우드 AI 혁명의 미래 방향을 제시하는 중요한 이정표다. 툰스타, 크로니클 스튜디오스, 런웨이, 모멘츠 랩 등 다양한 AI 스타트업들이 각자의 영역에서 혁신을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쇼러너는 이들과는 다른 차원에서 엔터테인먼트의 미래를 재정의하려 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가 실제로 대중들에게 받아들여질지, 그리고 기존 엔터테인먼트 생태계와 어떻게 공존하며 발전할지는 앞으로 지켜봐야 할 가장 흥미로운 과제다. 페이블과 쇼러너의 실험은 단순히 하나의 스타트업의 성공 여부를 넘어, AI 시대 엔터테인먼트의 미래 방향을 결정하는 중요한 분기점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Conclusion

Showrunner's emergence represents the AI revolution currently happening throughout Hollywood. In the dual reality where copyright disputes continue in courts while aggressive AI technology adoption occurs inside studios, Showrunner presents a completely new paradigm.

Amazon's investment and collaboration discussions with Hollywood studios show this new approach's potential to establish itself as a substantial business model beyond simple technological experimentation. Particularly, the creator-centered revenue distribution model and user-participatory content creation offer completely different value propositions from existing platforms.

However, as Saatchi himself acknowledged, uncertainty exists that "nobody might want this and it might not work." For him, having experienced VR's failure, this challenge will be an important testing ground for bridging the gap between technological possibility and actual user demand.

Above all, the vision Showrunner presents—the transition from passive consumers to active creators, evolution from one-way media to two-way interaction—is an important milestone pointing to the future direction of Hollywood's AI revolution. While various AI startups like Toonstar, Chronicle Studios, Runway, and Moments Lab are driving innovation in their respective areas, Showrunner is trying to redefine entertainment's future from a different dimension.

Whether these changes will actually be accepted by the public and how they will coexist and develop with existing entertainment ecosystems remains the most interesting challenge to watch. Fable and Showrunner's experiment will be an important turning point determining the future direction of AI-era entertainment, beyond simply the success of one startup.

Newsletter
디지털 시대, 새로운 정보를 받아보세요!
1 이달에 읽은
무료 콘텐츠의 수

1 month 10,000 won, 3 months 26,000 won, 1 year 94,000 won

유료 구독하시면 비즈니스에 필요한 엔터테크 뉴스, 보고서, 영상 자료를 보실 수 있습니다(Subscribe to get the latest entertainment tech news, reports, and videos to keep your business in the know)

Powered by Bluedot, Partner of Mediasphere
닫기
SH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