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2025, Netflix 'reality' succeeds in the U.S.(2025년 미국 TV는 넷플릭스 리얼리티가 지배한다)
미국인의 리얼리티 장르 사랑이 역대 최고치에 달했다. 수요가 높은 콘텐츠 10편 중 두 편이 리얼리티 프로그램이었다.
동시에 미국인들은 넷플릭스 오리지널을 가장 선호했다. 이를 종합하면 향후 넷플릭스에서 방송되는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주목도 더 높아질 것이라는 이야기다. 미국을 향한 콘텐츠를 제작한다만 참고할 만한 변화다.
콘텐츠 수요를 측정하는 패럿애널리틱스는 최근 2024년 4분기 미국 TV 수요 리포트를 내고 리얼리티 프로그램 수요 점유율이 지난 분기에 비해 약간 상승한 19.8%를 기록했고 밝혔다. 패럿이 장르별 수요를 측정한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물론 드라마는 가장 많은 수요를 차지하는(share of demand) 장르다. 그러나 미국 내 드라마 수요는 다른 나라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다.
패럿애널리스틱스(PA)의 2022년 3분기 '한국 콘텐츠 장르별 수요' 측정 결과에 따르면, 드라마 장르의 수요가 52.1%로 1위를 차지한 바 있다. 전체 수요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수치로, 한국 시청자들의 드라마 선호도가 매우 높음을 보여준다. 지금도 이 트렌드와 크게 다르지 않다.
Americans' love of the reality genre is at an all-time high. Two out of every 10 pieces of content in high demand were reality shows.
At the same time, Netflix Originals were the most favored by Americans. Taken together, this suggests that reality programming on Netflix is likely to gain more traction in the future.
Parrot Analytics, which measures content demand, recently released its Q4 2024 U.S. TV Demand Report and found that reality programming's share of demand rose slightly from the previous quarter to 19.8%.
This is the highest level since Parrot analytics has been measuring demand by genre. Of course, drama is the genre with the largest share of demand. However, the demand for dramas in the US is relatively low compared to other countries.
과반을 점유하는 절대 콘텐츠 장르는 없다
미국인들의 콘텐츠 소비의 중요 트렌드는 ‘수요의 과반을 차지하는 장르’가 없다는 것이다. 인종 만큼이나 미국인들의 콘텐츠 소비 범위가 다양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국에서는 마이너 장르인 다큐멘터리(13.9%)와 어린이 프로그램(9%)은 미국에서 상당한 수요를 점하고 있다. 다큐멘터리 역시 수요가 역대 최대였다.
트루 크라임 서브장르(sub 하위 장르)는 미국인들의 다큐멘터리 시리즈에 대한 높은 수요를 견인하는 특정 하위 장르다. 프로그램 수요의 2.3%가 트루 크라임 범죄 시리즈에 대한 것이었는데, 이는 이번 보고서의 다른 어떤 시장보다 높은 수치다.
다만 정치 장르의 비중은 낮아졌다. 정치 서브 장르는 미국에서 다른 시장보다 낮은 수요 비중을 차지했다. 특이한 것은 최근 몇 년간 미국 내 정치 콘텐츠에 대한 수요가 감소하는 추세에 있다는 점이다. 유튜브의 영향력을 무시 하긴 어렵다.
There's no one content genre that dominates
An important trend in American content consumption is that there are no "dominant genres". This means that Americans are as diverse in their content consumption as they are racially.
Documentaries (13.9%) and children's programs (9%), which are minor genres in Korea, are in significant demand in the US. Documentaries also had the highest demand ever.
The true crime sub-sub-genre is a specific sub-genre that drives Americans' high demand for documentary series. 2.3% of program demand was for true crime series, more than any other market in this report.
Political genres, however, were less popular. The political subgenre had a lower share of demand in the US than in other markets. What's unusual is that the demand for political content in the US has been on the decline in recent years. It's hard to ignore the influence of YouTube.
미국 TV도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미국 역시 크리에이터 이코노미의 영향력이 커지고 있다. TV시장도 크리에이터들이 장악하고 있다. 패럿의 보고서에도 이런 수요 변화가 눈에 띈다. 셀럽 콘텐츠(celebrity content) 수요 비중(1.5%)은 이번 보고서에서 다른 어떤 시장보다 높았다.
이는 부분적으로 미국 내 유명인 리얼리티 및 버라이어티 시리즈의 인기에 힘입은 결과다. 넷플릭스(Netflix)도 오는 2월 5일 12명의 유명인이 정글에서 서바이벌 경쟁을 벌이는 리얼리티 프로그램 ‘Celebrity Bear Hunt’를 방송한다. 스트리머 Dropout의 패널 게임 쇼 ‘게임 체인저(Game Changer)’는 미국에서 가장 수요가 많은 100대 프로그램 중 하나로 선정되었으며, 다른 어떤 시장보다 높은 순위를 차지했다.
드라마 오징어게임 시즌2의 성공 적인 데뷔도 ‘미국 내 리얼리티 붐’과 무관하지 않다.
오징어게임 시즌2는 전작에 비해 게임의 다양성과 비중이 높아졌다. 오징어게임 시즌2는 한국 콘텐츠 사장 처음으로 미국 내 수요 1위(12월 23일~29일 글로벌도 1위)를 차지했다.
US TV is part of the creator economy
The U.S. is also experiencing the growing influence of the creator economy. The TV market is also dominated by creators. This shift in demand is also evident in Parrot's report. The share of demand for celebrity content (1.5%) is higher than any other market in the report.
This is partly driven by the popularity of celebrity reality and variety series in the US. Netflix, for example, will premiere 'Celebrity Bear Hunt' on February 5, a reality show that pits 12 celebrities against each other in a jungle survival competition. Streamer Dropout's panel game show Game Changer was named one of the top 100 most in-demand programs in the U.S., ranking higher than any other market.
The successful debut of the second season of the drama Squid Game is not unrelated to the reality boom in the United States.
Compared to its predecessor, "Squid Game Season 2" has increased the variety and weight of games. For the first time in the history of Korean content, OG2 was the No. 1 game in the U.S. (and No. 1 globally from December 23-29).
장르별 수요 변화
-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인기가 역대 최고 수준(19.8%)에 도달
- 드라마는 여전히 가장 큰 수요를 차지하지만, 한국(52.1%)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비중
- 다큐멘터리(13.9%)와 어린이 프로그램(9%)이 상당한 수요를 보이며, 특히 트루 크라임 장르가 인기
플랫폼 및 콘텐츠 트렌드
- 넷플릭스 오리지널 콘텐츠가 가장 높은 수요(9.5%) 차지
- 셀러브리티 콘텐츠와 리얼리티 쇼의 인기 증가 중
- '오징어 게임' 시즌 2와 같은 한국 콘텐츠도 미국 시장에서 큰 성공을 거둬
시청 행태의 변화
- 크리에이터 이코노미의 영향력이 TV 시장에서도 증가
- 클래식 시트콤은 여전히 인기가 있지만, 글로벌 시장과는 차이
- 스포츠 콘텐츠(예: WWE)의 스트리밍 플랫폼 이동이 주목받고 있음
오리지널은 넷플릭스
패럿애널리틱스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넷플릭스 오리지널은 미국 내 모든 플랫폼에서 가장 많은 수요를 차지했다. 넷플릭스 시리즈에 대한 수요 점유율은 9.5%로 올해 내내 상승했다. 지난해 12월 26일 공개된 오징어게임 시즌2 역시 공개되자 마자 글로벌 93개 국에서 1위를 차지했다.
NBC 콘텐츠는 미국 내 시리즈 수요의 5.5%를 차지하며 넷플릭스에 이어 수요 점유율 2위를 점유했다. 통상적으로 겨울 스포츠(농구, NFL)에 강한 NBC는 크리스마스 휴일 시즌에 강세를 보인다.
우리가 유심히 봐야하는 건 BBC 콘텐츠의 점유율 변화다. 2024년 3분기 미국 내 전체 시리즈 수요의 2.4%를 BBC 오리지널이 차지했다. 그러나 스트리밍 공세 속 점유율은 계속 하락하고 있다.
In Q3 2024, Netflix Originals were the most in-demand across all platforms in the U.S., according to Parrot Analytics. Netflix series had a 9.5% share of demand, which has increased throughout the year. Season 2 of The Squid Game, which premiered on December 26th of last year, also debuted at #1 in 93 countries globally.
NBC content accounted for 5.5% of series demand in the U.S., ranking second in demand share behind Netflix. NBC, which is typically strong in winter sports (basketball, NFL), is strong during the Christmas holiday season.
What we should keep an eye on is the changing share of BBC content. In Q3 2024, BBC Originals accounted for 2.4% of all series demand in the US. But its share continues to slip amid the streaming onslaught.
HBO의 하우스 오브 드래곤(house of the Dragon)은 8월 4일 시즌 2 피날레를 방영했다. 이에 2024년 3분기 미국(및 기타 여러 시장)에서 가장 수요가 많은 프로그램으로 선정됐다.
쉐인필드(Seinfeld)와 같은 ‘클래식 시트콤’은 여전히 인기가 좋았다 .
인기 시트콤 Seinfeld는 이번 분기에 미국에서 61번째로 수요가 많은 프로그램었다. 그러나 글로벌 시장에서는 인기가 없었다. 하지마, 시트콤이 미국에서 얼마나 장수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증거다.
넷플릭스가 올해(2025년)부터 방송하는 WWE Monday Night Raw도 톱 11위에 올랐다. 넷플릭스로 무대를 옮긴 뒤 얼마나 선전한 지도 관건이다.
HBO's House of the Dragon aired its season 2 finale on August 4. It was named the most in-demand program in the U.S. (and many other markets) in the third quarter of 2024.
"Classic sitcoms" like Seinfeld remained popular.
The popular sitcom Seinfeld was the 61st most in-demand program in the US this quarter. However, it wasn't as popular in global markets.
Never mind, it's a testament to the longevity of sitcoms in the US. WWE Monday Night Raw, which Netflix will start airing this year (2025), also made the top 11. It will be interesting to see how well it performs once it moves to Netfli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