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n Hollywood Shake Off Quibi's Ghost? A New Bet on Micro-Dramas(퀴비의 망령을 떨쳐낼 수 있을까... 할리우드, 마이크로드라마로 재도전)

시네버스-반얀벤처스, '마이크로코' 출시... AI 활용한 초단편 콘텐츠 플랫폼 구축

중국발 70억달러 시장 미국 상륙... "별도 앱 다운로드가 최대 걸림돌"

Cineverse-Banyan Ventures Launch 'MicroCo'

Building an AI-Powered Ultra-Short Content Platform

China's $7 Billion Market Lands in America.

"Separate App Downloads Remain the Biggest Hurdle"

할리우드에서 통용되는 금기어가 있다. ‘퀴비 같은 아이디어’. 이 말은 절대해서는 안되는 끔찍한 발상을 말한다. 퀴비(Quibi)가 이런 말의 대명사가 됐던 이유는 이 서비스가 2020년 불과 6개월 만에 14억 달러를 날리고 사라진 숏폼 동영상 스트리밍였기 때문이다.

그런데 5년이 지난 2025년 8월, 할리우드에서 다시 한 번 숏폼 콘텐츠 시장에 도전장을 내민 이들이 있다. 200만 달러로 제작한 호러영화 '테리파이어 3(Terrifier 3)'를 9,000만 달러 흥행작으로 만든 시네버스(Cineverse)와 할리우드 거물들이 모인 반얀벤처스(Banyan Ventures)는 '마이크로코(MicroCo)'라는 마이크로드라마 플랫폼을 출시한다고 발표했다.

마이크로 드라마(Micro Drama, Short Drama)는 이미 글로벌 현상이다. 중국에서는 이미 70억 달러 규모로 성장했다. 마이크로코는 1~3분짜리 초단편 드라마를  미국에 본격 도입하겠다는 야심찬 계획을 세웠다. 하지만 업계 전문가들은 "퀴비의 실수를 반복하지 않으려면 넘어야 할 산이 많다"고 지적한다.

Can Hollywood Shake Off Quibi's Ghost? A New Bet on Micro-Dramas

There's a forbidden phrase in Hollywood: "That's a Quibi-like idea." These words represent a terrible concept that should never be uttered. Quibi earned this dubious distinction after burning through $1.4 billion in just six months before shuttering in 2020 as a failed short-form video streaming service.

Yet in August 2025, five years later, some in Hollywood are once again challenging the short-form content market. Cineverse, which turned the $2 million horror film "Terrifier 3" into a $90 million box office success, and Banyan Ventures, a group of Hollywood heavyweights, have announced the launch of "MicroCo," a micro-drama platform. Micro-dramas are already a global phenomenon, having grown into a $7 billion market in China. MicroCo has ambitious plans to formally introduce 1–3-minute ultra-short dramas to the United States. However, industry experts warn that "there are many mountains to climb to avoid repeating Quibi's mistakes."

"이번엔 다르다" - 할리우드 베테랑들의 재집결

2025년 8월 13일 수요일 아침, 로스앤젤레스의 한 스튜디오. 네 명의 할리우드 거물들이 한자리에 모였다. ABC 엔터테인먼트와 야후 미디어 그룹을 이끌었던 로이드 브라운(Lloyd Braun), 쇼타임 전 사장 야나 위노그레이드, NBC유니버설 TV 전 회장 수잔 로브너, 그리고 시네버스(Cineverse) CEO 크리스 맥거크. 이들이 모인 이유는 퀴리가 실패한 그 자리에서 새로운 성공 신화를 쓰기 위해서였다.

"This Time Is Different" - Hollywood Veterans Reunite

On Wednesday morning, August 13, 2025, four Hollywood titans gathered at a Los Angeles studio: Lloyd Braun, former head of ABC Entertainment and Yahoo Media Group; Jana Winograde, former president of Showtime; Susan Rovner, former chairman of NBCUniversal TV; and Chris McGurk, CEO of Cineverse. They assembled to write a new success story where Quibi had failed.

로이드 브라운은 뉴욕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퀴비는 훌륭한 아이디어였다. 단지 실행이 엉성했고 타이밍이 나빴을 뿐”이라며  "그리고 무엇보다 AI가 없었다. 오늘날의 기술로 우리는 예외적으로 매력적인 비용으로 양질의 스토리를 전달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브라운이 이끄는  반얀벤처스와 시네버스는 이미 저가 프로젝트에서 큰 성과를 낸 바 있다. 시네버스는 2024년 10월, 단 200만 달러로 제작한 호러영화 '테리파이어 3'를 100만 달러도 안 되는 마케팅 비용으로 전 세계 9000만 달러 흥행작으로 만든 '마법'을 부렸다. 그 비결은 시네버스가 보유한 7만 1000개의 미디어 자산(팟캐스트, 영화, TV 시리즈)을 활용한 독특한 프로모션 네트워크였다.

In an interview with The New York Times, Lloyd Braun emphasized, "Quibi was a great idea. The execution was just sloppy and the timing was bad. And most importantly, there was no AI. With today's technology, we can deliver quality stories at an exceptionally attractive cost."

Braun's Banyan Ventures and Cineverse have already achieved significant success with low-budget projects. In October 2024, Cineverse worked "magic" by turning "Terrifier 3," produced for just $2 million, into a $90 million global box office hit with less than $1 million in marketing costs. The secret was Cineverse's unique promotional network leveraging 71,000 media assets (podcasts, films, TV series).

중국발 '마이크로드라마' 열풍의 미국 상륙

마이크로드라마는 최근 글로벌 엔터테인먼트 업계를 뜨겁게 달구고 있다. 1분에서 3분 길이의 초단편 에피소드로 구성된 연속극으로, 스마트폰 세로 화면에 최적화돼 있다. 한 시즌이 30개에서 150개 에피소드로 구성되는 이 콘텐츠는 '틱톡 시대의 비디오 로맨스 소설'이라 불린다.

중국에서 시작된 이 현상은 이미 70억 달러 규모의 거대 시장으로 성장했다. 릴쇼트(ReelShort), 드라마박스(DramaBox) 같은 중국계 앱들이 미국에 상륙하면서 수백만 명의 미국인들이 이미 이런 앱들을 다운로드했다. "마피아 킹에게 내 처녀성을 판다", "전 남친의 교수 아빠에게 임신당했다" 같은 자극적인 제목의 드라마들이 미국 시청자들을 사로잡고 있다.

출처 버라이어티

놀라운 것은 제작비다. 중국 회사들은 한 시즌 전체를 만드는 데 겨우 1만 5000달러(약 1950만 원)만 사용한다. 할리우드 기준으로는 상상도 할 수 없는 초저예산이다. 그럼에도 시청자들은 중독성 있는 스토리에 빠져 기꺼이 돈을 지불한다. 처음 몇 편은 무료로 보여주고, 결말이 궁금하면 돈을 내야 하는 '프리미엄(freemium)' 모델이 절묘하게 작동하고 있다. 브라운은 “이것은 엔터테인먼트에서 보기 드문 백지 상태다."며"새로운 글로벌 포맷인데 미국에는 아직 명확한 리더가 없죠." 애널리스트들은 2027년까지 중국 외 지역에서 이 시장이 100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한다.

The Chinese Micro-Drama Phenomenon Arrives in America

Micro-dramas are heating up the global entertainment industry. These serialized shows consist of ultra-short episodes lasting 1-3 minutes, optimized for vertical smartphone screens. With seasons containing 30 to 150 episodes, this content is dubbed "the video romance novel of the TikTok era."

This phenomenon, which started in China, has already grown into a massive $7 billion market. As Chinese apps like ReelShort and DramaBox land in America, millions of Americans have already downloaded these platforms. Shows with provocative titles like "Selling My Virginity to the Mafia King" and "Pregnant by My Ex's Professor Dad" are captivating American viewers.

The production costs are astonishing. Chinese companies spend just $15,000 to produce an entire season—an ultra-low budget unimaginable by Hollywood standards. Yet viewers willingly pay for addictive stories. The "freemium" model works brilliantly: show the first few episodes for free, then charge for the ending. Braun notes, "This is a rare blank slate in entertainment. It's a new global format, but there's no clear leader in America yet." Analysts predict this market will grow to $10 billion outside China by 2027.

AI가 바꾸는 콘텐츠 제작의 경제학

마이크로코가 퀴비와 결정적으로 다른 점은 AI의 활용이다. 퀴비는 분당 10만~12만 5000달러를 콘텐츠 제작에 쏟아부었다. 에피소드 하나가 10분이면 100만 달러가 넘는 제작비가 들어간 셈이다. 매일 25개의 새 에피소드, 약 3시간 분량을 공개하면서 돈을 물 쓰듯 했다.

반면 마이크로코는 AI를 활용해 제작비를 혁명적으로 줄일 계획이다. 특히 애니메이션 분야가 주목된다. 전통적인 TV 애니메이션 제작비는 분당 1만 5000달러에서 6만 달러. 하지만 반얀벤처스가 투자한 인텔리전트 애니메이션(Intelligent Animation)은 AI 지원 프로세스로 분당 1500달러까지 비용을 낮췄다. 10분의 1 수준이다.

그러나 사람의 터치를 강화한다. 위노그레이 CEO는 “모든 것에 인간의 손길이 있을 것”이라며 "하지만 기술은 계속 발전하고 있고, 우리는 합리적인 비용으로 훌륭한 스토리텔링을 하기 위해 가능한 최선의 방법으로 이를 사용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실제 할리우드에서 AI는 여전히 민감한 주제다. 2023년 작가조합과 배우조합 파업의 핵심 쟁점 중 하나가 AI였다. 크리에이티브 노동자들은 자신들이 기계에 의해 대체될 것을 우려한다. 하지만 마이크로코는 AI를 '대체'가 아닌 '보조' 도구로 활용하겠다는 입장이다.

시네버스는 인도에 100명 이상의 엔지니어를 고용하고 있으며, 스트리밍과 AI 기술에 대한 전문성을 보유하고 있다. 에릭 오페카 시네버스 대표는 "우리는 오늘날 마이크로드라마 공간에서 볼 수 있는 것보다 더 나은, 더 세련된 경험을 구축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자신했다.

AI Changes the Economics of Content Production

The crucial difference between MicroCo and Quibi is the use of AI. Quibi spent $100,000-125,000 per minute on content production. A 10-minute episode cost over $1 million. They burned through money releasing 25 new episodes daily, about 3 hours of content.

In contrast, MicroCo plans to revolutionarily reduce production costs using AI. Animation is particularly noteworthy. Traditional TV animation costs $15,000 to $60,000 per minute. But Intelligent Animation, backed by Banyan Ventures, has lowered costs to $1,500 per minute using AI-assisted processes—a tenth of the traditional cost.

Yet they emphasize the human touch. CEO Winograde stressed, "Everything will have a human touch. But technology continues to evolve, and we'll use it in the best possible way to tell great stories at a reasonable cost."

AI remains a sensitive topic in Hollywood. It was a key issue in the 2023 writers' and actors' strikes. Creative workers fear being replaced by machines. But MicroCo positions AI as an "assistant" rather than a "replacement" tool.

Cineverse employs over 100 engineers in India and has expertise in streaming and AI technology. Eric Opeka, Cineverse's president, expressed confidence: "We think we can build a better, more sophisticated experience than what you see in the micro-drama space today."

콘텐츠 전략: "3초 안에 긴장감, 23초 안에 중독"

마이크로코의 콘텐츠 철학은 명확하다. 쇼는 3초 이내에 극적 긴장감을 조성하고, 23초 이내에 시청을 계속하게 만드는 극적인 훅(hook)을 제공해야 한다. 모바일 환경에서 스크롤을 멈추고 시선을 사로잡기 위한 필수 조건이다.

"우리는 양질의 스토리텔링을 원한다. 하지만 프리미엄 텔레비전이 되려는 것은 아니다." 위노그레이드가 말했다. "가벼운 재미를 잃어버리는 것은 우리가 가장 하고 싶지 않은 일이다."

10월 초 합류 예정인 수잔 로브너 CCO(최고크리에이티브책임자)는 워너브라더스에서 22년간 일하며 '테드 라소', '가십걸', '더 플래시' 등을 성공시킨 그녀는 대중의 취향을 정확히 아는 전문가다. 시네버스가 보유한 7만 1000개의 기존 콘텐츠 중 일부를 마이크로드라마로 재탄생시키는 작업도 그녀가 주도할 예정이다.

Content Strategy: "Tension in 3 Seconds, Addiction in 23"

MicroCo's content philosophy is clear: shows must create dramatic tension within 3 seconds and provide a dramatic hook to keep viewers watching within 23 seconds. These are essential requirements to stop scrolling and capture attention in mobile environments.

"We want quality storytelling. But we're not trying to be premium television," Winograde said. "Losing the light fun is the last thing we want to do."

Susan Rovner, joining as CCO in early October, spent 22 years at Warner Brothers making hits like "Ted Lasso," "Gossip Girl," and "The Flash." She's an expert who knows exactly what audiences want. She'll also lead the transformation of some of Cineverse's 71,000 existing content pieces into micro-dramas.

퀴비의 교훈: "물고기가 있는 곳에서 낚시하라"

하지만 업계 전문가들은 마이크로코가 넘어야 할 산이 많다고 지적한다. 미디어 분석가 앤드루 월렌스타인은 최근 버라이어티에 발표한 분석에서 "마이크로코가 퀴비의 망령을 떨쳐내려면 반드시 피해야 할 실수가 하나 있다"고 경고했다.

퀴비의 가장 큰 실수는 소셜 미디어를 무시한 것이었다. 독립형 앱만으로 관객을 모으려 했고, 특히 구독료를 요구하면서도 틱톡이나 인스타그램 같은 곳에서 존재감을 드러내지 못했다. "물고기가 있는 곳에서 낚시를 해야 한다"는 기본 원칙을 간과한 것이다.

마이크로코는 이런 실수를 반복하지 않겠다고 한다. 하지만 여전히 사용자들이 콘텐츠를 완전히 보려면 별도의 앱을 다운로드해야 한다. 이미 틱톡, 인스타그램, 유튜브, 넷플릭스, 디즈니+ 등 수많은 앱에 지친 소비자들에게 또 하나의 앱을 요구하는 것은 높은 장벽이다.

더 큰 위협은 거대 플랫폼들이다. 만약 마이크로코가 어느 정도 성공을 거둔다면, 틱톡이나 유튜브가 직접 마이크로드라마 사업에 뛰어들 수 있다. 이들은 이미 수십억 명의 사용자와 막대한 자본, 최적화된 인프라를 갖추고 있다. "무시무시한 속도로" 시장을 장악할 수 있다.

Quibi's Lesson: "Fish Where the Fish Are"

Industry experts point out that MicroCo has many mountains to climb. Media analyst Andrew Wallenstein warned in a recent Variety analysis, "For MicroCo to shake off Quibi's ghost, there's one mistake they must avoid."

Quibi's biggest mistake was ignoring social media. They tried to gather audiences only through a standalone app and failed to establish a presence on platforms like TikTok or Instagram, especially while demanding subscription fees. They overlooked the basic principle: "Fish where the fish are."

MicroCo says it won't repeat this mistake. However, users still need to download a separate app to fully view content. For consumers already exhausted by countless apps like TikTok, Instagram, YouTube, Netflix, and Disney+, demanding another app is a high barrier.

The bigger threat comes from giant platforms. If MicroCo achieves some success, TikTok or YouTube could directly enter the micro-drama business. They already have billions of users, massive capital, and optimized infrastructure. They could dominate the market "at terrifying speed."

숨겨진 시나리오: 매각을 위한 포석?

마이크로코의 진짜 목표는 독립적인 성공이 아니라 거대 기업에 매각되는 것일 수도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많은 스타트업들이 '빌드 투 셀(build to sell)' 전략을 취한다. 시장의 가능성을 증명한 후 대기업에 비싼 값에 팔아넘기는 것이다.

"마이크로코가 정말로 영리하다면, 최선의 전략은 소셜 미디어 거대 기업 중 하나에 매각하는 것"이라고 월렌스타인은 분석했다. "그들이 직접 구축해야 하는 것보다 구매할 수 있는 무언가로 자신을 포지셔닝하는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마이크로코의 행보는 더 이해가 된다. 할리우드 거물들의 이름값으로 주목을 끌고, AI 기술력을 과시하며, 초기 성과를 만들어낸 후 적절한 타이밍에 엑시트하는 시나리오다.

마이크로드라마가 그렇게 좋은 사업 기회라면, 왜 디즈니나 워너브라더스 같은 기존 대형 스튜디오들은 뛰어들지 않는 걸까? 맥거크 CEO는 “엔터테인먼트 비즈니스는 지금 완전한 혼란 상태에 있다."며 "대형 스튜디오들은 야나, 로이드, 수잔이 테이블에 가져오는 것과 같은 정말 혁신적이고 멋진 새로운 아이디어를 보는 대신, 댐에 손가락을 넣어 물을 막으려고 바쁘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할리우드 메이저 스튜디오들은 스트리밍 전쟁으로 막대한 손실을 보고 있다. 최근  디즈니 등은 최근 흑자 전환에 성공했지만 누적 적자에 허덕이고 있다. 파라마운트 플러스의 모회사 파라마운트는 스카이댄스에 매각된 상태다. 새로운 실험을 할 여력이 없는 상황이다.

결론: "마이크로드라마보다 짧을 수도 있는 수명"

하지만 도전하지 않으면 아무것도 얻을 수 없다. 퀴비의 제프리 카첸버그도 실패했지만, 그 이전에는 드림웍스를 공동 창업해 할리우드 역사를 새로 쓴 인물이었다. 브라운과 그의 팀 역시 'Lost', '테드 라소' 같은 히트작을 만들어낸 검증된 인재들이다.

한 가지는 확실하다. 성공하든 실패하든, 마이크로코의 도전은 급변하는 미디어 환경에서 새로운 콘텐츠 형식이 어떻게 자리 잡을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실험이 될 것이다. 이울러 이 결과는 미래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방향을 가늠하는 이정표가 될 것이다.

The Hidden Scenario: Positioning for Acquisition?

MicroCo's real goal might not be independent success but acquisition by a major corporation. Many startups adopt a "build to sell" strategy—proving market potential then selling to a large company at a high price.

"If MicroCo is really smart, the best strategy would be to sell to one of the social media giants," Wallenstein analyzed. "Position themselves as something to buy rather than build."

From this perspective, MicroCo's moves make more sense: attract attention with Hollywood heavyweights' name value, showcase AI technology, create initial success, then exit at the right timing.

If micro-dramas are such a good business opportunity, why aren't major studios like Disney or Warner Brothers jumping in? CEO McGurk explains, "The entertainment business is in complete chaos right now. Major studios are busy putting fingers in the dam to stop the water, instead of looking at really innovative and cool new ideas like what Jana, Lloyd, and Susan bring to the table."

Indeed, Hollywood's major studios are suffering massive losses from the streaming wars. While Disney and others recently turned profitable, they're struggling with accumulated deficits. Paramount Plus's parent company Paramount has been sold to Skydance. They lack the capacity for new experiments.

Conclusion: "A Lifespan That Might Be Shorter Than a Micro-Drama"

But without trying, nothing can be gained. Jeffrey Katzenberg failed with Quibi, but before that, he co-founded DreamWorks and rewrote Hollywood history. Braun and his team are proven talents who created hits like "Lost" and "Ted Lasso."

One thing is certain: whether it succeeds or fails, MicroCo's challenge will be an important experiment showing how new content formats can establish themselves in the rapidly changing media environment. The results will serve as a milestone for gauging the future direction of the entertainment industry.

Newsletter
디지털 시대, 새로운 정보를 받아보세요!
1 이달에 읽은
무료 콘텐츠의 수

1 month 10,000 won, 3 months 26,000 won, 1 year 94,000 won

유료 구독하시면 비즈니스에 필요한 엔터테크 뉴스, 보고서, 영상 자료를 보실 수 있습니다(Subscribe to get the latest entertainment tech news, reports, and videos to keep your business in the know)

Powered by Bluedot, Partner of Mediasphere
닫기
SH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