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팝을 이긴 일본 애니메(The Japanese anime that beat K-pop

블룸버그 미디어 전문 기자 루카스 쇼(Lucas Shaw)가 글로벌 엔터테인먼트 미디어 전문가들에게 '만약 최대 10억 달러를 미국 외 콘텐츠에 투자할 수 있다면  어디에 돈을 쓸 것인가'를 물었다. (If you could invest up to $1 billion in one media industry outside the US, which would you pick?)

1위는 일본 애니메였고 2위는 라틴 뮤직이었다.

3위(51명 대답)는 한국의 K팝 콘텐츠였다.

K팝의 경쟁력이 K드라마나 예능을 앞선 것이다. K팝은 이제 글로벌 오디언스가 선택하는 장르가 됐다.

일본 애니메이션의 선전은 글로벌한 매력, 상대적으로 낮은 제작비, 스트리밍 붐, 잘 구축된 팬 커뮤니티, 검증된 지속 가능한 실적 등이 배경으로 자리잡고 있다.


라틴 음악은 "미국에는 이미 라틴 음악의 역사가 있으며 라틴 인구는 계속 증가할 것"이라고 블룸버그는 분석했다.

Bloomberg media reporter Lucas Shaw asked global entertainment media experts, "

If you could invest up to $1 billion in one media industry outside the U.S., which would you pick?


The number one answer was Japanese anime and the number two answer was Latin music.


In third place (51 answered) was Korean K-pop content. K-pop's competitiveness has surpassed that of K-dramas and entertainment.

K-pop is now the genre of choice for global audiences.


Anime's rise is driven by its global appeal, relatively low production costs, streaming boom, well-established fan communities, and proven sustainable track record.

As for Latin music, "the U.S. already has a history of Latin music, and the Latin population will continue to grow," Bloomberg analyzed.

팬이 아닌 시청자를 확보한 일본 애니메(There’s growth in casual anime viewers, but not core anime fans)

앞서 언급했듯 일본 애니메이션의 인기는 글로벌 스트리밍 서비스의 영향이 크다.

먼저 소니의 크런치롤(Crunchyroll)이라는 일본 애니메 전문 스트리밍 서비스가 강력하게 버티고 있다.

2021년 12억 달러에 소니가 인수한 크런치롤은 2025년 2,500만 명의 구독자(메가 상품 월 5,900원)를 목표로 하고 있다. 만약 계획대로 된다면 단일 장르 스트리밍으로는 가장 많은 구독자를 확보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에 넷플릭스, 디즈니, 프라임 비디오 역시 일본 애니메를 적극적으로 편성하고 있다. 글로벌 스트리밍 서비스들의 애니메 편성은 이 장르를 대중화시켰다. 골수 팬이 아닌 사람들에게도 일본 애니메를 익숙하게 만든 것이다.

As mentioned earlier, the popularity of Japanese anime is heavily influenced by global streaming services.


First, Sony's Crunchyroll, a streaming service specializing in Japanese anime, is holding strong.
Acquired by Sony in 2021 for $1.2 billion, Crunchyroll is aiming for 25 million subscribers by 2025 (5,900 yen per month for a mega deal). If all goes according to plan, it will have the most subscribers of any single genre streaming service.


In addition, Netflix, Disney, and Prime Video are also actively programming Japanese anime.

The global streaming services' inclusion of anime has popularized the genre. It's democratized the genre and made it accessible to people who aren't hardcore fans.

콘텐츠가 대중화되고 장르가 되는 순간이 여기 있다. 한국 K팝과 K드라마 역시 이런 과정을 거치고 있다. K팝 역시 글로벌 모든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즐길 수 있다.

There's a moment when content becomes popular and becomes a genre.

This is what happened to Korean K-pop and K-dramas. K-pop is also available on all streaming services globally.

애니메에서 배우는 K콘텐츠의 확산 전략 "지속 가능한 성적(proven sustainable track record)"

이런 점에서 K콘텐츠의 콘텐츠가 팬이 아닌 시청자를 확보하기 위해선 더 많은 스트리밍과 깊고 넓게 만나야 한다.

K콘텐츠를 전문 편성해 미주와 유럽에 서비스하고 있는 코코와가 골수팬(Core fan)을 끌어들이는 역할을 한다면 이를 대중화시키는 플랫폼은  넷플릭스(Netflix)나 디즈니+(Disney+)다. K콘텐츠의 안정적인 흥행 성적은 더 많은 글로벌 스트리밍을 끌어들이고 있다.

K콘텐츠의 생태계가 형성된다면 넷플릭스와 코코와는 공존할 수 있다. SBS가 최근 넷플릭스와 전략적 제휴를 맺은 것도  K 스트리밍 플랫폼의 쇠퇴를 말하는 아니다.

"A proven sustainable track record" is the strategy for spreading K-content at Animé


In this regard, K-content needs more streaming and deeper and wider reach to attract viewers who are not fans.


If Kokowa, which specializes in K-content and is available in the Americas and Europe, plays a role in attracting core fans, Netflix and Disney+ are the platforms that popularize it.

The stable box office performance of K-content is attracting more global streaming.


If an ecosystem of K-content is formed, it can coexist with Netflix and Koko. SBS's recent strategic alliance with Netflix is not a sign of the decline of K-streaming platforms.

Newsletter
디지털 시대, 새로운 정보를 받아보세요!
SH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