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콘텐츠 다음은 K플랫폼" K 미디어 플랫폼의 글로벌 성공 가능성을 보여주는 삼성 TV플러스(Next up for K-content is K-platform. Samsung TV Plus demonstrates the global success of K media platforms)

삼성전자의 FAST(Free Ad-supported TV, 광고 지원 무료 스트리밍) 서비스인 ‘삼성 TV 플러스(Samsung TV Plus)’가 미국에서 제공하는 채널을 무려 700개 가까이 확충하며 실시간 채널(Linear) TV 부문 1위에 올라섰다. 경쟁사가 평균 300개에서 500개 채널 서비스하는 것에 비하면 엄청난 차이다.

삼성전자는 보도자료를 내고 삼성TV플러스는 전 세계적으로도 3,500개 이상의 채널을 확보함으로써 FAST 시장에서 강력한 리더십을 발휘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 2015년 미국 시청자 대상으로 소규모 채널을 제공하는 서비스로 출발한 삼성 TV 플러스가, 이제 전 세계 30개국에서 수 천만 명의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독점·프리미엄 콘텐츠를 폭넓게 제공한다는 점은 의미가 크다.

특히 한국 기업이 글로벌 시장에서 독보적인 성과를 거두고 있다는 점에서 글로벌 K미디어 플랫폼의 성공 가능성 등 국내 미디어·광고·콘텐츠 업계에 새로운 기회를 시사한다.

Samsung TV Plus, a Free Ad-supported TV (FAST) service developed by the world’s leading TV brand, continues to make waves in the streaming industry. Having rapidly grown from a modest U.S.-based linear service into a global platform, Samsung TV Plus now boasts nearly 700 channels in the U.S. alone—making it the #1 linear offering in the country—and over 3,500 channels worldwide.

This achievement is particularly significant for the Korean market, highlighting how a Korean company’s convergence of hardware and software expertise can dominate the competitive global FAST arena.

삼성 TV 플러스, 미국에서 700개 가까운 채널로 1위 기록… 전 세계 3,500개 이상 채널 서비스

세계 1위 TV 브랜드(19년 연속)인 삼성전자 TV에 탑재된 무료 스트리밍 서비스 ‘삼성 TV 플러스’, 미국에서 FAST 플랫폼 중 가장 많은 약 700개 채널 제공
100개 이상의 독점 채널, 주요 엔터테인먼트 카테고리(라이브 스포츠, 음악, 어린이, 스페인어, K-콘텐츠, 수상 경력 영화, 인기 TV 쇼) 및 114개 DMA(미국 도시권 뉴스) 지역 뉴스 커버리지
2024년 월간 활성 사용자(MAU) 8,800만 명 달성, 2025년 1분기 시청 참여도 전년 대비 30% 이상 증가
주문형(VOD) 콘텐츠도 확대해 프로그램·영화 70% 이상 추가, 시청 시간은 전년 대비 177% 증가
글로벌 채널 수 3,500개 이상으로 확대, 30개국 시청자에게 서비스 중

Samsung TV Plus, the #1 streaming service¹ on the world’s #1 TV brand for 19 consecutive years² continues to set the industry benchmark for FAST (Free Ad-supported TV) with an unparalleled offering of nearly 700 channels now streaming in the U.S.—more than any of the other major FAST platforms³.

미국 시장 ‘NO.1 실시간 TV’ FAST 플랫폼

삼성 TV 플러스는 2024년 말 기준 월간 활성사용자(MAU) 8,800만 명을 돌파했고, 2025년 1분기 시청자 참여도(engagement)는 전년 대비 30% 이상 증가하며 성장세가 계속되고 있다. 특히 미국에서 제공하는 채널 수가 700개 가까이에 달해, 경쟁사가 제공하는 FAST 서비스보다 월등히 많다. (주요 경쟁 플랫폼 예: Pluto TV, Tubi, Roku Channel 등)

라이브·주문형 콘텐츠 강화

실시간 (Linear) 채널 투자 유지: 스포츠, 음악, 어린이, 스페인어, K-콘텐츠 등 다양한 장르에서 독점 채널 포함

주문형(VOD) 콘텐츠 확충: 기존 대비 70% 이상 더 많은 쇼·영화 추가, 시청 시간은 전년 대비 177% 증가

이러한 콘텐츠 강화와 서비스 확장은 광고주와 시청자 모두에게 매력적인 선택지를 제공하고, 삼성 TV 플러스의 시장 리더십을 공고히 하고 있다.

The curated line-up includes more than 100 exclusive channels and delivers a differentiated and expansive offering of premium entertainment across all key categories including live sports, music, kids, Spanish language, K-Content, award-winning films, and popular TV shows. Plus, comprehensive local news coverage in 114 DMAs that keeps audiences informed.

The ability of Samsung TV Plus to drive audience engagement at scale is undeniable. Announcing 88 million monthly active users in 2024, the service achieved record-breaking growth that continues in abundance today with engagement in Q1 2025 having surged by over 30% year-over-year.

In addition to continued investment in its linear offering, Samsung TV Plus has amplified its focus on on-demand and has added over 70% more shows and movies to its library, resulting in an impressive 177% year-over-year increase in hours viewed. While reaching new heights in the U.S., the Samsung TV Plus global service offering has expanded to include over 3,500 channels.

“유료 구독 필요 없는 모든 스트리밍”

삼성 TV 플러스는 10년 전 미국 시청자를 위한 몇 개의 선형 채널로 출발했다. 그러나 현재는 글로벌 30개국에서 독점·프리미엄 콘텐츠를 제공하는 FAST 서비스로 자리매김했다.

디즈니(Disney), 라이언스게이트(Lionsgate), 파라마운트(Paramount), A&E, NBC, 메이저리그 야구(MLB) 등 수십 개 대형 스튜디오·미디어 기업·스포츠 리그와의 파트너십이 구축되어, 수만 시간 분량의 엔터테인먼트 콘텐츠가 플랫폼에 꾸준히 추가되고 있다. 끊임없는 전달 방식(Delivery), 접근성(Accessibility), 개인화(Personalization) 개선 노력은 전 세계 수천만 사용자가 손쉽게 뛰어난 콘텐츠를 찾아보고 즐길 수 있게 만들었다.

살렉 브로드스키(Salek Brodsky), 삼성 TV 플러스 부사장 겸 총괄 매니저
“삼성 TV 플러스를 통해, 그 어떤 FAST 서비스도 따라올 수 없는 규모로 프리미엄 맞춤형 엔터테인먼트를 제공함으로써 스트리밍의 의미를 바꿔놓았습니다. 올해 우리는 더욱 수준 높은 콘텐츠와 풍성한 시청 경험, 다양한 프로그램 편성으로 시청자가 항상 특별한 무언가를 시청할 수 있도록 할 것입니다.”

Everything to Stream, No Subscription Required

What began nearly a decade ago as a small offering of linear channels for U.S. audiences has evolved into the industry’s leading FAST service – delivering exclusive and premium content to streamers in 30 countries around the globe.

A steady drumbeat of partnerships with dozens of major studios, media companies, and sports leagues – such as Disney, Lionsgate, Paramount, A&E, NBC and MLB – has brought tens of thousands of hours of entertainment to the platform, while continuous innovations in the delivery, accessibility and personalization of the service have enabled the seamless discovery and enjoyment of truly great content by tens of millions of users worldwide.

“With Samsung TV Plus, we’ve transformed what streaming can be by offering premium, personalized entertainment at a scale no other FAST service can match,” said Salek Brodsky, Senior Vice President and General Manager at Samsung TV Plus. “This year, we’re deepening that commitment by delivering even more high-quality content, richer viewing experiences, and greater variety of programming to ensure audiences always have something exceptional to watch.”

광고주가 원하는 ‘핵심 타깃’ 확보

삼성 TV 플러스는 Z세대, 밀레니얼, X세대, 18~49세 등 광고주들이 가장 중요한 고객층으로 꼽는 다양한 시청자 그룹에 인기가 높다. 이는 대규모 도달 범위를 원하는 브랜드와 콘텐츠 제작자에게 매력적인 플랫폼으로 작용한다.

삼성 Ads의 혁신적 광고 솔루션:

Contextual Audience Collectives: 가장 인기 있는 콘텐츠 장르 기반으로 시청자 세그먼트를 구성해, 광고 집행 효율을 극대화

인터랙티브 쇼퍼블(shoppable)·액션형 광고: 실제 구매나 행동을 유도할 수 있도록 설계된 광고 경험 제공

마이클 스콧(Michael Scott), 삼성 Ads 광고 영업·운영 담당 부사장
“삼성 TV 플러스의 탄탄한 콘텐츠 라인업은 당사의 AI 기반 콘텍스트 광고와 결합하여, 광고주들이 가장 원하는 시청자층에 도달할 기회를 확대해 줍니다. 브랜드와 에이전시는 브랜드 친화적이고 적절한 환경에서 시청자와 심도 있게 교감하며, 측정 가능한 성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삼성 디바이스’ 최적화된 스트리밍 앱

삼성 TV 플러스는 삼성 스마트TV 등 삼성 기기에서 기본 제공되는 1위 스트리밍 앱이다 삼성은 2025년을 맞아, 삼성은 이미 높은 시청 몰입도를 자랑하는 이용자 기반을 바탕으로 ‘고품질 콘텐츠 + 직관적 사용자 경험’을 더욱 강화하고, 더 다채로운 스트리밍 경험을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Samsung TV Plus

All the Audiences Brands Love
In addition to its unmatched reach, Samsung TV Plus is popular among key advertiser demographics – including Gen Z, Millennials, Gen X, and 18-49–resonating with both brands and content producers looking to effectively reach audiences at scale.

Samsung Ads’ innovative ad solutions allow brands to capitalize on high impact moments across the consumer journey, from reaching audiences with Contextual Audience Collectives built around top-performing content genres, to interactive shoppable and actionable ad experiences designed to drive outcomes.

According to Michael Scott, Vice President and Head of Ad Sales and Operations for Samsung Ads, “Samsung TV Plus’ robust content offering delivers even more opportunities for advertisers to reach their most desirable audiences by powering our AI-driven contextual offering. With Samsung TV Plus, brands and agencies can connect with their most important audiences in relevant, brand-safe environments to yield deeper connections and measurable outcomes.”

As the #1 streaming app on Samsung devices, Samsung TV Plus is in a unique position to connect and enrich advertisers, content creators, and viewers. 2025 is about building on Samsung’s fertile landscape for engaged audiences with high-quality content, thoughtful and intuitive user experiences, and even more ways to discover and consume the best streaming has to offe

K 플랫폼의 성공 가능성'은 FAST에서 확인

한국 기업의 글로벌 미디어 영향력 강화
글로벌 시장 조사 회사 암페어(Ampere)가 넷플릭스 시청 데이터를 조사한 결과 한국 콘텐츠는 현재 전 세계에서 가장 널리 수출되고 소비되는 콘텐츠 중 하나임을 확인됐다.

조사에 따르면 2023년 이후 한국 콘텐츠는 총 시청 시간에서 미국 콘텐츠에 이어 2위를 기록했으며, 넷플릭스 전체 시청 시간의 8~9%를 꾸준히 차지하며 영국 콘텐츠의 7%~8%, 일본 콘텐츠의 4%~5%를 앞질렀다.
현재 넷플릭스에서 가장 인기 있는 미국 외 국가 프로그램 및 영화 상위 500개 중 한국은 85개(17%)를 차지하고 있다.

오징어 게임: 시즌2는 2024년 하반기 6억 1,990만 시간의 스트리밍을 기록하며 넷플릭스 글로벌 차트에서 1위를 차지했으며, 로맨스 드라마 '옆집의 연애'와 요리 리얼리티 쇼 '요리 수업 전쟁' 등 다른 한국 콘텐츠의 시청률을 계속해서 끌어올리고 있다. 이에 앞서 '오징어 게임: 시즌 1', '눈물의 여왕: 시즌 1', ;사랑의 불시착' 등도 글로벌 시장을 뒤흔든 바 있다.

K Platform's chances of success' at FAST

Ampere's analysis of Netflix viewing data confirms that South Korean content is now consistently among the most widely exported and consumed content globally. Since 2023, South Korean content has been second only to US content for total viewing hours recorded, and consistently represents 8%-9% of viewing hours on Netflix, ahead of UK content at 7%-8%, and Japanese content at 4%-5%.

South Korea currently accounts for 85 (or 17%) of the top 500 most popular non-US shows and films on Netflix. While Squid Game: Season 2 topped Netflix’s global charts in H2 2024, with 619.9m hours streamed, its success continues to drive viewership for other South Korean content, including Romance Drama Love Next Door and Cooking Reality show Culinary Class Wars. Previous hits such as Squid Game: Season 1, Queen of Tears: Season 1, and Crash Landing on You also continue to be widely watched across the globe.

Ampere Analysis Insights
ampere

삼성 FAST의 성공은 한국에게 두 가지 의미를 가진다.

먼저 K 미디어 플랫폼의 성장 가능성이다. K콘텐츠를 글로벌 오디언스에게 전달하는 '콘텐츠 미디어 플랫폼'이 생존을 넘어 성공할 수 있다는 이야기다.

넷플릭스가 미국 플랫폼이라는 점을 모르는 사람 없다는 점에서 K플랫폼에 대한 강조는 불리하지 않다. 물론 현지화와 AI를 통한 개인화 서비스 제공은 기본이다.

K콘텐츠에 비해 이를 담아 나르는 스트리밍 등 K미디어 플랫폼의 글로벌 점유율은 미미했던 것이 사실이다.  K콘텐츠가 글로벌 시장에서 최고 절정에 올랐지만 유통 플랫폼은 넷플릭스 등 글로벌 미디어가 장악해왔다. K콘텐츠의 글로벌 성과를 글로벌 플랫폼이 독식했다는 의미다.

미주 지역과 유럽 등 글로벌 72개 지역에 서비스하는 코코와(Kocowa)를 제외하면 글로벌 콘텐츠 스트리밍 플랫폼은 전문한 상태다. 영화, TV 플랫폼은 물론이고 음악, 오디오 등 다른 포맷의 콘텐츠 유통 플랫폼도 마찬가지다. 웹툰이 디지털 만화로 불리면서 선전하고 있지만 아직은 초기 시장이다.

그러나 FAST는 K콘텐츠를 글로벌 오디언스에 전달하는 K 엔터테인먼트 테크 플랫폼으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는 정도로 성장했다. 삼성TV플러스는 글로벌 FAST 플랫폼에서도 높은 경쟁력을 증명하고 있다. 이는 국내 기업이 하드웨어뿐 아니라 소프트웨어·콘텐츠 분야에서도 세계 시장을 선도할 잠재력이 있음을 시사한다.

두 번째는 K콘텐츠를 넘어 차세대 스트리밍 시장에서의 성공 가능성이다.  글로벌 스트리밍 시장은 무료와 유료가 동시 발전하는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다. 닐슨이 매달 집계하고 있는 스마트TV 시청 점유율 게이지(Gauge)의 3월 자료에 따르면 스트리밍 서비스의 점유율은 43.8%로 역대 최대였다. 이 중 유튜브(12%), 로쿠 채널(FAST, 2.2%), 투비(1.9%, FAST) 등으로 FAST를 포함한 무료 스트리밍 플랫폼도 역대 최대 전성기를 누리고 있다.

The Gauge™: March Madness Lifts Cable, Streaming Competition Grows as Seasonal Trends Take Effect | Nielsen

이 관점에서 무료 스트리밍 서비스 1위 플랫폼인 FAST와 이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삼성 TV플러스는 메이저 미디어 플레이어로의 성장이 가능하다. 넷플릭스의 3억 명 구독자에는 못미치지만 월간 활성 이용자가 9,000만 명에 가깝다는 것은 규모의 경제 플랫폼을 이미 구축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삼성 디바이스에서 소비되는 특성 상 닐슨의 스마트TV 시청 점유율에는 상대적으로  불리한 측면에서 있지만 삼성 스마트TV의 확장과 함께 삼성 TV플러스 FAST의 성장 속도도 빠르다.  

ARF 조사에 따르면 삼성 스마트TV는 6,780만 대가 보급돼 다른 경쟁사를 압도하고 있다. 삼성 스마트TV의 점유율은 32%로 미국 가구의 3분의 1이 삼성전자 TV를 사용하고 있다는 의미다. LG전자의 스마트TV(FAST, LG Channels)까지 포함하면 K FAST플랫폼의 점유율은 더욱 높아진다. (2025년 1분기  미국 TV households 기준)

스마트TV 등 기기 중심이 아닌 스트리밍 OS 기준으로는 삼성전자(타이탄 OS)와 LG전자는 로쿠에 아직 밀린다.(Interviewing 5,001 U.S. consumers ages 16-74 for its Connected Home report, Hub)  

그러나 글로벌 미디어 플랫폼 시장이 스마트TV로 재편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삼성전자의 스마트TV와 이에 탑재되는 TV플러스의 점유율 확대는 시간 문제로 보인다. TV플러스는 삼성의 스마트 기기(스마트폰, 스마트워치, 가전) 등에는 모두 탑재된다.

In terms of streaming OS that are not device-centric, such as smart TVs, Samsung (Titan OS) and LG Electronics (Roku) still lag behind (Interviewing 5,001 U.S. consumers ages 16-74 for its Connected Home report, Hub).
However, given that the global media platform market is being reorganized toward smart TVs, it is only a matter of time before Samsung's smart TVs and their accompanying TVPlus take over. TVPlus is available on all of Samsung's smart devices (smartphones, smartwatches, and home appliances).

K 미디어 플랫폼의 글로벌 성장 가능성을 FAST에서 찾을 수 있는 것이다.

FAST is where the global growth potential of K-media platforms can be found.

FAST와  K콘텐츠의 상생 가능성 '새로운 시너지'

삼성 FAST의 글로벌 확장은 한국 시장에도 큰 의미를 지닌다.

앞서 언급한 삼성 TV플러스를 타고 K콘텐츠가 글로벌 오디언스에 전달되는 단계를 넘어 K콘텐츠와 K FAST가 서로의 장점을 주고 받으면서 두터운 'K미디어 플랫폼 생태계'를 만드는 단계다.

앞서 언급했듯 광고 기반 무료 스트리밍 서비스가 미국 등 선진 시장을 중심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FAST시장 성장 전망
출처 버라이어티

이는 한국 시장에서도 유사 플랫폼의 활성화를 앞당길 수 있으며, 국내 업체들이 FAST 모델을 도입·확장하는 데 참고할 만한 성공 사례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2025년 4월 기준 삼성 TV플러스는 미국, 유럽, 아시아 등 글로벌 30여 개국에 진출해 있으며 계속 확장되고 있다.

특히, 삼성 TV 플러스가 K-콘텐츠 등 다양한 장르를 강조하고 있어, 국내 콘텐츠 제작자와 스튜디오가 글로벌 시장에 진출하는 새로운 통로로 활용할 수 있다. 삼성 TV플러스는 글로벌 대표 K팝 시상식인 '2024 마마 어워즈'(2024 MAMA AWARDS)를 글로벌 시장에 생중계하기도 했다.

K콘텐츠가 FAST와 같은 ‘광고 지원 무료 스트리밍’ 포맷과 결합하면 해외 시청자 유입을 더욱 늘릴 수 있다는 점도 기대된다. 이는 유료 기반인 넷플릭스와는 또 다른 확장성을 지닌다.

광고주·마케팅 분야의 성장 가능성
광고주 입장에서 디지털 미디어 플랫폼인 삼성 TV 플러스는 글로벌 사용자를 대상으로 정교한 타겟팅 광고 캠페인을 전개할 수 있는 기회다. 국내 광고주나 에이전시들도 미국·유럽 등 해외 공략을 위해 FAST 플랫폼을 적극 고려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글로벌 스마트TV 광고 시장은 빠르게 레거시 광고를 점유하고 있다.

미국 TV 및 연결된 TV(CTV) 광고 지출(연도별) 단위는 십억 달러(USD)

연도TV 광고 지출연결된 TV(CTV) 광고 지출전체 광고 지출
202165.6617.3082.96
202266.6420.6987.33
202360.3824.6084.98
202460.5630.1090.66
202557.7134.3092.01
202657.0238.2495.26
202754.7442.4497.18

Potential Synergy Between FAST and K-Content: “A New Form of Collaboration”

The global expansion of Samsung’s FAST service holds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the Korean market. More than just delivering K-content to worldwide audiences through Samsung TV Plus, this signals a move toward a stage where K-content and K-FAST platforms can mutually reinforce each other—ultimately building a robust “K-media platform ecosystem.”

As noted earlier, ad-supported free streaming services are experiencing rapid growth in advanced markets such as the United States.

This trend could accelerate the adoption of similar platforms in Korea, providing local businesses with a blueprint for introducing and expanding the FAST model. As of April 2025, Samsung TV Plus is active in more than 30 countries across North America, Europe, and Asia, with further expansion ongoing.

Samsung TVPlus also broadcast the 2024 MAMA AWARDS, the world's leading K-pop awards show, live to global markets.

Notably, Samsung TV Plus places particular emphasis on K-content, among other genres. This creates a new channel for domestic production houses and studios seeking to reach international audiences. When combined with a format like FAST (ad-supported free streaming), K-content can draw in even more viewers overseas—a potential that differs from paid subscription models such as Netflix.

Growth Potential in Advertising and Marketing
For advertisers, Samsung TV Plus—positioned as a digital media platform—offers opportunities for highly targeted global advertising campaigns. Korean advertisers and agencies may increasingly consider FAST platforms as a way to reach audiences in the United States, Europe, and beyond, thereby expanding their marketing footprint worldwide.

참고: 삼성 TV 플러스의 경쟁 우위와 전망

채널 수·콘텐츠 다양성: 미국 시장에서 700개 가까운 채널 제공은 경쟁사 대비 압도적인 규모다. Pluto TV나 Tubi 등도 많은 채널을 보유하지만, 삼성 TV 플러스는 자사 하드웨어(스마트 TV)에 기본 탑재되는 강점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

고속 성장세: 월간 활성사용자(MAU, 2024년 말 8,800만 명 돌파) 및 시청 참여도가 급증하고, 주문형 콘텐츠 시청 시간도 크게 늘면서 시장 확장에 긍정적인 사이클을 형성 중이다.

광고 기술과 사용자 데이터: 삼성 Ads가 제공하는 AI 기반 타겟팅 솔루션은 광고주에게 브랜드 세이프티와 높은 성과 지표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이는 향후 광고 매출 증대에 중요한 역할을 할 전망이다.

미국을 넘어 글로벌 30개국에 서비스하면서 3,500개 이상의 채널을 확보한 삼성 TV 플러스의 행보는, FAST 플랫폼 경쟁 구도에서 확실한 리더십을 보여준다. 한국에서는 아직 FAST 서비스가 본격적으로 대중화되지 않았지만, 글로벌 선행 사례로서 삼성 TV 플러스가 국내 미디어 업계에 주는 시사점은 분명 크다.

Significance for the Korean Market

Korean Technology & Global Influence: Samsung’s 19-year streak as the top global TV brand underscores Korea’s hardware manufacturing excellence. Now, Samsung TV Plus demonstrates that Korean companies can also excel in software-driven platforms and digital content distribution, elevating Korea’s status in global media tech.

Potential Growth of FAST in Korea: While FAST platforms are well-established in the United States, they remain in the early stages in Korea. Samsung TV Plus’s success story may encourage local media companies, networks, and advertisers to explore or develop similar ad-supported free streaming models in the Korean market.

Boost for K-Content Exports: Samsung TV Plus explicitly highlights K-Content within its lineup, reflecting worldwide interest in Korean entertainment. As more Korean studios and independent creators look to globalize their offerings, FAST platforms can serve as a direct gateway to international audiences, bypassing some traditional licensing hurdles.

Comparison with Other FAST Platforms

Samsung TV Plus is competing with well-known FAST services such as Pluto TV (Paramount), Tubi (Fox), The Roku Channel (Roku), and Freevee (Amazon). However, it has several distinct advantages:

Massive Channel Count: Nearly 700 channels in the U.S. alone—beyond what most rivals currently offer.

Global Reach: Over 3,500 channels in 30 countries, surpassing many region-bound competitors.

Hardware Integration: Samsung TV sets come preloaded with Samsung TV Plus, giving it a built-in user base from the outset.

Strong Partnerships: Collaborations with major studios and sports leagues (e.g., Disney, Lionsgate, MLB) ensure robust, diverse, and continuously updated content.

These attributes position Samsung TV Plus favorably in a crowded FAST market, where consistent content acquisition, user interface improvements, and effective advertising solutions are key differentiators.

Key Growth Drivers

Expanded Content Library: A 70% increase in on-demand content and a broad range of channels keep audiences coming back.

Global Audience Engagement: Over 88 million monthly active users in 2024, with Q1 2025 engagement up more than 30% year-over-year.

Sophisticated Advertising Tools: Samsung Ads’ AI-based contextual solutions and shoppable ads give advertisers highly flexible and measurable ways to reach target demographics.

Brand & Viewer Synergy: By attracting Gen Z, Millennials, Gen X, and the 18-49 segment, Samsung TV Plus hits the sweet spot for ad buyers. Meanwhile, viewers enjoy top-tier shows and movies without subscription costs.

Outlook

In 2025 and beyond, Samsung TV Plus aims to broaden its FAST ecosystem with deeper investments in premium content, innovative ad formats, and strategic partnerships that continually enhance user experience. For Korean advertisers, media companies, and consumers, this success story offers both a blueprint and a strategic opportunity to participate in an emerging global market trend

Newsletter
디지털 시대, 새로운 정보를 받아보세요!
SH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