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디 영화와 로스앤젤레스의 상생, 그리고 한국 영화계에의 시사점(How Indie Film and Los Angeles Can Help Each Other — and What It Means for Korean Cinema)


최근 한국 영화산업은 OTT 시장의 급성장, 대형 스튜디오 위주 투자, 그리고 코로나19 이후의 제작 환경 변화로 대규모 프로젝트에 집중되는 경향이 두드러지고 있다. 그러나 관객들의 취향이 다양해지고, 새로운 스토리텔링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면서, 중소 규모의 인디 영화에 대한 관심도 함께 커지고 있다. 미국의 할리우드 중심지인 로스앤젤레스(LA) 역시 대형 블록버스터 이탈 속에서 인디 영화가 새로운 돌파구로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흐름은 한국 영화계에도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이 기사는 버라이어티가 게재한 분석 기사를 참고해 작성됐다.


The Korean film industry has recently been leaning toward large-scale projects due to the rapid expansion of OTT platforms, major studio investments, and post-pandemic production challenges.

However, with audiences diversifying and seeking new storytelling experiences,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smaller-scale indie films as well. Meanwhile, in Los Angeles—often regarded as the heart of Hollywood—indie film has emerged as a potential lifeline amid the exodus of big-budget blockbusters. This shift carries meaningful implications for the Korean film sector, too.

This article was adapted from an analyst article published by Variety.

인디 영화와 로스앤젤레스의 상생, 그리고 한국 영화계에의 시사점

1. 위기 속에서 발견한 희망의 조짐

최근 들어 로스앤젤레스(LA)의 영화·TV 산업을 둘러싼 소식은 부정적인 내용 일색이다. 2023년 1분기 LA 지역의 촬영 건수는 전년 동기 대비 22% 줄었고, 이는 지난 5년 평균치와 비교해도 33% 이상 감소한 수준이다. 대형 미디어 기업들의 스트리밍 전략 재편, 코로나19 팬데믹 이후의 제작 지연, 거시경제적 압박 등 여러 요소가 겹치며 LA의 촬영 건수는 급감했다.

그러나 지난 3월, 캘리포니아 필름 커미션(California Film Commission)이 발표한 영화 세액공제 프로그램 승인 결과에서 한 가지 의미 있는 신호가 포착되었다. 무려 51편의 영화 프로젝트가 세액공제 대상에 선정되었고, 이는 단일 신청 기간으로는 사상 최대 규모다. 캘리포니아 주지사 개빈 뉴섬(Gavin Newsom)은 “이번 결정이 많은 스태프들과 지역 비즈니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내비쳤다.

물론 승인 건수가 많아졌다고 해서 곧바로 LA 제작 시장이 전성기로 돌아가는 것은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프로젝트들이 로컬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고, 특히 독립영화(인디 영화) 섹터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1. Glimmers of Hope in a Time of Crisis

The film and TV industry in Los Angeles (LA) has been surrounded by bleak headlines. In Q1 2023, on-location productions in LA dropped 22% year-over-year, down more than 33% compared to the five-year average. Major media companies’ evolving streaming strategies, lingering production delays post-COVID-19, and broader economic pressures have all contributed to this steep decline.

Yet, a noteworthy development emerged in March when the California Film Commission announced its latest round of tax credit allocations: 51 film projects were approved for the program, marking the largest single-application tally in the program’s history. California Governor Gavin Newsom expressed optimism, saying the initiative would “help support thousands of local jobs and businesses.”

While an increase in approved projects doesn’t automatically herald a return to LA’s former production heights, these new undertakings could inject some vitality into the local economy—particularly in the independent film (indie) sector.

2. 대형 텐트폴 영화의 이탈과 인디 영화의 부상

버라이어티는 최근 LA지역 제작 트렌드를 분석했다. 캘리포니아 필름 커미션이 최근에 승인한 51편 중 46편은 인디 영화 프로젝트이며, 특히 이들 가운데 43편은 예산 규모가 1,000만 달러 이하이다. 2020년부터 예산 규모를 추적하기 시작한 이래, 1,000만 달러 미만 인디 영화의 비중이 이렇게까지 높았던 적은 없었다. 2023~2024 회계연도 전체(여러 차례의 신청 기간을 포함)로 보면, 80% 이상이 1,000만 달러 이하 예산의 인디 영화다.


1억 달러 이상 영화 제작지(2018~2025) 분석

순위지역제작 건수
1영국 및 아일랜드65
2미국 조지아 주30
3미국 로스앤젤레스26
4캐나다17
4호주 및 뉴질랜드17
6미국 뉴욕10

영국 및 아일랜드가 65편으로 압도적으로 많은 1억 달러 이상 예산 영화의 촬영지로 선정되어, 글로벌 블록버스터 제작의 중심지임. 조지아(미국)가 30편으로 2위를 기록했는데, 이는 세제 혜택 등 정책적 지원 효과로 해석

로스앤젤레스(26편), 캐나다(17편), 호주·뉴질랜드(17편)도 주요 대형 영화 제작지로 자리잡고 있음. 뉴욕은 10편으로 상대적으로 적지만 여전히 주요 로케이션 중 하나.


한편, 1억 달러 이상의 제작비가 투입되는 ‘텐트폴’ 영화들은 세액공제나 인프라 면에서 더욱 매력적인 조지아주나 영국 등지로 빠져나가고 있다. 2018년부터 2025년까지 제작·개봉되었거나 예정된 1억 달러 이상 규모의 영화 136편 중, LA에서 촬영한 경우는 26편에 불과하다. 그나마도 LA를 ‘주 촬영지’로 활용하기보다는 다른 지역에서 촬영한 후 보조적으로 활용하는 사례가 대다수다.

즉, 이번에 승인된 다수의 프로젝트는 ‘할리우드 블록버스터’가 아닌, 상대적으로 예산이 작은 인디 영화가 중심을 이루고 있다. 이는 큰 폭발적 경제 효과로 이어지진 않겠지만, 어느 정도의 일자리 창출과 지역 경제 활성화에는 도움이 될 전망이다. 캘리포니아 필름 커미션에 따르면 이번 승인을 통해 약 6,500개의 일자리와 3억4,700만 달러의 임금이 발생할 것으로 추산된다.

2. The Flight of Big Tentpoles and the Rise of Indie Films

Of the 51 newly approved projects by the California Film Commission, 46 are indie films, and 43 of those have budgets of $10 million or less. According to commission data since 2020, the percentage of sub-$10 million indie projects has never been higher. Across the 2023–2024 fiscal year, over 80% of the projects receiving tax credit approval are indie films with budgets under $10 million.

Meanwhile, tentpole productions with budgets exceeding $100 million increasingly opt for locations like Georgia or the U.K., where tax incentives and infrastructure often prove more favorable. Between 2018 and 2025, of 136 films with budgets over $100 million, only 26 filmed even partially in LA. Most used the city merely as a secondary location rather than a primary shooting site.

In other words, rather than heralding a wave of Hollywood blockbusters, LA’s new projects are predominantly indie. This may not generate the same massive economic impact as tentpole productions, but it can still create meaningful jobs and bolster the local economy. The California Film Commission estimates that these approved projects will bring about 6,500 jobs and $347 million in wages.

3. LA 시 정부의 규제 완화 움직임

이런 상황에서 LA는 인디 영화계를 적극 지원함으로써 상대적 침체에 빠진 지역 영화·TV 산업을 조금이나마 부양할 기회를 맞이했다. 이미 LA 시의회에서는 로스앤젤레스 내 복잡한 제작 허가 절차와 높은 비용을 완화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허가 비용: 현재 FilmLA(로컬 촬영 허가 기관)에서 촬영 허가증을 발급받으려면, 7일 간 최대 5개 장소에서 촬영 가능한 퍼밋 한 건에만 900달러 이상의 비용이 든다. 여기에 장소 사용료, 안전 비용, 인력 충원 등을 포함하면 인디 영화에게는 상당한 재정적 부담이 된다.

인력 부족: 시 공무원 인력이 모자라 허가 심사나 안전 점검이 지연되는 경우도 발생한다.

일관성 없는 안전 규정: 작은 규모의 프로젝트라도 다른 지역·기관 간 규정이 달라 일관되게 대응하기 어렵다.

LA 시의회 의원 아드린 나자리안(Adrin Nazarian)은 “관료적 절차와 비싼 수수료, 일관성 없는 안전 규정은 인디 영화 제작자들이 LA를 떠나도록 만드는 주요 원인”이라며 개선을 위한 결의안을 제출했다. 이러한 조치가 시행된다면, 이미 캘리포니아 주 차원의 세액공제 확대가 추진되는 시점에서, 인디 영화에게 매력적인 촬영 환경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캘리포니아 영화 세액공제 수혜작 예산 분포(2020~2025) 분석

2020-21년: 비독립영화(대형 상업영화)가 69%로 가장 많음.

2021-22년: 43%가 1,000만 달러 이하 독립영화, 25%가 1,000만 달러 초과 독립영화, 32%가 비독립영화.

2022-23년/2023-24년: 1,000만 달러 이하 독립영화가 각각 57%로 비중이 커짐.

2024-25년: 1,000만 달러 이하 독립영화가 81%로 압도적 비중을 차지함.


3. LA City Government’s Move to Ease Production Hurdles

Against this backdrop, LA has a chance to support the indie film scene and reinvigorate its local film and TV industry. LA’s City Council has already initiated discussions on reducing the complex and costly permitting process for film productions.

Permit Costs: FilmLA, the city’s official film office, charges over $900 for a single permit covering up to five locations over seven consecutive days. Additional fees for location rental, safety measures, and crew often pile on, creating a steep financial burden for indie productions.

Lack of Personnel: Limited municipal staffing can delay permit approvals and safety inspections, further complicating shoots.

Inconsistent Regulations: Smaller productions often grapple with inconsistent safety requirements and regulations across different areas and agencies.

Councilmember Adrin Nazarian introduced a motion emphasizing that “bureaucratic permitting processes, high and often unnecessary fees, and a lack of consistent safety standards” are driving indie filmmakers away from LA. If these issues are addressed—especially in conjunction with the state’s proposed expansion of tax credits—indie filmmakers may find LA a far more appealing place to shoot.

4. 인디 영화와 LA의 상생 모델

최근 캘리포니아의 영화 세액공제는 대형 상업영화보다 저예산 독립영화에 더 많이 배분되고 있다. 자료에 따르면 2024-25년에는 1,000만 달러 이하 독립영화가 세액공제 수혜작의 80% 이상을 차지해, 정책이 소규모 제작 지원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대규모 제작비가 투입되는 할리우드 블록버스터가 대거 돌아오지 않는 한, LA의 영화·TV 산업이 단기적으로 과거 수준으로 회복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인디 영화를 포함한 중소 규모 프로젝트라도 늘어난다면, 다음과 같은 긍정 효과가 기대된다.

일자리 창출: 대형 프로젝트에 비하면 기간이나 인원이 적지만, 다수의 인디 프로젝트가 동시에 진행되면 제작 스태프, 기술 인력, 로컬 비즈니스(장비 대여, 음식, 숙박 등) 등 다양한 분야에 분산된 고용 효과가 발생한다.

다양성: 예산이 큰 블록버스터 위주에서 벗어나, 다양한 장르와 실험적인 작품이 만들어질 수 있다. 이는 도시의 문화적 풍요를 높이고, 영화제를 통한 관광 자원 확보에도 도움을 준다.

인프라 강화: 더 많은 프로젝트가 모일수록 스튜디오, 장비 렌탈, 후반작업 시설 등의 관련 인프라가 다양하게 확충·유지될 수 있다.

결국 인디 영화 프로젝트 유치와 관련 규제 완화 조치는 단순히 ‘규모가 작은 프로젝트’에 대한 배려가 아니라, 침체된 지역 영화·TV 산업을 어느 정도 지탱해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4. A Symbiotic Model for Indie Film and LA

It’s unlikely that LA will match the production levels of its heyday unless major tentpole films return en masse. Still, a boost in small to mid-budget films can yield several benefits:

Job Creation: While indie films operate on shorter schedules and smaller crews, a collective increase in such projects can lead to a notable uptick in jobs across various support industries (equipment rentals, catering, lodging, etc.).

Diversity: Moving beyond big-budget blockbusters opens the door to diverse genres and experimental projects. This enriches the city’s cultural landscape and can attract film festival tourism and other cultural events.

Infrastructure: A higher volume of projects helps sustain local studios, rental services, and post-production facilities, maintaining a robust production ecosystem.

In short, policies that attract indie projects could stabilize an otherwise struggling local film and TV industry.

5. 한국 영화·영상 업계에 미치는 영향

LA가 인디 영화에 우호적인 환경으로 변화한다면, 한국 영화나 드라마 산업에도 몇 가지 시사점이 있다.

글로벌 공동 제작 기회

이미 한국의 대형 스튜디오나 제작사가 할리우드 메이저 스튜디오와 협력하는 사례는 많지만, 상대적으로 예산 규모가 작더라도 뛰어난 기획력과 독특한 스토리를 가진 한국 제작사들이 ‘인디+글로벌’ 모델을 시도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

LA 지역에서 진행하는 인디 프로젝트에 한국 기업이 투자나 공동 제작 형태로 참여한다면, 한류 콘텐츠의 저변을 넓히고, 다양한 장르와 포맷에서 실험을 해볼 수 있다.

촬영 인프라 교류

LA가 인디 제작자들에게 더 매력적인 환경이 된다면, 한국에서도 상업영화만큼이나 인디 영화 제작 기반을 강화하려는 움직임이 있을 수 있다.

한국 지자체나 필름커미션 역시 외국 촬영팀을 유치하기 위해 세액공제, 허가 절차 간소화 같은 제도를 더욱 적극적으로 추진할 수 있다는 자극을 받을 것이다.

한국의 크리에이티브 인력 진출

LA가 인디 중심으로 활성화되면, 한국의 젊은 크리에이터나 영화 인력(감독, 시나리오 작가, 촬영·편집 기사 등)이 현지 프로젝트에 참여할 기회가 늘어날 가능성도 있다.

이를 통해 글로벌 감각을 익히고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될 수 있다.

5 Implications for the Korean Film and Media Industry

If LA becomes a more indie-friendly location, several lessons and opportunities emerge for Korea:

Global Co-Productions

While many major Korean studios already collaborate with Hollywood majors, smaller studios with strong concepts and distinctive storytelling could partner with indie producers, aiming for a “global indie” model.

Korean companies could invest in, or co-produce, indie films in LA, broadening the reach of Korean content and experimenting with new genres and formats.

Infrastructure Exchange

As LA lowers barriers for indie producers, Korea might also intensify its efforts to nurture indie filmmaking infrastructure at home.

Municipalities and film commissions in Korea could adopt similar incentives or streamlined processes to attract foreign shoots and stimulate local filmmaking.

Opportunities for Korean Creative Talent

An indie-focused LA could open doors for Korean filmmakers, writers, and crew to work on international productions, enriching their global perspective and professional network.

Such cross-pollination can elevate the creative standards within the Korean industry as returning talent bring back global insights.

6. 결론: 작은 변화가 만드는 긍정적 파급 효과

LA 영화·TV 제작 건수의 감소는 이미 수년간 지속되어 왔고, 대형 텐트폴 영화의 본격적인 복귀를 기대하기는 쉽지 않다. 그러나 캘리포니아 주 정부 차원의 세액공제 확대와 LA 시의 제작 허가 절차 개선 노력은 인디 영화라는 새로운 돌파구를 만들 수 있는 중요한 계기가 되고 있다.

인디 영화 제작 환경이 개선되면, 중소 규모 제작사가 활력을 얻고, 그에 따라 다양한 창의적 콘텐츠가 생산될 가능성이 커진다. 이는 LA 지역에 새로운 일자리와 경제적 기여를 창출할 뿐 아니라, 나아가서는 한국 영화 및 영상 업계에도 다양한 협업과 교류의 길을 열어줄 수 있다.

결국, “인디 영화와 LA의 상생”은 현 상황을 완전히 뒤집는 해결책이라기보다, 위기를 이겨낼 작은 불씨가 될 것이다. 이 불씨가 어떻게 확산되고, 어떤 식으로 글로벌 콘텐츠 시장을 변화시킬지는 앞으로의 정책적 노력과 업계의 적극적인 참여에 달려 있다.

6. Conclusion: Small Changes with Significant Ripple Effects

Production levels in LA have been on a downward trajectory for several years, and a swift resurgence of large-scale tentpole projects seems unlikely. However, California’s enhanced tax incentives and the LA City Council’s push to simplify filming processes present indie film as a possible lifeline.

An environment more conducive to indie filmmaking could invigorate smaller production companies and fuel a broader range of creative content. This not only benefits the LA region by creating jobs and revenue but also opens new avenues for international collaboration—Korea included.

Ultimately, the synergy between indie film and LA may not single-handedly reverse all the industry’s challenges, but it could serve as a crucial spark to help weather the storm. How that spark spreads and reshapes the global content market will largely depend on forward-thinking policies and the enthusiastic participation of creators and investors alike.

Newsletter
디지털 시대, 새로운 정보를 받아보세요!
1 이달에 읽은
무료 콘텐츠의 수

1 month 10,000 won, 3 months 26,000 won, 1 year 94,000 won

유료 구독하시면 비즈니스에 필요한 엔터테크 뉴스, 보고서, 영상 자료를 보실 수 있습니다(Subscribe to get the latest entertainment tech news, reports, and videos to keep your business in the know)

Powered by Bluedot, Partner of Mediasphere
닫기
SH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