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는 줄고 오피스 관리 일자리는 버틴다. 프리랜서 시장을 뒤흔들고 있는 생성AI(Fewer writers, more office admin jobs. How gen AI is disrupting the freelance market)

생성 AI 도입, 온라인 프리랜서 시장 흔들까?”

최근 공개 연구(CESifo 워킹페이퍼, 2024년 10월 발표)에 따르면, ChatGPT·이미지 생성 AI(Midjourney, DALL·E 등) 같은 생성 AI가 본격적으로 도입된 이후 온라인 프리랜서 시장에서 특정 업종의 구인 공고가 두드러지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2021년 7월부터 2023년 사이, 전 세계 61개국 약 54만 명 이상의 고용주가 올린 122만 건의 프리랜서 구인 공고(예: Upwork, Fiverr 등)를 분석했다. 그리고 필요한 기술·업무 내용을 기준으로 다음과 같이 세 그룹으로 분류했다.

  1. 자동화 위험 직군: 글쓰기(Writing), 소프트웨어·앱·웹 개발, 엔지니어링
  2. 이미지 생성 활용 직군: 그래픽 디자인, 3D 모델링
  3. 수작업 중심 직군: 데이터·오피스 관리, 오디오·비디오 서비스

이후 ChatGPT 출시(2022년 말~2023년 초)와 이미지 생성 AI 보급 시점을 기준으로 전후 비교를 진행했는데, 결과적으로 자동화 위험 직군이 가장 큰 폭으로 하락했다. 반면, 그래픽 디자인·3D 모델링 역시 AI 활용이 늘면서 감소세를 보이긴 했으나, 데이터·오피스 관리, 오디오·비디오 서비스 등은 상대적으로 구인 감소가 제한적이었다. AI로 일자리 감소 수준 차이는 모두 인간의 개입 여부였다.

글쓰기나 코딩처럼 규칙에 기반한 반복 작업은 AI를 활용해 자동화하기 쉽다. 이러한 작업들은 정형화된 패턴과 구조를 따르기 때문에 AI가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AI는 코드 작성, 테스트 자동화, 버그 탐지 등 반복적인 코딩 작업을 수행하며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반면, 물리적 작업이나 현장성이 요구되는 데이터 관리 및 오피스 업무, 그리고 창의적 감각이 필요한 영상 편집 등은 자동화 수준이 아직 제한적이다. 영상 편집(Video Services)에서 AI는 색상 조정, 장면 선택 등 일부 반복 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지만, 창의적인 스토리텔링이나 감정적 깊이를 표현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또 협업과 커뮤니케이션이 중요한 작업에서는 인간의 직관과 판단력이 필수적이며, AI는 이를 완전히 대체하기 어렵다.

“Is Generative AI Shaking Up the Online Freelancing Market?”

A recent study (published as a CESifo Working Paper in October 2024) finds that the rise of generative AI—including tools like ChatGPT, Midjourney, and DALL·E—appears to be disrupting certain sectors of the global freelancing market. Researchers analyzed around 1.22 million job postings on major freelance platforms (e.g., Upwork, Fiverr) from July 2021 to 2023, covering 61 countries and involving 541,828 employers.

The study categorized job postings based on required skills, creating three broad groups:

High-Automation-Risk Roles:

Writing (e.g., blog posts, article creation)

Software/App/Web Development

Engineering

Image-Generation-Related Roles:

Graphic Design

3D Modeling

Manual- or Onsite-Intensive Roles:

Data/Office Management

Audio Services

Video Services

By comparing job posts before and after two key milestones—the launch of ChatGPT (late 2022 to early 2023) and the proliferation of image-generation AI tools—the researchers observed notable declines in “automation-prone” categories such as writing and coding, whereas more hands-on roles were less dramatically affected.

1. 가장 큰 타격: ‘자동화 위험 직군’

  1. 글쓰기(Writing)
  • ChatGPT 출시 전후: 2.23 → 1.74 (로그 스케일 기준 약 30~40% 감소)
  • 이미지 생성 AI 도입 전후: 2.23 → 1.74 (동일)
    초급 수준의 기사·블로그 콘텐츠 작성, 짧은 카피라이팅 업무가 AI로 대체되면서 글쓰기 관련 구인이 현저히 줄었다고 볼 수 있다.
  1. 소프트웨어·앱·웹 개발
  • 출시 전후: 3.59 → 3.23
  • AI 도입 전후: 3.59 → 3.23
    코딩 보조 AI(GitHub Copilot 등)와 함께 자동화 범위가 넓어지면서, 단순 개발이나 디버깅 위주 작업이 줄어든 것으로 추정된다.
  1. 엔지니어링(Engineering)
  • 출시 전후: 1.10 → 0.86
  • AI 도입 전후: 1.10 → 0.86
    엔지니어링은 절대 공고 수는 많지 않지만 감소 비율은 높은 편이다. 복잡한 계산이나 도면 검토 업무를 AI가 보조하면서 초급 엔지니어 채용이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자동화가 가능한 업무가 많은 직군들은 ChatGPT, 코드·문서 자동생성 툴 등으로 인력 수요가 빠르게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버라이어티

1. Sharp Declines in High-Automation-Risk Work

Writing (Content Creation)

Before ChatGPT: Log scale ~2.23

After ChatGPT: Log scale ~1.74
According to the study, entry-level writing assignments—such as basic article production or short marketing copy—are increasingly handled by AI, leading to a 30–40% decrease in related job listings.

Software / App / Web Development

Before ChatGPT: 3.59

After ChatGPT: 3.23
With the rise of AI-powered coding assistants (e.g., GitHub Copilot), routine programming or bug fixes can be automated, reducing the need for junior-level freelancers.

Engineering

Before ChatGPT: 1.10

After ChatGPT: 0.86
Even though the total number of engineering posts is smaller, the relative decrease was significant. Automated tools can assist with complex calculations and design checks, reducing entry-level engineering hires.

Overall, any role that follows repetitive or well-defined patterns—such as drafting textual content, coding standard routines, or running technical calculations—can be partially automated by AI, leading to fewer freelance openings in these areas.

2. ‘이미지 생성 활용 직군’: 그래픽 디자인·3D 모델링도 하락세

  1. 그래픽 디자인
  • 출시 전후: 3.05 → 2.69 (약 0.36 로그 포인트 하락)
    포스터·배너·카드뉴스같이 반복적 디자인 업무를 AI가 1차 시안을 생성해주면서, 디자이너가 투입되는 공수가 줄어든 것으로 해석된다.
  1. 3D 모델링
  • 출시 전후: 1.81 → 1.49 (약 0.32 포인트 감소)
    2D 이미지를 3D로 변환해주는 AI 기술이 늘면서, 단순 모델링 작업이 감소하는 추세다.

고급 일러스트나 복잡한 3D 디자인·시각효과처럼 창의적 아이디어정교한 기획이 필요한 분야는 여전히 인간 전문가의 역량이 중요하다. 따라서 단순 작업은 줄어도, 차별화된 역량을 가진 디자이너나 3D 아티스트는 시장에서 여전히 각광받을 수 있다.

2. Image-Generation Roles: Graphic Design and 3D Modeling Also Affected

Graphic Design

Before ChatGPT: 3.05

After ChatGPT: 2.69
Tools like Midjourney or Stable Diffusion generate quick, high-quality mockups or templates, cutting down on the time needed for simpler graphic tasks. Designers may see fewer entry-level postings but can still thrive in advanced, creative projects.

3D Modeling

Before ChatGPT: 1.81

After ChatGPT: 1.49
Growing AI capabilities in 2D-to-3D conversion reduce basic modeling tasks. However, specialized 3D artists remain in demand for more intricate designs and visual effects.

3. ‘수작업 중심 직군’: 상대적으로 감소폭 제한

  1. 데이터·오피스 관리
  • 출시 전후: 2.08 → 1.84
  • AI 도입 전후: 2.13 → 1.88
    서류 정리, 엑셀 입력, 일정 관리 등은 여전히 현장적·단순 반복 요소가 많아 완전 자동화가 쉽지 않다.
  1. 오디오(Audio) 서비스
  • 출시 전후: 0.63 → 0.56
  • AI 도입 전후: 0.64 → 0.57
    녹음·편집·더빙 작업이 일부 AI 기술(TTS, 음성합성)로 보조되긴 하지만, 감성적 표현이나 실제 음원 편집은 사람 손이 필요하다.
  1. 비디오(Video) 서비스
  • 출시 전후: 1.26 → 1.19
  • AI 도입 전후: 1.31 → 1.17
    영상 편집 툴은 발전하고 있으나, 후반 작업에서의 크리에이티브한 편집·이펙트 적용은 여전히 수작업 비중이 크다.

이런 업종들은 자동화가 제한적이어서 구인 공고가 비교적 ‘천천히’ 줄어드는 모습이다.

3. Manual / Onsite-Intensive Roles: Relatively Smaller Decreases

Data / Office Management

Before ChatGPT: 2.08 → After ChatGPT: 1.84

Before Image AI: 2.13 → After Image AI: 1.88
Office work such as data entry, spreadsheet management, and scheduling often involves physical or on-site components, making full automation more challenging. Demand in this area dropped, but at a slower pace.

Audio Services

Before ChatGPT: 0.63 → After ChatGPT: 0.56

Before Image AI: 0.64 → After Image AI: 0.57
While AI-driven voice synthesis and editing tools can assist with tasks like narration or voice-overs, human nuance and creativity remain critical. The decline here is modest.

Video Services

Before ChatGPT: 1.26 → After ChatGPT: 1.19

Before Image AI: 1.31 → After Image AI: 1.17
Basic editing can be automated, but creative storytelling and complex post-production still need human expertise. Overall demand dipped but not as drastically as in high-automation areas.

4. 왜 이런 차이가 날까?

  • 자동화·AI 적용 범위 차이:
    글쓰기나 코딩처럼 일정 규칙에 따라 “반복 생산”이 가능한 작업은 AI로 대체하기 수월하다. 반면 물리적 작업, 현장성이 필요한 데이터·오피스 관리나 전문적 감각을 요하는 영상 편집은 자동화 수준이 아직 제한적이다.
  • 시장 재편 속도:
    디자인·개발처럼 원격 협업이 쉬운 분야는 AI 툴이 등장하면 곧바로 적용 가능해, 프리랜서 수요 변화가 비교적 빨리 나타난다.
  • 업무 복잡도·창의성:
    단순 반응형 업무는 감소세가 크지만, 창의력이나 상호 소통이 중요한 업무는 대체가 어려워 시장에서 유지된다.

4. Why Are Some Roles Hit Harder Than Others?

Scope for Automation

Text-based or code-based tasks follow predictable structures, making it easy for AI to handle them.

In contrast, tasks requiring physical presence or intricate collaboration (e.g., office coordination, advanced video editing) are harder to automate.

Speed of Market Restructuring

Fields like design or coding already rely on online collaboration, so new AI tools have a rapid impact on job postings.

Areas that require in-person work adapt more slowly.

Complexity and Creativity

Standardized, repetitive tasks face the steepest declines, while roles that rely on innovation, creativity, or interpersonal communication remain more resilient.

5. 앞으로의 전망과 자성(自省)

  1. 단순 업무 vs. 고부가가치 업무
  • 줄어드는 업종:
  • 기초 글쓰기(콘텐츠 양산), 단순 코딩, 반복적 그래픽 작업 등은 이미 AI가 생산성을 크게 높이고 있어 구인 건수가 눈에 띄게 감소하고 있다.
  • 피해가 적은 업종:
  • 물리적·현장성이 필요한 데이터·오피스 관리, 오디오·비디오 제작 등은 일정 부분 AI가 보조하더라도 완전 대체가 어렵다.
  1. “인력이 필요 없어진다”가 아니라 “업무가 바뀐다”
  • 생성 AI가 각종 업무를 빨리 처리해주면, 프리랜서 입장에서는 “양적” 일자리가 줄어드는 동시에, “질적” 역량을 요구하는 프로젝트가 증가할 수 있다.
  • 예컨대 코딩도 단순 자잘한 스크립트 작성 대신 설계·아키텍처 기획에 초점을 맞춰야 살아남을 가능성이 높다. 디자인도 AI가 초안을 뽑아주면, 디자이너는 콘셉트 기획이나 최종 컨펌에 집중할 수 있다.
  1. “숙련 인력 소수화” vs. “새로운 기회”
  • 단순 작업이 줄어듦에 따라 초급 인력이나 처음 시장에 뛰어드는 사람들이 진입 장벽을 느낄 가능성 커진다.
  • 그러나 AI 활용 능력 자체가 새로운 기회가 될 수도 있다. 생성 AI를 효율적으로 다루고, 창의적 결과물을 만들어낼 수 있는 ‘AI 활용 전문가’가 앞으로 중요한 경쟁력이 될 것으로 보인다.

생성 AI 기술은 “단순 업무를 대체”하면서도 “새로운 가능성”을 동시에 열어주고 있다. 프리랜서 시장에서는 ‘대체당할’ 위험이 높은 업무가 빠르게 사라지는 대신, 고부가가치 업무창의적·복합적 역량을 갖춘 일을 찾는 수요가 오히려 늘어날 수 있다.

  • 글쓰기·소프트웨어 개발, 그래픽 디자인 등은 AI를 활용한 업무 자동화로 인해 구인이 상당히 줄어들고 있어, 해당 분야 프리랜서들은 더 높은 수준의 역량을 개발해야 한다.
  • 수작업이나 현장성이 필요한 분야(데이터 정리·오디오·비디오 등)는 감소 폭이 제한적이지만, 이미 부분 자동화가 시작되고 있으므로 AI 활용 능력이 여전히 중요하다.

5. Looking Ahead: Rethinking the Freelance Landscape

Shifts in Supply and Demand:

Declining Fields: Simple text generation, routine coding, repetitive graphic design.

Less Affected Fields: Data management, audio/video production—though partial automation is still happening.

Not “No More Jobs,” But “New Kinds of Jobs”

As AI handles the basics, freelance work is moving toward higher-level projects requiring complex thinking and strategic planning.

For instance, developers may focus more on software architecture or advanced problem-solving, while designers devote their efforts to conceptual and branding work.

“Fewer Juniors, More Specialists”

Entry-level workers might feel squeezed out if simple tasks disappear.

Yet AI-proficient freelancers—who can leverage tools to produce creative or high-value outcomes—could gain a competitive edge. Knowing how to direct and refine AI outputs is becoming a sought-after skill.

결국 “AI가 인간을 완전히 대체한다”기보다는, “프리랜서 시장에서 요구되는 업무와 역량이 달라진다”고 보는 편이 적절하다. 앞으로도 생성형 AI 기술이 빠르게 업그레이드되면서, 더 전문적이고 창의적인 분야로 옮겨갈 수 있는 능력이야말로 프리랜서들의 핵심 생존 전략이 될 것으로 보인다.

Conclusion

Gen AI is transforming the freelance economy, displacing or reducing jobs where tasks can be easily automated—particularly writing, coding, and routine design. Conversely, hands-on or creatively complex roles see smaller decreases. Rather than eliminating human work entirely, AI is reshaping skill requirements. Freelancers may need to invest in:

Advanced technical or creative capabilities

Collaboration and communication skills

Proficiency in AI tools to stand out in a changing marketplace.

As generative AI continues to evolve, remaining adaptable and focusing on high-value, innovative tasks will be key for freelance professionals seeking to navigate—and thrive in—this new landscape.

Newsletter
디지털 시대, 새로운 정보를 받아보세요!
1 이달에 읽은
무료 콘텐츠의 수

1 month 10,000 won, 3 months 26,000 won, 1 year 94,000 won

유료 구독하시면 비즈니스에 필요한 엔터테크 뉴스, 보고서, 영상 자료를 보실 수 있습니다(Subscribe to get the latest entertainment tech news, reports, and videos to keep your business in the know)

Powered by Bluedot, Partner of Mediasphere
닫기
SH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