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llywood Revival Signals: Best Quarter in Over a Year from Reform Discussions Alone (할리우드 세액 공제 정책 기대감으로 제작 최고 실적 달성)
세액공제 2배 확대·허가절차 간소화 등 연이은 조치로 제작사들 복귀 움직임
수십 년간 이어진 정책 공백과 무관심 끝에, 캘리포니아 주정부와 로스앤젤레스 시·카운티가 할리우드를 되살리기 위한 사상 최대 규모의 영화·TV 제작 유치 개혁에 전례 없는 속도로 나서고 있다. 눈에 띄는 점은, 세액공제 확대와 규제완화 등 실질적 개혁 조치가 시행되기도 전에 ‘정책 변화’에 대한 강력한 의지 천명만으로도 이미 1년 만에 최고 실적을 기록하며 침체일로였던 제작 현장이 활기를 되찾고 있다는 점이다. 이처럼 정부의 명확한 정책 신호와 의지 표명이 산업 생태계를 근본적으로 바꿀 수 있음을 실증한 LA의 변화는, 글로벌 콘텐츠 경쟁력 강화를 모색하는 전 세계 문화산업 정책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Hollywood Revival Signals: Best Quarter in Over a Year from Reform Discussions Alone
Tax Credit Doubling, Streamlined Permits Drive Production Company Returns
Policy Intent Alone Proves Industry Ecosystem Can Change—Lessons for K-Content Strategy
After decades of policy inaction, California state government and Los Angeles are attempting to bring back production companies that fled Hollywood through a series of sweeping reforms. With Governor Gavin Newsom's tax credit expansion passing, LA County's permit process streamlining, and Mayor Karen Bass's deregulation executive orders rolling out, the most surprising development is that LA has already achieved its best quarterly performance in over a year based solely on reform discussions.
This demonstrates that policy intent alone can transform industry ecosystems, offering important insights for Korea as it seeks to strengthen K-content's global competitiveness. The case particularl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accurately analyzing substantial recovery trends hidden beneath surface statistics.
주·카운티·시 3단계 동시 개혁 추진
최근 LA에서는 개빈 뉴섬(Gavin Newsom) 주지사의 세액공제 확대안 통과와 LA 카운티의 허가 절차 간소화, 카렌 베스(Karen Bass) 시장의 규제 완화 행정명령 등 제작 산업을 살리기 위한 구체적 조치들이 쏟아지고 있다.
캘리포니아 주의회는 지난달 뉴섬 주지사가 제안한 영화·TV 세액공제를 두 배 이상 확대하는 안을 통과시켰다. 이는 조지아와 루이지애나 등 다른 주들의 공격적 세제 혜택에 맞서는 전략적 판단으로, 수십 년간 지속된 제작 유출 문제에 대한 주 차원의 적극적 대응책이다.
그로부터 2주 남짓 후 LA 카운티 감독위원회는 카운티의 복잡하고 관료적인 영화 촬영 허가 절차를 간소화하는 방안을 만장일치로 승인했다. 이 조치는 제작사들이 오랫동안 가장 크게 불만을 제기해온 행정적 걸림돌을 제거하려는 노력의 핵심이다.
여기에 LA 시의회 내에서 진행 중인 시 허가 절차 개선 노력과 베스 시장이 각 시 부서에 관료적 장벽을 줄이라고 지시한 행정명령까지 더해져, 주정부-카운티-시가 모두 할리우드 제작 생태계 회복을 위해 전례 없는 협력을 보이고 있다.
역사적 최저점에서 반등 신호 포착
이러한 개혁 움직임의 배경에는 암울한 현실이 자리 잡고 있다. 할리우드 시와 LA 카운티의 공동 영화 사무소인 필름LA(FilmLA)의 데이터에 따르면, 최근 분기에서 제작 활동이 역사적 최저치까지 떨어진 상황이다.
한때 세계 영화 산업의 중심지였던 할리우드는 지난 수년간 높은 세금과 복잡한 규제, 치솟는 제작비용으로 인해 다른 주와 해외로 떠나는 제작사들을 막지 못했다. 넷플릭스(Netflix) 같은 메이저 스트리밍 플랫폼들조차 비용 절감을 위해 다른 지역으로 제작 기지를 이전하는 상황까지 벌어졌다.
숨겨진 회복세, 데이터 재분석이 밝혀낸 진실
하지만 데이터를 자세히 들여다보면 완전히 다른 그림이 드러난다. 필름LA의 최신 분기별 데이터 보고서들은 주로 "2024년 같은 분기 대비 총 로케이션 촬영일수 6.2% 감소"나 2025년 1분기 대비 소폭 증가를 강조했지만, 이는 표면적 수치에 불과했다.
지역 내 허가받은 영화, TV, 광고 촬영을 추적하는 필름LA의 대표 수치에는 "스틸 사진 촬영, 학생 영화, 다큐멘터리, 단편 영화, 온라인 콘텐츠, 뮤직비디오와 산업용 비디오" 등이 포함된 광범위한 "기타(Other)" 카테고리가 있다. 그야말로 양적 성작인 셈이다.
이러한 소규모 제작들을 제외하고 순수한 영화·TV 제작만 따져보면, 2025년 2분기는 2024년 같은 분기 대비 실제로는 1% 조금 넘게 증가했다. 더 중요한 것은 이것이 2024년 1분기 이후 LA 최초의 연속 촬영일수 증가를 기록했다는 점이다. 2023년 노조 파업 이후 재개된 다수 촬영으로 부풀려진 2024년 1분기를 제외하면, 이는 2022년 3분기 이후 처음 있는 일로 근 3년 만의 의미 있는 회복세다.

TV 촬영 급증이 이끈 회복세
이번 증가는 TV 촬영일수 급증에 힘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TV 촬영일수는 전 분기 대비 30% 이상, 2024년 2분기 대비로는 17% 증가했다. 흥미롭게도 필름LA에 따르면 2,200일이 넘는 촬영일수 중 캘리포니아 세액공제 혜택을 받은 "인센티브" 촬영은 단 75일에 불과했다. 이는 예산 증액 이후 크게 늘어날 가능성이 높은 수치다.
TV 제작의 지속적 상승세는 LA 지역 업계에게 최상의 시나리오다. 시리즈는 영화 촬영에 비해 제작진들에게 더 지속적인 일자리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2분기 영화 촬영일수는 2024년 2분기 대비 20% 이상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최근 주 세액공제 승인을 받은 새로운 영화 프로젝트들이 줄을 이었다.

또 주목할 점은 필름LA에 따르면 2025년 2분기 지역에서 촬영된 모든 영화가 저 예산 독립 제작 작품이었다는 사실이다. 한편 캘리포니아 영화위원회의 최신 세액공제 수혜 명단에는 42편의 독립영화가 새로 추가됐으며, 이 중 36편이 1000만 달러 미만 예산으로 제작된다.
실제로 2024-25 회계연도(6월 30일 종료)에 주 세액공제 승인을 받은 프로젝트의 80% 이상이 1000만 달러 미만 독립영화였다. 이는 영화위원회가 2020년부터 예산 추적을 시작한 이래 가장 높은 비율이자 가장 많은 수치(84편)다.
기대 심리가 만든 선순환, 정책 효과의 사전 신호
이러한 변화가 실제 정책 시행 이전에 나타난 것은 더욱 주목할 만하다. 업계 전문가들은 할리우드 제작 시스템 개혁에 대한 기대감 자체가 제작사들의 투자 결정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제작사들이 향후 개선될 제작 환경을 기대하며 LA 복귀를 고려하기 시작했을 수 있다는 분석이다. 영화 산업은 장기 계획이 필요한 분야라는 점에서, 미래에 대한 확신이 현재의 투자 결정에 직접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 입증된 셈이다.
이는 정책 변화가 실제 효과를 나타내기까지 시간이 걸린다는 점을 고려할 때, 매우 고무적인 신호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정부의 명확한 정책 의지 표명만으로도 산업 생태계가 변화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이기 때문이다.
새로운 LA 제작 시대의 시작
이 같은 상황은 새로운 LA 제작 시대가 이미 시작되었을 가능성과 고전을 면치 못하는 이 지역의 미래가 어떨지를 시사한다.
대규모 스튜디오 영화들이 대거 LA로 돌아올 가능성은 낮지만, 현재 진행 중인 개혁들과 이러한 노력에 대한 창작 커뮤니티의 열정이 소규모 및 중간 규모 제작을 도시에서 되살리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TV와 독립영화 제작이 이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는 사실은 이것이 매우 현실적인 가능성임을 시사한다.
피크 TV 시대의 전성기는 다시 돌아오지 않을 것이라는 점은 분명하다. LA 영화·TV 촬영일수는 2021년 3분기 7,500일 이상으로 정점을 찍었지만 2025년 2분기에는 3,400일에 그쳤다. 지역 업계는 과거에 비해 축소된 상태로 남을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수년간 거의 연속적인 악재만 있었던 상황에서 어떤 희망적 신호든 사막의 물과 같은 존재다.
K-콘텐츠 정책에 주는 교훈
이번 할리우드 사례는 K-콘텐츠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모색하는 한국에게도 다층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첫째, 정부의 명확하고 구체적인 정책 의지 표명의 중요성이다. 뉴섬 주지사의 세액공제 확대안이나 베스 시장의 규제 완화 행정명령처럼, 한국도 문화콘텐츠 산업 육성을 위한 보다 적극적이고 가시적인 정책 신호를 보낼 필요가 있다.
둘째, 세제 혜택과 규제 간소화의 실질적 효과다. 한국의 영화·드라마 제작사들도 복잡한 허가 절차와 높은 제작비용 문제를 지속적으로 호소해왔다. LA의 개혁 사례는 이러한 구조적 문제 해결의 구체적 방향을 제시한다.
셋째,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간 긴밀한 협력의 필요성이다. 캘리포니아 주와 LA 시·카운티가 보여준 3단계 협력 모델은 한국의 문화콘텐츠 정책에도 직접 적용할 수 있는 모범 사례다.
넷째, 데이터의 정확한 해석과 소통 시스템의 중요성이다. 필름LA 사례에서 보듯 표면적 수치만 보고 판단하면 실제 변화의 조짐을 놓칠 수 있다. 한국도 콘텐츠 산업 현황을 정확히 파악하고 이를 업계 및 정책 입안자들과 효과적으로 소통하는 체계적 시스템이 필요하다.
다섯째, 장기적 산업 전략과 단기적 정책 효과의 균형이다. 할리우드 사례는 정책 기대감만으로도 즉각적 변화가 가능하지만,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서는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접근이 병행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여섯째, 달러 약세 등 외부 요인 활용의 중요성이다. TV 제작 증가가 미국 달러의 해외 대비 약세에도 도움을 받았다는 분석은 한국도 환율 변동 등 거시경제적 요인을 문화콘텐츠 경쟁력 강화에 활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일곱째, 소규모·중간 규모 제작에 대한 정책적 관심이다. 대규모 블록버스터 유치에만 매달리지 말고, 독립영화와 중소 규모 제작에 대한 체계적 지원도 병행해야 한다는 교훈을 제공한다.
향후 전망과 지속가능성 과제
전문가들은 이러한 초기 회복세가 지속되려면 약속된 개혁들이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시행되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또한 단순한 규제 완화를 넘어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종합적인 제작 생태계 구축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특히 세액공제 확대가 실제로 집행되고, 허가 절차 간소화가 현장에서 체감될 수 있는 수준으로 구현되어야 초기 기대감이 실질적 성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 업계의 공통된 견해다.
한국 역시 K-콘텐츠의 글로벌 위상에 걸맞은 제작 인프라와 정책 환경을 구축해야 할 중요한 시점에 있다. 뉴섬 주지사와 베스 시장이 보여준 적극적 리더십, 그리고 필름LA가 제공하는 정교한 데이터 분석 체계는 한국의 정책 입안자들에게도 실질적 참고 모델이 될 것이다.
결론적으로, 수십 년 만의 대대적 개혁 시도가 실제 시행되기도 전에 나타난 할리우드의 변화는 정책 의지의 파워를 다시 한 번 입증했다. 이는 향후 본격적인 개혁 조치들이 실제로 시행될 때 더욱 큰 효과를 낼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되었음을 의미한다. 동시에 표면적 통계에 현혹되지 않고 실질적 변화를 정확히 포착하는 분석 능력의 중요성도 부각됐다. 할리우드가 과연 옛 영광을 되찾을 수 있을지, 그리고 이러한 경험이 K-콘텐츠를 비롯한 전 세계 문화콘텐츠 정책에 어떤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지 주목된다.
Three-Tier Simultaneous Reform Push
The California legislature last month passed Governor Newsom's proposal to more than double the state's film and TV tax credits. This represents an aggressive state-level response to decades of production exodus, a strategic move to counter the competitive tax incentives offered by states like Georgia and Louisiana.
Just over two weeks later, the LA County Board of Supervisors unanimously approved measures to streamline the county's complex and bureaucratic film permitting process. This initiative targets the administrative obstacles that production companies have long complained about most vehemently.
Adding to this, ongoing LA City Council efforts to improve municipal permitting procedures and Mayor Bass's executive order directing city departments to reduce bureaucratic barriers create an unprecedented level of cooperation between state government, county, and city—all working to revive Hollywood's production ecosystem.
Recovery Signals from Historic Low Point
Behind these reform movements lies a grim reality. According to data from FilmLA, the city and county's joint film office, production activity in recent quarters has fallen to historic lows.
Hollywood, once the global center of the film industry, has been unable to stem the exodus of production companies to other states and overseas due to high taxes, complex regulations, and soaring production costs in recent years. Even major streaming platforms like Netflix have relocated their production bases to other regions for cost savings.
The local industry widely hopes these multi-layered reform efforts will solve these structural problems and revive film and TV production in the LA area.
Surprising Changes Before Reform Implementation
What's even more intriguing is that LA quietly recorded its best quarterly performance in over a year before these substantial reforms were actually implemented.
However, this is difficult to discern from FilmLA's latest quarterly data reports alone. These reports primarily emphasized "a 6.2% decline in total location shoot days compared to the same quarter in 2024" or slight increases from Q1 2025 (5,394 total days vs. 5,295).
Most media coverage also focused on these surface figures, continuing to highlight negative conditions. However, this resulted from failing to analyze the data closely.
Hidden Recovery: Truth Revealed Through Data Reanalysis
A closer examination of the data reveals a completely different picture. FilmLA's headline numbers, which track permitted film, TV, and commercial shoots in the region, include an expansive "Other" category.
According to FilmLA, this category encompasses "still photo shoots, student films, documentaries, short films, online content, plus music and industrial videos." These small-scale productions are incomparably smaller in terms of economic impact and job creation compared to major films or TV series production, making them poor indicators of Hollywood's revival.
Excluding these miscellaneous categories and focusing purely on film and TV production, Q2 2025 actually increased just over 1% compared to the same quarter in 2024. More importantly, this marked LA's first sequential increase in shoot days since Q1 2024.
Excluding Q1 2024 (which was inflated by numerous shoots resuming after the 2023 guild strikes), this represents the first occurrence since Q3 2022—a meaningful recovery after nearly three years. These figures suggest a small but significant inflection point, showing signs of an upward turn after years of continuous decline.
TV Surge Drives Recovery
This increase was driven by a surge in TV shoot days, which rose more than 30% from the previous quarter and 17% versus Q2 2024. Curiously, according to FilmLA, only 75 out of more than 2,200 shoot days were "incentivized"—covered by California tax credits—a number likely to rise significantly following the budget increase.
A sustained upswing in TV production represents the best-case scenario for LA's local industry, as series typically generate more sustained work for crew members compared to film shoots. Indeed, Q2 feature film shoot days remained down more than 20% versus Q2 2024, despite the recent flurry of new film projects approved for state tax credits.
Also noteworthy is that, according to FilmLA, all feature films shot in the area in Q2 2025 were independent productions. Meanwhile, the latest round of tax credit awards by the California Film Commission added another 42 indie films to the roster of upcoming projects in the state, 36 of which are budgeted at less than $10 million.
In fact, more than 80% of projects approved for the state's tax credit in the 2024-25 fiscal year (ending June 30) were sub-$10 million indies—by far the largest proportion and number (84) for one fiscal year since the Film Commission began tracking budgets in 2020.
Positive Expectations Create Virtuous Cycle: Pre-Policy Effect Signals
That these changes appeared before actual policy implementation is even more noteworthy. Industry experts suggest that expectations about reforms themselves may have influenced production companies' investment decisions.
The analysis suggests production companies may have begun considering LA returns in anticipation of improved production environments. Given that the film industry requires long-term planning, this proves that confidence in the future can directly impact current investment decisions.
This is being received as a highly encouraging signal, considering that policy changes typically take time to show actual effects. It demonstrates that clear policy intent from government alone can change industry ecosystems.
Dawn of a New LA Production Era
This situation suggests that a new era of LA production may already be underway and indicates what the future might hold for this struggling region.
While large-scale studio films are unlikely to return to LA en masse, the reforms currently in progress—combined with the creative community's enthusiasm for these efforts—could help reinvigorate smaller and mid-range productions in the city. The fact that TV and indie film productions are already trending upward suggests this is a very real possibility.
The truth remains that the heady days of the peak TV era will not return—LA film and TV shoot days crested at more than 7,500 in Q3 2021 versus Q2 2025's 3,400—and the local industry will likely remain diminished from what it once was.
But after years of almost continuous bad news, any encouraging sign is like water in the desert.
Lessons for K-Content Policy
This Hollywood case offers multi-layered insights for Korea as it seeks to strengthen K-content's global competitiveness.
First, the importance of clear and concrete policy intent from government. Like Governor Newsom's tax credit expansion or Mayor Bass's deregulation executive order, Korea needs to send more aggressive and visible policy signals for cultural content industry development.
Second, the practical effects of tax benefits and regulatory streamlining. Korean film and drama production companies have continuously complained about complex permitting procedures and high production costs. LA's reform case provides concrete directions for solving these structural problems.
Third, the necessity of close cooperation betwee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The three-tier cooperation model shown by California state and LA city/county represents a best practice directly applicable to Korea's cultural content policy.
Fourth, the importance of accurate data interpretation and communication systems. As the FilmLA case shows, judging by surface figures alone can miss signs of actual change. Korea also needs systematic systems to accurately understand content industry conditions and effectively communicate this to industry and policymakers.
Fifth, balancing long-term industry strategy with short-term policy effects. The Hollywood case shows that policy expectations alone can create immediate change, but systematic and long-term approaches must be pursued in parallel for sustainable growth.
Sixth, the importance of leveraging external factors like dollar weakness. The analysis that TV production increases were also helped by the US dollar's weakening abroad suggests Korea can also utilize macroeconomic factors like exchange rate fluctuations to strengthen cultural content competitiveness.
Seventh, policy attention to small and mid-range productions. Rather than focusing solely on attracting large blockbusters, systematic support for independent films and small-to-medium scale productions should be pursued in parallel.
Future Prospects and Sustainability Challenges
Experts emphasize that for this initial recovery to continue, promised reforms must be implemented swiftly and effectively. There are also calls for comprehensive production ecosystem development with global competitiveness, beyond simple deregulation.
Particularly, industry consensus holds that tax credit expansion must actually be executed and permit procedure streamlining must be implemented at levels felt on the ground for initial expectations to translate into substantial results.
Korea also stands at a crucial juncture for building production infrastructure and policy environments befitting K-content's global status. The proactive leadership shown by Governor Newsom and Mayor Bass, along with FilmLA's sophisticated data analysis systems, will serve as practical reference models for Korean policymakers.
In conclusion, Hollywood's changes appearing even before decades-overdue major reform attempts were actually implemented prove once again the power of policy intent. This means groundwork has been laid for even greater effects when comprehensive reform measures are actually implemented. Simultaneously, the importance of analytical capability to accurately capture substantial changes without being misled by surface statistics has been highlighted. Whether Hollywood can truly reclaim its former glory, and what new paradigms this experience might present for cultural content policy worldwide including K-content, remains to be se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