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즈니+, 예상 뒤엎고 140만 명 신규 가입… 스트리밍 수익 급증에 CEO 아이거 “2025 회계연도 전망 낙관적”(Disney+ Adds Surprise 1.4 Million Subscribers as Streaming Profit Soars; CEO Iger Maintains “Optimistic” Fiscal 2025 Outlook)

디즈니+, 예상 뒤엎고 140만 명 신규 가입… 스트리밍 수익 급증에 CEO 아이거 “2025 회계연도 전망 낙관적”

월트디즈니컴퍼니(이하 디즈니 Disney)가 3월 29일 마감한 2025 회계연도 2분기 실적을 발표한 가운데, 디즈니+가 시장 예상을 깨고 140만 명의 신규 가입자를 확보하며 스트리밍 사업 수익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 밥 아이거(Bob Iger) 디즈니 최고경영자(CEO)는 “경제적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2025 회계연도 전망에 낙관적”이라고 강조했다.

매출·순이익 모두 월가 예상치 상회

디즈니의 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7% 증가한 236억 2,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순이익은 전년 동기 2,000만 달러 순손실에서 32억 8,000만 달러의 순이익으로 전환했으며, 주당순이익(EPS)은 1.41달러로 20% 증가했다. 이는 스트리밍 사업의 영업이익 개선, 북미 테마파크 실적 호조, 애니메이션 영화 모아나2의 홈비디오 판매 호조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다.

증권가에서는 디즈니의 매출을 231억 4,000만 달러, 조정 주당순이익을 1.20달러 수준으로 예상했으나, 실제 실적은 이를 웃돌았다.

Disney+ Adds Surprise 1.4 Million Subscribers as Streaming Profit Soars; CEO Iger Maintains “Optimistic” Fiscal 2025 Outlook

In its fiscal second-quarter results for 2025, ending March 29, the Walt Disney Company reported unexpectedly strong growth in its streaming segment, highlighted by a 1.4 million increase in Disney+ subscribers. Despite persisting economic headwinds, CEO Bob Iger remains “optimistic” about the company’s prospects for the remainder of the fiscal year.

Solid Revenue and Net Income Surpass Wall Street Estimates

Disney’s revenue rose 7% year over year to $23.62 billion, while net income hit $3.28 billion, reversing a $20 million net loss in the same period last year. Adjusted earnings per share (EPS) were $1.41—up 20%—significantly exceeding Wall Street’s estimates of $23.14 billion in revenue and $1.20 EPS.

The strong results were driven by higher streaming profits, robust performance from domestic theme parks, and home-video sales of Moana 2. Disney also announced it expects fiscal 2025 adjusted EPS of $5.75, representing a 16% increase, and forecast $17 billion in operating cash flow, $2 billion higher than previous guidance (due to deferred tax payments).

디즈니+, 깜짝 성장… “모아나2·라이온킹: 무파사” 효과

가장 주목할 만한 부분은 스트리밍 사업에서의 강세다. 디즈니는 이전 분기에 디즈니+ 구독자가 소폭 감소할 것이라고 예측했으나, 실제로는 140만 명이 늘어나 1분기 말 기준 1억 2,600만 명에 이르렀다.

특히 미국과 캐나다 지역에서만 100만 명의 신규 가입자를 확보했다. 이는 블록버스터급 콘텐츠 모아나2(Moana 2), 라이온킹: 무파사(Mufasa: The Lion King), 오리지널 시리즈 데어데블: 본 어게인(Daredevil: Born Again) 등이 흥행을 견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디즈니는 이어지는 2025 회계연도 3분기(6월 마감)에도 디즈니+ 가입자가 “소폭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디즈니가 보유 지분 매입 절차를 진행 중인 훌루(Hulu)의 가입자 수 역시 54억 7,000만 명으로 110만 명 늘어났다. 디즈니는 미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한 10-Q 보고서에서 “3분기 말까지 제3자 감정평가를 거쳐 훌루 잔여 지분 가치를 최종 산정할 것”이라 밝혔으며, 평가 결과에 따라 최대 50억 달러를 추가로 콤캐스트(Comcast)에 지급할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Content Sales Buoyed by Moana 2

Disney’s Content Sales/Other sector logged an operating profit of $153 million on a 54% revenue increase (to $2.15 billion). Home entertainment revenue benefited from carryover sales of Moana 2, although theatrical revenues were roughly flat—Moana 2 and Mufasa continued strong showings from the previous quarter, while Snow White and Captain America: Brave New World underperformed.

In Disney’s Experiences segment (theme parks, cruises, consumer products), revenue rose 6% to $8.89 billion, and operating income grew 9% to $2.49 billion. Domestic parks and consumer products reported healthy gains, offset by a 23% decline at international theme parks.

Disney took a $109 million charge for unspecified “content impairments” in the quarter.

스트리밍 영업이익 7배 이상 급증, 테마파크도 호조

디즈니+와 훌루를 포함한 스트리밍 부문 매출은 8% 증가한 61억 2,000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7배 이상 늘어난 3억 3,600만 달러에 달했다. 가격 인상과 견고한 콘텐츠 라인업이 이익률 상승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보인다.

테마파크와 소비자 제품 등을 포함한 ‘익스피리언스(Experiences)’ 사업부는 매출 88억 9,000만 달러로 6%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9% 증가한 24억 9,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북미 테마파크 및 크루즈, 소비자 제품 부문이 호조를 보인 반면, 해외 테마파크 부문은 23% 감소하며 다소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Disney+ Subscriber Upswing Defies Predictions

Disney had guided analysts to expect a modest decline in Disney+ subscriptions this quarter. Instead, the service added 1.4 million subscribers—pushing its total to 126.0 million—boosted by blockbusters like Moana 2 and Mufasa: The Lion King, as well as the original series Daredevil: Born Again, which amassed 7.5 million views in its first five days.

Disney now forecasts a “modest increase” in Disney+ subscribers for the June quarter. Meanwhile, Hulu’s subscriber count grew by 1.1 million to 54.7 million. In an SEC filing, Disney indicated it expects to finalize the “equity valuation” of Hulu’s remaining shares—which are currently owned by Comcast—by the end of its fiscal Q3. The ultimate valuation could force Disney to pay up to $5 billion more, on top of the $8.6 billion it already paid last year.

Total revenue for Disney+ and Hulu climbed 8% to $6.12 billion. Operating income in the streaming division skyrocketed more than sevenfold, reaching $336 million—a performance attributed largely to higher retail pricing and a strong content lineup.

미 ABC 포함 TV 사업은 광고·구독자 감소… ESPN은 경기 편성 증가로 비용 부담

국내(미국) 방송 네트워크(ABC 등)와 케이블 채널을 포함한 TV 부문 매출은 3% 줄어든 22억 달러를 기록했다. 광고 수익이 “광고 단가 하락 및 시청자 수 감소” 탓에 감소했으나, 영업이익은 마케팅 비용 축소와 편성 비용 절감 효과로 20% 늘어난 6억 2,500만 달러를 나타냈다.

ESPN의 분기 매출은 45억 3,000만 달러로 5% 증가했으나, 운영 비용이 늘면서 영업이익은 16% 감소했다. 추가된 대학 미식축구 플레이오프 3경기 및 NFL 경기 1경기 중계, 그리고 ‘베뉴 스포츠(Venu Sports)’ 합작 투자 종료에 따른 손실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됐다. ESPN+ 구독자는 80만 명 줄어 2,410만 명으로 집계됐다.

Domestic TV Unit Soft, but ESPN’s Ad Revenue Jumps

Disney’s domestic linear TV business (including ABC) saw revenue dip 3% to $2.2 billion, though operating income rose 20% to $625 million, thanks to lower marketing and production costs. Domestic TV ad revenue slipped on “lower rates and fewer impressions tied to lower average viewership,” while affiliate revenue was flat as higher rates offset subscriber losses.

ESPN revenue rose 5% to $4.53 billion, but operating income slid 16%, primarily due to costs associated with airing three additional college football playoff games and one extra NFL game. The sports segment was also impacted by Disney’s write-off following its exit from the Venu Sports joint venture. On the bright side, ESPN’s domestic ad revenue climbed 29% year over year. However, ESPN+ subscribers declined by 800,000, totaling 24.1 million.

향후 전망: 새 테마파크 · ESPN DTC 출시 · 미국 무역정책 대응

디즈니는 이번 실적 발표에서 아부다비에 새로운 테마파크 리조트를 건설할 계획도 공개했다. 구체적인 개장 시점은 언급되지 않았으나, 회사의 7번째 테마파크 리조트가 될 전망이다.

또한 밥 아이거 CEO는 올 하반기에 ESPN의 독립형 DTC(direct-to-consumer) 서비스를 론칭하고, 테마파크 및 익스피리언스 사업 부문에서 사상 최대 규모의 확장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라고 강조했다. 이 밖에도 미국 트럼프 전 대통령의 글로벌 관세 및 해외 제작 영화에 대한 과세 정책 등 불확실한 대외 요인에 대해서는 “상황을 면밀히 지켜보고 있다”고 밝혔다.

Park Expansion Plans and Cautious Optimism

Alongside the earnings report, Disney announced plans for a seventh theme park resort in Abu Dhabi, though it did not provide construction or opening timelines. Additionally, the company expressed caution over potential impacts from lingering macroeconomic uncertainty—such as former President Trump’s global tariff threats on overseas film production—yet remained upbeat about the near term.

CEO Bob Iger stated, “Overall, we remain optimistic about the direction of the company and our outlook for the remainder of the fiscal year,” highlighting the successful first half of 2025. He noted that Disney’s continued momentum would be supported by a strong upcoming theatrical slate, the launch of ESPN’s direct-to-consumer offering, and expansion projects under way in the Experiences division.

2025 회계연도 가이던스 “낙관 유지”

디즈니는 이번 분기 호실적에 힘입어 2025 회계연도 전체 주당순이익(EPS)을 5.75달러로 제시했으며, 이는 전년 대비 16% 높은 수치다. 영업활동 현금흐름(Operating Cash Flow)은 170억 달러 수준으로 전망하며(2024년에는 140억 달러), 세금 납부 시점을 조정함에 따라 이전 가이던스 대비 20억 달러 상향했다고 설명했다.

회사의 엔터테인먼트·스포츠 부문은 두 자릿수 영업이익 증가를, 테마파크·소비자 제품 부문은 6~8% 성장을 목표로 삼고 있다. 다만 디즈니 측은 “회계연도 말(2025년 9월)까지 불확실한 거시경제 상황을 예의주시할 것”이라며 신중함도 유지하고 있다.

밥 아이거는 “올해 1분기를 성공적으로 마친 데 이어, 극장 라인업 강화, ESPN DTC 출시, 체험(Experiences) 부문의 대규모 투자 등 앞으로 기대할 사안이 많다”며 “2025 회계연도 전망에 대해 여전히 낙관적”이라고 말했다.

Newsletter
디지털 시대, 새로운 정보를 받아보세요!
SH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