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ditional Cable TV at a Crossroads: CNN Bets on FAST Channels for Content Diversification While MSNBC's Rebrand to 'MS NOW' After NBC Universal Split Causes Brand Confusion
미국 케이블 뉴스 대격변... CNN은 무료 스트리밍 강화, MSNBC는 독립하며 개명 논란
전통 케이블TV의 미래 갈림길... CNN은 FAST 채널로 콘텐츠 다각화 승부수, MSNBC는 NBC유니버설과 분리되며 'MS NOW'로 개명했지만 브랜드 혼란 자초
미국의 양대 케이블 뉴스 채널이 급변하는 미디어 환경 속에서 생존을 위한 정반대의 길을 선택했다. CNN이 무료 광고 기반 스트리밍 TV(FAST) 채널을 통해 시청자 저변을 확대하는 공격적 전략으로 케이블TV의 미래를 모색하는 반면, MSNBC는 모기업 NBC유니버설과의 완전한 분리 독립을 앞두고 'MS NOW'로 개명했지만 오히려 브랜드 정체성 혼란이라는 역풍을 맞고 있다.
Traditional Cable TV at a Crossroads: CNN Bets on FAST Channels for Content Diversification While MSNBC's Rebrand to 'MS NOW' After NBC Universal Split Causes Brand Confusion
America's two major cable news channels have chosen opposite paths for survival in a rapidly changing media landscape. While CNN seeks the future of cable TV through an aggressive strategy of expanding its viewer base via Free Ad-Supported Streaming TV (FAST) channels, MSNBC faces backlash over brand identity confusion after renaming itself 'MS NOW' ahead of its complete separation from parent company NBC Universal.

CNN, 'FAST 채널'로 케이블TV의 새로운 활로 모색
무료 스트리밍에 생방송 3회 편성... "전통 케이블 보완하는 새로운 수익 모델"
CNN이 8월 18일(현지시간) 자사의 무료 광고 기반 스트리밍 TV(FAST) 채널인 'CNN 헤드라인(CNN Headlines)'의 프로그램을 전면 개편하며 케이블TV의 미래를 위한 새로운 실험에 나섰다.
애틀랜타 CNN 본사는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비즈니스, 정치, 엔터테인먼트, 문화, 국제 뉴스를 아우르는 독창적이고 큐레이션된 뉴스 피드로 하루 중 가장 화제가 되고 영향력 있는 이벤트를 다룰 것이라고 밝혔다.
새 편성의 핵심은 하루 3회 생방송되는 'CNN 헤드라인 익스프레스(CNN Headline Express)'다. 7월 야후 파이낸스와 체다에서 영입한 브래드 스미스(Brad Smith) 앵커가 진행을 맡아 오전 7시, 11시, 오후 5시에 최신 국내외 뉴스와 스포츠, 엔터테인먼트, 비즈니스, 문화 소식을 전한다.
CNN Explores New Paths for Cable TV Through 'FAST Channels'
Three Live Broadcasts on Free Streaming Platform: "A New Revenue Model Complementing Traditional Cable"
CNN launched a comprehensive overhaul of its free ad-supported streaming TV (FAST) channel 'CNN Headlines' programming on August 18 (local time), embarking on a new experiment for cable TV's future.
The Atlanta CNN headquarters announced in a press release that it would cover the day's most talked-about and influential events with an original and curated news feed spanning business, politics, entertainment, culture, and international news.
The centerpiece of the new programming is 'CNN Headlines Express,' which broadcasts live three times daily. Brad Smith, an anchor recruited from Yahoo Finance and Cheddar in July, hosts the show at 7 AM, 11 AM, and 5 PM, delivering the latest domestic and international news, sports, entertainment, business, and cultural updates.
'ICYMI (In Case You Missed It)' compiles the most newsworthy and notable stories from CNN's U.S. programming, broadcasting four times daily. 'American Pulse' leverages CNN's extensive network of national affiliate broadcasters to deliver on-the-ground reporting from across America in a concentrated one-hour format.
CNN 헤드라인 주요 프로그램 편성표 (평일 기준)
시간 | 프로그램명 | 방송 형태 | 주요 내용 |
---|---|---|---|
오전 7시 | CNN 헤드라인 익스프레스 | 생방송 | 국내외 주요 뉴스, 스포츠, 비즈니스 |
오전 8-9시 | CNN 헤드라인 익스프레스 | 녹화 | 주요 뉴스 재방송 |
오전 10시 | ICYMI | 녹화 | CNN 프로그램 주요 스토리 모음 |
오전 11시 | CNN 헤드라인 익스프레스 | 생방송 | 오전 종합 뉴스 업데이트 |
오후 12-1시 | CNN 헤드라인 익스프레스 | 녹화 | 정오 뉴스 재방송 |
오후 2시 | 아메리칸 펄스 | 녹화 | 전국 CNN 제휴사 현장 보도 |
오후 3시 | ICYMI | 녹화 | 오후 주요 뉴스 정리 |
오후 4시 | 아메리칸 펄스 | 녹화 | 미국 각 지역 소식 |
오후 5시 | CNN 헤드라인 익스프레스 | 생방송 | 저녁 종합 뉴스 |
오후 6-7시 | CNN 헤드라인 익스프레스 | 녹화 | 주요 뉴스 재방송 |
오후 8시 | ICYMI | 녹화 | 하루 주요 뉴스 종합 |
오후 9시 | 아메리칸 펄스 | 녹화 | 전국 현장 소식 |
오후 10시 | CNN 헤드라인 익스프레스 | 녹화 | 심야 뉴스 |
오후 11시 | ICYMI | 녹화 | 일일 뉴스 하이라이트 |
'ICYMI(In Case You Missed It)'는 "혹시 놓치셨다면"이라는 의미로 CNN 미국 프로그램에서 가장 뉴스 가치가 높고 주목할 만한 스토리를 모아 하루 4회 방송한다. '아메리칸 펄스(American Pulse)'는 CNN의 방대한 전국 제휴 방송사 네트워크의 보도를 활용해 미국 각 지역의 생생한 현장 소식을 한 시간 동안 집중적으로 전달한다.
케이블TV 위기 속 다각화 전략으로 돌파구 마련
오리지널 콘텐츠 채널 이어 구독형 스트리밍도 준비... 새로운 광고주 유치 목표
에릭 셜링(Eric Sherling) CNN 미국 프로그래밍 수석부사장은 "CNN 헤드라인 재출시는 우리의 유통 및 투자 전략에 필수적"이라며 "방대한 제휴 네트워크를 활용하고 시의적절한 생방송 뉴스를 제공함으로써 성장하는 시장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기존 케이블 프로그램을 보완한다"고 강조했다.
CNN의 FAST 프로그램 투자는 전통적인 케이블TV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전략의 일환이다. 기존 선형 방송, 디지털, 모바일, 팟캐스트 서비스에 이어 곧 출시될 스트리밍 서비스와 기타 독립형 제품을 보완하는 다각화 전략을 추진 중이다.
CNN은 FAST 채널을 통해 새로운 광고주를 유치하고 광고 및 스폰서십을 통한 수익 극대화를 위한 새로운 상업 제품 혁신을 개발하고 있다. 실제로 2024년 수상 경력이 있는 CNN 오리지널 시리즈 라이브러리의 장편 콘텐츠를 제공하는 'CNN 오리지널스(CNN Originals)' FAST 채널을 출시한 바 있다.
시청자들은 CNN.com 홈페이지(데스크톱 및 모바일), CNN 앱, 그리고 Roku 등 미국 전역의 커넥티드 TV(CTV) 앱을 통해 CNN 헤드라인을 무료로 시청할 수 있다. CNN은 유료 구독형 스트리밍 서비스도 곧 선보일 예정으로, 작년부터 CNN.com에 페이월을 도입한 것도 이러한 전략의 일환이다.

시장조사기관 엘리베이션 인사이트(Elevation Insight) 와 옴디아(Omdia) 등에 따르면 미국 FAST 시장 규모: 2020년 약 2억 달러에서 2025년 100억 달러를 돌파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용자 규모도 커지고 있다. 미국 가정의 58% 이상이 월 1회 이상 FAST 채널 시청, 2020년 대비 두 배 이상 성장한 것이다.
특히, FAST채널 성장에서 뉴스 장르는 중심을 차지하고 있다. 옴디아에 따르면 뉴스 FAST 채널은 전체 FAST 편성의 약 15% 비중을 차지하며, 오락·드라마·스포츠 다음으로 빠르게 성장하는 장르다. 이는 광고 기반 무료 시청이라는 FAST 특성이 코드 커팅 이후 대안적 뉴스 소비 채널로 자리매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CNN이 ‘헤드라인 익스프레스’ 를 통해 생방송 즉시성을 강화한 것도 이러한 시장 추세와 맞물린 행보다. Cable TV Statistics (2025) – Subscribers & Streaming Data
이에 반해 2025년 기준, 미국 내 케이블 TV 가입자는 약 6,610만~6,870만 명 수준으로, 2010년 1억 명 이상에 비해 크게 감소했다. 연간 약 4~5%씩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며, 이는 코드커팅(유료방송 해지)과 스트리밍 플랫폼 확산 영향이 크다. 2025년 현재 케이블 TV를 유지하는 가구 비율은 전체의 약 40%에 불과하며, 2019년(50%)에 비해 급격히 줄어들었다.
Breaking Through Crisis with Diversification Strategy
Following Original Content Channels, Subscription Streaming Also in the Works; Aims to Attract New Advertisers
Eric Sherling, CNN U.S. Programming Senior Vice President, emphasized, "The CNN Headlines relaunch is essential to our distribution and investment strategy. By leveraging our extensive affiliate network and providing timely live news, we serve a growing market while complementing existing cable programming."
CNN's investment in FAST programming is part of a strategy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raditional cable TV. The network is pursuing a diversification strategy that complements existing linear broadcasting, digital, mobile, and podcast services, along with soon-to-launch streaming services and other standalone products.
Through FAST channels, CNN is attracting new advertisers and developing innovative commercial products to maximize revenue through advertising and sponsorships. The network has already launched 'CNN Originals,' a FAST channel offering long-form content from its award-winning 2024 original series library.
Viewers can watch CNN Headlines for free through CNN.com (desktop and mobile), the CNN app, and connected TV (CTV) apps nationwide including Roku. CNN also plans to launch a paid subscription streaming service soon, with the paywall introduced on CNN.com last year being part of this strategy.
According to market research firms Elevation Insight and Omdia, the U.S. FAST market is projected to grow from approximately $200 million in 2020 to over $10 billion by 2025. User base is also expanding, with over 58% of U.S. households watching FAST channels at least once monthly, more than double the 2020 figure.
News content plays a central role in FAST channel growth. According to Omdia, news FAST channels account for about 15% of total FAST programming, making it the fastest-growing genre after entertainment, drama, and sports. This demonstrates how FAST's free, ad-supported model is establishing itself as an alternative news consumption channel post-cord-cutting.
In contrast, as of 2025, U.S. cable TV subscribers number approximately 66.1-68.7 million, a significant decline from over 100 million in 2010. The annual decline rate of 4-5% reflects the impact of cord-cutting and streaming platform proliferation. Currently, only about 40% of households maintain cable TV subscriptions, down sharply from 50% in 2019.
미국 케이블 TV 가입자 수(연도별)와 연간 감소율
연도 | 케이블TV 가입자 수 | 전년 대비 감소율 |
---|---|---|
2024년 | 6,870만 명 | 4.9% |
2023년 | 7,220만 명 | 5.0% |
2022년 | 7,600만 명 | 5.0% |
2021년 | 8,000만 명 | 4.6% |
2020년 | 8,380만 명 | 4.6% |
2019년 | 8,860만 명 | 5.4% |
2018년 | 9,340만 명 | 5.1% |
2017년 | 9,630만 명 | 3.0% |
출처: IBIS World
Year | Cable TV Subscribers (millions) |
---|---|
2017 | 96.3 |
2018 | 93.4 |
2019 | 88.6 |
2020 | 83.8 |
2021 | 80.0 |
2022 | 76.0 |
2023 | 72.2 |
2024 | 68.7 |
MSNBC, NBC유니버설과 완전 분리되며 'MS NOW'로 개명
피콕 로고 사용 못하게 되며 독립 회사 '버전트'로 새 출발... 30년 브랜드 역사 마감
진보 성향의 케이블 네트워크 MSNBC는 올해 말 'MS NOW(My Source News Opinion World)'라는 새 이름으로 변경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모기업 NBC유니버설에서 완전히 분리되어 새로 설립된 '버전트(Versant)'라는 독립 회사로 거듭나는 과정의 핵심이다.
MSNBC는 8월 18일 "커뮤니티에 보내는 메시지"를 통해 "이 이름은 우리의 사명을 더욱 강조한다. 속보와 사려 깊은 분석을 위한 목적지 역할을 하고 거의 30년 동안 여러분이 의존해온 관점의 본거지로 남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가장 큰 변화는 NBC의 상징인 피콕(공작새) 로고를 더 이상 사용할 수 없게 된 것이다. NBC유니버설이 분리 독립하는 MSNBC에 'NBC' 명칭과 피콕 브랜딩 사용을 허용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로써 1996년 NBC와 마이크로소프트의 합작으로 시작된 MSNBC의 30년 브랜드 역사가 막을 내리게 됐다.
MSNBC Rebrands to 'MS NOW' After Complete Separation from NBC Universal
Loses Peacock Logo Rights, Begins Fresh Start as Independent Company 'Versant'; Ends 30-Year Brand History
The progressive cable network MSNBC announced it will change its name to 'MS NOW (My Source News Opinion World)' by year's end. This is central to its transformation into 'Versant,' an independent company completely separated from parent NBC Universal.
In an August 18 "Message to Our Community," MSNBC explained, "This name further emphasizes our mission: serving as a destination for breaking news and thoughtful analysis while remaining the home of perspectives you've relied on for nearly 30 years."
The most significant change is losing the right to use NBC's iconic peacock logo. NBC Universal has not permitted the separating MSNBC to use the 'NBC' name or peacock branding. This marks the end of MSNBC's 30-year brand history, which began as a joint venture between NBC and Microsoft in 1996.
개명 발표 직후 혼란과 비판 확산
"마이크로소프트 떠난 지 13년인데 여전히 MS?"... 다발성 경화증 연상 지적도
그러나 새 이름 발표 직후 예상치 못한 문제점들이 속속 드러나며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
가장 큰 논란은 'MS'를 그대로 유지한 점이다. MS는 원래 1996년 MSNBC 출범 당시 합작 파트너였던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를 의미했다. 그러나 마이크로소프트는 2005년 TV 네트워크 지분을 매각하고, 2012년에는 디지털 뉴스 운영 지분 50%도 NBC에 매각하며 완전히 손을 뗀 지 13년이 지났다.
미디어 업계에서는 "오래전 떠난 파트너사의 이니셜을 계속 사용하는 것은 브랜드 정체성에 심각한 혼란을 준다"며 "2000년대 초 실패한 윈도우 운영체제 같은 이름"이라는 혹평이 쏟아졌다.
또 다른 문제는 'MS NOW'가 다발성 경화증(Multiple Sclerosis)의 약어와 동일하다는 점이다. 실제로 발표 당일 소셜미디어 X(구 트위터)에서 'multiple sclerosis'가 미국 트렌드 4위에 오르며 "의학적 질병 같다"는 반응이 확산됐다.
일부는 'MS NOW'를 'Ms. Now'로 읽을 수 있어 여성 대상 채널로 오해받을 수 있다는 점, NOW가 전미여성기구(National Organization for Women)를 연상시킨다는 점도 지적했다.
웹사이트 주소 확보 실패도 준비 부족을 드러냈다. 현재 'msnow.com'은 한국어로 "스노모빌(설상 차량)" 관련 내용을 표시하고 있으며, 'ms-now.com'은 마사 스튜어트와 제휴한 식사 배달 서비스 '말리 스푼(Marley Spoon)'으로 연결되는 상황이다.
전 MSNBC 앵커 키스 올버만(Keith Olbermann)은 "1997년 입사했을 때부터 이름을 바꾸라고 제안했는데, 내 사내 메일이 28년 만에 드디어 경영진에게 도착한 것 같다"며 비꼬았다.
Confusion and Criticism Spread Immediately After Rebrand Announcement
"Microsoft Left 13 Years Ago, Why Still MS?"; Critics Note Association with Multiple Sclerosis
However, unexpected problems emerged immediately after the new name announcement, intensifying confusion.
The biggest controversy is retaining 'MS.' MS originally stood for Microsoft, the joint venture partner when MSNBC launched in 1996. However, Microsoft sold its TV network stake in 2005 and divested its remaining 50% digital news operation stake to NBC in 2012, having completely withdrawn 13 years ago.
Media industry critics argue that "continuing to use the initials of a long-departed partner causes serious brand identity confusion," calling it "a name like a failed Windows operating system from the early 2000s."
Another issue is that 'MS NOW' shares the same abbreviation as Multiple Sclerosis. On announcement day, 'multiple sclerosis' trended fourth in the U.S. on social media platform X (formerly Twitter), with reactions spreading that it "sounds like a medical condition."
Some noted that 'MS NOW' could be read as 'Ms. Now,' potentially causing confusion as a women's channel, and that NOW evokes the National Organization for Women.
The failure to secure website domains reveals inadequate preparation. Currently, 'msnow.com' displays content about "snowmobiles" in Korean, while 'ms-now.com' redirects to 'Marley Spoon,' a meal delivery service partnered with Martha Stewart.
Former MSNBC anchor Keith Olbermann quipped, "I've been suggesting a name change since I joined in 1997. It seems my internal email finally reached management after 28 years."
코드 커팅 가속화로 전통 미디어 위기 심화... 생존 전략 선택이 미래 좌우
두 케이블 뉴스 채널 변화는 전통 케이블TV 산업의 위기를 보여준다.
CNN은 FAST 채널을 통해 무료 콘텐츠로 시청자 저변을 넓히면서도 프리미엄 구독 서비스를 준비하는 투트랙 전략으로 케이블TV의 한계를 돌파하려 하고 있다. 특히 전국 제휴 네트워크를 활용한 지역 뉴스 강화와 생방송 확대는 즉시성과 현장성이라는 뉴스의 본질에 충실하면서도 새로운 플랫폼에 적응하는 균형 잡힌 접근이라는 평가다.
반면 MSNBC의 독립과 개명은 케이블TV 업계의 구조적 재편을 상징하지만, 성급한 브랜드 변경으로 오히려 정체성 위기를 자초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NBC유니버설로부터의 완전한 독립은 자율성 확보라는 긍정적 측면이 있지만, 30년간 쌓아온 브랜드 자산을 제대로 계승하지 못하고 있다.
미디어 전문가들은 "코드 커팅(케이블TV 해지)이 가속화되는 상황에서 CNN의 플랫폼 다각화는 불가피한 선택"이라며 "반면 MSNBC의 사례는 브랜드 전환 과정에서 철저한 준비 없이는 오히려 역효과를 낳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고 분석했다.
워너브러더스 디스커버리가 HBO Max를 Max로 바꿨다가 다시 되돌린 전례처럼, MS NOW도 또 다른 브랜드 실패 사례가 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전통 케이블TV의 황혼기가 가속화되는 2025년, CNN의 공격적 디지털 전환과 MSNBC의 독립적 재출발 중 어느 전략이 케이블TV의 미래를 제시할지 업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분명한 것은 혁신적 콘텐츠 전략과 명확한 브랜드 정체성 확립 없이는 급변하는 미디어 환경에서 생존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Accelerating Cord-Cutting Deepens Traditional Media Crisis; Survival Strategy Choices Will Determine Future
The changes at both cable news channels illustrate the crisis facing the traditional cable TV industry.
CNN attempts to break through cable TV's limitations with a two-track strategy: expanding its viewer base through free content on FAST channels while preparing premium subscription services. Experts particularly praise its balanced approach of strengthening local news through national affiliate networks and expanding live broadcasts, staying true to news fundamentals of immediacy and field presence while adapting to new platforms.
Conversely, while MSNBC's independence and rebranding symbolize the cable TV industry's structural reorganization, critics argue the hasty brand change has instead precipitated an identity crisis. Complete independence from NBC Universal offers positive autonomy, but the network fails to properly inherit 30 years of brand equity.
Media experts analyze, "CNN's platform diversification is an inevitable choice as cord-cutting accelerates. Meanwhile, MSNBC's case demonstrates that brand transitions without thorough preparation can backfire."
Like Warner Brothers Discovery's reversal after changing HBO Max to Max, MS NOW may become another brand failure case.
As traditional cable TV's twilight accelerates in 2025, industry attention focuses on whether CNN's aggressive digital transformation or MSNBC's independent restart will present cable TV's future. What's clear is that survival in the rapidly changing media environment is difficult without innovative content strategies and clear brand identity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