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시대 미디어 지형이 바뀐다]팟캐스트는 이제 매스 미디어(Podcasts are now available in the Mass Media)
AI시대에도 잘나가는 팟캐스트의 비결은 '동시정'. 미국인 85%인 2억 4,500만 명이 팟캐스트인지. 이중 남성과 젊은 층이 팟캐스트 소비 주도.
[2030 엔터테크]파업과 AI 확산은 '한국 콘텐츠'의 미국 진출에는 호재?(Strikes and AI well for 'Korean content' in the US?)
미국 지상파 방송, 코로나 이후 스트리밍 확산에 드라마 제작 편수 크게 줄여. 대신 영국, 캐나다 등 영어권 해외 콘텐츠 편성 늘여. 향후 공동제작 활발 예상. 한국에도 기회?
ITV “창의적으로 생존하고 있고, 건재하다”(ITV: “We are creatively thriving and in rude health”)
영국 창작가 스트리밍 서비스 전환과 투자 축소에 침체. 그러나 디지털을 중심으로 다시 살아나는 방송
FAST에브리웨어-쇼핑에 이어 자동차와 만나는 무료 광고 기반 스트리밍 TV(FAST has no boundaries - free, ad-supported streaming TV that goes shopping, then to your car)
새로운 생태계를 만드는 FAST, NBCU·LG ‘쇼퍼블 채널’ 40개 공개 … 현대차 FAST플랫폼”현대 TV+ 개국
유튜브 시대, 지상파 TV 규제는 계속되어야 하는가. FCC와 한국의 대응(In the age of YouTube, should TV be regulated?)
미국 FCC 지상파 소유 규제 완화를 두고 방송사와 신경전. 방송사 "빅테크와의 경쟁 위해 소유규제 완화애향 한다" FCC "빅테크는 아직 지역 콘텐츠를 제작하지 않는다".. 한국의 선택은
Overview of the “2024 Korea Broadcasting Market Competition Assessment”
South Korea 2024 broadcast and Content Market highlights
Intensifying Competition Between Broadcast and OTT … Marked Decline in TV Advertising Market
Korea broadcasting market is experiencing intensified competition between broadcasting service providers and online video streaming services (OTTs).
2025 디지털 미디어 트렌드: 소셜 플랫폼이 새 중심축으로(Digital Media Trends 2025: Social platforms are the new center of gravity)
딜로이트는 “훌륭한 TV 프로그램은 감동과 공감을, 영화는 심도 있는 스토리를 전할 수 있는 강력한 매체”라고 강조. 하지만 제작 비용 증가와 경쟁 심화로 인해, 전통 미디어와 스트리밍 “ 전혀 다른 새로운 경제학(New economics)”을 구축해야 하는 상황.
할리우드, 스트리밍이 아닌 소셜 플랫폼과 경쟁해야 할 시대(Hollywood, it's time to compete with social platforms, not streaming)
격변하는 할리우드, 스트리밍에 이어 크리에이터들과도 경쟁해야 하는 시대, 딜로이이트 보고서. 시청자들은 이제 크리에이어티에 더 가까워.
UCLA Now, '글로벌 Z세대 속으로' 프로젝트 시동…#1 미국 대학생들은 K콘텐츠를 어디서 볼까?(UCLA Now launches 'Into the Global Z' project...#1 Where do U.S. college students watch K-content?)
KUBS- K엔터테크허브가 협업 오리지널 프로젝트 가동, UCLA 대학생들의 스트리밍(OTT) 이용 실태 조사. 대학생들은 넷플릭스와 유튜브 프리미엄을 주로 이용하며, 콘텐츠 다양성과 가격을 가장 중요하게 여겨. 향후 유튜브와 FAST로 송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