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엔터테크]아노라 수상 But 미국 영화 프랜차이즈 의존도 70% 육박(Nearly 70% dependency on US movie franchises)
아노라(Anora), 오스카 수상했지만, 흥행 성적은 저조, 미국 극장가 프랜차이즈 의존도 심각, 불황 속 안전 선호도 짙어지고 있기 때문
97회 오스카 다양성에 헌사 '아노라'의 압도(The 97th Oscars Tribute to Diversity, 'Anora' Overwhelms)
제 97회 오스카, 다양성에 헌사.. 션 베이커의 아노라 5개 부문 수상..주요 스튜디오들은 기술부문에서만 수상.
[SXSW2025 K Entertainment Tech] BEAM Studio, digital entertainment company (IP Agency)
SXSW2025, BEAM Studio AI 기반 디지털 휴먼 제작 기술을 활용하여 디지털 엔터테인먼트(IP 에이전시) 서비스를 제공. 글로벌 IP에이전시로 성장
[SXSW2025 K-Entertainment Tech]BRUSH Theatre , Story tech performance company
브러시 시어터, 테크놀로지와 스토리텔링을 융합한 '스토리테크' 기업. 시각적으로 놀라운 인터랙티브 경험을 통해 모든 연령대 관객을 사로잡음.
[SXSW2025 K-Entertainment Tech]DATUMO: The Data-Centric AI Company
SXSW2025/DATUMO, 데이터 설계 컨설팅부터 AI 개발 및 LLM(대규모 언어 모델) 검증까지 전 과정을 포괄적 제공/캐릭터 상품과 결합된 AI 맞춤형 메시지 제공.
위성방송 디시, '번들(Bundle)을 위한 가장 좋은 상품은 방송' FAST로 승부 본다(Dish, takes on FAST's 'Best Product for Bundles'
디시 네트워크, 방송이 가장 좋은 번들 상품.AI기술로 이탈률 줄였다.. AI를 통한 고객 관리로 이탈율 1.5% 감소. 스트리밍 시대 위성방송이 생존하는 방법.
넷플릭스가 다른 스트리밍과 번들을 하지 않는 이유. 한국에 필요한 번들의 경제학(Why Netflix doesn't bundle with other streaming. The economics of bundles)
번들(Bundle)의 경제학. 묶어야 산다.. 미국에서 부는 스트리밍 번들 바람. M&A보다 번들이. 넷플릭스가 다른 스트리밍과 번들을 하지 않는 이유
2017년 이후 오스카상 6개 중 1개는 빅테크가 가져가(Since 2017, 1 in 6 Oscars have gone to Big Tech)
오스카상 시상식 관점 포인트. 올해 처음으로 스트리밍으로 동시 중계. 2017년 이후 커지는 빅테크의 영향력이 올해도 ?
[SXSW2025]K엔터테인먼트 테크 기업과 미래, 프랑스 XR기업과의 만남까지(K entertainment tech companies, the future, and French XR companies)
sxsw2025, 세계 최대 엔터테크 전시회. k엔텉테크 기업도 대거 참가. 한국 콘텐츠진흥원 주관 오는 3월 10일 넥스트 스테이지 진행. XR경험도 가볼만.
[2030엔터테크]팬데믹 이후 변화하는 영화 장르 '호러와 인디'(Horror and Indy in the Post-Pandemic of Theater Box Office)
2025년 미국 극장가 호러 영화가 초강세. 유니버셜이 선두. 2030년까지 극장 트렌드는 호러 장르의 지속적인 성장과 독립 영화의 안정적인 확장이 핵심. 크리에이터도 가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