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XSW 2025 필름 & TV 페스티벌 관객상: “주류와 인디의 조화, 다채로운 확장!”(SXSW 2025 Film & TV Festival Audience Award: "Blending Mainstream and Indie, Expanding the Colorful!")
sxsw2025 필름TV페스티벌 , 주류와 인디의 조화. XR익스피리언스도 화제
크리에이터와 FAST, 광고주가 만나는 지점을 공략하는 크리에이터TV(Creator TV), “관심 경제를 TV로 가져오다”(Creator TV, "bringing the attention economy to TV," targeting the point where creators, FAST, and Brand meet)
애드 테크 회사 사비오, 크리에이터 콘텐츠 전문 편성하는 크리에이터TV FAST 런칭(1월), 소셜 비디오 인기 속, FAST의 부상, 광고주의 니즈까지 잡는 절묘한 마케팅
차기 CEO 찾기 나선 디즈니, 디즈니+와 디즈니랜드의 수익을 만들어줄 이는 누구인가? 내후 or 외부(Disney searches for next CEO, but who will make Disney+ and Disneyland profitable? In or out?)
밥 아이거 뒤를 이를 디즈니 ceo는 누구인가?. 조쉬 다마로, 다나 월든 디즈니 엔터테인먼트 공동 대표 vs마텔 CEO, 다나 월든 디즈니 공동 CEO도 물랑. 내년 초 결정 예상. 누구든 "디즈니의 체질 개선 책임"
[SXSW2025]"삼성전자, AI 로봇 '발리'와 함께하는 스마트홈 미래"CMO 앨리슨 스트랜스키와”(Samsung’s Vision to Transform Everyday Life: A Conversation with CMO Allison Stransky)
SXSW2025, 삼성 미국 가정 10곳 중 8곳에 침투, AI를 중심으로 미국 소비자의 생활을 바꾼다 온오프라인에서의 연결을 통해 소비자 경험 강화. AI로봇 빌리도 출시
[SXSW2025]AI, 일상으로 깊숙이 스며들다: “적절히 관리하면 삶의 질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어”(AI seeps deeper into everyday life: If managed properly, it can dramatically improve quality of life)
SXSW2025, 악시오스 행사에서 AI는 이미 현실화됐고 사라지지 않는다고 밝혀. 이에 AI를 관리하고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SXSW2025] TV·영화·크리에이터 이코노미를 뒤흔든 6가지 화두(Six Burning Debates Shaping TV, Film, and the Creator Economy)
SXSW2025, 오스틴에서 논의됐더 주요 쟁점 6개 정리.. AI,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팟캐스트, LA 등. 글로벌 최대 엔터테인먼트 테크 축제 총정리
[SXSW 2025] 블루스카이 CEO 제이 그레이버 "억만장자가 인수해도 침식되지 않는 소셜을 만들겠다"(BlueSky CEO Jay Graver "will build social that won't be eroded by a billionaire buyout")
SXSW2025, 블루스카이 제이 그레이버 등장. 사용자 데이터 주권을 돌려준 소셜 미디어 서비스 블루 스카이(Blue SKY). 사용자가 직접 콘텐츠 심의도 결정할 수 있어. 억만장자도 망가뜨릴 수 없는 소셜 만들고 싶어
[SXSW2025]미셸 오바마,“휴대폰은 내려놓고 주변을 보라”(Former First Lady Michelle Obama tells SXSW crowd to "get off their phones")
SXSW2025 미셀 오바마 등장 최대 이벤트, 현장 팟캐스트에서 "휴대폰을 내려놓고 자신 주변을 둘러봐라" 조언.. 트럼프에 대해선 "우리가 어떤 나라가 되고 싶은 지 고민해야"라고 우회 언급
CBS Miami, 증강현실(AR)·가상현실(VR) 활용한 날씨·스포츠 보도 선보인다(CBS Miami (WFOR-TV) is rolling out new Augmented Reality (AR) and Virtual Reality (VR) studio technology)
플로리다주 마이애미 지상파 방송국 CBS Miami(WFOR-TV)를 통해 증강현실(AR)과 가상현실(VR)을 활용한 보도 시스템 선보임. NCAA 남자 대학 농구 토너먼트와 기상 예보에 AR/VR 스튜디오를 적용하며, 향후 전체 뉴스 보도에 이를 확대 적용
TV가 되고 있는 유튜브, FCC 규제 논란(YouTube Is Becoming TV, FCC Regulation Debate)
"유튜브TV 종교 채널 배제 논란: FCC, 규제 확대 검토" 인터넷으로 통해 유료 방송을 보는 유튜브TV, 구독자 900만 명으로 케이블TV, 위성방송 빠르게 대체..FCC의 고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