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 2025]AI is now. A marketplace to solve copyright issues(AI는 현재다. 저작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마켓플레이스)

AI 저작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마켓플레이스?

생성AI시대, 인간들의 창작 저작권 보호는 매우 중요한 문제다.

AI가 엄청난 속도와 규모로 저작권을 가진 콘텐츠를 학습하고 있지만 탐지하고 불법 접근을 거르는 시스템은 아직 갖춰지지 못했다.

콘텐츠 스튜디오, 언론, 방송 등 주요 미디어 회사들은 오픈AI나 퍼블렉서티와 같은 생성AI 기술 개발 회사와 ‘저작권 보호와 활용’에 관한 개별 계약에 나서고 있다. 그러나 독립 제작자나 작가 등은 빅테크 플랫폼과의 협상에서 열위에서 설 수 밖에 없는 창작자들은 AI의 저작권 침해에 속수 무책이다.


In the age of generative AI, protecting the copyright of human creativity is a critical issue. While AI is learning copyrighted content at a tremendous rate and scale, we don't yet have a system in place to detect and filter out illegal access.


Major media companies, including content studios, press, and broadcasters, are signing individual agreements with generative AI technology companies like OpenAI and Publicity to protect and utilize copyright.

However, independent producers and writers are at a disadvantage in negotiating with big tech platforms, and are often helpless against copyright infringement by AI.

어떤 봇도 공짜로 읽을 수 없다.(No bot shall read for free.)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AI 저작권을 사고 파는 온라인 마켓 플레이스가 떠오르고 있다. 스포티파이(Spotify) 등 음원 스트리밍 사이트처럼 정확히 사용하는 양과 범위를 결정할 수 있는 마켓이다. 이럴 경우 AI훈련을 위한 ‘저작권 사용’ 등이 양성화될 수 있다.

온라인 문서 저장 및 전자책 구독 사이트 스크리비드(Scribd)의 공동 창립자인 트립 애들러(Trip Adler)는 2024년 새로운 스타트업인 ‘크리에이터 바이 휴먼(Created by Humans, 인간에 의한 창조)’를 설립해 투자금 모금에 나서고 있다.

No bot shall read for free (No bot shall read for free).


An alternative solution to this problem is the emergence of online marketplaces for buying and selling AI copyrights. Like music streaming sites like Spotify, you can decide exactly how much and what you want to use.

This could lead to a benignization of "copyright use" for AI training.


Trip Adler, co-founder of Scribd, an online document storage and e-book subscription site, is launching a new startup, Created by Humans, in 2024, and is raising money.


이 회사는 2024년  개리 탄, Floodgate Fund의 마이크 메이플스, 슬로우 벤처스, 데이비드 색스 등의 투자자로부터 500만 달러를 모금했으며, 현재 또 다른 펀딩 라운드를 진행하고 있다.

AI 등장 이전에도 저작권법(copyright law)은 매우 까다로운 주제였다.  특히, 미국 저작권법을 기초로 한  공정이용(Fair use)를 둘러싼 논란은 뜨겁다.

공정 이용은 저작권 소유자의 허가 없이도 저작물을 제한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법적 개념이다. 새로운 문화 생산을 장려하고 표현의 자유를 보장하기 위한 목적을 목적인데 뉴스나 다큐멘터리 영화, 학술 분야에 주로 적용된다. 하지만, 원저작물에 새로운 의미나 메시지를 추가해 새로운 작품을 만들  경우 공적 이용(fair use)으로 인정되기도 한다. 일부 창작자는 이 조항을 작품을 표절하는 공적 수단으로 사용하기도 해 문제가 되고 있다.

애들러(Adler)는 “실리콘밸리의 많은 사람들은  [AI 모델] 학습 역시  공정 이용의 범위 내의 업무라고 주장하고 있다”며 “이들은 인간은 책을 무제한으로 읽고 배울 수 있고 배운 것을 전수할 수 있기 때문에 AI에도 같은 프레임을 적용해야 한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그는 “AI로봇이 인간의  인간의 행동이나 인간의 창의적 결과물을 사용하거나 학습할 때는 인간과 로봇 모두에게 이익이 되도록 공생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른바 제 4의 법칙(The fourth law)이다

현재 크리에이티드 바이 휴먼은 AI 기업이 인간이 만든 콘텐츠를 사용하고 학습하는 방법에 대한 기본 원칙을 담은 '제4의 법칙'을 회사 운영 원칙으로 하고 있다. 공상과학 작가 아이작 아시모프(Isaac Asimov)의 로봇의 세 가지 법칙에서 영감을 얻었다.

제4법칙은 인간은 자신의 저작물을 AI가 사용하는 방법에 동의(Consent)하고 통제(Control)할 권리가 있어야 하며, (요청이 있을 경우) 보상(Compensation)을 받고 저작물에 대한 크레딧(Creat, AI결과물에 책이 참조된 경우 해당 책을 구매할 수 있는 링크가 있어야 함)을 제공받아(Creator receive proper attribution)야 한다는 것이다.

애들러는 “우리는 제4의 법칙이 AI 기업과 콘텐츠 소유자 간의 거래 방식에 대한 새로운 표준이 되기를 바란다”며 "저자와 퍼블리셔는 제4의 법칙에 따라 콘텐츠를 제공하고 모든 콘텐츠를 관리할 수 있다”고 말했다.

The company raised $5 million in 2024 from investors including Gary Tan, Mike Maples of Floodgate Fund, Slow Ventures, and David Sacks, and is currently in the midst of another funding round.


Even before the advent of AI, copyright law has been a thorny topic, particularly the debate over fair use, which is the basis of U.S. copyright law.  

Fair use is a legal concept that allows limited use of a copyrighted work without the copyright owner's permission. It's intended to encourage new cultural production and ensure freedom of expression, and is often applied to news, documentary films, and academia. However, if you create a new work that adds a new meaning or message to the original work, it can also be recognized as fair use. This is problematic because some creators use this provision as an excuse to plagiarize their work.


"A lot of people in Silicon Valley are arguing that learning [AI models] is also within the scope of fair use," Adler explains, "The idea being that humans can read an unlimited number of books and learn from them and pass on what they learn, so the same frame should apply to AI."  However, he emphasized that "when AI robots use or learn from human behavior or human creative output, it should be done symbiotically to benefit both humans and robots." This is the so-called fourth law.


Today, Created by Humans uses the fourth law as a guiding principle for how AI companies should use and learn from human-created content. It was inspired by science fiction author Isaac Asimov's three laws of robots.


The Fourth Law is that humans should have the right to consent to and control how their work is used by AI, be compensated (if requested) and given credit for their work (Creat, and if a book is referenced in the AI output, there should be a link to purchase the book), and that creators receive proper attribution.


"We want the Fourth Rule to be the new standard for how AI companies and content owners work together," said Adler. "Authors and publishers can contribute content and retain control of all their content under the Fourth Rule."

이와 관련 애들러는 저작권자와 AI 회사가 저작권이 있는 책이나 기타 창작물에 대한 라이선스 계약을 간편하게 체결할 수 있는 디지털 마켓플레이스(크리에이티브 바이 휴먼, Created by Humans)을 목표로 하고 있다.

AI시대 저작권을 둘러싼 갈등을 심해지고 있다.  오픈AI는 뉴욕타임스와 소송 중이며 게티이미지(Getty Images)는 스테빌리티AI를 이미지 무단 사용으로 고소했다. 월스트리트저널을 발행하고 있는 뉴스코퍼레이션(News Corp)는 AI생성 엔진 퍼플렉서티(Perplexity)를 법정에 고발했다. 음악 업계도  긴장 관계다. 소니 뮤직, 워너 레코드, 유니버설 뮤직은 오디오 기반 생성 AI 스타트업인 수노(Suno)와 유디오를 고소하기도 했다.

‘애들러는 크리에이티드 바이 휴먼(Created by Humans)을  정식 출시를 앞두고 있다. 현재는 저작권 라이브러기 소유자와 AI 회사들과만 협력할 수 있도록 마켓플레이스를 설정했다. 사용자 경험이 새로운 플랫폼 사용에 핵심이기 때문이다. 지금 단계에서 개별 현재 저작권 거래는 지저분하고 혼란스러워 보일 수 있다. 향후에는 에어비앤비에서 숙소 예약하듯 편하게 ‘AI저작권 거래’를 할 수 있게 할 계획이다.

먼저 지금은 책 관련 저작권 거래를 시작한다. ISBN(International Standard Book Numbers) 데이터베이스에서 전 세계 도서의 목록을 가져올 예정이다. 책 저자는 신원이 확인된(유료) 계정을 만들고 AI 회사도 자체 계정을 갖게 된다.  이후에는 거래에 나서면 된다.

In this regard, Adler aims to create a digital marketplace (called Created by Humans) that will make it easy for authors and AI companies to license copyrighted books and other creative works.


Copyright in the AI era is becoming increasingly contentious.  OpenAI is in litigation with the New York Times, and Getty Images is suing StabilityAI for unauthorized use of its images. News Corp, which publishes the Wall Street Journal, has taken AI generative engine Perplexity to court. The music industry is also tense. Sony Music, Warner Records, and Universal Music have sued audio-based generative AI startups Suno and Udio.


Adler is close to launching Created by Humans. For now, we've set up the marketplace to only work with copyright library owners and AI companies. This is because user experience is key to using the new platform. At this stage, individual current copyright transactions can seem messy and confusing. In the future, we plan to make AI copyright deals as easy as booking a room on Airbnb.


For now, we'll start with book-related copyright transactions. We'll pull a list of books from around the world from the International Standard Book Numbers (ISBN) database. Book authors will have a verified (paid) account, and AI companies will have their own accounts.  After that, they can start trading.

출판의 새로운 미래는 AI에서

창작 사업에서 AI 저작권 마켓 플레이스에 대한 관심도는 뜨겁다. 엘론 머스크와 스티브 잡스의 전기 작가인 월터 아이작슨(Walter Isaacson)도  테스트 사용자이자 투자자로 참여했다. 그는 “다른 모든 업종의 공급업체와 마찬가지로 작가도 공급자로서의 지위를 가져야 한다는 생각으로 투자 결정을 내렸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만약 GPU 클러스터를 만들고 있다면 비용을 청구할 수 있다”며 “가치 있는 책을 출판하고 집필하는 경우 (AI학습용으로) 비용을 청구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크리에이티드 바이 휴먼’은 책을 영화 대본으로 변환하는 것부터 실시간으로 다른 언어로 번역하는 것까지 저작권을 중심으로 한 다양한 포맷 및 프레임워크를 구축할 계획이다. 애들러는 테크크런치와 인터뷰에서 “ 'AI 수익'이 전자책과 오디오북을 능가해 도서 산업의 차세대 주요 동력으로 부상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강조했다.

향후 마켓은 “멀티 포맷과 규모의 경제”

애들러의 목표는 책을 뛰어넘는다. 책 출판은 수익이 한정적이다.  작가와 AI 기업을 연결하는 유용한 마켓플레이스로 자리잡기 위해선 멀티 포맷에 대한 유통이 필수다.  비디오, 이미지, 오디오 저작권 소유자들이 플랫폼에 참여하여 직접 거래를 체결하는 것을 상상하고 있다. 이런 확장은 투자 유치에도 도움이 된다.

책 한권이나 개별 프로젝트는 AI회에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 그는 “AI 모델에는 엄청난 양의 학습 자료가 필요하며, 저작권 소유자가 크리에이티드 바이 휴먼을 통해 더 큰 수익을 얻고 싶다면 함께 카탈로그를 제공하거나 컨소시엄을 구성하는 것이 가장 좋다”고 말했다.

크리에이티드 바이 휴먼의 첫 번째 목적은 마켓 활성화다.  먼저 시장을 키운 뒤 보상을 늘리겠다는 방식이다. 마켓플랫폼에는 "전체 AI 시스템이 잘 작동하도록 만들고 저작권자들이 기여한 만큼 공유한다는 원칙을 가지고 있다”며 "작가, 에이전트, 그 밖의 모든 사람에게 중요한 것은 우리가 마차를 털기 전까지는 수익금 분배를 놓고 싸우지 말자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The new future of publishing is in AI


In the creative business, interest in AI copyright marketplaces is high. Walter Isaacson, biographer of Elon Musk and Steve Jobs, has been a test user and investor. "My decision to invest was based on the idea that writers should have the same status as vendors as vendors in any other industry," he says. "If you're building a GPU cluster, you can charge for it," he emphasized, "and if you're publishing and writing a book of value, you can charge for it (for AI training)."


Created by Humans plans to build a variety of formats and frameworks around copyright, from converting books into movie scripts to translating them into other languages in real time. "We expect 'AI revenue' to surpass ebooks and audiobooks as the next major driver of the book industry," Adler told TechCrunch.


The future market will be "multi-format and economies of scale"
Adler's goal goes beyond books. Book publishing has limited revenue.  To be a useful marketplace for connecting authors and AI companies, it needs to be multi-format and multi-distributed.  He envisions video, image, and audio rights holders joining the platform and striking deals directly. This expansion will also help attract investment.


A single book or individual project is not as important to AI Society. "The AI model requires a huge amount of training material, and if rights owners want to get a bigger return from Created by Human, it's best to offer their catalogs together or form a consortium," he says.


The first goal of Created by Humans is to enable the market.  The idea is to grow the market first, then increase the rewards. "We have a principle of making the whole AI system work well and sharing as much as rights holders contribute," he explains, "The important thing for authors, agents, and everyone else is that we don't fight over the share of the proceeds until we've robbed the wagon."

출처 버라이어티

2025년 AI의 현실화를 대비하는 과정

한편,  올해(2024) 최고의 화두는 AI였다. 2024년 생성AI가 할리우드에 본격적으로 영향을 미친 해라고 볼 수 있다.  기술적인 진보도 컸다.

특히,  텍스트를 기반으로 영상을 만드는 비디오AI는 발전속도가 더욱 빨랐다. 고화질 비디오 생성의 개발, 이미지 및 비디오 모델의 파인 튜닝(fine Tuning)에 대한 관심 증가, AI훈련용 콘텐츠 라이선싱, 배우들의 디지털 복제의 허가  및 딥페이크 오남용을 방지하는 방법 , 생성AI 사용에 따른 윤리적인 문제 등 다양한 이슈들도  제기됐다.  

또 AI에 영향을 받는 다양한 크리에이터의 의견을 반영하는 것이 매우 중요했다. 한 해 동안 AI를 둘러싼 갈등이 이런 이해 관계 조정에서 벌어졌다

2025년에도 이런 갈등들이 이어지겠지만 보다 현실화된  해법들을 찾아갈 가능성이 높다. AI 저작권 마켓 플레이스도 이런 해법중 하나가 될 수 있다.

How to prepare for the reality of AI in 2025


Meanwhile, this year (2024) was all about AI. 2024 was the year that generative AI really hit Hollywood.  Technological advances were significant.


In particular, video AI, which creates videos based on text, advanced at a faster pace. A variety of issues were also raised, including the development of high-definition video generation, increased attention to fine-tuning image and video models, licensing content for AI training, how to license actors for digital reproduction and prevent deepfake abuse, and the ethical implications of using generative AI.


It was also important to ensure that the voices of diverse creators affected by AI were heard. The year's conflicts over AI were driven by this balancing of interests.


In 2025, these conflicts will continue, but we're likely to see more realistic solutions. AI copyright marketplaces could be one such solution.

Newsletter
디지털 시대, 새로운 정보를 받아보세요!
SH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