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1.5 Billion Question: Hollywood's Copyright War with AI (AI 저작권 전쟁: 창작의 정의를 둘러싼 2조원의 공방

  • September 2025: Anthropic agrees to $1.5B (≈ $2B) settlement
  • Disney, Warner Bros., NBCUniversal file joint lawsuit against Midjourney
  • Core dispute: What counts as "creation" in the AI era?

2025년 9월, 할리우드 법정가에서 흘러나온 "15억 달러"라는 숫자가 업계를 뒤흔들었다. AI 기업 Anthropic이 작가 집단에 지불하기로 한 역사상 최대 규모의 저작권 합의금이었다.

같은 시기, 디즈니와 워너브라더스, NBCUniversal은 또 다른 AI 기업 Midjourney를 상대로 집단 소송을 제기했다. 표면적으로는 단순한 저작권 침해 소송처럼 보이지만, 이 두 사건은 "AI 시대에 창작이란 무엇인가"라는 근본적 질문을 법정으로 끌어들였다. 실리콘밸리의 혁신과 할리우드의 창작권이 정면충돌한 이 전쟁터에서, 우리는 디지털 시대 창작의 새로운 정의가 써지는 역사적 순간을 목격하고 있다.

In September 2025, a staggering figure emerged from Hollywood's legal corridors: $1.5 billion. This was the historic copyright settlement AI company Anthropic agreed to pay a group of authors—the largest copyright recovery in history. Meanwhile, Disney, Warner Bros. Discovery, and NBCUniversal launched a collective assault on another AI firm, Midjourney. What appears to be simple copyright infringement cases are actually fundamental battles over the very definition of creativity in the AI age. As Silicon Valley's innovation collides head-on with Hollywood's creative rights, we're witnessing a historic moment where the new rules of digital creativity are being written.

차고 세일과 다크웹, 15억 달러를 가른 아이러니

"믿기 어려운 일이지만, 사실입니다. 차고 세일에서 50센트에 산 책은 AI 훈련에 사용해도 합법이지만, 다크웹에서 다운로드한 같은 책을 쓰면 15억 달러를 물어야 합니다."

버라이어티의 진 매다우스 수석 기자는 Anthropic 사건의 아이러니를 이렇게 요약했다. 기업가치 1,830억 달러, 최근 130억 달러의 추가 투자를 유치한 AI 업계의 총아가 초기 훈련 과정에서 저지른 '실수'의 대가는 혹독했다.

연방법원의 판결은 명확했다. 문제는 AI 훈련 자체가 아니라 데이터를 '어떻게' 취득했느냐였다. Anthropic은 초기에 해적 사이트에서 대량의 책을 불법 다운로드했고, 이것이 발목을 잡았다. 현재 이 회사는 중고 서점에서 종이책을 구매한 뒤 스캔하는 번거로운 과정을 거치고 있다. 같은 콘텐츠, 같은 목적, 하지만 취득 경로에 따라 2조원의 차이가 발생한 것이다.

The $1.5 Billion Irony: Garage Sales vs. Dark Web

"It's hard to believe, but it's true. You can legally scan a 50-cent book from a garage sale to train AI, but use the same book downloaded from the dark web, and you'll owe $1.5 billion."

That's how Gene Maddaus, Variety's senior media writer, summarized the Anthropic case's absurdity. The AI industry darling, valued at $183 billion with a recent $13 billion funding round, paid dearly for its early 'mistake.'

The federal court's ruling was clear: the issue wasn't AI training itself, but how the data was acquired. Anthropic had initially downloaded massive amounts of books from pirate sites, and this became their Achilles' heel. The company now goes through the cumbersome process of purchasing used paper books and scanning them. Same content, same purpose, but the acquisition method meant a $1.5 billion difference.

Transformative Use, 창작의 새로운 정의

2025년 6월, 두 건의 연방법원 판결이 AI 업계에 숨통을 틔워주었다. 법원은 AI 훈련을 'transformative use(변형적 사용)'로 규정했다. 이는 저작권법상 'fair use(공정 사용)'로 보호받을 수 있다는 의미였다.

"법원은 AI가 단순히 복제하는 것이 아니라 '무언가 새로운 것을 창조한다'고 봤습니다. 저작권이 존재하는 이유가 바로 새로운 창작을 장려하기 위함이죠." 매다우스의 설명이다.

하지만 이 판결은 창작자들에게는 청천벽력이었다. Human Artistry Campaign이라는 이름으로 뭉친 할리우드 노조와 창작자 연합은 "AI가 우리 작품으로 학습한다면 정당한 대가를 지불해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법원은 이들의 손을 들어주지 않았다.

transformative use는 네 가지 요소를 종합적으로 판단한다. 사용의 목적과 성격, 저작물의 성질, 사용된 부분의 양, 그리고 무엇보다 중요한 'market harm(시장 피해)'이다. AI가 생성한 콘텐츠가 원작의 시장을 실제로 침해하는가? 이 질문이 향후 소송의 핵심이 될 전망이다.

Transformative Use: Redefining Creation

In June 2025, two federal court rulings gave the AI industry breathing room. Courts ruled that AI training constitutes 'transformative use,' meaning it could be protected under copyright law's 'fair use' doctrine.

"The court saw AI not as merely copying, but as 'creating something new,'" Maddaus explained. "Copyright exists precisely to encourage new creation."

But this ruling was devastating for creators. The Human Artistry Campaign, a coalition of Hollywood unions and creators, argued that "if AI learns from our work, it should pay fair compensation." The courts disagreed.

Transformative use involves four factors: the purpose and character of use, the nature of the copyrighted work, the amount used, and crucially, 'market harm.' Does AI-generated content actually harm the original work's market? This question will be central to future litigation.

Midjourney를 노린 전략적 일격

"왜 Meta나 Google이 아니라 Midjourney인가?"

토드 스팽글러 비즈니스 편집자는 거대 스튜디오들의 전략을 꿰뚫어봤다. "Midjourney는 충분히 크지만 압도적이지 않습니다. 여기서 이기면 선례를 만들 수 있고, 다른 모든 기업들이 따라야 할 기준이 됩니다."

Midjourney의 약점은 명확했다. 유료 구독 모델로 운영되며, "슈퍼맨과 배트맨이 싸우는 장면"을 요청하면 저작권 캐릭터들의 거의 완벽한 복제품을 생성한다. 이는 명백한 상업적 이용이었다. AI든 복사기든, 타인의 창작물로 돈을 버는 것은 용납될 수 없다는 것이 스튜디오들의 논리다.

The Strategic Strike on Midjourney

"Why target Midjourney instead of Meta or Google?"

Todd Spangler, Variety's business editor, saw through the major studios' strategy. "Midjourney is big enough to matter but not overwhelming. Win here, and you set a precedent that everyone else must follow."

Midjourney's vulnerability was clear. Operating on a paid subscription model, it generates near-perfect replicas of copyrighted characters when asked to create "Superman fighting Batman." This was blatant commercial use. The studios' logic was simple: whether it's AI or a photocopier, profiting from others' creations is unacceptable.

할리우드의 딜레마: AI는 쓰고 싶지만

그러나 할리우드도 완전히 깨끗하지는 않다. 스팽글러는 이를 "양날의 검"이라 표현했다.

"스튜디오들은 필요할 때 generative AI를 사용할 수 있기를 원합니다. 이 특정 사건에서 선을 그음으로써, 그들은 자신들의 손발을 묶지 않으려 합니다."

워너브라더스, 디즈니, NBCUniversal 같은 거대 스튜디오들은 AI가 제공하는 제작 효율성을 포기할 수 없다. 하지만 동시에 자신들의 캐릭터와 스토리가 무단 복제되는 것도 막아야 한다. 이 모순적 입장이 현재 진행 중인 법적 공방을 더욱 복잡하게 만들고 있다.

Hollywood's Dilemma: Wanting AI, But on Their Terms

Yet Hollywood isn't entirely clean-handed. Spangler called it a "double-edged sword."

"Studios want to use generative AI when it suits them. By drawing lines in this particular case, they're trying not to tie their own hands."

Giants like Warner Bros., Disney, and NBCUniversal can't abandon the production efficiencies AI offers. But they simultaneously need to prevent unauthorized replication of their characters and stories. This contradictory position makes the ongoing legal battles even more complex.

YouTube의 전례, AI의 미래

"기술의 바퀴는 항상 법적 기준보다 앞서 간다." 스팽글러의 이 관찰은 현 상황의 본질을 짚는다.

YouTube가 등장했을 때도 비슷한 혼란이 있었다. 수많은 저작권 분쟁 끝에 YouTube는 'copyright flagging system'을 도입해 권리자들과 타협점을 찾았다. 전문가들은 AI 업계도 비슷한 경로를 따를 것으로 전망한다.

가능한 해결책들이 논의되고 있다. YouTube의 Content ID처럼 AI 훈련에 사용되는 콘텐츠에 대한 자동 보상 체계, 창작자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opt-in 시스템, 상업적 이용과 연구 목적의 명확한 구분 등이다.

YouTube's Precedent, AI's Future

"Technology's wheels always move faster than legal standards," Spangler observed, capturing the situation's essence.

YouTube faced similar chaos when it emerged. After countless copyright disputes, YouTube introduced its copyright flagging system, finding compromise with rights holders. Experts predict the AI industry will follow a similar path.

Potential solutions are being discussed: automatic compensation systems like YouTube's Content ID for content used in AI training, opt-in systems for creators to voluntarily participate, and clear distinctions between commercial and research use.


(표 설명)엔터테인먼트 업계, 생성AI로 인한 직업 변화 전망

  • 가장 큰 영향이 예상되는 직군은 애니메이터(55%가 '주요 영향')와 VFX 아티스트(50%)
  • 게임 개발자(43%), 성우(41%), 콘셉트·스토리보드 아티스트(41%)도 AI에 의한 역할 변화가 많을 전망
  • 영화 편집자(37%), 시나리오 작가(36%), 작곡가(34%), 촬영감독(33%)까지 폭넓은 분야에서 '주요 영향' 혹은 '부분 영향'을 언급
  • 반면, 감독(21%)·메이크업 아티스트(16%) 등은 AI 영향이 상대적으로 적을 것으로 인식.
  • 전체적으로, 기술·창작 관련 직군일수록 AI 영향에 대한 경계가 높고, 특히 영상·시각 분야의 변화에 대한 위기의식이 두드러짐

Gen AI 통한 스타일 복제 실태 (미국 일반인·소득별)

  • 전체 응답자 중 45%가 이미지를 AI로 ‘특정 작가 스타일로’ 변환해본 경험이 있다고 답함
  • 텍스트(글쓰기)도 37%, 음악 29%, 영상 24% 각각 AI로 특정 아티스트/작가 스타일 복제한 적 있다고 응답
  • 젊은 층(Gen Z+Alpha)이 AI 아트 스타일 복제 경험이 이미지(47%), 글쓰기(40%)에서 특히 높음
  • 소득이 높을수록(10만 달러 이상) 이미지(45%), 영상(33%), 음악(36%) 등 전 부문에서 AI 활용도가 상대적으로 높음
  • Gen X 및 Boomers 세그먼트에서는 AI 복제 경험치가 전반적으로 낮게 잡힘

현장 전문가 해석

  • 엔터테인먼트 직군 내 AI의 영향은 창작·기술 융합 분야에서 가장 크게 나타나며, 단순 반복적 작업보다는 창의적 결정이 요구되는 영역에 주로 적용될 것으로 보임
  • AI가 이미 일반인 소비·창작 활동에 침투한 상태임을 보여주며, 저작권·스타일 모방 이슈가 앞으로 더욱 중요한 논의거리가 될 전망
  • 산업 변화에 있어 세대·소득 격차가 뚜렷하게 나타나며, 특히 젊은 창작자 및 고소득층의 AI 활용은 빠르게 확산되는 양상

클라우드 아이러니: 창작 친화적 AI의 몰락

Anthropic은 자사의 AI 서비스 'Claude'를 "창작 산업 친화적"이라고 마케팅해왔다. 다른 경쟁자들보다 윤리적이고 책임감 있다는 것이 그들의 주장이었다. 15억 달러 합의금은 이런 이미지에 치명타를 입혔다.

"이것을 실제로 현금화할 수 있는지는 별개의 문제"라는 매다우스의 지적처럼, 183억 달러라는 기업 가치가 거품인지 정당한 평가인지는 시간이 증명할 것이다. 확실한 것은 이 사건이 업계 전체에 경종을 울렸다는 점이다.

"초기 AI 훈련 시절에 얼마나 많은 기업들이 비슷한 방법을 사용했을까?" 매다우스의 의미심장한 질문은 업계를 긴장시킨다. Anthropic의 15억 달러는 빙산의 일각일 수도 있다.

Claude's Irony: The Fall of "Creator-Friendly" AI

Anthropic marketed its AI service 'Claude' as "creator-friendly," claiming to be more ethical and responsible than competitors. The $1.5 billion settlement shattered this image.

As Maddaus noted, "Whether this can actually be cashed out is another question." Whether the $183 billion valuation is a bubble or justified remains to be seen. What's certain is this case sent shockwaves through the industry.

"How many companies used similar methods during early AI training days?" Maddaus's pointed question makes the industry nervous. Anthropic's $1.5 billion might be just the tip of the iceberg.

The Courthouse Reality Check

The federal courthouse in Los Angeles has become ground zero for this clash of titans. On one side, Silicon Valley's brightest minds argue that innovation requires freedom to learn from existing works. On the other, Hollywood's creative unions and studios insist that decades of copyright law can't be swept aside by algorithmic advancement.

"We're not anti-technology," a representative from the Human Artistry Campaign stated outside the courthouse. "We're pro-creator. There's a difference between inspiration and exploitation."

The June rulings have emboldened AI companies while leaving creators feeling betrayed by a legal system they thought would protect them. The four-factor fair use test—purpose, nature, amount, and market harm—has become a battlefield where each word is dissected and debated.

The Market Harm Puzzle

Perhaps no aspect of these cases is more contentious than 'market harm.' When Midjourney generates a Superman image, does it replace official DC Comics merchandise? The answer seems obvious. But when AI trains on thousands of books to learn language patterns, does that harm book sales? The waters get murky.

"It's like asking whether a student reading Shakespeare harms Shakespeare's estate," one legal expert noted. "Except this student can read every book ever written in seconds and produce infinite variations."

The courts have drawn a line: transformation is key. But where transformation ends and replication begins remains frustratingly unclear.

결론: 창작의 미래를 위한 불편한 동거

2025년 가을, 할리우드 법정가에서 벌어지는 이 전쟁은 단순한 기업 간 분쟁이 아니다. "AI training은 본질적으로 copyright infringement인가?"라는 질문에 법원은 'transformative use'라 답했지만, 창작자들은 동의하지 않는다. 스튜디오들은 AI를 활용하고 싶지만, 자신들의 IP는 철저히 보호받기를 원한다.

이런 모순과 긴장 속에서도 한 가지는 분명하다. YouTube가 copyright flagging system으로 공존의 길을 찾았듯이, AI 시대에도 창작자와 기술 기업이 함께 번영할 수 있는 새로운 프레임워크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중요한 것은 맹목적 저항이나 무비판적 수용이 아니다. 창작의 가치를 존중하면서도 혁신을 가능하게 하는 지혜로운 타협이 필요하다. 15억 달러의 합의금과 Midjourney를 향한 집단 소송은 그 타협점을 찾아가는 긴 여정의 첫걸음일 뿐이다.

AI가 셰익스피어를 학습해 쓴 소네트는 누구의 작품인가? 원작자인가, AI 개발자인가, 아니면 프롬프트를 입력한 사용자인가? 이 철학적 질문에 대한 법적, 사회적 합의가 향후 창작 산업의 지형을 결정할 것이다.

2025년의 이 법적 전투들은 역사의 변곡점이 될 것이다. 우리는 지금 'AI 시대 인간 창의성의 가치'가 재정의되는 순간을 목격하고 있다. 그 답을 찾는 여정은 이제 막 시작되었다.

Conclusion: An Uncomfortable Coexistence

Fall 2025's legal battles in Hollywood represent more than corporate disputes. They're about fundamental questions: Is AI training inherently copyright infringement? Courts say it's transformative use; creators disagree. Studios want to use AI while fiercely protecting their IP.

Despite these contradictions and tensions, one thing is clear: just as YouTube found coexistence through its copyright flagging system, the AI era needs a new framework where creators and tech companies can thrive together.

What matters isn't blind resistance or uncritical acceptance, but wise compromise that respects creative value while enabling innovation. The $1.5 billion settlement and the Midjourney lawsuit are just first steps in finding that balance.

Who owns a sonnet written by AI trained on Shakespeare? The original author, the AI developer, or the user who entered the prompt? The legal and social consensus on this philosophical question will shape the creative industry's future landscape.

These 2025 legal battles will be historical turning points. We're witnessing the moment when the value of human creativity in the AI age is being redefined. The journey to find answers has only just begun.

As one studio executive put it, walking out of the courthouse: "We're not trying to stop the future. We're trying to ensure there's still a place for human creativity in it."

The war between Hollywood and Silicon Valley continues, with billions of dollars and the future of creativity hanging in the balance. In this high-stakes game, there may be no winners—only survivors learning to adapt to a fundamentally changed world.

Newsletter
디지털 시대, 새로운 정보를 받아보세요!
1 이달에 읽은
무료 콘텐츠의 수

1 month 10,000 won, 3 months 26,000 won, 1 year 94,000 won

유료 구독하시면 비즈니스에 필요한 엔터테크 뉴스, 보고서, 영상 자료를 보실 수 있습니다(Subscribe to get the latest entertainment tech news, reports, and videos to keep your business in the know)

Powered by Bluedot, Partner of Mediasphere
닫기
SH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