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New Path for the Korean Wave: Insights from Singapore
[Insights from Samseog Ko]
글: 고삼석 동국대 AI 융합대학 석좌교수(전 방송통신위원회 상임위원)
Samseog Ko
Distinguished Professor, School of AI Convergence, Dongguk University
(Former Commissioner of the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I recently visited Singapore, a country widely recognized as the “Hub of the Asian Economy” and globally acknowledged as an “innovation nation.” With the advent of the AI era, Singapore is being reborn as a “hub of cutting-edge technology.”
According to the “2024 World Competitiveness Ranking” by the International Institute for Management Development (IMD) of Switzerland, which evaluated 67 countries worldwide, Singapore reclaimed its spot at No. 1 after three years. Meanwhile, in the “2024 Global AI Index” by the UK-based media outlet Tortoise Media—an analysis of AI competitiveness across 83 countries—Korea ranked sixth overall, while Singapore took fourth place. Truly a “small but mighty” nation.
Compared to other Southeast Asian countries like Thailand, Vietnam, and Indonesia, there isn’t a great deal of attention or scholarly research in Korea on the Hallyu (Korean Wave) phenomenon in Singapore. This may be because Singapore has a smaller population and economy than those countries, which naturally leads to a smaller content market. Yet recent developments show that the Hallyu wave in Singapore is quite strong.
On OTT platforms, for example, three to four Korean dramas consistently rank in the top 10, and K-pop artists are staging concerts throughout the year. The popularity of K-content also fuels local interest in K-food and K-beauty. Reportedly, there are about 300 Korean restaurants spread across Singapore. Considering that Singapore’s territory is only slightly larger than Seoul, that is a noteworthy number.
A July survey by the Embassy of the Republic of Korea in Singapore polled 1,000 Singaporeans, revealing that 66% held a positive view of Korea. Among young respondents aged 15 to 19—the core consumer base of Hallyu—this number rose to 71%. Even compared to other Southeast Asian countries known for their passionate Hallyu fandom, Singapore’s enthusiasm is not lagging.
According to the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 (KOCCA) Singapore Business Center, established in August last year, the Infocomm Media Development Authority (IMDA) in Singapore functions similarly to KOCCA in Korea.
IMDA manages international co-production funds, among other content-support initiatives, and has shown significant interest in the success of K-content. It maintains a close collaborative relationship with the KOCCA Singapore Center.
Indeed, the KOCCA Singapore Center achieved considerable success at “SWITCH (Singapore Week of Innovation & Technology) 2024,” Asia’s largest international startup exhibition featuring global innovators, startups, creators, and investors, held in Singapore last October. By operating a Korea Pavilion, it facilitated 396 business meetings and secured export consultations valued at US$24 million (approximately KRW 33.1 billion).
The significance of the achievements at SWITCH 2024 lies not just in the sale of content. More importantly, the event confirmed strong demand and market potential among Southeast Asian companies and investors for the Enter-Tech (Entertainment & Technology) sector, which combines content with advanced technology.
At “KOCCA Night,” a business networking event designed to showcase the capabilities of Korean content and startups, the KOCCA Singapore Center hosted a roundtable on the future prospects of Hallyu through the fusion of K-content and technology. It also organized a conference on using AI to enhance content value and boost user engagement, which received a positive response from attendees.
During my visit, I spoke with Park Sang-wook, head of the KOCCA Singapore Center. He voiced his ambition to “move beyond simply selling content to develop a new Hallyu expansion model—one that involves pioneering the Enter-Tech sphere by integrating content with cutting-edge technology and attracting investment in content IP.” The backdrop to this vision is Singapore’s unique economic and social characteristics, as well as its strategic geographic position.
Although Singapore’s content market size (ranked 26th globally) is not large, and its GDP is only about one-third that of South Korea, the 2023 IMF data shows that Singapore’s per capita GDP based on purchasing power parity (PPP) was US$133,890—the third highest worldwide. By contrast, South Korea’s figure was just over half of Singapore’s, at US$50,572. The KOCCA Singapore Center believes that Singapore’s exceptionally high purchasing power, coupled with its strong preference for innovative and premium products, suggests a considerable market for “content fused with cutting-edge technology” or similarly advanced services.
Currently, it is estimated that more than 4,000 Korean companies have established subsidiaries in Singapore, and over 4,200 multinational corporations operate Asia-Pacific headquarters there. The Asia-Pacific offices of major global content players—including Netflix, Warner Bros., Warner Music, Spotify, and NBC Universal—are all concentrated in Singapore.
Hence, beyond simple content transactions, Singapore offers an attractive market where one can explore diverse business opportunities such as expanding co-productions, attracting investments in content IP, and venturing into Enter-Tech by merging content with technology, thereby extending the realms of Hallyu business.
Moreover, Singapore’s location along the Strait of Malacca—one of the world’s most vital maritime routes—positions it as a global trading hub. Leveraging this strategic advantage, Singapore aims to surpass Hong Kong as a “global financial hub.” Observers note that global capital, including Chinese investment, is increasingly flocking back to Singapore. Since the content industry is traditionally capital-intensive and OTT services are driving the globalization of content distribution, Singapore provides an optimal business environment for Korean content companies seeking to innovate alongside global players and expand beyond Southeast Asia into global markets.
The Hallyu phenomenon, anchored by K-content, not only generates substantial economic benefits but also significantly enhances national image and elevates South Korea’s standing in the global community—intangibles that cannot easily be quantified in monetary terms. Last year, the Korean government expanded its global network of KOCCA Business Centers to 10 overseas strategic locations, including Singapore, in order to promote the global reach of Hallyu.
Yet one cannot help but question whether government policy and the global business strategies of content companies have become as refined and mature as the rapid growth and global diffusion of Hallyu itself.
Are government bodies overly focused on “political gains” derived from Hallyu’s achievements, and are companies too preoccupied with short-term “performance”?
Flying back to Korea from Singapore, I pondered for some time what Hallyu ultimately aims to achieve, what vision it offers its global audience, and whether Hallyu has truly become part of the world’s mainstream culture.
얼마 전 싱가포르에 다녀왔다. '아시아 경제의 허브'로 자리잡은 싱가포르는 자타가 공인하는 '혁신 국가'이자, 인공지능(AI) 시대 개막과 함께 '첨단 기술의 허브'로 거듭나고 있다. 지난해 스위스 국제경영개발대학원(IMD)이 세계 67개국을 대상으로 한 '2024년 국가경쟁력 평가'에서 싱가포르는 3년 만에 세계 1위를 탈환했다. 영국 언론기관인 토터스 미디어(Tortoise Media)가 '2024년 글로벌 AI 인덱스'에서 전 세계 83개국의 AI 경쟁력 수준을 비교 분석한 결과 한국이 종합 6위를 차지한 반면, 싱가포르는 종합 4위에 이름을 올렸다. 확실히 '작지만 강한 나라'이다.
싱가포르의 한류 현상에 대한 국내의 관심은 태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타 동남아시아 국가들과 비교할 때 그렇게 높지 않다. 학술 연구 결과물도 많지 않다. 다른 국가들보다 인구나 경제 규모가 작고, 그에 따라 콘텐츠 시장의 규모도 크지 않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최근 싱가포르에 불고 있는 한류 열풍은 상당히 뜨겁다. OTT의 TV드라마 부문에서 3~4개의 K-드라마가 10위권 내에 자리를 차지하고 있고, K-팝 아티스트들의 콘서트가 연중 끊임없이 열리고 있다. K-콘텐츠의 높은 인기에서 파생되는 K-푸드, 뷰티도 현지에서 높은 인기를 누리고 있다. 일례로 싱가포르 전역에서 운영되는 한식당만 300여개에 달한다고 한다. 싱가포르의 국토 면적이 서울보다 약간 큰 규모라는 점을 생각하면 적지 않은 숫자이다.
주싱가포르 대한민국대사관이 지난해 7월 싱가포르 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온라인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응답자 중 66%가 한국에 대해 긍정적 인식을 갖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한류 핵심 소비 집단인 15~19세 젊은층에서는 71%가 한국을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류 열풍이 뜨겁게 불고 있는 다른 동남아시아 국가들과 비교해도 열기가 결코 떨어지지 않는다.
지난해 8월 개설된 한국콘텐츠진흥원(KOCCA) 싱가포르 비즈니스센터에 따르면 싱가포르의 정보통신미디어개발청(IMDA)이 우리의 KOCCA와 유사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국제 공동제작 펀드를 비롯한 다양한 콘텐츠 제작 펀드 조성과 지원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IMDA는 K-콘텐츠의 성공사례에 많은 관심을 보이면서 KOCCA 싱가포르 비즈니스센터와 긴밀한 협력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실제로 KOCCA 싱가포르센터는 지난해 10월 싱가포르에서 열린 전 세계 혁신 기술 스타트업과 창작자, 투자자 등이 참가하는 아시아 최대 규모의 국제 스타트업 전시회인 'SWITCH(Singpore Week of Innovation & Technology) 2024'에서 한국공동관을 운영하면서 총 396건의 비즈니스 미팅을 통해 2,400만 달러(한화 약 331억원)의 수출 상담액을 달성하는 등 큰 성과를 거두었다.
'SWITCH 2024'에서 거둔 성과가 의미있는 것은 이번 행사가 단순히 콘텐츠를 판매하는 것을 넘어서 콘텐츠에 첨단 기술을 접목시킨 엔터테크(Entertainment & Technology, Enter-Tech) 분야에 대한 동남아시아 기업 및 투자자들의 수요와 시장성을 확인했다는 점이다. 국내 콘텐츠 산업과 스타트업의 역량을 보여주기 위해 마련된 비즈니스 네트워킹 행사인 '코카 나이트'(KOCCA Night)에서 KOCCA 싱가포르센터는 K-콘텐츠 산업과 기술의 결합을 통한 한류의 미래 전망 좌담회 등을 진행하였다. 뿐만 아니라 AI 기술을 활용하여 콘텐츠의 가치를 제고하고, 이용을 활성화하는 방안을 주제로 컨퍼런스를 개최하여 참가자들로부터 좋은 평가를 받았다.
필자가 현지에서 직접 만난 박상욱 KOCCA 싱가포르센터장은 "콘텐츠 판매를 뛰어넘어 콘텐츠와 첨단 기술을 접목시킨 엔터테크 분야 개척, 콘텐츠 IP 투자 유치 등 새로운 한류 확산 모델을 만들어 보고 싶다"는 포부를 밝혔다. 이러한 비전 설정의 배경에는 싱가포르의 독특한 경제 및 사회 특성과 지리적 위상이 자리잡고 있다.
싱가포르의 콘텐츠 시장 규모(세계 26위)는 크지 않고, GDP 기준 경제 규모 또한 우리나라의 1/3에 못미치는 수준이다. 그러나 2023년 국제통화기금(IMF)의 자료에 따르면 구매력 평가지수(PPP) 기준 싱가포르 국민 1인당 GDP는 13만 3,890달러로 세계 3위를 기록했다. 반면 우리나라는 싱가포르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5만 572달러였다. KOCCA 싱가포르센터는 싱가포르 국민들의 구매력이 매우 높고, 혁신적인 제품과 프리미엄 제품 등에 대한 소비 의향이 높기 때문에 '첨단 기술이 융합된 콘텐츠' 혹은 서비스에 대한 수요도 높을 것으로 분석하였다.
현재 싱가포르에는 한국법인이 4,000여개 이상 진출해 있고, 다국적 기업의 아시아-태평양 본부도 4,200여개 이상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넷플릭스, 워너브라더스, 워너뮤직, 스포티파이, NBC 유니버셜 등 글로벌 메이저 콘텐츠 기업의 아시아-태평양 본부가 모두 싱가포르에 모여있다. 따라서 단순한 콘텐츠 거래보다는 공동 제작 확대, 콘텐츠 IP에 대한 투자 유치, 콘텐츠와 기술을 접목시킨 엔터테크 분야 개척 등 새롭고 다양한 비즈니스 기회를 창출하고, 한류 비즈니스 영역의 확장을 시도해 볼 수 있는 매력적인 시장이다.
또한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해상 운송로 가운데 하나인 말라카 해협에 위치한 싱가포르는 국제무역의 허브이다. 이런 지리적 이점을 십분 활용하여 싱가포르는 홍콩을 뛰어넘는 '글로벌 금융 허브'를 지향하고 있다. 최근 중국을 비롯한 글로벌 자본이 다시 싱가포르로 집중되고 있다고 한다. 전통적으로 콘텐츠 산업은 자본 집약적 속성을 갖고 있고, OTT가 주류 미디어로 부상하면서 콘텐츠 유통의 글로벌화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싱가포르는 우리 콘텐츠 기업들이 글로벌 사업자들과 손잡고 비즈니스 전략을 혁신하면서 동시에 동남아시아를 넘어서 글로벌 시장으로 진출을 모색해 볼 수 있는 최적의 비즈니스 환경을 제공한다고 할 수 있다.
K-콘텐츠를 중심으로 한 한류는 경제적 효과는 물론, 금액으로 환산할 수 없는 국가 이미지 제고, 그리고 그에 따른 국가 위상의 상승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지난해 우리 정부는 한류의 전 세계 확산을 목적으로 싱가포르를 비롯한 해외 거점 10곳에 KOCCA 비즈니스센터를 추가로 신설하여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경제 및 문화 현상으로서 한류가 빠르게 성장하고 확산되는 것에 비해서 정부의 정책이나 콘텐츠 기업들의 글로벌 경영 전략이 그만큼 성숙하고 정교화되고 있는지는 의문이다.
정부는 한류 성과의 ‘정치적 활용’에, 기업들은 단기 ‘실적’에 매몰되어 있는 것은 아닌지 한번쯤 되돌아 볼 일이다. 싱가포르에서 한국으로 돌아오는 비행기 안에서 “한류가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바는 무엇인가”, “한류 소비자에게 어떤 비전을 제시하고 있는가”, “한류는 세계의 주류 문화로 성장했는가”라는 질문을 놓고 오랜 시간 고민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