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년 한국 케이블TV 성과와 미래, Local tech로의 진화 K엔터테크 라이브
"30년 한국 케이블TV 성과와 미래, Local tech"로의 진화 K엔터테크 라이브
2월 23일 오후 9시에 진행한 K엔터테크 라이브 방송입니다.
한국 케이블TV 의 30년 역사와 미래에 대한 전망을 담았습니다. 방송 규제와의 관계, 스트리밍 서비스 와의 경쟁, 그리고 지역 방송 의 중요성이 강조했습니다. 케이블TV가 직면한 어려움 속에서도 지역성을 통한 차별화 전략이 필요하다는 메시지도 담았습니다.
"30 years of Korean cable TV achievements and the future of local tech" K-Entech Live
This is a live broadcast of K-Entertechhub on February 23 at 9pm.
It covered the 30-year history of Korean cable TV and its outlook for the future, emphasizing the relationship with broadcasting regulations, competition from streaming services, and the importance of local broadcasting. The message was that despite the challenges facing cable TV, it is necessary to differentiate itself through localization.
1. 🎥 미국 방송 규제와 지역 방송의 위기 (00:00:00)
. FCC (연방방송통신위원회)가 방송 규제 정책을 강화하기 시작했으며, 특히 다양성 원칙에 대한 논란이 있다.
. 미국 지역 방송들은 넷플릭스와 같은 스트리밍 서비스 와의 경쟁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어 FCC 에 규제 완화 를 요구하고 있다.
. 현재 미국에서는 한 미디어 그룹이 전체 방송 가입자 수의 33%를 초과할 수 없고, 한 방송 권역 내 상위 2개 방송사를 동시에 소유할 수 없는 규제가 있다.
. 지역 방송 사들은 넷플릭스의 전국 단위 서비스에 대항하기 위해 이러한 규제 완화 를 요구하고 있으며, 적절한 조치가 없으면 사모펀드 에 매각되는 등 미국 신문업계와 같은 위기를 겪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 한국의 경우, 방송법 개정이 늦어져 스트리밍 시대 에 맞는 규제 변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넷플릭스와 같은 해외 기업이 시장을 장악하는 상황이 발생했다.
1.2. FCC의 방송 규제 강화와 컴캐스트의 대응
. FCC (연방방송통신위원회)가 최근 방송 규제의 고삐를 당기기 시작했다.
. 바이든 정권의 다양성 원칙 (DEI) 이 역차별 논란을 일으키며, 케이블 방송사가 주요 타깃이 되고 있다.
. 컴캐스트는 미국 2위 방송사로, FCC 의 조사에 성실히 응하겠다고 밝혔다.
. 컴캐스트는 지상파, 케이블, 인터넷, 테마파크, 스튜디오를 보유한 거대 미디어 그룹 으로, 피콕 스트리밍 서비스 도 운영 중이다.
. 한국과 달리 미국에서는 규제로 인해 이러한 대규모 미디어 그룹의 형성이 가능하다.
1.3. 미국 지역 방송의 규제 완화 요구와 배경
. FCC 에 대한 지역 방송 들의 규제 완화 요구 가 본격화되고 있다.
. 이는 한국의 케이블TV 지역 채널 운영 상황과 유사한 맥락을 가진다.
. 미국의 지역 민방들은 넷플릭스와 같은 스트리밍 서비스 의 등장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 스트리밍 서비스 들이 전국 단위 방송, 뉴스, 스포츠 중계 등을 제공하면서 지역 방송 과의 경쟁이 심화 되고 있다.
. 이러한 상황에서 지역 방송 사들은 경쟁력 확보를 위해 FCC 에 규제 완화 를 요구하고 있다.
1.4. 미국 방송 시장의 규제와 변화
. 미국 방송 시장에는 미디어 그룹의 시장 점유율을 33% 이하로 제한 하는 규제가 존재한다.
. 컴캐스트, 찰스, 스크립스 등 대규모 지역 방송 기업 들의 영향력을 분산시키기 위해 규제가 도입되었다.
. 넷플릭스 의 급성장으로 인해 미국 지상파 방송협회(NAB)는 기존 규제 완화 를 요구하고 있다.
. 규제 완화 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지역 방송 이 사모펀드에 매각 되는 등 미국 신문 산업과 유사한 위기를 겪을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 이러한 상황은 디지털 스트리밍 서비스 의 성장 에 따른 전통 방송의 위기와 적응 과정을 보여준다.
1.5. 한국 방송 시장의 규제 현실과 개선 필요성
. 한국은 규제 완화가 쉽지 않은 상황이며, 이는 지역 미디어 기반 이 많이 무너진 상태에서 경쟁 구도 도입이 늦어진 결과이다.
. 1995년 케이블TV 출범 이후 방송법의 큰 변화가 있었지만, 소유지분 개선이나 점유율 개선 등 근본적인 변화는 없었다.
. 지상파, 종편 채널의 1인 소유지분 제한, 외국인 지분 제한 등 규제 변화 가 스트리밍 시대에 맞춰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 규제 완화 지연으로 넷플릭스 와 같은 해외 스트리밍 서비스 가 국내 시장을 장악하는 상황이 발생했다.
. 방송 시장의 규제는 완전히 풀어야 한다는 것이 아니라, 스트리밍 시대에 맞는 적절한 규제 개혁 이 필요하다.
2. 🎥 케이블TV의 30년 역사와 현재 위기(00:11:03)
. 미국과 한국의 케이블TV 시장은 스트리밍 서비스 의 성장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
. 한국 케이블TV 는 1995년 3월 시험 방송을 시작으로 다채널 방송과 전문 채널 을 제공하며 성장했다.
. 초기에는 PP(프로그램 제공자)가 상대적 우위에 있었으며, 대기업들의 참여로 다양한 채널이 운영되었다.
. 케이블TV 는 유료 서비스로 재방송과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며 성공적으로 성장했지만, 현재는 IPTV 와 스트리밍 서비스 의 등장으로 위기를 맞고 있다.
. 정부 규제와 정책 변화에 따라 PP가 등록제로 바뀌면서 채널이 다양해졌고, 소비자 선택권이 늘어났다.
3. 🎥 케이블TV의 성장과 도전 (00:20:11)

. 케이블TV 는 초기에 홈쇼핑 과의 상생을 통해 성장했으며, 송출 수수료 개념을 도입하여 채널 배치와 마케팅 역량을 활용했다.
. 그러나 송출 수수료 의존도가 높아지고 구독료 인상과 브랜드 콘텐츠 제작 에 실패하면서 수익 다양화에 어려움을 겪었다.
. IPTV 의 등장 과 함께 케이블TV 사업자들은 MSO로 전환되고 합병이 진행되었지만, M&A 시기가 늦어져 시장 대응에 어려움을 겪었다.
. 케이블TV 는 유료 방송 시장을 열었지만, IPTV 허가제 전환으로 스트리밍 대비에 실패했고, 통신사와의 경쟁에서 어려움을 겪었다.
. 케이블TV 는 오리지널 콘텐츠 제작 부족 과 법적 규제, 재정적 문제 등으로 인해 시장 변화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했다.
3.1. 케이블TV와 홈쇼핑의 상생 관계
. 초기 케이블TV 성장이 홈쇼핑 산업을 키웠으며 이는 송출 수수료 개념과 채널 배치 전략을 통해 이루어졌다.
. 케이블TV 의 마케팅 역량과 홈쇼핑의 노력이 결합되어 성공적인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어냈고, 이는 케이블TV 가입자 증가로 이어졌다.
. 하지만 송출 수수료와 정부 규제로 인해 구독료 인상이나 브랜드 콘텐츠 제작 등 수익 다각화에 실패했다.
. 초기에 다양한 수익 모델을 확립하지 못한 것이 케이블TV 산업의 장기적 성장을 제한하는 요인이 되었다.
. 미국의 QVC와 달리 한국의 홈쇼핑 모델은 케이블TV 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독특한 성장을 이루었다.

3.2. 케이블TV 산업의 구조 변화와 M&A
. IPTV 등장 이후 지역별 SO(System Operator)들이MSO(Multiple System Operator)로 전환 되는 구조적 변화가 일어났다.
. MSO들 간의 합병으로 대형 방송사 가 출현하고, 사업자 간 합병과 연합이 지속적으로 진행되었다.
. 통합 브랜드를 내세워 데이터 전환과 투자를 위한 자본 마련을 시도했으나, M&A 진행이 지연 되어 어려움을 겪었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M&A 는 계속 확대되었으며, 앞으로도 이러한 추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 케이블TV 산업의 구조조정과 M&A 과정은 현재 진행형이며, 산업 전반의 변화를 주도하고 있다.
3.3. 케이블TV의 유산과 IPTV 등장으로 인한 변화
. 케이블TV 는 유료 방송 시대 를 열어 더 좋은 콘텐츠를 제공하는 계기를 마련했다.
. 방송 시청 형태가 간접 부과에서 직접 부과 시대 로 전환되었다.
. 2008년 IPTV 등장으로 케이블TV 와의 본격적인 경쟁이 시작되었다.
. IPTV 허가제 전환 시 스트리밍 시대에 대한 대비가 부족 했다는 지적이 있다.
. 통신 결합 상품 마케팅으로 케이블TV 가입자가 IPTV 로 많이 이동하면서 케이블TV 산업이 어려워졌다.
3.4. 한국 케이블TV의 콘텐츠 전략과 도전
. 미국과 달리 한국 케이블TV 는2000년대 후반 오리지널 콘텐츠 제작에 어려움을 겪었다.
. CJ가 주로 케이블 드라마를 제작했으며, 다른 미디어사들의 오리지널 콘텐츠 제작은 제한적이었다.
. SO(System Operator) 들의 오리지널 콘텐츠 제작 시도가 있었지만, 수익성 불확실과 투자 부담으로 한계가 있었다.
. RF TV와 동일 콘텐츠 송출, 수익 불확실성 등으로 케이블TV 만의 차별화된 콘텐츠 확보가 어려웠다.
. 2016년 넷플릭스 한국 진출 이후, 스트리밍 서비스 와의 경쟁이 본격화되면서 케이블TV 산업의 도전이 가중되었다.
3.5. 케이블TV의 구조적 한계와 규제 환경
. 케이블TV 는 지역 구조 를 기반으로 하여 M&A 와 복점에 대한 규제, 인허가의 복잡성 등으로 IPTV 나 스트리밍 서비스 와의 경쟁에 제약이 있었다.
. 지역 채널 뉴스 운영에 대한 보호와 지원이 부족했으며, 재정적 규제와 지상파와의 송출 수수료 분쟁 이 케이블TV 산업을 어렵게 만들었다.
. 초기 수신보조 행위가 저작권법 위반 문제로 발전하여 재전송료와 프로그램 사용료가 지속적으로 증가했지만, 케이블 이용료는 올리지 못하는 상황이 지속되었다.
. 규제로 인해 지역 확대가 제한되었고, 지역 채널 에 대한 강제적 투자 의무 가 있었지만 그에 상응하는 혜택은 주어지지 않았다.
. 케이블TV 는 한국 다채널 시스템의 선구자로서 기여도를 인정받지만, 변화하는 미디어 환경에 대한 대비가 충분하지 못했다고 평가된다.
4. 🎥 케이블TV의 지역성과 경쟁력 약화 (00:31:30)

. 케이블TV 는 지역 채널 을 통해 경쟁력을 확보했으며, 이는 글로벌 유료방송 시장에서 거의 유일한 사례다.
. 케이블TV 는 지역 광고 플랫폼 으로서 소상공인들에게 홍보 기회를 제공하고, 지역 뉴스와 선거 토론회 등 지역 밀착형 서비스 를 제공했다.
. 하지만 IPTV 의 강력한 결합 상품과 스트리밍 서비스 의 등장으로 케이블TV 의 경쟁력이 약화되고 있다.
. 코드 커팅 현상이 심화되면서, 특히 젊은 세대들은 스마트 TV를 통해 스트리밍 서비스 만으로 콘텐츠를 소비하는 경향이 있다.
. 미국의 사례처럼 케이블 오리지널 콘텐츠 의 감소와 스트리밍 서비스 의 성장으로 인해 케이블TV 산업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
4.1. ️ 케이블TV의 지역성과 경쟁력
. 케이블TV 는 지역 채널 운영 을 통해 유료방송 사업자로서 독특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 케이블TV 는 지역 광고 플랫폼 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지역 소상공인들에게 광고 기회를 제공했다.
. 지역 뉴스 중계, 선거 토론회 등 지역 밀착형 서비스 를 제공함으로써 IPTV 나 스트리밍 서비스 와 차별화되었다.
. 하지만 지역성 강화에는 비용이 수반되며, IPTV 와의 M&A 로 인해 지역 채널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 정부 규제와 스트리밍 서비스 와의 경쟁 속에서 지역성 유지 와 경쟁력 확보 가 케이블TV 의 주요 과제로 남아있다.
4.2. 케이블TV의 과거 성공과 현재 위기
. 케이블TV 는 과거 20년 동안 결합 상품 출시와 아파트 공급 등을 통해 성장했다.
. 하지만 현재 IPTV 의 강력한 결합 상품 에 밀려 어려움을 겪고 있다.
. 케이블TV 업계는 과거의 성공적 역할을 인지하면서도 현재의 힘든 현실에 직면해 있다.
. 업계는 이러한 위기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새로운 전략을 준비하고 있지만, 과거의 방식을 고수하지 않아야 한다.
4.3. 케이블TV의 콘텐츠 제작과 글로벌 진출 시도
. 케이블TV 는 20년 이상 오리지널 콘텐츠 를 제작하며 뉴스, 전문 채널, 음악 등 다양한 분야의 콘텐츠를 선보였다.
. CAD(케이블 드라마) 라는 용어가 등장할 정도로 케이블TV 는 지상파 외 드라마 제작의 선구자 역할을 했다.
. 케이블TV 는 많은 스타를 배출했으며, 유료방송 콘텐츠의 기본적인 위상을 확립하는 데 기여했다.
. 그러나 당시 글로벌 진출 기회를 충분히 활용하지 못한 점이 아쉬움으로 남는다.
. PPL 투자 와 아시아 시장 진출을 더 적극적으로 추진했다면 더 큰 성과를 얻을 수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4.4. 케이블TV의 경쟁 환경과 규제 문제
. IPTV 와의 경쟁이 케이블TV 산업의 가장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 정부의 규제 정책이 케이블TV 사업자들의 스트리밍 서비스 대응을 제한 했다는 점이 지적된다.
. 미국과 달리 한국에서는 정부의 개입으로 인해 유료 방송 시장의 자율적 규제 형성이 어려웠다.
. 코드 커팅 현상이 심화되면서 특히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케이블TV 구독이 감소하고 있다.
. 스트리밍 서비스 의 오리지널 콘텐츠 제작과 실시간 라이브 방송 제공이 케이블TV 와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다.
4.5. 미국 케이블TV 시장의 현황과 시사점
. 미국 케이블TV 시장도 한국과 유사한 시기에 케이블 오리지널 콘텐츠 가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 미국의 경우 주요 미디어 기업들이 오리지널 콘텐츠 를 스트리밍 서비스 로 이동 시키면서 케이블TV 의 경쟁력이 약화되고 있다.
. 코드 커팅 (케이블TV 구독 해지) 현상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Z세대와 알파 세대에서는 케이블TV 를 아예 이용하지 않는 ' 코드 네버 '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 미국에는 RSN(지역 스포츠 네트워크) 가 존재하여 지역 단위의 스포츠 중계를 통해 수익을 창출했으나, 한국 케이블TV 는 이러한 전략을 활용하지 못했다.
. 미국의 사례를 통해 한국 케이블TV 도 지역 특화 콘텐츠나 스포츠 중계 등을 통한 차별화 전략 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5. 🌐 케이블TV의 도전과 지역성 강화 전략 (00:43:11)

. 스트리밍 서비스 의 스포츠 중계 강화로 케이블TV 와 지역 방송 의 입지가 위협받고 있다.
. 미국의 케이블TV 가입 가구 수는 2013년 1억 가구에서 2028년 5천만 가구 이하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 케이블TV 의 생존 전략으로 지역성 강화 가 중요하며, 글로컬(Global+Local) 전략과 AI를 활용한 맞춤형 지역 정보 제공이 필요하다.
. 패스트(FAST) 채널 운영을 통해 도달률 확대와 수익 창출이 가능하며, 지역 특화 콘텐츠를 활용한 전략이 효과적이다.
. 케이블TV 의 미래를 위해 데이터 분석을 통한 서비스 다각화, 법제도 정비, 그리고 슈퍼팬 전략 을 통한 가입자 유지가 필요하다.
5.1. 스트리밍 서비스의 성장과 케이블TV의 위기
. 스트리밍 서비스 들이 스포츠 중계를 강화하면서 케이블TV 의 경쟁력이 약화되고 있다.
. 넷플릭스, MLB, NFL 등 주요 스포츠 리그들이 스트리밍 서비스 를 통해 전국 단위로 중계를 하고 있다.
. 미국에서는 지역 방송 사들이 스트리밍 서비스 의 전국 방송에 대해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 미국 케이블TV 가입 가구 수는 2013년 1억 가구에서 2028년 5천만 가구 이하로 급감할 것으로 예상된다.
. 케이블TV 업계는 AI , 빅테크 와의 경쟁, 오리지널 콘텐츠 제작 등 다양한 도전에 직면해 있다.
5.2. ️ 케이블TV의 생존 전략: 지역성 강화
. 케이블TV 미래 경쟁력은 지역성 에 있으며, 이는 넷플릭스 등 글로벌 스트리밍 서비스 와의 차별화 포인트다.
. 넷플릭스가 제공하지 못하는 지역 채널과 지역 콘텐츠에 집중하는 글로컬(Global+Local) 전략이 적합하다.
. 지역 뉴스와 정보를 AI 기술 을 활용해 더 정확하고 신속하게 생산하여 맞춤형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 이런 전략을 통해 케이블TV 는 글로벌 스트리밍 서비스 와의 경쟁에서 생존하고 차별화된 가치를 제공할 수 있다.
5.3. 패스트 채널을 통한 지역 콘텐츠 강화 전략
. 패스트(FAST) 채널 은 지역 관광, 음식 정보 등을 효과적으로 제공하고 쇼핑 관련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유용한 플랫폼 이다.
. 패스트 채널 운영 주체는 크게 강력한 콘텐츠를 가진 사업자 , 지역 방송 사업자, 셋톱박스/스마트TV 사업자로 나뉜다.
. 대형 방송사는 자사 콘텐츠 프로모션을 위해, 지역 채널 은 도달률 확대 를 위해 패스트 채널 을 활용한다.
. 지역 특화 콘텐츠를 가진 채널들이 FAST 채널을 통해 수익을 창출하는 것은 의미 있는 전략이며, 앞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5.4. 스트리밍 서비스와의 경쟁과 케이블TV의 대응 전략
. 케이블TV 업계는 스트리밍 서비스와의 경쟁 을 현실로 인정하고 있다.
. 케이블TV의 생존 전략으로 스트리밍 서비스와 결합한 상품 출시, 지역 채널 활용, 인터넷 서비스 제공 등이 필요하다.
. 플랫폼 연동 과 사업 구조의 변화가 불가피하며, AI를 활용한 데이터 분석 을 통해 시청자 특성을 파악하고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 개인정보 동의를 전제로 시청 데이터를 자산화하는 노력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 법제도 정비가 필요하다.
. 규제 개선을 통해 지역 가입자 기반 의 다양한 비즈니스 기회를 확대하고, 지역 방송 과 지자체 정보의 연계를 고려한 법제도 정비가 중요하다.

5.5. 케이블TV의 미래 전략과 도전
. 현재 케이블TV 업계는 기회보다는 도전에 직면해 있으며, 인구 증가 둔화로 가입자 유지가 주요 과제가 되었다.
. 가입자 감소에 대응하기 위해 '슈퍼팬 전략' 을 활용해야 하며, 이는 지역 밀착성과 AI 기반 맞춤형 정보 제공을 통해 구현할 수 있다.
. 뉴미디어의 등장은 불가피하므로, 소셜미디어 와 소셜비디오의 성장에 대비하여 새로운 미디어 형태를 적극적으로 수용해야 한다.
. 케이블TV 의 미래는 지역 방송 중심의 로컬 유료 방송이라는 정체성을 유지하면서 변화를 수용하는 데 있다.
. 이러한 전략을 통해 케이블TV는 앞으로40년, 50년 동안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룰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6. 🎬 케이블TV 30년 역사와 미래 전략 총평 (00:55:34)
. 한국 케이블TV의 30년 역사와 성과, 그리고 미래 전략에 대한 논의가 마무리되었다.
. 케이블TV 산업은 지역성 강화 와 기술 혁신 을 통해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는 점이 강조되었다.
. AI 기술을 활용한 맞춤형 정보 제공과 FAST 채널 운영 등이 미래 전략으로 제시되었다.
. 스트리밍 시대에 대응하여 로컬 테크로의 진화가 케이블TV 의 생존 전략으로 중요하다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 이러한 논의를 통해 한국 케이블TV 산업의 미래 방향성이 제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