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B2025]Global Creator Economy Takes Global Tech Show by Storm

크리에이터 이코노미가 글로벌 미디어 업계를 강타하자, 주요 테크 전시회들도 변화하고 있다.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관련 전시와 세미나, 네트워킹 이벤트를 늘리고 있는 것이다.

크리에이터들은 이제 주류 시장에 침투하는 것을 넘어 스스로 메인 스트림이 되고 있다. 특히 최근 크리에이터들이 생성AI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면서 보다 글로벌화되고 수익원도 다양해지고 있다.

크리에이터 이코노미가 계속 성장하자, CES와 NAB 등 기존 빅테크 기업이나 주류 방송, 콘텐츠 기업들이 독무대였던 글로벌 테크 전시회도 크리에이터들에게 적극적인 구애를 하고 있다.

크리에이터들은 팬들을 현장에 불러오는 힘도 있는 만큼, 전시회의 흥행을 위해서도 '크리에이터 이코노미'에 관심을 가지는 이벤트도 더욱 늘고 있다.

지난 1월 10일에 끝난 CES2025에서도 크리에이터이 모여 콘텐츠도 만들고 네트워킹도 하는 크리에이터 스테이지가 처음 설치되고 각종 세미나도 이어졌다.

[보고서]CES2025와 미디어, 엔터테인먼트 테크 V2
국내 유일에 CE2025와 엔터테크 보고서, AI가 할리우드에 침투하고 있는 현장에서부터 넷플릭스가 CES에서 개최한 광고주 설명회까지 정리
CES2025에서 소개된 미디어, 콘텐츠, 엔터테크 세션을 모두 분석했습니다 

글로벌 방송 엔터테인먼트 전문 전시회  NAB쇼도 미디어 시장 질서 변화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콘텐츠 제작 유통의 중심이 레거시 미디어에서 크리에이터(Creator), 소셜 미디어(Social Media Service)로 옮겨가자  이를 전시회에 반영하고 있는 것이다.

한국의 콘텐츠 및 IT 전시회에서도 크리에이터 이코노미가 중요한 주제로 부상하고 있다. 2024년 1월 1일 서울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DDP)에서 열린 서울콘 행사에는 전 세계 58개국에서 3,100여 팀의 인플루언서가 참가했다.  이 행사는 인플루언서/크리에이터 대상의 시장 생태계와 K-콘텐츠의 확장/성장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는 성공적인 행사로 평가받았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2025) NAB쇼에도 크리에이터 관련 이벤트는 부대 행사가 아닌 메인 스트림이다. NAB쇼는 전미 방송사 협회(National Association of Broadcasters)가 주최하는 행사다. 2025 NAB 최고의 디지털 콘텐츠 콘텐츠 제작자 다르 만(Dhar Mann) 키노트 스피치 헤드라이너 참여했다. (K엔터테크허브는 NBA도 갑니다)

As the creator economy takes the global media industry by storm, major tech trade shows are changing. They're adding more exhibits, seminars, and networking events around the creator economy.


Creators are no longer just penetrating the mainstream market, they're becoming mainstream themselves. Creators are becoming more globalized and diversifying their revenue streams, especially as they embrace gen AI.

As the creator economy continues to grow, global tech trade shows like CES and NAB, traditionally dominated by big tech and mainstream broadcast and content companies, are actively courting creators.


As creators have the power to bring fans to the event, more and more events are focusing on the 'creator economy' as a way to boost their attendance.


At CES 2025, which ended on January 10, the Creator Stage, where creators gathered to create content and network, was installed for the first time, and various seminars were held.


The NAB Show, a global broadcast entertainment exhibition, is also actively embracing the changing media market order. As the center of content creation and distribution has shifted from legacy media to creators and social media services, the exhibition reflects this.


As in previous years, this year's (2025) NAB Show will feature creator-related events in the main stream rather than on the sidelines. The NAB Show is organized by the National Association of Broadcasters. NAB 2025 headlined a keynote address by top digital content creator Dhar Mann.

Home - NAB Show

NAB 키노트 스피커, 방송 아닌 크리에이터

2025년 4월 5일부터 9일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개최되는 2025 NAB쇼(2025 NAB Show)는 행사 키노트 스피치에 해당하는 메인 스테이지에 2024년 포브스가 선정한 최고의 크리에이터 다르 만(Dhar Mann)을 스페셜 연사로 초대했다고 밝혔다.

NAB Keynote Speaker, Non-TV Station


The 2025 NAB Show, taking place April 5-9, 2025, in Las Vegas, USA, has announced that Forbes' top creator of 2024, Dhar Mann, will be a featured speaker on the event's Main Stage, delivering the event's keynote address.


다르만의 특별 세션은 오는 2025년 4월 8일 오후 3시부터 3시 30분(PST) ‘The Power of Positivity: Building the World's Largest Digital Scripted Studio - Dhar Mann Studios’이라는 이름으로 진행된다.

만은 다르만 스튜디오(Dhar Mann Studios (DMS)) 설립자이자 최고의 디지털 스크립트 콘텐츠 크리에이터인로 실생활에 도움이 되는 교훈 위주  브랜드 스토리텔링으로 242만 명이 넘는 팔로워(유튜브)를 보유하고 있다.

만은 프레젠테이션에서 DMS의 CEO인 션 앳킨스와 함께 크리에이터에서  어떻게 연간 수십억 명이 시청하는 영감을 주는 콘텐츠를 제작하는 수백만 달러 규모의 기업이 되었는지를 밝힐 예정이다. NAB는 “참석자들은 디지털 IP 확장, 브랜드와의 파트너십, 크리에이터 경제를 이끄는 트렌드 활용에 대한 실행 가능한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Dhar Mann's special session, "The Power of Positivity: Building the World's Largest Digital Scripted Studio - Dhar Mann Studios," will take place on April 8, 2025 from 3:00-3:30 p.m. PST.


Mann is the founder of Dhar Mann Studios (DMS) and a leading creator of digitally scripted content, with over 2.42 million followers on YouTube for his branded storytelling centered around real-life lessons.


In his presentation, Mann will be joined by Sean Atkins, CEO of DMS, to reveal how he went from creator to a multi-million dollar company producing inspirational content that is viewed by billions of people a year.

"Attendees will gain actionable insights on scaling digital IP, partnering with brands, and capitalizing on the trends driving the creator economy," NAB said.


Dhar Mann은 짧은 영상을 통해 교훈적인 메시지를 전달하는 콘텐츠 크리에이터

## 영상 형식과 주제

  • - 현대 사회의 문제를 다루는 짧은 영화 형식의 영상을 제작
  • - 실생활에서 일어날 수 있는 상황을 연기자들이 연기하여 보여줌
  • - 주로 기본적인 삶의 교훈을 전달하는 내용으로 구성

## 주요 메시지

  • 친절, 공감, 동정심 등 긍정적인 가치관을 강조
  • 열심히 일하고 기업가 정신을 갖는 것의 중요성을 전달
  • 개인의 도덕성과 선한 행동이 행복과 성공으로 이어진다는 메시지

## 제작 방식

  • 100명 이상의 직원과 배우들로 구성된 스튜디오에서 영상을 제작
  • 아동과 비영어권 시청자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단순한 스토리라인으로 구성
  • 때로는 유명 인플루언서나 실제 사연의 주인공을 출연시켜 현실감을 더함

메인 스테이지 세션에 이어 만과 앳킨스는 NAB 전시장 사우스홀 1층 공간A(Theater A on the NAB Show floor)에 설치된  크리에이터 랩(Creator Lab)에서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Q&A도 진행한다.

Following the main stage session, Mann and Atkins will also host an "Ask Me Anything" Q&A in the Creator Lab, located in Theater A on the NAB Show floor in the South Hall.

NAB Show 2025(5th~9th Apr 2025)

NAB Show 2025는 4월 5일부터 9일까지 라스베가스에서 개최

Creator Lab

  • 2024년에 성공적으로 데뷔한 Creator Lab이 2025년에 확장되어 운영
  • 크리에이터, 브랜드, 업계 전문가들을 위한 전문 패널, 워크샵, 네트워킹 이벤트 등이 제공
  • Blackmagic Design, Amaran, LucidLink, Cree8 등이 후원사로 참여

주요 세션

  • "The Power of Positivity: Building the World's Largest Digital Scripted Studio - Dhar Mann Studios" (4월 8일, 오후 3-3:30)
  • "Programming Everywhere: Content Creators Transcending Fragmentation" (4월 6일, 오후 2:15-3)
  • "Today's College Athletes: The Business of 'Me'" (4월 8일, 오전 10:30-11:15)
  • "Cross-Platform Content Wins - Radio and Podcast Success Stories" (4월 6일, 오전 10-10:50)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1,910억 달러

크리에이터 이코노미는 글로벌 미디어 시장을 흔들고 있다. 유튜브, 틱톡, 인스타그램 등 소셜 미디어 셀럽들이 미디어 창작, 제작, 광고 및 배포의 전통적인 모델을 계속해서 파괴하고 있다. NAB는 전 세계적으로 수천만 명의 전문 콘텐츠 크리에이터가 활동하는

크리에이터 이코노미의 가치는 1,910억 달러에 달한다고 밝혔다.  코히어런트 마켓 인사이트(Coherent Market Insights)에 따르면 크리에이터 이코노미는 2030년 그 규모가 두 배 이상 증가하여 5,280억 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The $191 billion creator economy


The creator economy is shaking up the global media market. Social media celebrities like YouTube, TikTok, Instagram, and others continue to disrupt traditional models of media creation, production, advertising, and distribution. NAB estimates that with tens of millions of professional content creators worldwide, the


The creator economy is valued at $191 billion, with tens of millions of professional content creators worldwide.  According to Coherent Market Insights, the creator economy is expected to more than double in size by 2030, surpassing $528 billion.

2023년 크리에이터 수익

Korea Creator Economy

한국의 크리에이터 시장은 최근 몇 년간 급격한 성장을 보이고 있다. 2023년 기준 한국 디지털 크리에이터 미디어 산업의 매출액은 5조 3,159억 원으로, 전년 대비 28.9% 성장했다[1][2]. 이는 처음으로 5조 원을 돌파한 수치입니다.

분야별 매출액 내역:

  • 영상제작 및 제작지원: 2조 737억 원 (30.5% 증가)
  • 광고·마케팅: 1조 7,663억 원 (12.6% 증가)
  • 매니지먼트(MCN): 7,531억 원 (14.1% 증가)

산업 현황

사업체 수와 종사자

  • 사업체 수: 1만 3,514개
  • 종사자 수: 4만 2,378명 (전년 대비 19.8% 증가)

콘텐츠 제작

  • 자체 콘텐츠를 제작하는 사업체: 전체의 74%
  • 연평균 콘텐츠 제작 수: 58.1편

주요 콘텐츠 장르

  1. 패션·뷰티 등 라이프스타일 (36.5%)
  2. 교육·강의 등 정보전달 (26.6%)
  3. 여행 등 취미 (22.7%)

주요 유통 플랫폼

  1. 유튜브 (68.1%)
  2. 인스타그램 (10.8%)
  3. 네이버TV (7.3%)

산업 특성

Major Revenue Streams in Korean Digital Creator Industry (Unit: 100M KRW)

Revenue Breakdown

Video Production and Production Support

  • Revenue: 2,737 billion KRW
  • Largest segment of the industry

Advertising and Marketing

  • Revenue: 1,766.3 billion KRW
  • Second largest revenue stream

Management (MCN)

  • Revenue: 753.1 billion KRW
  • Specialized creator management services

Online Video Distribution

  • Revenue: 722.9 billion KRW
  • Platform-based content distribution

Total Market Size

  • Combined Revenue: 5,315.9 billion KRW
  • Represents the entire Korean digital creator industry

The Korean digital creator industry shows a robust structure with diversified revenue streams, with video production and advertising forming the backbone of the industry's revenue generation. The total market size of over 5.3 trillion KRW demonstrates the significant economic impact of this sector.


NAB는 지난 2024년 이후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전시와 세션을 강화하고 있다.

소니 등은 기존 방송 장비를 주로 전시하던 기업들은 크리에이터용 영상 제작 편집 장비를 대거 선보이고 있다. 또 2024년 처음으로 크리에이터랩(Creator Lab)을 설치해 디지털 스토리텔링 트렌드를 참석자들에게 전달하고 있다.

올해(2025)는 크리에이터 랩이 더욱 넓어져 크리에이터 이코노미의 주요 트렌드를 현장에서 소개할 예정이다

  • 크리에이티브 파트너로서의 AI: AI 도구를 통합하여 콘텐츠 제작을 향상하고 워크플로우를 간소화하는 방법.(4월 7일 오후 3시 AI as Your Creative Partner)
  • 알고리즘 전쟁에서 승리하기: 잠재 고객을 늘리고 진화하는 알고리즘을 탐색하는 전략(4월 6일 오후 3시 Winning the Algorithm War)
  • 진정성의 힘: 사용자 제작 및 직원 제작 콘텐츠를 활용하여 충성도 높은 잠재고객을 구축(4월 8일 오전 11시 30분 The Power of Authenticity)

NAB is ramping up its creator economy exhibits and sessions for 2024. Companies that traditionally showcase broadcast equipment, such as Sony, are showcasing video production and editing equipment for creators.

Also, for the first time in 2024, NAB will have a Creator Lab to showcase digital storytelling trends to attendees. This year (2025), the Creator Lab will be even more expansive, showcasing key trends in the creator economy on-site.

  • AI as Your Creative Partner: How to integrate AI tools to enhance content creation and streamline workflows (April 7, 3:00 p.m.)
  • Winning the Algorithm War: Strategies to grow your audience and navigate evolving algorithms (April 6, 3pm Winning the Algorithm War)
  • The power of authenticity: Leveraging user-generated and employee-generated content to build loyal audiences (April 8, 11:30 a.m. The Power of Authenticity)

소비자들도 크리에이터들에 대한 높은 충성도를 보이고 있다. 젊은 세대일 수록 크리에이터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돈을 지불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한 것이다.

Consumers are also showing strong loyalty to creators. The younger they are, the more likely they are to pay for content from creators.

Variety

NAB에서 진행되는 컨퍼런스 프로그램에도 다수의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콘텐츠가 포함되어 있다.

지난해 NAB쇼에는 Hot Ones의 진행자 션 에반스, 크리에이터 겸 영화 제작자 케이시 니스탯, 미스터 비스트  유튜브(MrBeast YouTube)의 사장 마크 허스트베트(Marc Hustvedt) 등이 참가한 바 있다.

NAB 글로벌 커넥션 및 이벤트 담당 부사장 겸 전무이사인 카렌 추프카(Karen Chupka)는 보도자료에서 “ NAB쇼(NAB Show)는 엔터테인먼트의 미래를 정의하기 위해 할리우드에서 크리에이터 경제에 이르기까지 협업을 촉진한다”며 “크리에이터의 역량을 강화하는 데 중점을 둬 변화하는 업계에서 성공할 수 있는 자원과 지식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CES2025도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주목

CES 2025는 1월 7일부터 10일까지 라스베가스에서 개최. 크리에이터 이코노미와 관련된 주요 하이라이트

CES Creator Space

  • Sony가 후원하는 CES Creator Space가 라스베가스 컨벤션 센터 중앙 로비에 새롭게 설치
  • 이 공간은 크리에이터들을 위한 작업 공간, 네트워킹 기회, 휴식 공간 등을 제공
  • Pinterest가 후원하는 CES Creator Stage에서는 3일 동안 크리에이터를 위한 프로그래밍이 진행

주요 세션

  • "State of the Creator Economy" (1월 7일 화요일, 오전 10:30)
  • "Measuring Success in the Creator Economy" (1월 9일 목요일, 오전 11:45
  • "Keeping Sane: Mental Health in the Creator Economy" (1월 9일 목요일, 오후 2:15)

크리에이터 이코노미의 현재

2025년 CES 최초의 ‘Creator Space’에서 진행된

“창작자(크리에이터) 경제의 현황(The State of the Creator Economy)” 패널 토크를 요약 정리했다.

State of the Creator Economy

1월 7일 10:30 AM - 11:00 AM LVCC, Grand Lobby, CES Creator Space

모더레이터(진행자): 카멜라 보이킨(Carmela Boykin) – 워싱턴 포스트(The Washington Post) 호스트 & 프로듀서

  • 패널리스트 1: 케니 골드(Kenny Gold) – 딜로이트 디지털(Deloitte Digital) 매니징 디렉터, 소셜・콘텐츠・인플루언서 마케팅 리드
  • 패널리스트 2: 줄스 터벡(Jules Terpak) – 디지털 문화 분석가, 전 워싱턴 포스트 칼럼니스트, 인터뷰어(마크 큐반 등)
  • 패널리스트 3: 애덤 웨스콧(Adam Wescott) – 마인드채터 미디어(MindChatter Media) CEO, 크리에이터 경제 투자자・제작자(노아 벡 출연 장편 영화 등 제작)


## 크리에이터 경제의 현재와 미래

### 크리에이터의 역할 변화

- 크리에이터를 단순한 광고 수단이 아닌 비즈니스 단위로 인식해야 함

- 기업은 크리에이터를 자문위원회에 포함시켜 고객의 목소리를 반영해야 함

- 장기적인 파트너십을 통해 크리에이터의 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음

### 스토리텔링의 중요성

- 크리에이터의 핵심 업무는 콘텐츠 제작을 통한 스토리텔링

- 세계관 구축과 팬들의 창의성을 자극하는 것이 중요

- 브랜드는 크리에이터의 스토리텔링 능력을 활용해 새로운 방식으로 브랜드 스토리를 전달해야 함

### 크리에이터의 사업 확장

- Mr. Beast, Logan Paul 등 대형 크리에이터들의 소비재 및 다른 분야로의 확장

- 크리에이터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규모 확대 및 개인 정체성에서 벗어나는 시도

### TikTok 금지의 영향

- 플랫폼은 변화하지만 크리에이터들은 항상 새로운 방식으로 관객과 소통함

- 크리에이터들은 다양한 플랫폼으로 콘텐츠를 다각화해야 함

- TikTok의 e-커머스 진출은 주목할 만한 성과

### 2025년 전망

2025년 전후로 크리에이터 경제는 한층 성숙해지고 ‘크리에이터’와 ‘브랜드’의 통합적 협력이 더욱 심화할 전망이다. 또 AI 기술 활용, 플랫폼 리스크 분산, M&A 확산, 객관적 성과 지표 정착 등이 중요한 키워드가 될 것으로 보인다.

- 생성 AI 비디오 기술의 발전과 크리에이터들의 활용 증가

-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기업들의 통합 및 글로벌 확장

- 크리에이터 영향력 측정을 위한 보편적 지표 개발 및 임금 형평성 개선

전체적인 맥락과 주요 이슈

  1. 크리에이터 경제의 성장
  2. 시장 규모: 2025년까지 1,900억 달러(약 191.55빌리언 USD)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며, 이후에도 연간 20~30%대의 높은 성장이 기대됨.
  3. 크리에이터의 역할 변화: 초기에는 ‘광고·마케팅 매체’ 정도로만 여겨졌던 크리에이터들이 이제 브랜드 전략, 상품개발, 기업성장 등 전사적인 측면에서 중요한 파트너로 인식되고 있음.
  4. 크리에이터를 ‘비즈니스 유닛’으로 보기
  5. 브랜드 내 Advisory Council(자문위원단) 역할: 크리에이터가 단순히 광고 모델에 그치지 않고, 상품개발(R&D), 마케팅, 소비자 소통, 심지어 기업 전반의 전략 수립에 참여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 됨.
  6. 장기적 파트너십: 성공적인 브랜드들은 여러 명의 크리에이터와 단발성이 아닌 지속적인 협력을 구축하며, 크리에이터가 회사 내부 직원처럼 회의나 아이디어 교환에 참여하기도 함.
  7. 평가·보상 문제: 크리에이터를 이러한 고차원적 파트너로 대우할 때 정당한 비용 및 대가 지불이 필수적이며, 근본적인 ‘성과 측정 지표(Measurement)’ 마련이 중요하다는 견해가 제기됨.
  8. 크리에이터의 스토리텔링 역량
  9. 브랜드 대신 관객과 소통: MZ세대·알파세대 소비자는 브랜드 자체의 일방적인 메시지보다 크리에이터를 통해 전달되는 이야기를 더욱 신뢰하고 몰입함.
  10. 세계관(World-building)과 팬 참여: 예를 들어 테일러 스위프트의 이스터에그(Easter Egg) 문화를 언급하며, 크리에이터가 팬의 ‘2차 창작’을 유도하는 세계관을 만드는 것이 핵심 트렌드.
  11. 미디어 환경 변화: TV, 스트리밍 서비스조차도 시청자들이 ‘세컨드 스크린’(예: 스마트폰)으로 크리에이터 영상을 동시에 보는 현실을 반영해 제작방식(사운드 큐, 편집 등)을 변화시키고 있음.
  12. 전통 미디어와 크리에이터 경제의 융합
  13. 워싱턴 포스트 사례: 짧은 형태(숏폼/버티컬) 콘텐츠를 활용해 젊은 층에게 저널리즘을 알리고, 크리에이터처럼 편집・제작하며 플랫폼에 맞춘 스토리텔링 시도.

독립 크리에이터 vs. 조직 크리에이터

  • 장점: 독립은 콘텐츠·아이디어 면에서 자유롭고, 수익 모델도 독자적으로 만들 수 있음.
  • 단점: 콘텐츠 생산의 모든 과정을 혼자 책임져야 하고(조사, 법적 리스크, 후원·광고 유치 등), 조직의 지원(법률·제작비 등)을 받기 어려움.

언론인의 크리에이터화

최근 CNN의 돈 레몬(Don Lemon) 등 전통 미디어에 속했던 인물들도 서브스택(Substack)이나 유튜브 등으로 독립을 시도하며 직접적으로 팬이나 구독자와 소통하고 수익화하는 움직임이 꾸준히 늘고 있음.

크리에이터의 비즈니스 확장 & 크로스오버

  1. 소비재(CPG) 진출: 미스터비스트(MrBeast)의 초콜릿 ‘Feastables’, 버거 프랜차이즈, 각종 상품부터 로건 폴과 KSI의 ‘Prime’ 음료 등 크리에이터 브랜드가 크게 성공하며 전통 FMCG(생활소비재) 업계도 주목.
  2. 미디어·제작사 설립: 팟캐스트 네트워크, 유튜브 오리지널 스튜디오, 독자 앱/플랫폼 등 다양한 형태로 미디어 영역에 진출.
  3. 지속가능성: 크리에이터 자신을 ‘얼굴’로 내세우지 않고, 포맷이나 ‘브랜드 확장’을 통해 (예: Alex Cooper의 ‘Unwell’ 네트워크 등) 본인이 직접 나오지 않아도 콘텐츠를 생산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하는 추세.

TikTok(틱톡) 이슈와 플랫폼 다변화

  1. 틱톡 금지 논란: 미국 등을 중심으로 틱톡 금지 혹은 규제 가능성이 계속 언급되고 있지만, 이미 시장과 크리에이터 생태계가 크게 자리 잡은 상황이기에 어떻게 귀결될지는 불투명.
  2. 크리에이터의 분산 전략: 장기적으로 특정 플랫폼에만 의존하면 위험(계정 삭제, 국가 규제, 알고리즘 변화 등), 유튜브·인스타그램·스냅챗·서브스택 등 다채널 운영과 직접 커뮤니티 확보가 중요.
  3. 틱톡 숍(TikTok Shop): 라이브 쇼핑 등 이커머스 기능을 선제적으로 도입해 빠르게 시장 점유를 확대하고 있으며, 다른 플랫폼 대비 ‘강력한 실행력’을 보여줬다는 평가.

미래를 결정할 핵심 트렌드

생성형 AI(Generative AI) 활용 확대

  • 영상 편집 툴(예: 구글 VideoFX, 오픈AI ‘Soda’ 등)을 비롯해 크리에이티브 프로세스 전반에 활용.
  • 편리성과 창의성을 동시에 높이지만, 저작권·가짜 정보 등 규제와 윤리 이슈에 대한 대비가 필요.

콘솔리데이션(Consolidation, 인수합병 및 통합)

  • 브랜드・기술・크리에이터 네트워크・매니지먼트 회사 등 크리에이터 경제 관련 스타트업들이 M&A를 통해 규모의 경제(글로벌 확장, 공동 자원 활용)를 꾀하는 추세.
  • 대표적으로 인플루언셜(Influential)을 퍼블리시스(Publicis)가 5억 달러, 메이비(Mavrck)가 그레이스CALE과 함께 2억 5천만 달러 규모로 인수한 사례 등이 언급됨.

성과 측정과 지표 표준화(Measurement Standardization)

  • 크리에이터 마케팅 ROI(투자 대비 효과)가 점차 중요해지면서, 광고 노출/참여도 이상의 ‘일관된 측정 방식’이 필요.
  • 실질적인 매출(Commerce), 고객 충성도, 브랜드 구축 효과 등을 아우르는 통합 지표가 2025년 전후로 정착될 가능성이 높음.

크리에이터의 장기 파트너십 & 공동 가치 창출

  • 크리에이터들은 지속적 수익과 안정적 지원을 원하고, 브랜드는 크리에이터가 가진 충성도 높은 커뮤니티를 활용하기 원함.
  • 광고 일회성 협업이 아닌, 크리에이터를 기업 내부 팀처럼 두고 상품개발, 기업 의사결정 자문, 이벤트 공동 기획 등으로 확장할 전망.

결론 및 시사점

  • 크리에이터 = 개인 미디어 채널이라는 개념에서 벗어나, 실제 ‘비즈니스 파트너’로 간주해야 한다는 점
  • 장기적·전략적 협력: 단발성 광고 대신 브랜드와 크리에이터가 함께 성장할 수 있는 모델(자문위원, 공동 제작, 리서치 참여 등)을 구축해야 함.
  • 플랫폼 다변화: 틱톡 규제 리스크 및 알고리즘 변화에 대비하려면 유튜브, 인스타그램, 자체 웹/커뮤니티, 뉴스레터 등을 통해 ‘멀티 플랫폼 전략’을 추진해야 함.
  • AI 및 자동화 도구: 생성형 AI는 콘텐츠 제작의 효율성을 극적으로 끌어올리나, 저작권/법률/윤리 문제에 주의하며 활용해야 함.
  • M&A와 지표 표준화: 크리에이터 경제 성숙기에 접어들면서, 크고 작은 합병이 이어지고, 그에 따라 객관적 성과 측정 지표가 자리 잡을 것으로 예상.

Newsletter
디지털 시대, 새로운 정보를 받아보세요!
1 이달에 읽은
무료 콘텐츠의 수

1 month 10,000 won, 3 months 26,000 won, 1 year 94,000 won

유료 구독하시면 비즈니스에 필요한 엔터테크 뉴스, 보고서, 영상 자료를 보실 수 있습니다(Subscribe to get the latest entertainment tech news, reports, and videos to keep your business in the know)

Powered by Bluedot, Partner of Mediasphere
닫기
SH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