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에이터 이코노미의 부활? 2025년 1분기 투자 급증… AI·음악·쇼핑 분야 견인(Creator Economy Resurgence? Investment Surges in Q1/25... AI, Music, and Shopping Lead the Way)
2025년 1분기, 미국 창작자(creator) 경제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가 다시 활기를 띠고 있다. 최근 공개된 그래프에 따르면, 창작자 경제 분야 투자금은 2021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14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미국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기업 투자는 단순한 콘텐츠 제작 지원을 넘어서, 팬 기반 직접 수익화 모델(Fan-to-creator commerce)과 AI 기반 제작 자동화 기술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특히 스트리밍과 소셜미디어 플랫폼의 통제력에 의존하지 않고, 크리에이터가 데이터를 직접 소유하고 운영하는 구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는 팬 기반 플랫폼인 ‘세시(Sesh)’의 등장과도 일맥상통하며, 음악이나 쇼핑 분야의 창작자 경제 스타트업이 단순 콘텐츠 플랫폼이 아닌 수익 중심 미디어·커머스 생태계로 진화하고 있다.
이와 관련 슈퍼팬과 아티스트 간의 직접 소통을 강화하는 팬 커뮤니티 플랫폼 세시(Sesh)가 700만 달러(약 95억 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하고, 팬 전용 디지털 멤버 카드를 새롭게 출시했다.
세시의 이번 투자 라운드는 뮤직 및 테크 업계의 엔젤 투자자들과 함께 미우라 글로벌(Miura Global)이 주도했으며, 세시는 이 자금을 바탕으로 ▲플랫폼 기술 고도화 ▲아티스트 온보딩 확대 ▲데이터 기반 팬 인사이트 강화 등의 전략을 본격 추진할 계획이다.
Creator Economy Makes a Comeback? Q1 2025 Sees Surge in Investment Driven by AI, Music, and Shopping
The creator economy in the United States appears to be regaining momentum, with recently published data showing Q1 2025 investments hitting their highest levels since 2021. According to a newly released graph, total funding in the creator economy has risen by 140% year over year, reflecting renewed optimism and signaling a “new growth cycle” for the sector.
Major Drivers: AI, Music, Shopping
This investment uptick can be attributed to three key areas:
AI-Powered Content Tools
Startups developing generative AI and automated production solutions have seen notable funding inflows, with investors eager to back companies that streamline the creation and distribution of digital content.
Music-Centric Fan Communities
Platforms emphasizing direct fan-to-creator relationships—free from the constraints of traditional streaming or social media channels—are sparking investor interest. A prime example is Sesh, which recently secured a USD 7 million investment.
Shopping-Connected Content
Live commerce and D2C (direct-to-consumer) models that merge content creation with shopping experiences attracted the largest share of investment in Q1 2025, at around USD 300 million.
슈퍼팬 커뮤니티 플랫폼 ‘세시(Sesh)’, 700만 달러 투자 유치… ‘멤버 카드’ 서비스도 출시
앱 없이도 팬이 되는 ‘디지털 멤버 카드’
이번에 출시된 ‘멤버 카드’는 팬들이 별도의 앱 설치 없이도 자신의 스마트폰 지갑에 디지털 패스를 다운로드해, 좋아하는 아티스트의 공식 팬 커뮤니티에 가입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 카드를 통해 아티스트는 스트리밍 플랫폼이나 소셜 미디어 서비스를 거치지 않고도 팬의 휴대폰에 직접 푸시 알림을 보낼 수 있으며, 신곡 발매 소식, 굿즈 출시, VIP 이벤트 초대, 티켓 사전 예매 등 다양한 소통이 가능해진다.
팬 데이터 직접 소유, 아티스트 중심의 생태계
세시는 “슈퍼팬이야말로 음악 산업의 지속 가능성을 지탱하는 핵심”이라고 강조하며, 전통적인 SNS가 아티스트와 팬 간의 직접 소통을 제한하고, 중요한 데이터를 플랫폼이 소유하는 구조에 문제를 제기했다.
슈퍼팬이란 특정 콘텐츠, 브랜드, 아티스트, 스포츠팀, 게임, TV 프로그램 등에 대해 매우 열정적이고 적극적으로 시간과 돈을 소비하는 핵심 팬층을 의미한다. 이들은 단순한 소비자나 일반 팬과 달리, 자신이 좋아하는 대상에 대한 소비 비중이 월등히 높으며, 팬덤(Fandom) 문화와 가치를 대중에게 전파하고, 새로운 팬 유입을 유도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세시 플랫폼을 통해 아티스트는 이메일, 이름, 생년월일, 위치 정보, 팬의 참여도 등 핵심 데이터를 직접 소유할 수 있으며, Spotify, TikTok과의 통합 기능도 제공해 팬 커뮤니티를 더욱 강화할 수 있다.
Sesh Secures USD 7 Million, Launches ‘Member Card’
Among the standout funding stories this quarter is Sesh, a fan community platform focusing on direct, data-driven connections between artists and their “superfans.” The USD 7 million round was led by Miura Global, alongside angel investors from the music and tech industries. Sesh plans to use the new capital to:
Enhance Platform Technology: Further develop features that allow artists to own and utilize first-party fan data.
Expand Artist Onboarding: Bring more musicians on board to build and strengthen their communities.
Leverage Data for Fan Insights: Offer robust analytics so artists can better engage their most dedicated fans.
New ‘Member Card’ Service
Sesh’s newly launched Member Card aims to simplify community participation. Fans can download a digital pass directly to their smartphone wallet—no separate app installation required. Once added, artists can use push notifications to announce new music releases, merchandise drops, VIP event invitations, and pre-sale ticket deals, all without relying on conventional social media platforms.
“We believe superfans are the backbone of the music industry’s sustainability,” said a Sesh spokesperson. “Traditional SNS models limit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artists and fans, while crucial data often remains locked within centralized platforms. We’re changing that paradigm.”
Pepe del Rio (left) and Iñigo-Hubertus Bunzl Pelayo of Sesh.
“수백 명의 진짜 팬만 있어도 음악으로 생계 가능”
세시의 CEO 페페 델 리오(Pepe del Rio)는 “진정한 팬 몇 백 명만 있어도 음악을 직업으로 삼을 수 있는 시대다. 세시는 가능한 많은 아티스트가 음악으로 생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250여 명 아티스트와 협업… 월간 스트리밍 7억 5천만 회
2023년 세시는 현재까지 아니타(Anitta), 마우 이 리키(Mau y Ricky), 나띠 펠루소(Nathy Peluso) 등 250명 이상의 아티스트와 협업하고 있으며, 이들이 보유한 스포티파이(Spotify) 월간 청취자 수는 약 7억 5,000만 명, 소셜 미디어 서비스 팔로워 수는 10억 명, 2024년 그래미상 후보 지명은 44건에 달한다.
세시는 페페 델 리오, 이니고-후베르투스 분츨 펠라요(Iñigo-Hubertus Bunzl Pelayo), 마리아 호세 구스만(María José Guzman)이 공동 창업했으며, 이들은 금융, 기술, 아티스트 매니지먼트 분야에서의 경력을 바탕으로 음악 산업의 비효율을 해결하고자 뜻을 모았다.
Sesh’s Growing Artist Portfolio
Since its founding, Sesh has collaborated with over 250 artists, including global names such as Anitta, Mau y Ricky, and Nathy Peluso. Collectively, these artists boast:
750 million monthly Spotify listeners,
Over 1 billion social media followers, and
44 Grammy Award nominations to date (2024 cycle).
Co-founded by Pepe del Rio (CEO), Iñigo-Hubertus Bunzl Pelayo, and María José Guzman, the Sesh leadership team brings together backgrounds in finance, tech, and artist management. They aim to fix inefficiencies in the music industry by providing a community-driven platform that lets artists own fan relationships—and, crucially, the data behind those relationships.
“Even a few hundred real fans can make it possible for an artist to earn a living from music,” says CEO Pepe del Rio. “Our goal at Sesh is to ensure as many artists as possible can turn their craft into a sustainable career.”
슈퍼팬을 잡아라
세시 투자 볼 수 있듯, 슈퍼팬은 스트리밍 2.0 시대의 핵심이다. 스트리밍 2.0은 기존 음악 등 스트리밍 서비스 모델(스트리밍 1.0)에서 한 단계 진화한 개념이다. 단순히 더 많은 가입자를 확보하는 데 초점을 맞췄던 과거 방식에서 벗어나, 고객 가치와 평균 사용자당 매출(ARPU) 극대화에 중점을 둔다.
Superfans: The Key to Streaming 2.0
The rise of platforms like Sesh highlights the growing importance of superfans—highly engaged, high-value fan segments that drive disproportionate revenue and word-of-mouth promotion. In the era of what some call Streaming 2.0, success is not just about stacking more subscribers, but rather maximizing customer value and ARPU (average revenue per user).
오디언스 데이터 분석 업체 루미네이트에 따르면, 슈퍼팬은 “아티스트와 그 콘텐츠에 5가지 이상의 방식으로 참여하는 팬”을 의미한다. 참여 방식에는 스트리밍, 다운로드, 실물 음반 및 굿즈 구매, 콘서트 관람, 숏폼 및 뮤직비디오 시청, 팝업스토어 방문, 소셜 미디어 서비스 활동, 커버댄스, 극장 관람 등 다양한 형태가 포함된다
유니버셜 뮤직 그룹(UMG)가 음악 구독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전체 구독자 중 약 30%가 이러한 슈퍼팬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일반 대중보다 음악 관련 소비에 훨씬 더 많은 비용을 지출하며, 아티스트와의 다양한 접점에서 적극적으로 활동하는 핵심 팬층이다.
Research from data analytics firm Luminate describes superfans as those who engage with an artist or content in five or more ways—streaming, downloads, attending concerts, buying merch, participating in online communities, and more. A study by Universal Music Group (UMG) found that about 30% of its music subscribers qualify as superfans, and these users account for a large share of revenue in the music ecosystem.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부활? 1분기 투자 급증… AI·음악·쇼핑 분야 견인
2025년 1분기, 미국 크리에이터(creator) 경제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가 다시 활기를 띠고 있다. 최근 공개된 그래프에 따르면, 창작자 경제 분야 투자금은 2021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14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팬 커뮤니티 플랫폼 '세시(Sesh)'의 700만 달러 투자 유치와 같은 사례와도 맞물린다.
AI·쇼핑·음악 중심 스타트업이 투자 견인
이번 투자 급증을 이끈 주요 요인은 ▲AI 기반 콘텐츠 기술 ▲쇼핑 연계 콘텐츠 ▲음악 중심 팬 커뮤니티 플랫폼의 성장이다.
유튜브(YouTube)를 비롯한 주요 플랫폼의 영향력도 크게 작용했다. 특히 유튜브( YouTube)는 미국 TV 스크린 시청 시간 기준 최대 스트리밍 플랫폼으로 자리 잡았으며, 코카콜라, 유니레버 등 글로벌 브랜드의 인플루언서 마케팅 예산 확대가 스타트업 시장에 긍정적인 신호로 작용했다.
인플루언서 마케팅 예산 증가
2021년 정점 이후 침체… 2025년 반등
디인포메이션에 따르면 미국 크리에이터 이코노미의 경우
- 2021년 1분기약 30억 달러에 달하는 사상 최대 투자금이 몰렸으나, 이후 점진적인 감소세가 이어졌다.
- 2023년 중반에는 투자액이 1억 달러 이하로 급감하며 바닥을 쳤다.
- 그러나 2025년 1분기, 다시 약 9억 달러에 달하는 투자가 이뤄지며 반등 조짐을 보이고 있다.
쇼핑과 음악, 투자금 집중… AI도 4위 올라
- 쇼핑(Shopping): 약 3억 달러 규모로 가장 큰 투자가 이루어졌다. 라이브 커머스, 크리에이터 커머스 등 D2C 기반의 콘텐츠-상거래 연계 모델에 주목이 쏠린다.
- 음악(Music): 약 2억 4천만 달러 수준으로, 팬 중심의 커뮤니티 플랫폼과 아티스트 직거래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 크리에이터 서비스(Creator Services): 콘텐츠 제작과 수익화 지원 도구에 대한 투자가 활발하다.
-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약 1억 달러 이상이 유입되며, 생성형 AI 기반 콘텐츠 제작 툴이 주목받고 있다.
- 크리에이터 브랜드(Creator Brand): 개인 브랜드화 및 라이프스타일 제품 등에서 여전히 일정 투자 흐름이 유지된다.
Q1 2025 Data: A Closer Look
Overall investment in the U.S. creator economy rebounded to approximately USD 900 million in Q1 2025, after hitting a low of under USD 100 million in mid-2023. Key segments include:
Shopping – ~USD 300 million
Music – ~USD 240 million
Creator Services – Tools for content creation and monetization
Artificial Intelligence – ~USD 100+ million
Creator Brands – Personal branding and lifestyle products
“We’re entering a new growth cycle for the creator economy”
록워터 인더스트리(Rockwater Industries) 창립자 크리스 어윈(Chris Erwin)은 디인포메이션과 인터뷰에서 “우리는 지금 크리에이터 경제의 새로운 성장 주기에 들어서고 있다”며 “소비자들의 시간과 지출이 디지털·소셜 플랫폼에 집중되면서, 관련 수익이 급증하고 있으며 자본은 수익을 따라간다”고 설명했다.
“We’re entering a new growth cycle for the creator economy. As consumers continue to invest their time and money in digital and social platforms, revenue is following suit—and capital follows revenue.”
Chris Erwin, founder of Rockwater Industries, told The Information:
글로벌 3위 투자 사례는 AI 음성 기술 기업 '일레븐랩스'
2025년 1분기 글로벌 투자 중 세 번째로 큰 규모는 AI 음성 복제 및 더빙 기술 기업 ‘일레븐랩스(ElevenLabs)’의 1억 8,000만 달러 투자 유치였다. 이 회사는 지난해 기준 연간 반복 수익(ARR annual recurring revenue)이 약 8,000만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Global Highlights: ElevenLabs and Good Good Golf
Outside the U.S., the third-largest global deal of Q1 2025 was ElevenLabs, which specializes in AI voice replication and dubbing technology. The company secured USD 180 million in new funding, reportedly hitting USD 80 million in annual recurring revenue (ARR) last year.
In another noteworthy development, Creator Sports Capital, led by former YouTube executive Benjamin Grubbs, made a USD 45 million investment in Good Good Golf, a golf-focused media brand that expanded from a YouTube channel to merchandise sales and in-person events.
“We’re now seeing creator-based businesses with real revenue and proven track records,” said Grubbs. “These companies have been operating for years and have built sustainable models that appeal to a new wave of investors.”
유튜브 채널에서 미디어 기업으로… 크리에이터 기업화 본격화
크리에이터 기반 콘텐츠 기업에 대한 투자도 활발하다.
전 유튜브 임원이자 Creator Sports Capital 창립자인 벤자민 그럽스(Benjamin Grubbs) 도 인터뷰에서 “이제는 실적을 가진 기업들이 등장하고 있으며, 수년간 운영되면서 수익까지 내고 있다”고 평가했다.
그가 이끄는 Creator Sports Capital은 2025년 3월, 유튜브 채널에서 시작해 자체 굿즈까지 판매하는 골프 미디어 브랜드 ‘굿굿 골프(Good Good Golf)’에 4,500만 달러를 투자하며 주목을 받았다.
Outlook: A New Era of “Creator-Led Media”
With strong gains in Q1 2025, the creator economy is once again attracting capital as fans increasingly prioritize direct, interactive relationships with their favorite artists and influencers. From AI-driven production tools to fan membership passes that bypass traditional social networks, the market is evolving toward an environment where creators retain more control over their content, data, and audiences.
For investors and entrepreneurs, this signals a fresh round of opportunities—especially for platforms like Sesh aiming to empower creators through direct-to-fan engagement and data ownership. As music, shopping, and AI converge in the content space, industry observers anticipate continued growth throughout 2025 and beyo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