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S2025]The power of webtoon as a new global media platform is openness(웹툰의 힘은 개방성)


“진정한 디지털 및 모바일 경험이며, 한 장르를 넘어서는 것(the experience is truly digital and mobile, and it spans way beyond one genre)"...웹툰(Webtoon)

CES는 언제나 그랬듯, 새로운 엔테인먼트 테크놀로지를 논의하는 자리다.

이번 CES2025에도 콘텐츠 포맷 변화에 따른 플랫폼의 진화도 다뤘다.

1월 8일 CES C스페이스 버라이어티가 개최한 '엔터테인먼트 서밋에서'는 ‘How Webcomics Are Fueling The Global Entertainment Market’에서 웹툰 엔터테인먼트(네이버 웹툰의 미국 법인, Webtoon)의 최고운영책임자(COO)이자 최고재무 책임자(CFO)인 데이비드 J 리(David J. Lee)는 미국 버라이어티 공동 편집장 신시아 리틀턴(Cynthia Littleton)과 대화를 나눴다.

"The experience is truly digital and mobile, and it spans well beyond one genre.

CES is, and always has been, a place to discuss new entertainment technologies.
At CES 2025, it was also about the evolution of platforms as content formats change.


At the CES C-Space Variety's Entertainment Summit on Jan. 8, David J. Lee, COO and CFO of Webtoon Entertainment (the U.S. arm of Naver Webtoon), spoke with Variety  co-editor-in-chief Cynthia Littleton about "How Webcomics Are Fueling The Global Entertainment Market"

웹툰은 K플랫폼 최초 글로벌 플랫폼

최근 미국에서 웹툰 혹은 웹 코믹스는 새로운 콘텐츠 포맷으로 젊은 층을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다. 이제 웹툰은 팬덤에서부터 주류 콘텐츠로 나아가고 있다.

특히, 미국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K드라마의 주요 원천이 웹툰이라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한국 영상 콘텐츠 팬들도’ 웹툰을 상당히 소비하고 있다.

Webtoon is K Platform's first global platform


Webtoons, or web comics, are a new content format that has been spreading in the United States in recent years, especially among young people. Now, webtoons are moving from fandom to mainstream content.


In particular, webtoons have become a major source of popular K-dramas in the U.S., and 'Korean video content fans' are also consuming webtoons.

오른쪽 David J.Lee Variety

넷플릭스의 ‘스위트홈(Sweet Home)’, 디즈니+의 비질란테(Vigilante), 크런치롤의 타워 오브 갓(Tower of God) 등 웹툰 엔터테인먼트의 스트리밍 작품들은 웹툰이 할리우드와 글로벌 스트리밍 사업자들에게 중요한 콘텐츠 공급원임을 보여줬다.

이 세션에서는 웹코믹스의 시장 성장과 스튜디오, 투자자, 광고주들에게 웹툰이 어떤 의미를 가지는 지를 논의했다. 또 웹툰이 글로벌 엔터테인먼트 시장을 어떻게 바꾸는지에 대한 논의도 이어졌다. CES 주류 세미나에서 웹툰이 등장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The streaming success of webcomic entertainment, including Netflix's Sweet Home, Disney+ Vigilante, and Crunchyroll 'Tower of God', has proven that webcomics are an important source of content for Hollywood and global streaming providers.


This session discussed the growth of the webcomics market and what it means for studios, investors, and advertisers, as well as how webcomics are changing the global entertainment market.

This is the first time webcomics have been featured in a mainstream CES seminar.


데이비드 리 웹툰 COO는 “참석자들이 웹툰 현상의 범위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수치를 CES현장에서 소개했다. 미국인들에게 익숙한 그래픽 노블 형태 그림에 블로그 스타일의 스크롤(blog-like scroll)을 탑재한 웹툰은 지속적인 빠른 업데이트가 장점이다.

리 COO는 “웹툰이 수백만 명 독자들로부터  13억 달러의 수익을 창출했다”고 밝혔다. 특히, 이 금액은 구독자 대부분이 독립 크리에이터가 업로드하는 새로운 소재를 미리 보기 위해 소액(대부분 1달러 미만)을 지불하는 이들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웹툰엔터테인먼트에 따르면 웹툰은 글로벌 활성 사용자가 1억 7,000만 명에 달하며 매일 2,400만 명의 크리에이터들이 12만 개 이상의 스토리를 업로드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웹툰 플랫폼에 탑재된 콘텐츠도 5,500만 개 이상이다.


"We came to CES armed with numbers to help attendees understand the scope of the webcomic phenomenon," said David Lee, COO of Webtoon Entertainment. Webtoons, which feature blog-like scrolling in the graphic novel format that Americans are accustomed to, are characterized by constant, rapid updates.


"Webtoons have generated $1.3 billion in revenue from millions of readers," Lee said. This amount is significant because most of these subscribers pay a small amount (often less than a dollar) to preview new material uploaded by independent creators.


According to Webtoon Entertainment, Webtoon has 170 million global active users, with 24 million creators uploading more than 120,000 stories every day.


There are also more than 55 million pieces of content on the platform.

K엔터테인먼트 테크 플랫폼 웹툰의 장점은 개방성

웹툰 엔터테인먼트는 글로벌 런칭 이후  왓패드 웹툰 스튜디오, 스튜디오 N 등 크리에이터에게 기회를 제공하는 글로벌 IP 및 크리에이터 생태계를 구축해왔다. 단순한 콘텐츠 유통이 아닌 크리에이어터와 상생하는 모델을 만들어내고 있다. 웹툰에서 활동하는 크리에이터 대부분은 한국에 아닌 글로벌 지역 출신이다.

웹툰은 한국이 만든 글로벌 엔터테인먼트 테크 플랫폼이다.

2014년 한국에서 시작한 네이버웹툰은  네이버를 넘어 웹툰 플랫폼으로 진화하고 있다.

네이버웹툰은 한국 외 시장에서는 아직 낯선 '웹툰'이라는 새로운 형식의 콘텐츠와 플랫폼을 전세계 창작자와 이용자에게 꾸준히 알리며, 생태계 내 창작자, 이용자와 함께 웹툰을 글로벌 산업으로 키워왔다. 그 결과 2024년 말 현재 웹툰의 서비스 지역은 150개 국가가 넘는다.

웹툰의 글로벌 진출이 유독 의미 있는 이유는 플랫폼으로서 생태계 내 수많은 창작자와 함께 글로벌 시장에서 유의미한 성공을 이뤄내고 있기 때문이다. IP의 경우 유통 권리는 웹툰이 가지지만 저작권은 크리에이터에게 귀속된다.

단순히 메가 IP 하나를 수출하는 방식이 아닌 다양한 IP가 공존하는 플랫폼으로서 글로벌 진출에 성공했다. 웹툰이 글로벌로 확장되는 사이 많은 한국 웹툰 IP 들도 자연스럽게 글로벌 시장 진출의 기회를 얻었다.

한국 콘텐츠 스튜디오, 영화 등도 글로벌 시장에서 ‘미디어 플랫폼’을 구축하려는 노력을 펼쳐왔다.

그러나 SK스퀘어와 KBS, MBC, SBS가 만든 ‘K콘텐츠 스트리밍 서비스 코코와(Kocowa)’를 제외하면 의미있는 성과(미주에서 유럽 진출)를 낸 플랫폼은 없다. K콘텐츠의 시대지만, K플랫폼의 자리는 없는 셈이다.  

K-Entertainment Tech Platform Webtoon's Advantage is Openness

Since its global launch, Webtoon Entertainment has built a global IP and creator ecosystem that provides opportunities for creators, such as Wattpad Webtoon Studio and Studio N.

It has created a win-win model with creators rather than just distributing content.

In the case of IP, the webtoon owns the distribution rights, but the copyright belongs to the creator.

Most of the creators active in webtoons are not from Korea but from other parts of the world.


Webtoon is a global entertainment tech platform created by South Korea.


Launched in Korea in 2014, Naver Webtoon has evolved into a webtoon platform beyond Naver.
NAVER Webtoon has been steadily introducing a new form of content and platform called "webtoon," which is still unfamiliar in markets outside of Korea, to creators and users around the world, and together with creators and users in the ecosystem, we have been growing webtoon into a global industry. As a result, as of the end of 2024, webtoon is available in more than 150 countries.


The reason why Webtoon's global expansion is so meaningful is that as a platform, it has achieved significant success in the global market with a large number of creators in its ecosystem.


It has succeeded in going global as a platform where various IPs coexist, rather than simply exporting one mega IP. As webtoons have expanded globally, many Korean webtoon IPs have naturally gotten the opportunity to enter the global market.


Korean content studios, movies, etc. have also been trying to build 'media platforms' in the global market.


However, with the exception of SK Square and Kocowa, a K-content streaming service created by KBS, MBC, and SBS, none of these platforms have made meaningful progress (from the Americas to Europe).

"It's the time of K-content, but not the time of K-platforms"

가장 큰 성공 이유는 개방성이다.

한국 미디어 플랫폼 대부분은 주주들의 이익을 극대화하는 방식의 글로벌 비즈니스를 하고 있다. 특정 주주들의 해외 진출을 위한 창구 역할에 만족하는 것이다.

하지만, 웹툰 엔터테인먼트는  개방성을 강화하면서 오디언스와 지역을 확장하고 있다.  

전 세계에서 가장 주목받는 브랜드와 정기적으로 협업, 새로운 Z세대에게 IP를 선보이고 있다. 웹툰 엔터테인먼트는 듀오링고, 유비소프트(Ubisoft), BTS의 매니지먼트 하이브(HYBE), 아틀란틱 레코드, DC 코믹스 등의 브랜드와 협력해 왔다.

The biggest reason for webtoon's success is openness.


Most Korean media platforms do global business in a way that maximizes profits for their shareholders. They are content to serve as a conduit for certain shareholders to expand overseas.


Webtoon Entertainment, however, is expanding its audiences and geographies while increasing its openness.


It regularly collaborates with some of the world's most recognizable brands to introduce its IP to the new Generation Z audience. Webtoon Entertainment has worked with brands such as Duolingo, Ubisoft, BTS' management HYBE, Atlantic Records, DC Comics, and more.

특히, 한국 드라마 상당수가 웹툰을 원작으로 한다는 점을 감안, 글로벌 최대 K콘텐츠 스트리밍 ‘코코와(Kocowa)’와도 협력을 이어가고 있다.

코코와는 웹툰 원작 드라마를 알리는 이벤트와 미주와 유럽 진출에서 드라마의 원작 웹툰을 코코와에 편성해 제공하고 있다. ​

In particular, given that many Korean dramas are based on webtoons, we have been working with Kocowa, the world's largest K-content streaming service.


Kocowa organizes events to promote webtoon-based dramas and provides the original webtoons of the dramas on Kocowa in the Americas and Europe.

  • Economic Impact of Naver Webtoons on South Korea and Overseas Performance
  • Total Annual Economic Effect in 2023: 4.3522 trillion won
  • Overseas Content Ripple Effect: 2.4062 trillion won (55%)
  • Proportion of Korean Works' Overseas Revenue through Naver Webtoon in 2023: 48.3%
  • Growth Rate of Overseas Sales of Korean Naver Webtoon Works (2019-2022): 122%
  • For comparison: K-Contents overseas export growth rate during the same period: 9%

네이버 웹툰 해외 진출 효과 4조 5,522억 규모

글로벌 플랫폼으로 성장한 네이버웹툰의 경제적 효과는 매우 크다.  

네이버웹툰의 글로벌 진출이 한국 경제에 미치는 긍정적 파급효과를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유병준 교수 및 충남대학교 경상대학 이재환 교수 연구팀이 분석한 결과, 네이버웹툰으로 인한 한국 경제의 파급효과는 2023년 한 해 동안 총 4조 3,522억 원 규모로 예측된다.

이 중 네이버웹툰 기반 한국 작품의 해외 진출로 인한 경제적 파급효과 규모는 2조 4,062억 원으로 전체 파급효과의 55%가 네이버웹툰의 해외 진출로부터 유발되고 있다. 네이버웹툰으로 인한 취업유발효과는 2023년 총 1만 8,876명으로 추정된다.

NAVER Webtoon's Global Economic Impact is KRW 4.552 trillion($3.103 billion USD)


The economic impact of NAVER Webtoon's growth into a global platform is significant.


According to a research team led by Professor Yoo Byung-joon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Business School and Professor Lee Jae-hwan of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the positive ripple effect of NAVER Webtoon's global expansion on the Korean economy is estimated to total KRW 4.352 trillion in 2023.


Of this amount, the economic impact from the overseas expansion of Korean works based on NAVER Webtoon is KRW 2.046 trillion, accounting for 55% of the total impact. The total number of people employed by NAVER Webtoon is estimated to be 18,876 in 2023.

회사에 따르면 2023년 네이버웹툰을 통해 해외 진출한 한국 작품의 전세계 조회수 중 48.3%는 해외 시장에서 발생하고 있다. 네이버웹툰에서 시작했지만 한국을 넘어 150개 국에서 서비스되는 웹툰엔터테인먼트의 다양한 글로벌 플랫폼을 통해 글로벌 독자들에게 활발히 연결되고 있는 것이다.

또 네이버웹툰을 통해 해외로 진출한 한국 작품의 2019년에서 2022년 사이 연평균 해외 유료 콘텐츠 매출 성장률(CAGR)은 122%로 상당히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이는 같은 기간 K-콘텐츠의 연평균 수출 성장률이 9%임을 감안할 때, 웹툰이 새롭게 성장하는 수출 산업임을 확인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company, in 2023, 48.3 percent of the global views of Korean works that went international through Naver Webtoon came from overseas markets. This means that even though they originated on Naver Webtoon, they are actively connecting with global audiences through Webtoon Entertainment's various global platforms in 150 countries beyond Korea.


In addition, the compound annual growth rate (CAGR) of overseas paid content revenue from 2019 to 2022 for Korean works that went overseas through NAVER Webtoon is 122%.

This is a significant growth rate considering that the average annual export growth rate of K-content is 9% during the same period, confirming webtoons as a new and growing export industry.

네이버웹툰은 “플랫폼과 콘텐츠의 글로벌 동반 진출이 해당 영역의 콘텐츠 수출을 더욱 촉진하고 있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K스토리의 글로벌 진출은 웹툰을 통해 이뤄지고 있다.

한국에서 스토리의 힘이 증명된 다양한 작품들은 웹툰엔터테인먼트가 글로벌 투자로 구축한 9개의 해외 플랫폼을 통해 자연스럽게 해외 시장에 진출하고 있다.

웹툰엔터테인먼트는 스토리와 각 시장의 특성을 분석하고 매칭해 각 해외 시장에 진출할 작품을 선정하고, 내외부 전문가의 번역, 디자인, 홍보, 마케팅 등 현지화 과정을 거쳐 한국어 작품이 해외 시장의 다양한 독자들과 만나고 글로벌에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한국의 작품이 한국 내에서만 소비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취향의 글로벌 독자와 만나면서 더 많은 성장의 기회를 얻고 있는 것이다.

NAVER Webtoon analyzed that "the joint global expansion of the platform and content is further promoting the export of content in this area."


K-Story's global expansion is being driven by webtoons.


Various works that have proven the power of stories in Korea are naturally entering overseas markets through nine overseas platforms that Webtoon Entertainment has built with global investment.


Webtoon Entertainment selects works to enter each overseas market by analyzing and matching the story and characteristics of each market, and supports Korean works to meet various readers in overseas markets and grow globally through localization processes such as translation, design, promotion, and marketing by internal and external experts.

Korean works are not only consumed in Korea, but are also gaining more opportunities for growth by meeting global audiences with diverse tastes.


이하는 데이비드 리 COO의 인터뷰 중 발췌

The following is an one of interview with COO David Lee

(사회)

So much you know, who owns the copyright, the creator, webtoon. Do you share it?

웹툰의 저작권 소유자, 제작자, 웹툰이 저작권을. 공유하나요?

(데이비드 리, David J. Lee)

Yeah, we want our creators to feel like they own their content, but at the same time, we want to share and enable their success. So much. You know, when a young creator is writing in a language and doesn't have the resources to know how to present it across the world to a global audience in multiple formats and multiple languages.

That's where we like to think you do bring a lot to the table.

Yeah. And so as a result, generally, when a creator has a voice that's clearly being heard, we convert them to what's called a professional creator, and we voluntarily enter an agreement where we generally have distribution rights in our platform, but we've we want them to own their content, so that, if they can be a great Netflix film release, that we can do it with them.

And, you know, we have relationships. We one article that was recently written claimed that we may have been the source of over half of a major streamers film releases in a country.

And you know, I can already tell you that we're going to talk about it increasingly in North America, I think 2025 is going to be the year where, now that you know that we're the source of these stories, you're going to see more and more of our great platform stories arrive as live action films, either on TV or on the big.


네, 저희는 창작자가 자신의 콘텐츠를 소유하고 있다는 느낌을 받기를 바라지만, 동시에 창작자의 성공을 공유하고 지원하고 싶습니다. 정말 많이요. 젊은 크리에이터가 한 언어로 글을 쓰지만 전 세계 시청자에게 다양한 형식과 언어로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알 수 있는 리소스가 없는 경우를 예로 들 수 있죠.


바로 이 부분에서 여러분이 많은 도움을 주시는 것 같아요. 맞아요.

그래서 일반적으로 크리에이터가 자신의 목소리를 분명히 낼 수 있는 경우, 우리는 그들을 전문 크리에이터로 전환하고, 일반적으로 우리 플랫폼에서 배포권을 갖되, 콘텐츠에 대한 소유권을 갖도록 하는 계약을 자발적으로 체결하여 훌륭한 넷플릭스 영화가 될 수 있다면 그들과 함께 할 수 있도록 합니다.


그리고 아시다시피 우리는 관계를 맺고 있습니다. 최근에 작성된 한 기사에서는 한 국가에서 개봉하는 주요 스트리머 영화 중 절반 이상을 우리가 공급했다고 주장한 적이 있습니다.


북미에서 점점 더 많은 이야기가 나올 것이고, 2025년은 우리가 이러한 이야기의 원천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으니, 점점 더 많은 훌륭한 플랫폼 이야기가 TV나 대형 스크린에서 실사 영화로 개봉하는 해가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