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uperfan' is the Key to Streaming 2.0...Capture the 'Superfan' with Entertainment Tech
보다 아티스트의 힘이 필요한 스트리밍 2.0시대...슈퍼팬을 잡기 위한 엔터테인먼트 테크가 필요.
In the age of streaming 2.0, artists need more power...entertainment tech needs to capture superfans.
K콘텐츠의 글로벌 지수를 평가한다면 K팝이 단연 1위다. K드라마, 예능이 콘텐츠 별 선호도나 성과의 차이가 크다면 K팝은 거의 모든 지표와 콘텐츠가 상위권을 형성하고 있다.
콘텐츠 수요를 측정하는 루미네이트(Luminate)에 따르면 한국 K팝 아티스트의 글로벌 확산은 뜨거웠다. K팝이 글로벌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는 이유는 바로 슈퍼팬 때문이다. 슈퍼 팬은 최소 5개 포맷 이상(뉴스레터, 굿즈, 콘서트, DM, 앨범)으로 자신이 좋아하는 아티스트를 만나는 팬들을 말한다.
콘텐츠가 장르가 되려면 바로 이런 슈퍼 팬이 중요하다. 구독자 확보 아닌 구독자 참여도 강화가 중요한 스트리밍 2.0시대의 핵심도 슈퍼팬이다.
If you evaluate the global index of K-content, K-pop is the number one. If K-dramas and entertainment have a large difference in preference or performance by content, K-pop is at the top of almost all indicators and contents.
According to Luminate, which measures content demand, the global spread of Korean K-pop artists has been intense. The reason K-pop is so popular globally is because of superfans. Superfans are fans who interact with their favorite artists in at least five formats (newsletters, merchandise, concerts, direct mail, and albums).
It's these superfans that are important for content to become a genre. Superfans are also the key to streaming 2.0, which is all about engaging subscribers, not acquiring them.
K팝, 비영어권 국가중 몰입도 1위
루미네이트는 최근 2024년 연말 뮤직 리포트를 내고 전 세계로 음반을 수출하는 국가의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만들어진 지표인 ‘루미네이트 수출 파워 점수(Luminate Export Power Score)를 공개했다. 이 지표는 스트리밍 트렌드가 아닌 어떤 아티스트가 해외 진출의 힘이 있는 지를 알아보는데 좋은 지표다.
이 순위는 각 국가의 아티스트들이 국제 시장에서 얼마나 많은 청취자를 확보하고 있는지, 해당 국가의 음악을 수입하는 국가의 수와 규모, 그리고 국제적으로 성공한 아티스트의 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산출됐다.
특히 한국은 비영어권 국가 중 가장 높은 순위를 기록하며 글로벌 음악 시장에서의 영향력을 입증했다. 한국 음악의 주요 수입국은 일본, 대만 싱가포르, 말레시아 등이었다.
K-pop ranks #1 in engagement among non-English speaking countries
Luminate recently released its 2024 year-end music report and unveiled the Luminate Export Power Score, a metric designed to assess a country's ability to export music globally. It's a good indicator of which artists have the power to go international, not streaming trends.
The ranking takes into account how many listeners each country's artists have in international markets, the number and size of countries that import music from that country, and the number of internationally successful artists.
South Korea ranked highest among non-English speaking countries, demonstrating its influence in the global music market. The top importers of Korean music are Japan, Taiwan Singapore, Malaysia, and Taiwan.
한국 아티스트는 12개 시장에서 상위 50위 안에 들었으며, 인접 국가인 일본 대만, 싱가포르, 말레이시아에서 가장 높은 집중도를 보였다. 12개 시장 중 일본에서는 9명의 한국 아티스트가 상위 50위 안에 들어 가장 큰 한국 음악 수입국이었다.
인도네시아에서는 3명의 한국 아티스트가 이름을 올렸다. 일본 Z세대와 밀레니얼 세대 음악 청취자 중 18%가 K팝 팬이었다.
일본 K팝 음악 소비자들은 매주 평균 37.3시간 한국 음악을 청취했다. 이는 일본 평균 음악 청취자에 비해 6.5시간 많은 수준이다. 일본 케이팝 음악 청취자의 43%가 향후 12개월 내 라이브 콘서트에 참석할 계획(일본 평균 음악 청취자보다 +20% 높음)이라고 답했다.이는 일본 케이팝 팬들의 애정이 매우 뜨겁다는 것을 보여준다.
Korean artists ranked in the top 50 in 12 markets, with the highest concentration in the neighboring countries of Japan, Taiwan, Singapore, and Malaysia. Of the 12 markets, Japan was the largest importer of Korean music, with nine Korean artists in the top 50.
In Indonesia, three Korean artists made the list. In Japan, 18% of Gen Z and Millennial music listeners were K-pop fans.
Japanese K-pop music consumers listened to an average of 37.3 hours of Korean music each week. This is 6.5 hours more than the average Japanese music listener.
43% of K-pop music listeners in Japan plan to attend a live concert in the next 12 months (+20% higher than the average music listener in Japan), showing that K-pop fans in Japan are very passionate about the genre.
버라이어티(Variety)는 “케이팝은 세심하게 만들어진 세계를 정복한 아티스트와 아티스트가 영감을 준다는 열렬한 팬들로 잘 알려진 장르”라고 평가했다. 이와 관련 최근 버라이어티는 위버스 플랫폼을 ‘글로벌 팬덤 대표 소셜 미디어 앱’으로 집중 분석했다.
"K-pop is a genre known for artists who have conquered carefully crafted worlds and rabid fans who claim to be inspired by them," Variety wrote. In a recent article, Variety highlighted the Weavers platform as "the leading social media app for global fand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