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nske Media Sues Google Over AI Overview Feature

Penske Media Sues Google Over AI Overview Feature

Media giant claims AI summaries steal traffic and revenue from news media

미국 대형 미디어 그룹 펜스케미디어 구글의 AI 요약(‘AI 오버뷰’) 기능으로 인한 트래픽 급감과 손해를 이유로, 구글을 상대로 첫 저작권 및 반독점 법정 소송을 제기했.

이는 AI 시대의 뉴스 요약 기능을 둘러싼 저작권 분쟁이 본격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대표 사례

Penske Media Corporation (PMC) has filed a lawsuit against Google in Washington DC federal court, alleging that Google's AI Overview feature unlawfully uses news content and diverts traffic from publisher websites. The suit includes 13 PMC subsidiaries as plaintiffs, including The Hollywood Reporter, Rolling Stone, Variety, Billboard, and Vibe.

PMC claims that since Google introduced AI Overviews at the top of search results, online revenue from advertising and affiliate shopping has plummeted by more than one-third from peak levels over the past year. The company states that AI Overviews now appear in approximately 20% of search results, with that percentage continuing to grow.

First Major News Publisher to Sue

Penske Media is the first major U.S. news publisher to file a lawsuit against Google and its parent company Alphabet over AI-generated summaries. The lawsuit comes after a federal judge ruled last year that Google maintains an illegal monopoly in internet search.

According to the Wall Street Journal, organic search traffic has declined dramatically across the industry. Business Insider's traffic dropped 55% over three years, while HuffPost and The Washington Post saw nearly 50% declines. SEO research shows that click-through rates for top-ranking sites fell 34.5% when AI Overviews appeared in search results.

Google Defends AI Features

Google spokesperson José Castañeda countered that "AI Overviews make search more useful and create new opportunities for content discovery." He emphasized that "Google sends billions of clicks to websites daily, and AI Overviews actually send traffic to more diverse sites. We will defend against these baseless claims."

The search giant has been integrating AI more prominently into search results, competing with OpenAI's ChatGPT through its Gemini chatbot. Many searches now display AI-generated summaries above traditional links, along with a new "AI Mode" option.

Publishers Face Difficult Choice

PMC argues that publishers face an impossible dilemma: either block their sites from Google search and suffer catastrophic business losses, or unwillingly fuel AI summaries that cannibalize their traffic. The lawsuit states that "every time PMC publishes an article, it must provide training material for Google's AI systems, essentially adding fuel to the fire threatening PMC's entire media business."

The company is seeking a permanent injunction against Google and unspecified monetary damages.

Industry-Wide Legal Battles

The lawsuit reflects broader tensions between tech companies and publishers over AI content usage. The Wall Street Journal and New York Post are suing Perplexity, while The New York Times has filed against OpenAI and Microsoft. Anthropic recently agreed to pay $1.5 billion to settle copyright claims involving 500,000 books.

Meanwhile, some publishers are striking deals. News Corporation signed a five-year, $250 million content licensing agreement with OpenAI, allowing ChatGPT to use articles from WSJ, New York Post, The Times, and MarketWatch. Amazon has partnered with The New York Times, and Google has agreements with Associated Press for AI development.

The legal disputes and revenue-sharing negotiations highlight the growing conflict between AI companies and media organizations over content usage rights and compensation in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미디어 공룡 펜스케미디어, 구글 AI 요약 첫 법정 소송

미디어 공룡 펜스케 미디어, 구글 AI 요약 첫 법정 소송트래픽 급감에 손해배상 청구... AI 시대 저작권 분쟁 확산

미국의 주요 미디어기업 펜스케미디어(Penske Media)가 구글을 상대로 AI 요약(AI Overview) 기능이 그룹의 뉴스 콘텐츠를 무단 활용하고 사이트 트래픽을 줄였다며 워싱턴DC 연방지방법원에 소송을 제기했다. 할리우드리포터, 롤링스톤, 버라이어티, 빌보드, 바이브 등 13개 자회사가 원고로 참여했으나, 대주주로 있는 Vox Media (뉴욕매거진 소유)는 제외됐다.

펜스케 측은 "구글이 검색 결과 상단에 AI 오버뷰를 도입하면서 독자들이 언론사 사이트를 방문하지 않아 광고·쇼핑 제휴 등 온라인 수익이 1년 새 최고치 대비 3분의 1 이상 급감했다"고 밝혔다. 현재 검색 결과의 약 20%에 AI 오버뷰가 노출되고 있으며 그 비율은 계속 증가 중이다. 특히 비즈니스 인사이더(Business Insider), 허프포스트, 워싱턴포스트 등도 3년간 SEO 기반 트래픽이 절반 이상 줄어드는 등 피해가 확산되고 있다.

판례·경쟁 환경 변화

이번 소송이 주목받는 이유 중 하나는 지난해 메타 판사가 구글 검색 시장에서의 불법적 독점행위를 인정한 판례와 맞물리기 때문이다.펜스케미디어는 미국의 주요 뉴스 회사 중 최초로 구글과 그 모기업인 알파벳을 상대로 법정 소송을 제기한 회사다.많은 언론사가 구글이 자신들의 비즈니스에 피해를 주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많은 언론사들은 구글이 자신들의 비즈니스에 피해를 주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에 따르면 비즈니스 인사이더의 유기적 검색(organic search) 트래픽은 3년 만에 55% 감소했고, 허프포스트·워싱턴포스트 등도 거의 절반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SEO 연구에 따르면 AI 오버뷰가 등장한 검색어에서 1위 사이트의 클릭률은 34.5% 감소(2024년 3월 7.3% → 2025년 3월 2.6%)했다.지난해 이 법원 판사는 구글이 인터넷 검색에서 불법적인 독점을 하고 있다고 판결한 바 있다.

해당 판사(Amit Priyavadan Mehta)는 이달 초 구글에 대해 정부가 원했던 수준보다 완화된 제재를 부과했는데, 이는 구글이 다른 인공지능 기업들로부터 점점 더 강한 경쟁 압력을 받고 있다는 점이 이유 중 하나다.온라인 교육 회사인 체그(Chegg), 집단소송을 제기한 아칸소주 중소 신문사 헬레나 월드 크로니클(Helena World Chronicle)과 마찬가지로 워싱턴DC 지방법원에 구글 AI 오버뷰에 대해 소송을 제기했다.

체그는 구글과 알파벳을 연방법원에 제소하며, 구글의 AI Overviews 서비스가 체그로 향하던 웹 트래픽을 가로채 수익과 인력에 큰 타격을 줬다고 주장했다. CEO 네이선 슐츠는 "구글 AI로 인해 사업 구조 자체를 재점검할 수밖에 없었으며 이런 상황이 아니었다면 검토 과정이 필요 없었을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