넥스타 ‘방송 소유 규제 개혁, 지금이 역사상 최대 기회’…美 방송업계 M&A·규제 완화 기대감 고조”, 한국에 미치는 영향은(Nexstar TV Ownership Deregulation, Now is the Biggest Opportunity in History'...U.S. M&A, Deregulation Rise", impact in South Korea)
미국 방송산업에 초대형 인수합병(M&A) 바람이 몰려오고 있다. 공화당 주도의 연방통신위원회(FCC)가 수십 년간 유지돼온 방송사 소유 규제 완화에 속도를 내면서, 넥스타(Nexstar) 등 대형 미디어 그룹이 전국 단위로 몸집을 키울 준비에 돌입했다. 공화당은 올리비아 트러스티 FCC 위원 인준을 기점으로,방송 소유 규제 완화를 본격 시행할 계획이다. 이 경우 미국 방송산업은 수십 년 만의 대규모 M&A와 시장 재편을 맞이할 가능성이 높다.
이는 지역 방송 대형화와 빅테크와의 경쟁력 강화라는 긍정적 효과를 기대하게 만드는 동시에, 시장 집중과 지역성·공공성 저해 등 부작용 우려도 함께 제기한다.
한국 및 글로벌 미디어 업계 역시 이러한 변화의 직·간접적 영향을 피할 수 없다. 콘텐츠 판권 협상, 광고·배급 등 다방면에 걸쳐 대형화된 미국 방송사들의 힘이 커지면서, 국내외 미디어 시장이 새로운 경쟁 국면을 맞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 같은 변화는 미국 관세 인상과 함께 미국 방송시장뿐 아니라, 한국을 비롯한 글로벌 미디어 산업에도 중대한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A Mega M&A Wave Looms in the U.S. Broadcasting Industry
As the Republican-led Federal Communications Commission (FCC) moves to relax broadcast ownership rules that have been in place for decades, major media groups such as Nexstar are gearing up to expand nationwide. With Olivia Trusty’s confirmation as an FCC commissioner likely to trigger a more aggressive deregulatory approach, the U.S. broadcasting sector could see its most significant wave of mergers and acquisitions (M&A) in decades.
While such developments could strengthen local broadcasting and bolster the industry’s competitiveness against Big Tech, concerns persist regarding market concentration, diminished localism and public-interest obligations. Broadcasters and industry observers worldwide, including those in South Korea, are closely watching these changes, which come amid ongoing shifts in U.S. trade policy and rising tariffs that also influence the global media landscape.
방송 소유 규제 완화, M&A 신호탄
넥스타 미디어 그룹(Nexstar Media Group)의 페리 숙(Perry Sook) 회장 겸 CEO는 2025년 5월 8일 1분기 실적발표(earnings call)에서 “내 45년 방송 경력 동안 지금만큼 방송 소유 규제 개혁 가능성이 높았던 적이 없다”며 “공화당 추천 FCC 위원 올리비아 트러스티(Olivia Trusty)가 올여름 인준되면 브렌던 카(Brendan Carr) FCC 위원장이 본격적으로 규제 완화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1.
넥스타는 이미 재무구조가 탄탄하다는 점을 강조하며, 규제 완화 시 적극적으로 방송사 인수·합병을 추진하겠다고 선언했다. 숙 대표는“역사적으로 M&A 전략을 통해 막대한 주주 가치를 창출해 왔다”며, “이번에도 기회를 최대한 살리겠다”고 밝혔다.
실제로 FCC는 올해 들어 같은 지역 내 ‘빅4’(ABC, CBS, NBC, FOX) 방송국(Stations) 간 합병을 승인하는 등, 기존 규제보다 적극적인 완화 기조를 보이고 있다. 2025년 3월 11일 FCC는 그레이 미디어(Gray Media)가 미네소타주 로체스터 시장에서 이미 소유하고 있던 KTTC-TV(NBC)에 더해 KXLT-TV(FOX)를 인수하는 것을 허가했다.
과거에는 FCC의 지역 소유 규정(duopoly rule)에 따라, 동일 시장 내 상위 4위권(Top Four) 방송국을 한 회사가 동시에 소유하는 것이 원칙적으로 금지되어 있었다. 당시 승인도 FCC가 “KXLT-TV가 ‘실패한 방송국(failing station)’에 해당한다”는 점을 근거로, 예외적(waiver)으로 허가한 것이다5.
올리비아 트러스티(Olivia Trusty)는 2025년 4월 미국 상원 상무위원회(Commerce Committee)에서 연방통신위원회(FCC) 위원으로 인준됐다. 그러나 아직 상원 전체 본회의에서 최종 인준 표결이 이루어지지 않다234. 상무위원회 인준 이후 트러스티의 임명안은 상원 본회의로 넘어갔으며, 민주당 측에서는 트러스티의 인준이 민주당 몫 위원 인준과 함께 진행(Pair)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며 표결에 응하지 않고 있다.
올리비아 트러스티는 오랜 기간 상원 공화당 측에서 입법 보좌관 및 정책 전문가로 활동해왔다. 최근까지 미 상원 상무위원회(Commerce, Science, and Transportation Committee) 정책국장(Policy Director)으로 일했으며 그 이전에는 버라이즌(Verizon)에서 공공정책 수석 컨설턴트, Qwest Communications에서 정책 담당자로 근무한 경력이 있다8. 상원에서는 미시시피주 공화당 로저 위커(Roger Wicker) 상원의원, 오하이오주 공화당 밥 라타(Bob Latta) 하원의원 등과 긴밀히 일해왔다.
1. Ownership Deregulation: A Spark for M&A
During Nexstar Media Group’s first-quarter 2025 earnings call on May 8, Perry Sook, Nexstar’s chairman and CEO, remarked, “In my 45 years in the broadcast industry, I have never seen a higher likelihood of comprehensive ownership reform.” He added, “Once Republican-nominated FCC Commissioner Olivia Trusty is confirmed this summer, FCC Chairman Brendan Carr is expected to launch an active deregulatory initiative.”<sup>1</sup>
Nexstar, emphasizing its solid financial position, has stated it will pursue strategic M&A should deregulation proceed. Sook noted, “Historically, we have created substantial shareholder value through M&A, and we will seize every opportunity again.”
Indeed, the FCC has shown a more proactive stance on relaxing local ownership rules. On March 11, 2025, the commission approved Gray Media’s acquisition of KXLT-TV (FOX) in the Rochester, Minnesota market, where it already owned KTTC-TV (NBC). Previously, under the duopoly rule, one company could not simultaneously own two top-four stations in a single market, but the FCC granted a waiver by classifying KXLT-TV as a “failing station.
2025년 5월 기준 미국 FCC 위원 현황 (FCC Commissioners as of May 2025)
이름 (Name) | 소속(정당) (Party) | 임기 시작 (Term Start) | 임기 만료 (Term End) | 주요 사항 (Key Notes) |
---|---|---|---|---|
브렌던 카 (Brendan Carr, 위원장/Chair) | 공화당 (Republican) | 2017-08-11 | 2028-06-30 | 2025년 위원장 취임, 규제 완화 주도 Chair since 2025, leading deregulation |
제프리 스타크스 (Geoffrey Starks) | 민주당 (Democrat) | 2019-01-30 | 2027-06-30 | 소수자·공공이익 중시 Focus on minority/public interest issues |
네이선 시밍턴 (Nathan Simington) | 공화당 (Republican) | 2020-12-14 | 2024-06-30 | 임기 만료 임박 Term expiring soon |
안나 M. 고메즈 (Anna M. Gomez) | 민주당 (Democrat) | 2023-09-25 | 2026-06-30 | 2023년 임명 Appointed in 2023 |
(공석/지명 대기, Vacant/Nominee: Olivia Trusty) | 공화당 (Republican) | - | 2025-06-30 | 올리비아 트러스티 지명, 상원 인준 대기 Nominated (Olivia Trusty), pending Senate approval |
- FCC는 5인 체제이며, 한 정당이 최대 3명까지 위원을 가질 수 있다.
(The FCC is a five-member commission; no more than three can be from the same party.) - 2025년 5월 현재, 공화당 2명(1명 위원장), 민주당 2명, 1석 공석(공화당 지명자 인준 대기)다.
(As of May 2025: 2 Republicans (including Chair), 2 Democrats, 1 vacant seat (Republican nominee pending).) - 네이선 시밍턴의 임기 만료가 임박해 후임 인선이 곧 진행될 수 있다. 미국 FCC 위원은 임기가 만료되어도 후임이 인준될 때까지(또는 차기 회기 첫날까지) 계속 직무를 수행할 수 있다. 시밍턴 위원도 2024년 6월 30일 임기 만료 후, 상원 인준 없이 2026년 1월 3일까지 FCC 위원으로 남아 있을 수 있다
(Nathan Simington’s term is expiring soon, so a replacement may be nominated.)
정치권·업계, ‘규제 철폐’ 한목소리
FCC의 규제 완화 움직임에는 정치권과 업계의 강력한 지원이 더해지고 있다. 2025년 5월 6일, 공화당 소속 상원의원 22명이 카 위원장에게 “방송 소유 규제를 신속히 완화하라”는 공개서한을 보냈다.
이들은 “현행 규제는 급변하는 미디어 환경에서 지역 방송의 경쟁력을 저해한다”며, “규제 현대화는 지역 저널리즘 강화와 공익 증진, 방송사의 디지털 경쟁력 확보에 필수적”이라고 주장했다. 방송협회(NAB) 역시 “방송사만 소유제한에 묶여 빅테크와의 경쟁에서 불리하다”며 39% 전국 소유 제한 철폐를 공식 요구했다.
2. Olivia Trusty: Key to the FCC’s Deregulatory Agenda
Although Olivia Trusty was confirmed by the Senate Commerce Committee in April 2025, her final confirmation vote in the full Senate remains pending.<sup>2,3,4</sup> Democrats have insisted that her confirmation be paired with the confirmation of a Democratic FCC nominee. Trusty has extensive experience in Republican policy circles, previously serving as Policy Director for the Senate Committee on Commerce, Science, and Transportation, and working as a public policy consultant at Verizon and Qwest Communications.<sup>8</sup>
As of May 2025, the FCC consists of five seats (no more than three commissioners from one party). Currently, there are two Republicans (including Chairman Carr), two Democrats, and one vacancy (for which Trusty is nominated). Commissioner Nathan Simington’s term is set to expire soon, but under FCC rules, a commissioner can remain until a successor is confirmed, potentially allowing Simington to stay until January 3, 2026.
3. Widespread Political & Industry Support for Deregulation
On May 6, 2025, 22 Republican Senators sent an open letter to Chairman Carr calling for rapid relaxation of broadcast ownership rules. They argued that “existing regulations hinder local broadcasters in a rapidly changing media environment,” asserting that modernization is “essential for strengthening local journalism, promoting the public interest, and enhancing digital competitiveness.”
Likewise, the National Association of Broadcasters (NAB) has called for repeal of the 39% nationwide ownership cap, highlighting that “broadcasters alone are restricted by ownership limits while competing against Big Tech,” a disparity they deem unfair.
FCC, ‘Delete, Delete, Delete’ 대규모 규제 개편
브렌던 카 FCC 위원장은 최근 “방송 소유 제한은 시대착오적이고 인위적”이라며, “지역 방송사가 빅테크와 동등하게 경쟁할 수 있도록 규제 개혁이 필요하다”고 공개적으로 밝혔다1. FCC는 이미 소유규제, 방송 기술 표준(ATSC 3.0) 등 전방위 규제 개편을 위한 ‘Delete, Delete, Delete’ 이니셔티브를 가동하고 있다.
실제, FCC는 한 방송사가 도달할 수 있는 TV 시청 가구 비율(도달률) 상한을 기존 35%에서 45%로 높이고, 지역 TV 복수 소유(duopoly) 규제, TV-라디오 교차 소유 규제, 일간지-방송사 교차 소유 규제 등도 단계적으로 완화하고 있다. 스트리밍 등 뉴미디어의 급부상으로 전통 방송의 시장 지위가 약화되고, 빅테크 플랫폼과의 경쟁이 심화됨에 따라 방송사 규모 확대와 자본 유입의 필요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FCC는 방송의 공익성(지역성, 다양성) 보호와 시장 활성화(경쟁력 강화, 투자 확대)라는 두 목표 사이에서, 최근에는 시장 활성화와 경쟁력 제고에 더 무게를 두고 있다.
인수 합병 심사에서도 FCC는 기존의 일률적 소유 규제에서, 공익성 심사와 같은 유연한 심사 기준으로 전환하고 있다. 예를 들어, 외국인 투자나 복수 소유의 경우 공익성 심사를 통과하면 예외적으로 허용하는 방식이다 다만, 39% 전국 소유 제한을 FCC가 독자적으로 폐지할 수 있는지, 아니면 의회 입법이 필요한지에 대한 논란도 있다. FCC는 2016년 이후 자체적으로 변경 권한이 있다고 해석해 왔으나, 반대 의견도 만만치 않다.
4. FCC’s ‘Delete, Delete, Delete’ Overhaul
Chairman Carr has described broadcast ownership limits as “outdated and artificial,” emphasizing that local stations need regulatory relief to compete with Big Tech on an equal footing.<sup>1</sup> The FCC is already carrying out a broad overhaul under its “Delete, Delete, Delete” initiative, targeting ownership rules, broadcast technology standards (ATSC 3.0), and more.
Previously, the nationwide audience reach cap for a single TV group was raised from 35% to 45%. Local TV duopoly rules, TV-radio cross-ownership bans, and newspaper-broadcast cross-ownership restrictions have all been gradually loosened, driven by the rise of streaming services, the weakening position of traditional broadcasters, and the need for greater investment to confront Big Tech.
Although the FCC’s primary goals include both public interest (localism and diversity) and market vitality (enhanced competition and investment), it has recently leaned more toward market stimulation. The commission has also shifted away from rigid blanket regulations to more flexible “public interest reviews” for M&A, including potential exemptions for foreign investment or multiple ownership. One outstanding debate is whether the FCC can unilaterally abolish the 39% cap or if legislative action is required—a question that has sparked controversy since 2016.
주요 지역 방송그룹 CEO들, “M&A 기회, 지금이 적기”
넥스타뿐 아니라 테그나(Tegna), 그레이(Gray), 스크립스(Scripps) 등 주요 방송그룹 경영진도 실적발표에서 규제 완화와 M&A에 대한 강한 기대를 표명했다
테그나 “의회도 규제 완화 지지… M&A 잠재력 높아”
마이크 스타이브(Mike Steib) 테그나(Tegna) CEO 역시 1분기 어닝콜에서 “지난 5월 초, 73명의 의원들이 브렌던 카 의장에게 방송 규제 완화를 촉구하는 서한에 서명했다”며 “FCC 공화당 다수 구도가 확정되면 소유규제 완화는 시간문제”라고 분석했다.
스타이브는 “규제 상황이 완전히 결정되기 전까지 구체적인 자본 운용 전략을 밝히긴 어렵지만, ‘M&A 기회’가 상당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스크립스 “지역방송 역량 강화, 지금이 적기”
애덤 심슨(Adam Symson) E.W. 스크립스 CEO는 “내년 이후로 예상되는 로컬 방송사들의 합종연횡은 ‘지역 뉴스·스포츠·프로그램’ 투자 여력을 크게 높일 것”이라고 기대감을 표했다8.
심슨은 “현재 네트워크(ABC·NBC·CBS·Fox)가 경제적 지위를 활용해 재전송료 등을 과도하게 가져가는 것은 사실상 ‘전파(public airwaves)’ 운영 원칙에 맞지 않는다”며, FCC가 이를 재조정하려는 신호를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스크립스는 향후 ‘스왑(swap, 지역 간 채널 교환)’이나 일부 자산 매각을 통해 전략적 시장 집중을 꾀할 계획이다.
그레이 미디어 “규모의 경제로 빅테크와 경쟁해야”
힐튼 하웰 주니어(Hilton Howell Jr.) 그레이 미디어 회장 겸 CEO는 “방송사 간 시장 통합이 이뤄지면, 지역 콘텐츠 제작 역량과 광고 수익면에서 거대 테크 기업(빅테크)에 맞설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7
그는 “현행 규제가 지역방송사 역량을 제약해 빅테크가 로컬 광고시장의 80% 이상을 잠식하도록 방치했다”며, “소유규제 완화로 지역방송이 더욱 견고해질 것”이라며 기대감을 내비쳤다.
5. Leading Regional Broadcasting Groups: “Now Is the Time for M&A”
Executives at Tegna, Gray, and Scripps have also voiced enthusiasm for deregulation and industry consolidation during their Q1 earnings calls.
Tegna (Mike Steib, CEO): Citing a letter signed by 73 members of Congress urging Chairman Carr to ease broadcast regulations, Steib said, “Once a Republican majority at the FCC is secured, it’s only a matter of time.” While he prefers to wait for final rules before deciding on capital allocation, Steib acknowledged that “there is significant potential for M&A.”
Scripps (Adam Symson, CEO): Symson forecasts that looming consolidations among local TV stations “will greatly expand investment in local news, sports, and programming.” Noting that networks (ABC, NBC, CBS, and Fox) leverage their market power to demand high retransmission fees, he said the FCC is sending signals that it may adjust these imbalances. Scripps plans to use “swaps (exchanging local stations) or partial asset sales” to strategically concentrate its operations.
- Gray Media (Hilton Howell Jr., Chairman & CEO): Howell emphasized that “consolidation will enable local broadcasters to compete with Big Tech in terms of local content creation and advertising revenues,” arguing that existing restrictions undermine smaller stations and have allowed Big Tech to capture over 80% of local ad markets.
소유 규제 완화의 긍정적 효과
규모의 경제 실현: 대형 방송그룹이 전국적으로 영향력을 확대할 수 있어, 콘텐츠 투자와 기술혁신 여력이 커진다.
지역 저널리즘 강화: 재정적 여유가 생긴 방송사가 지역 뉴스와 공익 프로그램에 더 많은 자원을 투입할 수 있다.
빅테크와의 경쟁력 제고: 구글, 유튜브, 넷플릭스 등 플랫폼 기업과 대등한 경쟁이 가능해진다.
글로벌 확장: 대형화된 미국 방송사들이 해외 시장 진출 및 글로벌 콘텐츠 유통에 더 적극적으로 나설 수 있다.
소유 규제 완화의 부정적 우려
시장 집중 심화: 소수 대형 미디어 그룹이 시장을 과점할 경우, 여론 다양성 및 지역성 약화 우려가 크다.
소비자 부담 증가: 대형 방송사들이 재전송료 인상 등으로 유료방송 요금 인상을 유도할 수 있다.
지역 소규모 방송사 위축: 중소 방송사와 독립 지역 언론의 생존이 더욱 어려워질 수 있다.
콘텐츠 획일화: 전국 단위 대형 방송사 중심의 편성으로, 지역 특색과 다양한 목소리가 사라질 위험이 있다.
민주주의·공공성 약화: 소유 집중과 규제 완화가 언론의 감시 기능과 공익성, 다양한 시각의 보도를 약화시킬 수 있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6. Upsides & Downsides of Ownership Deregulation
Potential Benefits
Economies of Scale: Larger groups with nationwide reach can allocate more resources to content production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Strengthened Local Journalism: Increased capital flow can be funneled into local news and public-service programming.
Enhanced Competitiveness with Big Tech: Broadcasters may achieve parity with platforms like Google, YouTube, and Netflix.
Global Expansion: U.S. broadcasters with broader footprints may more aggressively pursue international markets and content distribution deals.
Potential Concerns
Market Concentration: A handful of major media conglomerates could dominate, eroding local diversity and pluralism.
Higher Consumer Costs: Larger station owners may push for higher retransmission fees, raising pay-TV bills.
Weakened Small Outlets: Smaller stations and independent local media could struggle to survive.
Content Uniformity: Nationally standardized programming might overshadow distinctive local content and multiple viewpoints.
- Erosion of Democratic/Public Interests: Critics warn that media consolidation could undermine watchdog functions and limit a diverse range of voices.
한국 소유규제 변화 현황
한국 역시 미디어 환경 변화와 글로벌 경쟁 심화에 대응해 방송 소유·겸영 규제 완화 논의가 본격화되고 있다.2025년 방송통신위원회에 따르면, 정부는 대기업의 지상파 방송 지분 소유 제한(현행 자산총액 10조원 기준, 지상파 10%, 종편·보도채널 30%)을 완화하고, 일간신문·외국인의 방송매체 지분 제한, 유료방송 시장점유율 규제 등도 폐지할 방침이다1231118. 유료 방송을 규제하는 과학기술방송통신위원회는 2024년 유료 방송 재허가제도를 없애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주요 변화 내용
- 대기업 소유제한 완화: 자산총액 10조원 이상 대기업의 지상파 방송 지분 소유 제한(10%)과 종편·보도채널 지분 제한(30%) 기준을 GDP 연동 등으로 상향 조정하는 방안이 추진되고 있다. 이는 2008년 이후 16년 만에 처음 추진되는 대기업 기준 완화다311.
- 유료방송 재허가제 폐지: IPTV, 케이블 등 유료방송의 재허가제를 폐지하고, 허가·등록제를 신고제로 전환해 진입장벽을 낮추는 정책도 추진된다3411.
- 시장점유율 규제 폐지: 한 사업자가 유료방송 가입자의 3분의 1(일반 PP는 매출액 49%)을 넘길 수 없도록 한 시장점유율 규제도 폐지된다411.
- 외국인·일간신문 지분 제한 완화: 외국인의 PP·홈쇼핑 채널 지분 소유 제한을 공익성 심사 전제로 완화하고, 일간신문의 케이블·위성방송·IPTV 지분 소유 제한 규제는 폐지하는 방안도 추진된다311.
- 허가·승인 유효기간 확대: 지상파·종편·보도채널의 재허가·재승인 유효기간을 5년에서 7년으로 늘려 사업자 부담을 줄이고 장기 투자 기반을 마련한다12311.
규제 완화와 관련 정부는 “일률적이고 경직된 규제가 대규모 자본 유입과 산업 경쟁력 강화에 장애가 된다”며, 소유·겸영 규제 완화를 통한 규모의 경제 실현을 공식화했다318. 실제로 방송법상 대기업 기준을 GDP 연동 등으로 상향 조정하고, 유료방송 재허가제도 폐지 등으로 장기 투자 기반을 마련할 예정이다1318.
한국의 방송 소유·겸영 규제 완화는 아직 입법 및 제도화가 완료된 단계는 아니다. 대기업 소유제한 완화 등은 일부 방송 규제는 방송법 시행령 개정만으로도 가능하지만, 아직 국무회의 의결 등 최종 절차를 남겨두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규제 완화 움직임에 대해 “방송의 공공성 약화”와 “시장 집중 심화”에 대한 우려도 국내외에서 동시에 제기되고 있기 때문이다. 대기업의 방송사 소유 확대가 여론 다양성, 지역성, 공공성 약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 시민사회단체와 학계, 언론계에서 꾸준히 나오고 있다56713. 특히 지분 소유 규제 완화는 방송법 개정 등 국회 입법 절차를 거쳐야 하므로, 실제 시행까지는 상당한 논의와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 때문에 진적이 더디다.
7. Changing Ownership Rules in South Korea
South Korea, too, is debating the relaxation of broadcast ownership and cross-ownership rules. As of 2025, the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KCC) aims to loosen restrictions on chaebol (large conglomerates) owning broadcast outlets (currently capped at 10% for terrestrial TV if the group’s total assets exceed 10 trillion KRW), foreign ownership ceilings, and market share rules in pay-TV. The government has also pledged to abolish mandatory license renewals for pay-TV by 2024.
Key Proposed Changes
Loosening Conglomerate Ownership Limits: Raising the thresholds for TV Networks(now 10%) and general programming cable channels/ news channels (30%) by indexing them to GDP growth, the first such shift since 2008.
Ending Pay-TV License Renewals: Replacing the current system with a simpler registration process to reduce barriers to entry.
Removing Market Share Caps: Abolishing the rule preventing any single operator from surpassing one-third of total pay-TV subscriptions.
Relaxing Foreign & Newspaper Ownership: Easing limits on foreign ownership of PP/home shopping channels (subject to public interest review) and repealing rules that restrict newspapers’ stakes in cable, satellite, or IPTV.
Extending License Durations: Increasing the validity of broadcast licenses from five to seven years to facilitate long-term investments.
South Korea’s government sees such measures as a way to attract large-scale investments and strengthen industry competitiveness. However, critics—among civic organizations, academia, and media sectors—argue that these changes could weaken public-interest broadcasting and concentrate ownership, limiting local diversity. Because many of these reforms require amending the Broadcasting Act, significant policy debates and social consensus are still needed, delaying full implementation.
미국의 규제 완화, 글로벌 미디어 시장에 미칠 영향
미국 FCC의 방송 소유 규제 완화는 한국 미디어 산업의 정책, 산업 구조, 글로벌 경쟁, 공공성 논의 전반에 걸쳐 직·간접적 영향을 미쳐왔다.
미국 방송 소유 규제 완화의 한국 미디어 산업 파급효과
영향 분야 | 구체적 변화 및 전망 |
---|---|
정책 및 규제 | 미디어 소유·겸영 규제 완화 논의 촉진, 스마트 규제 재설계 필요성 대두 |
산업 구조 | 국내외 M&A·구조조정 가속, OTT·FAST 등 신유형 서비스 경쟁 격화 |
콘텐츠 유통·판권 | 미국 방송사 협상력 증대, 국내 사업자에 불리한 조건 가능성 |
공공성·지역성 | 시장 집중·지역성 약화 우려, 공익성·여론 다양성 보장 논의 병행 필요 |
글로벌 경쟁 | 미국 대형 방송사와의 협력·경쟁 심화, 한국 미디어의 글로벌 전략 재정비 필요 |
글로벌 M&A 확산 가능성: 미국 방송사들의 대형화와 자본력 확대는 글로벌 미디어 시장에서의 인수합병(M&A) 경쟁을 촉진할 수 있다. 한국 미디어 그룹 역시 미국계 자본과의 제휴·경쟁 심화에 직면할 수 있다.
콘텐츠 수급 및 판권 협상 변화: 대형화된 미국 방송사들은 한국을 포함한 해외에 더 강력한 콘텐츠 배급력과 협상력을 갖추게 된다. 한국 방송사·스트리밍 서비스는 미국 메이저 방송사와의 판권 협상에서 더 높은 비용 부담을 요구받을 수 있다.
한국 스트리밍·방송사 경쟁 압박: 대형 미국 방송사들이 글로벌 스트리밍 플랫폼을 통해 직접 한국 시장에 진출하거나, 한국 파트너와의 협력을 확대할 경우, 국내 스트리밍 서비스와 방송사들의 경쟁 환경이 한층 치열해질 전망이다.
미디어 규제 논의 자극: 미국의 규제 완화 흐름은 한국 내에서도 미디어 소유 규제, 플랫폼 규제, 공정경쟁 환경에 대한 논의를 촉진할 수 있다.
FCC가 올여름 트러스티 인준을 기점으로 본격적인 규제 완화에 나설 경우, 미국 방송산업은 수십 년 만의 대규모 M&A와 시장 재편을 맞이할 가능성이 높다.
지역 방송의 대형화와 전국 단위 확장은 빅테크와의 경쟁력 강화, 지역 저널리즘 투자 확대 등 긍정적 효과와 함께, 시장 집중, 소비자 부담, 지역성 약화 등 부작용 우려도 공존한다.
한국을 비롯한 글로벌 미디어 시장 역시 미국 방송산업의 대형화와 규제 변화의 직접적·간접적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국내 미디어 업계는 미국발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전략 마련이 필요한 시점이다.
출처: TV Technology 2025-05-08, TheWrap 2025-02-27, Nexstar Media Group 2025년 1분기 실적발표, NAB, FCC 공식 발언 등123
8. Global Ripple Effects
Worldwide M&A: Larger U.S. broadcast entities could spark international deals and capital inflows, with Korean media firms facing intensified competition or seeking alliances.
Shifts in Content & Licensing: Powerful U.S. broadcasters may command more favorable terms when selling overseas rights. Korean OTTs or broadcasters could face higher licensing fees.
Competitive Pressure on Korean Streaming & Broadcast: U.S. media giants may expand directly or form local partnerships, heightening competition for audience share, advertising, and distribution.
Catalyzing Domestic Regulation Debates: America’s trend toward deregulation may fuel discussions on media ownership, platform restrictions, and fair-competition laws in South Korea.
Conclusion
Should the FCC finalize Olivia Trusty’s appointment this summer and move decisively toward deregulatory policies, the U.S. broadcasting industry appears poised for its largest wave of M&A in decades. While expanded consolidation could empower local stations and bolster their fight against Big Tech, critics warn of potential hazards, including increased concentration, rising costs for consumers, and diminished public-interest broadcasting.
Across global media markets—South Korea included—content licensing, advertising, and distribution strategies may be reshaped by the clout of supersized U.S. media conglomerates. It is, therefore, an urgent priority for broadcasters and policymakers worldwide to craft responsive strategies, ensuring that commercial growth does not come at the expense of localism, public interest, and press d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