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 Media Revolution: A New Media Ecosystem Emerges from the Ruins of Collapsed Local Journalism (LA 언론 대전환: 새로운 미디어 생태계)
미국 제2의 도시 로스앤젤레스의 언론 지형이 근본적으로 재편되고 있다. LA 타임스(LA Times)가 142년 역사상 최대 규모인 115명 대량 해고를 단행하고, LA이스트(LAist)와 LA 위클리(LA Weekly) 등 주요 언론사들이 연쇄 몰락하면서 거대한 진공상태가 생겼다.
그러나 진공 상태에서 새로운 질서도 나타나고 있다
루퍼트 머독(Rupert Murdoch)의 뉴욕 포스트(New York Post)가 2026년 초 '캘리포니아 포스트(The California Post)' 창간으로 파고들고, 스냅(Snap) CEO 등 실리콘밸리 거물들이 1500만 달러를 투자한 비영리 언론 이니셔티브가 출범하는 등 전혀 다른 DNA를 가진 새로운 플레이어들이 속속 진입하며 미국 지역 언론의 미래를 실험하는 거대한 실험장이 되고 있다.
K엔터테크허브 역시 글로벌 엔터테인먼트 테크 산업, 사람, 기업을 취재하는 FAST 영어 뉴스 채널 ‘K-News Global’의 제작 스튜디오의 미주 거점 지역으로 LA를 낙점했다.
LA Media Revolution: A New Media Ecosystem Emerges from the Ruins of Collapsed Local Journalism
The media landscape of Los Angeles, America's second-largest city, is undergoing a fundamental restructuring. As the LA Times executes its largest-ever layoff of 115 employees in its 142-year history, and major outlets like LAist and LA Weekly collapse in succession, the resulting vacuum is being filled by entirely different players with different DNA. Rupert Murdoch's New York Post is preparing to launch 'The California Post' in early 2026, while Silicon Valley titans including Snap's CEO are investing $15 million in a nonprofit journalism initiative. LA has become a massive experimental laboratory for the future of American local journalism. K-EnterTech Hub has also selected LA as its North American base for its production studio for 'K-News Global,' a FAST English news channel covering the global entertainment tech industry, people, and companies.
언론의 무덤이 된 LA
로스앤젤레스 언론계가 경험하고 있는 것은 단순한 위기가 아니라 완전한 붕괴다. 2024년 1월 23일, LA 타임스는 뉴스룸 인력의 20% 이상인 115명을 해고한다고 발표했다. 워싱턴 지국장 킴브리엘 켈리(Kimbriell Kelly), 비즈니스 에디터 제프 버코비치(Jeff Bercovici), 음악 에디터 크레이그 마크스(Craig Marks) 등 핵심 편집진들이 대거 포함됐고, 워싱턴 지국과 사진부, 스포츠부는 사실상 초토화됐다. 비디오 부서는 껍데기만 남았다.
패트릭 순시옹(Patrick Soon-Shiong) 오너는 "신문사가 연간 3000만~4000만 달러의 손실을 더 이상 감당할 수 없다"며 "긴급하게 행동하고 다음 세대를 위한 지속 가능하고 번영하는 신문을 만들기 위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밝혔다. 그는 지난 몇 년간 가족이 흡수한 손실이 "운영 및 자본 비용에서 1억 달러를 넘어섰다"고 털어놨다.
LA 타임스의 몰락은 빙산의 일각이다. LA이스트(LAIST)는 2024년 한 해 동안 24명을 정리해고와 자발적 퇴직으로 감원했고, 그 전년도에는 21명을 해고했다. 한때 LA의 대안 문화를 대표하던 LA 위클리(La weekly)는 2024년 3월 매각 발표 후 대부분의 고위 직원들이 떠났다. 테크 뉴스 사이트 닷LA(DotLA)는 지난 6월 편집 직원 7명 전원을 해고했고, LA 매거진(L.A. Magazine)도 여러 직원을 정리했다.
이러한 대규모 붕괴의 근본 원인은 명확하다. COVID-19 팬데믹으로 6000만 달러 이상의 광고 수익이 증발했고, 할리우드 노동 쟁의로 인한 광고 감소가 추가 타격을 입혔다. 더 큰 문제는 틱톡(TikTok)과 소셜 미디어 플랫폼으로 소비자들이 대거 이동하면서 전통적인 뉴스 비즈니스 모델 자체가 작동하지 않게 됐다는 점이다.
LA Becomes a Graveyard for Journalism
What Los Angeles journalism is experiencing is not merely a crisis but a complete collapse. On January 23, 2024, the LA Times announced it would lay off 115 employees, more than 20% of its newsroom staff. Key editorial figures were included en masse: Washington Bureau Chief Kimbriell Kelly, Business Editor Jeff Bercovici, and Music Editor Craig Marks. The Washington bureau, photo department, and sports department were essentially decimated. The video department was left as a mere shell.
Owner Patrick Soon-Shiong stated, "The newspaper can no longer sustain annual losses of $30-40 million," adding that "it is essential to act urgently and take steps to create a sustainable and thriving newspaper for the next generation." He revealed that losses absorbed by his family over recent years "exceeded $100 million in operating and capital costs."
The LA Times' downfall is just the tip of the iceberg. LAist reduced staff by 24 through layoffs and voluntary departures in 2024, after laying off 21 the previous year. LA Weekly, once representative of LA's alternative culture, saw most senior staff depart after its sale announcement in March 2024. Tech news site DotLA fired all seven editorial staff members last June, and LA Magazine also laid off multiple employees.
The root causes of this massive collapse are clear. The COVID-19 pandemic evaporated over $60 million in advertising revenue, and Hollywood labor disputes delivered additional blows through reduced advertising. The bigger problem is that the traditional news business model itself has ceased to function as consumers have migrated en masse to TikTok and social media platforms.
왜 지금, 왜 LA인가?
지역 언론이 전국적으로 무너지고 있는 상황에서 새로운 플레이어들이 LA에 주목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답은 LA가 가진 독특한 잠재력과 타이밍에 있다.
첫째, LA는 미국에서 두 번째로 큰 1300만 인구의 거대 시장이다. 캘리포니아 전체로 확대하면 미국 최대 인구를 가진 주다. 뉴욕 포스트의 데이터에 따르면, LA 지역에서만 월간 350만 명의 독자가 포스트 웹사이트를 방문하고, 캘리포니아 전체로는 730만 명에 달한다. 뉴욕 포스트 디지털 독자의 90%가 이미 뉴욕 외 지역에 거주하고 있다는 사실은 전국적 확장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둘째, LA는 엔터테인먼트와 엔터테인먼트 테크의 글로벌 허브다. 단순한 할리우드의 도시를 넘어 AI 혁명, 첨단 제조업, FAST(Free Ad-Supported Streaming TV) 채널 등 새로운 미디어 테크놀로지의 중심지로 진화했다. 키스 풀(Keith Poole) 뉴욕 포스트 편집장은 "캘리포니아는 미국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주이며, 엔터테인먼트, AI 혁명, 첨단 제조업의 진원지이자 스포츠 강국"이라며 "그럼에도 많은 이야기들이 전해지지 않고 있고, 많은 관점들이 대변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셋째, 타이밍이 절묘하다. 2026년 캘리포니아 주지사 선거, 월드컵 경기 개최, 2028년 LA 하계 올림픽 등 대형 이벤트들이 줄지어 있다. 최근 산불로 황폐화된 LA 지역의 재건 이슈도 중요한 보도 주제다. 로버트 톰슨(Robert Thomson) 뉴스코프(News Corp) CEO는 "우리는 도시와 주의 중대한 전환점에 있다"며 "포스트가 진지한 보도와 재치 있는 위트에 굶주린 독자들을 참여시키고 계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확신했다.
넷째, 기존 언론의 붕괴가 만든 진공 상태가 오히려 기회다. 숀 지안콜라(Sean Giancola) 뉴욕 포스트 미디어 그룹(New York Post Media Group) CEO는 "우리는 수백만 명에게 직설적이고 평이한 뉴스 접근법으로 신뢰받고 있다"며 "캘리포니아는 우리의 독특한 저널리즘 정신이 공명하고 의미 있는 방식으로 독자들과 소통할 수 있는 역동적이고 활기찬 시장"이라고 평가했다.
Why Now, Why LA?
With local journalism collapsing nationwide, why are new players focusing on LA? The answer lies in LA's unique potential and timing.
First, LA is a massive market with 13 million people, America's second-largest. Expanding to all of California encompasses the state with America's largest population. According to New York Post data, 3.5 million readers visit the Post website monthly from the LA region alone, reaching 7.3 million across California. The fact that 90% of the New York Post's digital readers already reside outside New York demonstrates the potential for national expansion.
Second, LA is the global hub for entertainment and entertainment tech. Beyond being merely Hollywood's city, it has evolved into the epicenter of new media technologies including the AI revolution, advanced manufacturing, and FAST (Free Ad-Supported Streaming TV) channels. New York Post Editor-in-Chief Keith Poole noted, "California is America's most populous state, the epicenter of entertainment, the AI revolution, advanced manufacturing, and a sports powerhouse. Yet many stories go untold, and many perspectives remain unrepresented."
Third, the timing is exquisite. Major events line up: the 2026 California gubernatorial election, World Cup matches, and the 2028 LA Summer Olympics. The reconstruction of recently wildfire-devastated LA areas is also a crucial coverage topic. News Corp CEO Robert Thomson expressed confidence: "We are at a critical turning point for the city and state. The Post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engaging and enlightening readers hungry for serious reporting and witty commentary."
Fourth, the vacuum created by traditional media's collapse is actually an opportunity. New York Post Media Group CEO Sean Giancola evaluated: "We are trusted by millions for our straightforward, plain-speaking approach to news. California is a dynamic and vibrant market where our unique journalistic spirit can resonate and connect with readers in meaningful ways."
뉴욕 포스트의 야심찬 서부 진출
2025년 8월 4일, 뉴욕 포스트는 공식적으로 '캘리포니아 포스트' 창간을 발표했다. 알렉산더 해밀턴(Alexander Hamilton)이 창간한 200년 역사의 이 타블로이드는 "대담하고 상식적인 저널리즘과 전설적인 헤드라인"을 캘리포니아에 가져오겠다고 선언했다.
캘리포니아 포스트는 LA에 본부를 두고 편집자, 기자, 사진기자로 구성된 강력한 팀을 갖출 예정이다. 뉴스, 엔터테인먼트, 정치, 문화, 스포츠, 비즈니스를 모두 다루되 "명확한 캘리포니아 관점"으로 접근한다. 뉴욕 팀이 국내외 뉴스를 지원하고, 일간 인쇄판과 전용 홈페이지, 비디오, 오디오, 소셜 미디어 등 다양한 플랫폼으로 콘텐츠를 전달한다.
20년 경력의 베테랑 저널리스트 닉 팝스(Nick Papps)가 편집장을 맡는다. 그는 뉴스코프 오스트레일리아(News Corp Australia)의 서부 해안 특파원으로 LA에서 3년간 근무한 경험이 있다. 풀 편집장은 "우리는 독자들이 가장 관심 있어 하지만 다른 곳에서는 간과하는 이야기들을 전할 것"이며 "명확성과 우리의 트레이드마크인 확신을 가지고 그렇게 할 것"이라고 밝혔다.
뉴욕 포스트의 성공 방정식은 이미 증명됐다. 지난 3년간 흑자를 유지했고, 포스트 디지털 네트워크(NYPost.com, PageSix.com, Decider.com)는 2025년 6월 기준 9000만 명의 순방문자를 기록했다.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 대통령이 백악관 집무실 밖에 포스트 1면을 액자로 걸어둘 정도로 정치적 영향력도 크다.
톰슨 CEO는 더욱 직설적이다. "로스앤젤레스와 캘리포니아는 슬프게도 확산된 편향되고 피곤한 저널리즘에 대한 해독제로서 포스트의 일일 복용량이 확실히 필요하다."
The New York Post's Ambitious Western Expansion
On August 4, 2025, the New York Post officially announced the launch of 'The California Post.' This 200-year-old tabloid founded by Alexander Hamilton declared it would bring "bold, common-sense journalism and legendary headlines" to California.
The California Post will be headquartered in LA with a strong team of editors, reporters, and photographers. It will cover news, entertainment, politics, culture, sports, and business, all approached with a "distinctly Californian perspective." The New York team will support national and international news, delivering content across multiple platforms including daily print editions, a dedicated website, video, audio, and social media.
Nick Papps, a veteran journalist with 20 years of experience, will serve as editor. He has three years of LA experience as News Corp Australia's West Coast correspondent. Editor Poole stated, "We will tell the stories readers care most about but that are overlooked elsewhere, and we'll do so with clarity and our trademark confidence."
The New York Post's success formula is already proven. It has maintained profitability for the past three years, and the Post Digital Network (NYPost.com, PageSix.com, Decider.com) recorded 90 million unique visitors as of June 2025. Its political influence is significant enough that President Donald Trump has framed the Post's front page outside his Oval Office.
CEO Thomson is even more direct: "Los Angeles and California definitely need a daily dose of the Post as an antidote to the sadly pervasive biased and tired journalism."
실리콘밸리 자본이 주도하는 비영리 실험
전혀 다른 접근법도 동시에 진행되고 있다. 미국 저널리즘 프로젝트(American Journalism Project, AJP)가 주도하고 스냅 CEO 에반 스피겔(Evan Spiegel)의 가족 펀드, 애넌버그 재단(The Annenberg Foundation), 일라이 앤 에디스 브로드 재단(The Eli and Edythe Broad Foundation) 등이 참여한 1500만 달러 규모의 '로스앤젤레스 로컬 이니셔티브(Los Angeles Local Initiative)'가 2년간의 준비 끝에 본격 가동된다.
이들의 철학은 뉴욕 포스트와 정반대다. 모니카 로자노(Monica Lozano) 이사회 의장(전 라 오피니온(La Opinión) 편집장 겸 CEO)은 "로스앤젤레스처럼 크고 복잡하며 다양한 커뮤니티의 모든 정보 수요를 하나의 뉴스 조직이 충족시킬 수는 없다"며 "우리는 그 복잡성과 다양성에 부합하는 모델을 생각해야 했다"고 설명했다.
AJP가 의뢰한 연구는 900명의 LA 주민들로부터 커뮤니티 보도의 공백에 대한 의견을 수렴했고, 이를 바탕으로 초지역(hyper-local) 뉴스룸 네트워크 구축 전략을 수립했다. 보일 하이츠 비트(Boyle Heights Beat) 같은 이중언어 커뮤니티 뉴스룸을 확대하고, 시민들이 직접 공공 회의를 취재하도록 훈련시키고 보상하는 'LA 다큐멘터스(L.A. Documenters)' 프로그램을 시작한다.
LA이스트와 칼매터스(CalMatters)의 정부 책임 보도팀에 투자해 무료 콘텐츠 공유를 가능하게 하고, 위트니스 LA(Witness LA), USC 애넌버그(USC Annenberg), 응우이 비엣 뉴스(Nguoi Viet News) 등과 파트너십을 맺었다. 케빈 메리다(Kevin Merida) 전 LA 타임스 편집장, 에미상 수상자 지젤 페르난데스(Giselle Fernandez) 스펙트럼 뉴스(Spectrum News) 앵커, 게런 라일리(Gerun Riley) 브로드 재단 회장, 마이클 위메트(Michael Ouimette) AJP 최고투자책임자 등이 이사회에 참여한다.
비즈니스 모델은 혁신적이다. 보도는 완전 무료이며 정치적으로 독립적이다. 수익은 자선 기부, 독자 멤버십, 이벤트 후원 등으로 다각화한다. 사라베스 버먼(Sarabeth Berman) AJP CEO는 "목표는 LA의 책임 저널리즘과 지역 뉴스 보도량을 늘리고, 커뮤니티, 주, 지역 수준의 공백을 메우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Silicon Valley Capital's Nonprofit Experiment
A completely different approach is simultaneously underway. The 'Los Angeles Local Initiative,' a $15 million effort led by the American Journalism Project (AJP) with participation from Snap CEO Evan Spiegel's family fund, The Annenberg Foundation, and The Eli and Edythe Broad Foundation, is launching after two years of preparation.
Their philosophy is the opposite of the New York Post's. Board Chair Monica Lozano (former La Opinión editor and CEO) explained, "No single news organization can meet all the information needs of a community as large, complex, and diverse as Los Angeles. We had to think of a model that matches that complexity and diversity."
AJP-commissioned research gathered input from 900 LA residents about gaps in community coverage, forming the basis for a strategy to build a hyper-local newsroom network. They're expanding bilingual community newsrooms like Boyle Heights Beat and starting the 'LA Documenters' program, which trains and compensates citizens to cover public meetings.
They're investing in government accountability reporting teams at LAist and CalMatters to enable free content sharing, and have formed partnerships with Witness LA, USC Annenberg, and Nguoi Viet News. The board includes former LA Times Editor Kevin Merida, Emmy winner and Spectrum News anchor Giselle Fernandez, Broad Foundation President Gerun Riley, and AJP Chief Investment Officer Michael Ouimette.
The business model is innovative. Reporting is completely free and politically independent. Revenue is diversified through charitable donations, reader memberships, and event sponsorships. AJP CEO Sarabeth Berman emphasized, "The goal is to increase accountability journalism and local news coverage in LA, filling gaps at community, state, and regional levels."
엔터테인먼트 테크 허브로서의 LA와 특화 미디어의 등장
LA가 단순한 할리우드의 도시를 넘어 글로벌 엔터테인먼트 테크놀로지의 허브로 진화하면서, 이를 반영한 새로운 미디어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할리우드 분야에서는 퍽(Puck), 더 앵클러(The Ankler), 브레이커 미디어(Breaker Media) 같은 새로운 엔터테인먼트 산업 전문 뉴스레터들이 기존 시장에 도전장을 내밀었다. 이들은 전통적인 할리우드 리포터(The Hollywood Reporter)나 버라이어티(Variety)와는 다른 인사이더 관점과 독립적인 목소리로 차별화를 꾀하고 있다.
커뮤니티 특화 미디어도 활발하다. 아프로LA(AfroLA)는 흑인 커뮤니티를 위해, 칼로 뉴스(CALÓ News)는 라티노를 위해 출범했다. 이들은 주류 언론이 다루지 못했던 소수 커뮤니티의 목소리를 전달하겠다는 명확한 미션을 갖고 있다.
K엔터테크허브(K-EnterTech Hub)는 한국 엔터테인먼트 산업, K컬처(관광, 푸드, 패션, 뷰티), 엔터테인먼트 테크 및 관련 스타트업을 글로벌로 소개하고 글로벌 트렌드를 전달하는 영어 뉴스 채널 ‘K News Global’의 FAST채널 연내 런칭을 앞두고 있다.
K엔터테크허브는 새로운 뉴스 미디어 구축의 협업 파트너인 네바다 주립대학교 리노(UNR)이 위치한 네바다 리노(Reno)로 본사를 옮기고 LA와 싱가포르, 서울에 뉴스 제작 거점 스튜디오를 구축할 계획이다. 채널 구축은 아시아 1위 FAST채널 플랫폼 뉴아이디(New ID)와 협의 중이다.
이를 위해 오는 10월 3일과 4일 싱가포르에서 개최되는 AI CON에도 참가한다. 이는 LA가 한국 콘텐츠와 테크놀로지의 미국 진출 거점이 되고 있으며, FAST 채널이 새로운 콘텐츠 유통의 핵심 플랫폼으로 부상하고 있는 현실을 반영한 것이다.
LA as Entertainment Tech Hub and the Rise of Specialized Media
As LA evolves beyond merely Hollywood's city into a global entertainment technology hub, new media reflecting this transformation are emerging rapidly.
In the Hollywood sector, new entertainment industry newsletters like Puck, The Ankler, and Breaker Media have challenged the existing market. They differentiate themselves from traditional outlets like The Hollywood Reporter and Variety with insider perspectives and independent voices.
Community-specific media are also thriving. AfroLA launched for the Black community, while CALÓ News serves Latino audiences. They have clear missions to deliver voices from minority communities that mainstream media failed to cover.
K-EnterTech Hub is preparing to launch 'K-News Global,' an English news FAST channel introducing Korean entertainment industry, K-culture (tourism, food, fashion, beauty), entertainment tech and related startups globally while delivering global trends. K-EnterTech Hub plans to move its headquarters to Reno, Nevada, where partner University of Nevada, Reno (UNR) is located, and establish news production studios in LA, Singapore, and Seoul. Channel development is under discussion with New ID, Asia's #1 FAST channel platform.
For this, they will participate in AI CON in Singapore on October 3-4. This reflects LA's emergence as a gateway for Korean content and technology's US entry, with FAST channels rising as core platforms for new content distribution.
언론 혁신의 실험실
이러한 다원화된 접근은 미국 지역 언론의 미래에 대한 중요한 실험이다. 전문가들은 LA의 독특한 조건이 이러한 실험을 가능하게 한다고 본다. 미국 제2의 인구,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중심지, 급성장하는 테크 섹터, 극도로 다양한 인종적·문화적 구성 - 이 모든 요소가 결합돼 언론 혁신의 완벽한 실험실을 제공한다.
풀 편집장은 "캘리포니아 포스트와 함께 우리는 대도시 저널리즘에 상식적이고 이슈 기반의 접근법을 가져올 것"이라며 뉴욕에서의 성공 방정식을 서부 해안에 적용하겠다는 자신감을 보였다. 반면 비영리 진영은 "공백을 메우기 위해서는 하나의 거대 조직이 아닌 네트워크가 필요하다"는 철학으로 접근한다.
뉴욕 포스트 미디어 그룹은 이미 채용을 시작했다. "LA 지역의 기자, 편집자, 독자 개발 전문가들이 캘리포니아 주에서 영향력을 발휘할 기회를 찾고 있다면 지원하라"는 공고를 냈다. 비영리 이니셔티브도 창립 CEO와 편집장 선임을 위한 공개 절차를 진행 중이다.
비관론자들은 여전히 회의적이다. 전통 언론의 붕괴 속도가 너무 빠르고, 새로운 모델들이 지속 가능성을 증명하기까지는 시간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특히 젊은 세대가 뉴스 자체에 관심을 잃고 있는 상황에서 어떤 모델이든 성공하기 어렵다는 지적도 있다.
그러나 낙관론자들은 위기가 곧 기회라고 본다. 순시옹 오너조차 "우리는 혼란에 빠진 것이 아니다. 우리는 진짜 계획을 가지고 있다"며 "우리가 한 모든 투자를 활용해 타임스를 다음 세대를 위한 지속 가능하고 번영하는 신문으로 재배치할 기회를 얻었다"고 말했다. 캐나다와 호주에서 시행 중인 구글과 페이스북이 뉴스 언론사사에게 대가를 지불하도록 하는 법안에 대한 논의도 활발하다. 순시옹은 "아이러니하게도 자유 언론은 공짜가 아니다"라며 미국 의회가 이러한 법안을 통과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일부 의원들이 지역 언론 지원을 요구하면서도 정작 이런 법안에는 반대했다는 모순을 지적했다.
Laboratory for Media Innovation
This diversified approach represents an important experiment for the future of American local journalism. Experts believe LA's unique conditions enable such experimentation. America's second-largest population, entertainment industry center, rapidly growing tech sector, and extremely diverse racial and cultural composition—all these elements combine to provide the perfect laboratory for media innovation.
Editor Poole expressed confidence in applying New York's success formula to the West Coast: "With the California Post, we will bring a common-sense, issue-based approach to metropolitan journalism." Meanwhile, the nonprofit camp approaches with the philosophy that "filling the gaps requires not one giant organization but a network."
The New York Post Media Group has already begun hiring. They've posted: "If reporters, editors, and audience development professionals in the LA area are seeking opportunities to make an impact in California, apply now." The nonprofit initiative is also conducting an open process to select its founding CEO and editor.
Pessimists remain skeptical. Traditional media's collapse is too rapid, and new models need time to prove sustainability. There's also the concern that no model can succeed when younger generations are losing interest in news itself.
However, optimists see crisis as opportunity. Even owner Soon-Shiong says, "We're not in disarray. We have a real plan. We've gained an opportunity to leverage all our investments to reposition the Times as a sustainable and thriving newspaper for the next generation." Discussion is active about legislation similar to that in Canada and Australia requiring Google and Facebook to pay news organizations. Soon-Shiong argued, "Ironically, the free press isn't free," insisting the US Congress should pass such legislation. He pointed out the contradiction of some legislators demanding support for local journalism while opposing such bills.
미래를 가늠하는 시금석
LA 언론 시장의 대전환은 단순한 지역에서 벌어지는 현상으로만 볼수 없다. 이는 AI와 디지털 시대 저널리즘의 생존과 진화, 민주주의 사회에서 언론의 역할, 다원화된 사회에서 정보 유통의 새로운 모델을 모색하는 거대한 실험이다.
하나의 거대 지역 신문이 모든 것을 다루는 20세기 모델은 끝났다. 대신 각자의 강점과 미션, 타깃 독자를 가진 다양한 미디어들이 생태계를 이루며 공존하는 21세기 모델이 LA에서 태동하고 있다. 상업 언론의 전국적 확장, 자선 기반 비영리 언론의 커뮤니티 밀착, 엔터테인먼트 테크 전문 미디어의 글로벌 지향, 특화 미디어의 정체성 추구 - 이 모든 실험이 동시다발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물론 쉽지 않다. 2026년 초 캘리포니아 포스트의 창간과 새로운 비영리 조직의 본격 가동, 그리고 K엔터테크허브 같은 특화 미디어의 출범이 시작되는 시점이 첫 번째 평가 순간이 될 것이다.
스트리밍과 AI, 소셜 미디어의 시대, 레거시 언론이 새로운 수익 모델 개발에 대규모로 실패하고 있는 시대에 왜 하필 LA인가? 답은 바로 그 실패가 만든 기회, 그리고 LA가 가진 독특한 잠재력 - 거대한 시장, 엔터테인먼트 테크의 허브, 다양한 문화의 용광로 - 에 있다.
"LA를 중심으로, 무너진 전통 언론의 자리를 메우기 위한 역사상 가장 대담하고 다양한 미디어 실험이 진행되고 있다. 그 결과는 로스앤젤레스를 넘어 미국 전체, 나아가 전 세계 뉴스·미디어 산업의 미래를 가늠할 시금석이 될 것이다. 그리고 이 거대한 변화의 파도 속에서 K엔터테크허브 역시 ‘글로벌 엔터테인먼트·뉴스 혁신’이라는 동일한 숙제를 안고, LA를 전략 거점으로 삼아 새로운 도전에 나서고 있다.
폐허 위에서 새로운 언론이 꽃필 수 있을까요? LA는 지금 그 답을 찾고 있습니다. 저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A Touchstone for Gauging the Future
LA's media market transformation cannot be viewed as merely a local phenomenon. This is a massive experiment exploring journalism's survival and evolution in the AI and digital age, the role of media in democratic society, and new models for information distribution in pluralistic societies.
The 20th-century model of one giant regional newspaper covering everything is over. Instead, a 21st-century model is emerging in LA where diverse media with their own strengths, missions, and target audiences coexist as an ecosystem. Commercial media's national expansion, charity-based nonprofit media's community engagement, entertainment tech specialized media's global orientation, niche media's identity pursuit—all these experiments are proceeding simultaneously.
It won't be easy, of course. Early 2026, with the California Post's launch, the new nonprofit organization's full operation, and specialized media launches like K-EnterTech Hub, will be the first evaluation moment.
In an era of streaming, AI, and social media, when legacy media is failing massively to develop new revenue models, why LA of all places? The answer lies in the opportunities created by that very failure, and LA's unique potential—massive market, entertainment tech hub, melting pot of diverse cultures.
"Centered on LA, history's boldest and most diverse media experiments are underway to fill the void left by collapsed traditional journalism. The results will serve as a touchstone for gauging the future of the news and media industry not just in Los Angeles, but across America and indeed the world. And amid this massive wave of change, K-EnterTech Hub too is taking on the same challenge of 'global entertainment and news innovation,' embarking on new challenges with LA as its strategic base."
Can new journalism bloom from the ruins? LA is now searching for that answer. So am 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