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Great Creator Exodus: From social media to Fandom Platforms in the AI Era (AI시대 "크리에이터 대탈출: 소셜미디어를 버리고 팬덤 플랫폼으로")
AI 시대의 생존법: 100만 팔로워보다 1000명 슈퍼팬
AI가 대량 생산하는 콘텐츠가 소셜미디어를 점령하면서, 크리에이터들이 진짜 팬과 직접 연결되는 전문 플랫폼으로 대거 이동하고 있다. 미국 비즈니스 매체 악시오스(Axios)는 5일(현지시간) '크리에이터 앱 붐(Creator app boom)' 보도를 통해 패트리온(Patreon), 서브스택(Substack), 온리팬스(OnlyFans), 비하이브(Beehiiv) 등 슈퍼팬 플랫폼이 연간 수조원대 거래액을 기록하며 새로운 크리에이터 경제를 이끌고 있다고 분석했다. 100만 명의 무관심한 팔로워보다 월 10달러를 기꺼이 지불하는 1000명의 슈퍼팬이 더 가치 있는 시대, 광고 의존 소셜미디어 모델이 한계를 드러내면서 크리에이터와 슈퍼팬이 직접 연결되는 '팬덤 경제'가 미디어 산업의 뉴 노멀(New Normal)로 부상하고 있다.
The Great Creator Exodus: From Social Media to Fandom Platforms in the AI Era
- Survival in the AI Age: 1,000 Super Fans Over 1 Million Followers
- The Rise of the $13 Billion Fandom Economy Led by Patreon, Substack, and OnlyFans
- The End of Ad-Dependent Social Media and the New Order of Direct Connection Platforms
As AI-generated content floods social media, creators are mass migrating to specialized platforms that connect them directly with real fans. According to Axios's "Creator app boom" report on January 5th, super-fan platforms like Patreon, Substack, OnlyFans, and Beehiiv are recording multi-billion dollar annual transactions, leading a new creator economy. In an era where 1,000 super fans willing to pay $10 monthly are more valuable than one million indifferent followers, the "fandom economy" where creators and super fans connect directly is emerging as the new normal in the media industry, as the ad-dependent social media model reveals its limitations.
https://www.patreon.com/
슈퍼팬이 만드는 13조원 경제
악시오스(AXIOS)에 따르면, 패트리온의 잭 콘테(Jack Conte) CEO는 "2013년 창업 이후 크리에이터들이 팬들로부터 받은 누적 금액이 100억 달러(약 13조원)를 넘어섰다"고 밝혔다. 현재 플랫폼에는 2500만 개 이상의 유료 멤버십이 활성화되어 있으며, 연간 20억 달러 이상이 크리에이터들에게 지급되고 있다.
뉴스레터 플랫폼 고스트(Ghost)도 월요일 블로그를 통해 2013년 출시 이후 퍼블리셔들이 1억 달러(약 1300억원) 이상을 벌어들였다는 새로운 이정표를 발표했다. 이는 단순한 숫자가 아니다. '1000명의 진짜 팬(1,000 True Fans)' 이론이 현실화되고 있는 것이다. 고스트(Ghost)는 오픈소스 기반의 웹·뉴스레터 퍼블리싱 플랫폼으로, 블로그, 뉴스레터, 멤버십 및 유료 구독 기능을 모두 갖춘 서비스다.
고스트는 중앙화된 기업(예: 페이스북, 미디엄)에 종속되지 않고, 크리에이터 및 퍼블리셔가 데이터와 소프트웨어를 완전히 소유할 수 있다. "뉴스레터 회원 목록(리스트)" 만 아니라 웹사이트 전체를 직접 소유할 수 있다는 점이 차별화 요소다. 또 구독 기반, 유료 콘텐츠, 커뮤니티 구축 기능을 제공하며, 퍼블리셔가 직접 멤버십 티어를 설정해 독점 콘텐츠·커뮤니티·소통·기획참여 등 다양한 방식으로 수익을 올릴 수 있다.
고스트는 서브스택 등 경쟁사와 달리, 매출의 %를 떼는 방식이 아니라 월정액(최저 $15)로 운영돼, 크리에이터가 벌어들이는 수익 대부분을 직접 가져갈 수 있다.최근 6.0 버전에서는 ActivityPub 기반의 소셜웹 연동(마스토돈, 블루스카이 등), 실시간 커뮤니티, 내장형 분석 도구 등이 추가되어 더 높은 팬 유대와 확장성을 확보했다.
The $13 Billion Economy Built by Super Fans
According to Axios, Patreon CEO Jack Conte revealed that "the cumulative amount creators have received from fans since our founding in 2013 has exceeded $10 billion." The platform currently has over 25 million active paid memberships, with more than $2 billion paid to creators annually.
Newsletter platform Ghost also announced a new milestone on Monday through its blog, revealing that publishers have earned over $100 million since its 2013 launch. This isn't just a number—it's the realization of the "1,000 True Fans" theory.
Ghost is an open-source web and newsletter publishing platform featuring blog, newsletter, membership, and paid subscription capabilities. Unlike centralized corporations (like Facebook or Medium), Ghost allows creators and publishers to fully own their data and software. The key differentiator is that users can own not just their "newsletter member list" but their entire website. Ghost operates on a flat monthly fee (starting at $15) rather than taking a percentage of revenue, allowing creators to keep most of their earnings. The recent 6.0 version added ActivityPub-based social web integration (Mastodon, Bluesky, etc.), real-time community features, and built-in analytics tools for stronger fan engagement and scalability.
AI 콘텐츠 범람이 촉발한 슈퍼팬 플랫폼 부상
악시오스는 "AI 기반 콘텐츠가 소셜미디어 피드를 범람시키면서(flooding social media feeds) 크리에이터들이 패트리온, 서브스택, 온리팬스, 비하이브 같은 앱으로 비즈니스를 구축하기 위해 전환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핵심은 차별화다. 악시오스는 "소셜미디어는 여전히 크리에이터들이 무료 오디언스를 늘리는 데 훌륭한 장소지만, 팬들과 더 깊은 수준에서 연결하고 실제로 콘텐츠에 대한 대가를 받으려면 대부분의 소셜 앱이 제공하지 않는 전문화된 집중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AI가 대량 생산하는 획일화된 콘텐츠 속에서, 인간 크리에이터와 슈퍼팬 간의 진정성 있는 연결이 오히려 더 큰 가치를 갖게 된 역설적 상황이 펼쳐지고 있다.
The Rise of Super-Fan Platforms Triggered by the AI Content Flood
Axios analyzed that "as AI-based content floods social media feeds, creators are switching to apps like Patreon, Substack, OnlyFans, and Beehiiv to build their businesses."
The key is differentiation. Axios noted, "Social media is still a great place for creators to grow free audiences, but connecting with fans on a deeper level and actually getting paid for content requires specialized focus that most social apps don't provide." In the paradoxical situation where authentic connections between human creators and super fans gain even greater value amidst the homogenized content mass-produced by AI.
슈퍼팬 플랫폼의 차별화 전략
슈퍼팬 플랫폼들이 일반 소셜미디어와 차별화되는 지점은 명확하다. 단순한 콘텐츠 소비를 넘어 크리에이터와 팬 사이의 깊은 관계 구축을 가능케 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