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llywood2.0, Global Streaming Revolution Led by K-Content (K-콘텐츠가 이끄는 글로벌 스트리밍 혁명)

넷플릭스, 2분기 실적 기대치 상회하며 매출 16% 급증

월가 전망치 상회한 압도적 성과, 영업마진 34.1% 달성

오징어 게임 2억 3,000만 뷰 돌파, K-콘텐츠 글로벌 헤게모니 확립

한국 대표 글로벌 K스트리밍 '코코와(Kocowa)' 유럽 진출 1년 만에 20퍼센트 성장

Netflix Beats Q2 Earnings Expectations, Revenue Soars 16%
Overwhelmingly beats Wall Street expectations, achieves 34.1% operating margin
Squid Game surpasses 230 million views, establishing K-Content global dominance

한국 콘텐츠가 글로벌 스트리밍 시장의 새로운 판도를 만들어가고 있다. 넷플릭스의 2024년 2분기 실적은 월가 기대치를 16% 상회하며 매출 110억 8천만 달러, 영업마진 34.1%라는 기록적 성과를 달성했다.

이 성공의 중심에는 오징어 게임 2억 3,100만 뷰를 비롯한 K콘텐츠에 대한 글로벌 수요 증가가 있다. 이와 관련 한국 주요 방송사(KBS, MBC, SBS) 등이 연합해 만든 국내 유일 글로벌 K 스트리밍 서비스 코코와(KOCOWA)는 유럽 진출 1년 만에 가입자 수가 20퍼센트가 늘었다 이는 K-콘텐츠가 단순한 트렌드를 넘어 지속 가능한 글로벌 성장 동력임을 입증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할리우드 중심의 일방향 문화 수출 시대가 막을 내리고, 한국 등 비영어권 국가가 참여하는 다극화 콘텐츠 시대, 즉 할리우드 2.0시대가 다가오고 있다는 입장이다.

Parrot analytics
Parrot analytics

실제 패럿애널리틱스의 분석에 따르면 글로벌 스트리밍 플랫폼 넷플릭스가 확산되며 전 세계 각국의 비영어권 영화와 TV 시리즈가 주목받고 있다.

패럿애널리틱스는 글로벌 시장에서 인기를 얻고 있는 글로벌 각국의 대표 콘텐츠를 나열했다.

한국의 ‘올드보이(Oldboy)’, ‘기생충(Parasite)’, ‘오징어 게임(Squid Game)’, ‘범죄와의 전쟁: 나쁜놈들 전성시대(Chasing the Dragon)’, 일본의 ‘세이크리드 게임즈(Sacred Games)’, 프랑스의 ‘뤼팽(Lupin)’, 스페인의 ‘종이의 집(La Casa de Papel)’, 독일의 ‘다크(Dark)’, 스웨덴의 ‘브릿지(Bridge)’, 노르웨이의 ‘스캄(Skam)’, 브라질의 ‘시티 오브 갓(City of God)’, 멕시코의 ‘나르코스(Narcos)’, 호주의 ‘블루이(Bluey)’ 등 다양한 국가의 대표작들이 세계적으로 인기몰이를 하고 있다.

이처럼 다양한 문화와 이야기가 넷플릭스를 통해 전 세계 시청자들에게 전달되고 있으며, 영어권 콘텐츠 중심이던 글로벌 시장에도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 비영어권 콘텐츠의 성장세는 앞으로도 더욱 가속화될 전망이다

넷플릭스 2분기 실적이 월가 전망치를 압도적으로 상회

넷플릭스(Netflix)가 발표한 2024년 2분기 실적은 월가의 기대를 크게 상회하며 스트리밍 업계에서의 압도적 지배력을 재확인시켜 주었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6% 급증한 110억 8,000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희석 주당순이익은 7.19달러로 애널리스트 전망치인 7.08달러를 상회했다. 영업 마진 역시 34.1%를 달성하며 전년 동기 27.2%에서 대폭 개선된 모습을 보였다.

LSEG 데이터 앤 애널리틱스에 따르면, 월가는 4월-6월 분기 주당순이익 7.08달러, 매출 110억 7천만 달러를 전망했으나, Netflix는 이를 모두 상회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특히 자유 현금 흐름은 23억 달러로 전년 동기 12억 달러에서 92% 증가하여 Netflix의 견고한 재무 구조를 입증했다. 이는 넷플릭스 자체 전망치인 매출 성장률 15%, 주당순이익 7.03달러, 영업 마진 33%를 모두 상회한 결과로, 회사의 보수적 전망 대비 실제 성과가 얼마나 뛰어난지를 보여준다.

이러한 강력한 실적을 바탕으로 Netflix는 2025년 매출 전망을 기존 435억~445억 달러에서 448억~452억 달러로 상향 조정했으며, 이는 전년 동기 대비 15-16% 성장을 의미한다. Netflix는 주주들에게 보낸 서한에서 "매출 전망 증가의 대부분은 최근 미국 달러가 다른 대부분의 통화 대비 약세를 보인 것을 반영하며, 나머지는 견실한 회원 성장과 광고 판매로 인한 지속적인 사업 모멘텀에 기인한다"고 설명했다.

Netflix Q2 Performance Analysis: Global Streaming Revolution Led by K-Content

Overwhelming Performance 16% Above Wall Street Forecasts, Operating Margin Reaches 34.1%

Netflix's announced Q2 2024 results significantly exceeded Wall Street expectations, reaffirming its overwhelming dominance in the streaming industry. Revenue surged 16% year-over-year to $11.08 billion, while diluted earnings per share reached $7.19, surpassing analyst forecasts of $7.08. Operating margin also achieved 34.1%, showing substantial improvement from 27.2% in the same period last year.

According to LSEG Data & Analytics, Wall Street had projected Q2 earnings per share of $7.08 and revenue of $11.07 billion, but Netflix exceeded both targets. Free cash flow particularly stood out at $2.3 billion, up 92% from $1.2 billion in the prior year, demonstrating Netflix's solid financial structure. These results surpassed Netflix's own projections of 15% revenue growth, $7.03 earnings per share, and 33% operating margin, showing how exceptional the actual performance was compared to the company's conservative outlook.

Based on these strong results, Netflix raised its 2025 revenue guidance from the previous $43.5-44.5 billion to $44.8-45.2 billion, representing 15-16% growth year-over-year. In a letter to shareholders, Netflix explained that "most of the revenue forecast increase reflects the recent weakening of the U.S. dollar against most other currencies, with the remainder attributed to sustained business momentum from solid member growth and advertising sales."

광고 수익 2배 증가 목표 달성, 선불 계약 거의 완료

매출 증가의 주요 동력은 회원 수 증가, 구독료 인상, 그리고 광고 수익 증가로 분석된다. 특히 미국과 캐나다 지역에서는 15% 성장을 기록했는데, 이는 1분기 9% 증가에서 개선된 수치로 가격 변동의 전체 분기 영향이 반영된 결과로 해석된다. Netflix는 모든 지역에서 건전한 전년 동기 대비 매출 성장을 경험했다고 밝혔다.

광고 사업 부문에서도 주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었다.

Netflix는 "주요 에이전시들과 거래 대부분을 마무리하면서 미국 선불(upfront) 계약이 거의 완료되었다"고 밝혔지만, 구체적인 수치는 공개하지 않았다. 스트리밍 서비스는 "올해 광고 수익을 대략 두 배로 늘리겠다는 목표와 일치하는 결과에 만족한다"고 말했다. "고객들은 우리의 성장하는 규모, 기술 스택의 성공적인 출시, 그리고 앞으로의 프로그램 라인업에 대해 흥미를 보이고 있다"고 덧붙였다.

넷플릭스는 1월 미국 내 기존 요금제 전반에 걸쳐 가격을 인상했으며, 회사는 구독자들의 가격 변화 반응이 예상 범위 내에서 진행되고 있다고 밝혔다. 광고 사업 역시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이는 Netflix의 수익 다각화 전략이 성공적으로 작동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Advertising Revenue Doubles, Upfront Contracts Nearly Complete

The main drivers of revenue growth were identified as member growth, subscription price increases, and advertising revenue expansion. The U.S. and Canada region particularly recorded 15% growth, an improvement from 9% in Q1, reflecting the full quarterly impact of pricing changes. Netflix reported experiencing healthy year-over-year revenue growth across all regions.

The advertising segment also achieved notable results. Netflix announced that "U.S. upfront contracts are nearly complete as we've finalized most deals with major agencies," though specific figures weren't disclosed. The streaming service stated it was "satisfied with results that align with our goal of roughly doubling advertising revenue this year." They added, "Clients are excited about our growing scale, successful launch of our technology stack, and upcoming programming lineup."

Netflix raised prices across existing U.S. plans in January, and the company stated that subscriber reactions to pricing changes were proceeding within expected ranges. The advertising business also continues growing, demonstrating that Netflix's revenue diversification strategy is working successfully.

Nielsen
https://www.nielsen.com/news-center/2025/netflix-leads-streaming-growth-in-june-on-the-strength-of-multiple-big-titles-in-nielsens-50th-report-of-the-gauge/

넷플릭스, 2025년 6월 미국 TV 시청 점유율 8.3% 기록

2025년 6월 닐슨이 발표한 미국 TV 및 스트리밍 시장 조사 결과(Gauge)에 따르면, 넷플릭스가 전체 TV 시청의 8.3%를 차지하며 주요 성장 동력으로 자리 잡았다.

특히 6월 한 달간 스트리밍 전체 점유율은 46%로 최고치를 경신했고, 넷플릭스는 전월 대비 13.5% 시청 증가를 기록하며 전체 스트리밍 성장의 42%를 차지하는 성과를 올렸다. 이번 성장에는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지니 & 조지아’, 신규 공개된 ‘오징어 게임’ 시즌3 등이 큰 역할을 했다. 또 시청률 상위권에는 ‘애니멀 킹덤’과 ‘블라인드스팟’이 포함되어 넷플릭스의 인기도를 뒷받침하고 있다. 방송(18.5%)과 케이블(23.4%)의 하락세와 대조적으로, 넷플릭스를 앞세운 스트리밍 이용은 미국 TV 시청 환경의 빠른 변화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950억 시간 시청 기록, 전 세계가 넷플릭스에 열광

넷플릭스가 공개한 2025년 상반기 시청률 데이터는 Netflix의 콘텐츠 전략이 얼마나 성공적인지를 보여준다. 회원들은 1월부터 6월까지 950억 시간 이상을 넷플릭스 시청에 할애했으며, 이는 전체 시청의 약 99%를 포착한 수치로 전년 동기 대비 1% 증가했다.

이러한 막대한 시청 시간은 다양한 장르와 언어의 콘텐츠에 대한 글로벌 수요를 반영하며, Netflix가 "시청 시간 또는 참여도가 회원 만족도를 나타내는 최고의 지표"라고 강조하는 이유를 뒷받침한다.

Netflix는 "사람들이 더 많이 시청할 때, 그들은 더 오래 머물고 다른 사람들에게 Netflix를 추천한다"고 설명하며, 시청 시간이 단순한 지표를 넘어 회원 유지와 신규 가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핵심 요소임을 강조했다.

이는 Netflix가 2분기부터 구독자 수 데이터 공개를 중단하고 대신 시청률과 참여도에 집중하는 방향으로 전환한 배경을 설명해준다.

시청률 1위를 차지한 작품은 영국 제작 드라마 아돌레센스(Adolescence)로 1억 4천500만 뷰를 기록했다. 이 작품은 13세 소년이 살인 혐의로 기소된 내용을 다루며, 영국 콘텐츠의 지속적인 글로벌 어필을 보여주었다. 영화 부문에서는 제이미 폭스와 카메론 디아즈 주연의 백 인 액션(Back in Action)이 1억 6천500만 뷰로 1위를 차지했고, 타일러 페리의 스트로우(Tyler Perry's STRAW)가 1억 300만 뷰로 2위, 소피아 카슨 주연의 더 라이프 리스트(The Life List)가 9천600만 뷰로 3위를 기록했다.

95 Billion Hours Watched: The World Goes Wild for Netflix

Netflix's viewing data for the first half of 2025 shows just how successful the company's content strategy has been. Members spent over 95 billion hours watching Netflix from January to June, capturing approximately 99% of total viewing—a 1% increase year-over-year.

This massive viewing time reflects global demand for diverse genres and languages of content, supporting Netflix's emphasis that "viewing time or engagement is the best indicator of member satisfaction."

Netflix explained that "when people watch more, they stay longer and recommend Netflix to others," emphasizing that viewing time is a key factor directly impacting member retention and new sign-ups beyond being just a simple metric. This explains the background for Netflix's shift from Q2 onward to stop disclosing subscriber data and instead focus on viewership and engagement.

The top-ranked series was the UK-produced drama "Adolescence" with 145 million views. The show, dealing with a 13-year-old boy charged with murder, demonstrated the continued global appeal of British content. In films, "Back in Action" starring Jamie Foxx and Cameron Diaz topped with 165 million views, followed by Tyler Perry's "STRAW" with 103 million views, and Sofia Carson's "The Life List" with 96 million views.

오징어 게임 2억 3,000만 뷰 돌파, K-콘텐츠 글로벌 헤게모니 확립

가장 주목할 만한 성과는 한국 콘텐츠의 글로벌 돌풍이다. 오징어 게임(Squid Game)은 상반기 최고의 성과를 거둔 콘텐츠 중 하나로, 3개 시즌 통틀어 2억 3,100만 뷰를 기록했다. 특히 최종 시즌은 공개 후 단 4일 만에 7천200만 뷰를 달성하며 상반기 3위에 올랐다. 이는 한국 콘텐츠가 단순한 트렌드를 넘어 지속 가능한 글로벌 성장 동력임을 입증하며, 시리즈가 완결된 후에도 여전히 전 세계 관객들의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음을 보여준다.

오징어 게임의 성공은 단순히 한 작품의 히트를 넘어서 한국 스토리텔링의 글로벌 경쟁력을 입증하는 사례로 평가된다. 시리즈 전체를 통해 보여준 사회적 메시지, 독창적인 게임 설정, 그리고 인간 본성에 대한 깊이 있는 탐구는 언어와 문화의 장벽을 넘어 전 세계 관객들에게 강력한 임팩트를 남겼다.

오징어 게임 외에도 다양한 한국 콘텐츠가 글로벌 관객들을 사로잡았다. 인생은 귤 한 알(When Life Gives You Tangerines)은 3천500만 뷰를 기록했으며, 이는 한국의 일상적 소재를 다룬 드라마도 글로벌 어필이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외상센터 골든 아워 시즌 1(The Trauma Code: Heroes on Call Season 1)은 3천400만 뷰를 달성하며 의료 드라마 장르에서 한국 콘텐츠의 경쟁력을 입증했다.

액션 장르에서는 약한영웅: 클래스 1(Weak Hero: Class 1)이 2천200만 뷰, 약한영웅: 클래스 2(Weak Hero: Class 2)가 2천만 뷰를 달성했다. 이 시리즈는 학교 폭력이라는 사회적 이슈를 액션과 드라마로 풀어내며, 한국 웹툰 원작의 성공적인 영상화 사례로도 주목받았다. 이러한 성과는 한국 콘텐츠가 드라마뿐만 아니라 액션, 의료 드라마, 일상 드라마 등 다양한 장르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했음을 보여준다.

Squid Game Surpasses 230 Million Views, K-Content Establishes Global Hegemony

The most remarkable achievement was the global phenomenon of Korean content. "Squid Game" was among the top-performing content of the first half, recording 231 million views across all three seasons. The final season particularly achieved 72 million views in just four days after release, ranking third for the first half. This proves that Korean content has moved beyond mere trends to become a sustainable global growth driver, showing that even after series completion, it continues receiving passionate attention from worldwide audiences.

Squid Game's success is evaluated as a case that proves the global competitiveness of Korean storytelling beyond just one hit show. The social messages shown throughout the series, original game settings, and deep exploration of human nature left powerful impacts on global audiences transcending language and cultural barriers.

Beyond Squid Game, various Korean content captivated global audiences. "When Life Gives You Tangerines" recorded 35 million views, showing that Korean dramas dealing with everyday subjects can also have global appeal. "The Trauma Code: Heroes on Call Season 1" achieved 34 million views, proving Korean content's competitiveness in the medical drama genre.

In the action genre, "Weak Hero: Class 1" achieved 22 million views and "Weak Hero: Class 2" reached 20 million views. This series tackled the social issue of school violence through action and drama, also gaining attention as a successful adaptation of Korean webtoon source material. These achievements show that Korean content has secured global competitiveness across various genres including not just dramas but action, medical dramas, and slice-of-life dramas.

한국 문화 콘텐츠의 다양성, 장르별 성공 사례 확산

한국 콘텐츠의 성공은 단순히 드라마에 국한되지 않는다. 애니메이션 부문에서는 사카모토 데이즈 시즌 1(SAKAMOTO DAYS Season 1)이 2천400만 뷰를 기록하며, 일본 원작이지만 한국이 참여한 글로벌 애니메이션 프로젝트의 성공을 보여주었다. 또한 K팝 데몬 헌터스(KPop Demon Hunters)는 3,700만 뷰를 달성하며, K-pop과 애니메이션을 결합한 독창적인 콘텐츠로 주목받았다.

이러한 다양한 장르에서의 성공은 한국 콘텐츠 산업의 성숙도와 창작 역량의 확장을 보여준다. 과거 한류가 주로 K-pop과 로맨틱 드라마에 집중되었다면, 현재는 스릴러, 액션, SF, 의료 드라마, 사회 비판 드라마, 애니메이션 등 거의 모든 장르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고 있음을 입증한다.

특히 약한영웅 시리즈의 성공은 한국의 웹툰 IP가 글로벌 영상 콘텐츠로 성공적으로 전환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다. 이는 한국이 보유한 방대한 웹툰 IP들이 향후 Netflix와 같은 글로벌 플랫폼에서 지속적인 콘텐츠 공급원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Diversity of Korean Cultural Content: Success Cases Spread Across Genres

Korean content's success isn't limited to just dramas. In animation, "SAKAMOTO DAYS Season 1" recorded 24 million views, showing success of a global animation project with Korean participation despite Japanese origins. Additionally, "KPop Demon Hunters" achieved 37 million views, gaining attention as original content combining K-pop and animation.

Success across these diverse genres demonstrates the maturity and expanded creative capabilities of Korea's content industry. While the Korean Wave previously focused mainly on K-pop and romantic dramas, it now proves global competitiveness across nearly all genres including thriller, action, sci-fi, medical drama, social critique drama, and animation.

The success of the Weak Hero series is particularly an important case showing that Korean webtoon IP can be successfully converted into global video content. This suggests the possibility that Korea's vast webtoon IP collection could become a continuous content source for global platforms like Netflix in the future.

패럿애널리틱스(Parrot)

비영어권 콘텐츠가 전체 시청의 1/3 차지, 글로벌 콘텐츠 시대 개막

넷플릭스의 글로벌 콘텐츠 전략이 성공적으로 작동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또 다른 지표는 비영어권 콘텐츠의 급성장이다. 전체 시청의 3분의 1 이상이 비영어권 콘텐츠에서 나왔으며, 상반기 최고 시청률 시리즈 25편 중 10편이 비영어권 작품이었다. 이는 글로벌 관객들이 자막이나 더빙을 통해서도 양질의 콘텐츠를 적극적으로 소비하고 있음을 보여주며, 콘텐츠의 언어적 장벽이 크게 낮아졌음을 의미한다.

실제 다른 데이터도 비영어권 콘텐츠의 수용 성장을 보여준다.패럿애널릭리스틱스가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비영어권 콘텐츠에 대한 수요가 사상 처음 전체의 50%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8년 23%에 머물렀던 비영어 콘텐츠 비중은 2024년 42%까지 꾸준히 증가해, 글로벌 콘텐츠 시장에서 영어권 대 비영어권 비중 격차가 급격히 줄어들고 있다. 이처럼 글로벌 시청자들이 영어 외 다양한 언어의 콘텐츠를 점점 더 선호하는 추세가 뚜렷해지고 있다.

북유럽 콘텐츠도 주목받았다.

덴마크의 우리가 지키는 비밀(Secrets We Keep)이 3천400만 뷰, 노르웨이의 넘버 24(Number 24)가 2,400만 뷰를 기록했으며, 스웨덴에서는 오레 살인사건 시즌 1(The Åre Murders Season 1)이 3천300만 뷰, 더 브레이크스루(The Breakthrough)가 2천900만 뷰, 더 글라스 돔(The Glass Dome)이 2천만 뷰를 달성했다. 스칸디나비아 지역의 느와르와 스릴러 장르에 대한 글로벌 관객들의 지속적인 관심을 확인할 수 있다.

남미 콘텐츠도 강세를 보였다.

콜롬비아는 백 년의 고독(One Hundred Years of Solitude)의 성공에 이어 메두사 시즌 1(Medusa Season 1)으로 2천100만 뷰, 페이크 프로필: 킬러 매치(Fake Profile: Killer Match)로 2천만 뷰, 카롤 지: 내일은 아름다웠다(Karol G: Tomorrow was Beautiful)로 1천300만 뷰를 달성하며 강력한 라인업을 선보였다.

영화 부문에서도 비영어권 콘텐츠들이 글로벌 성공을 거두었다. 독일의 엑스터리토리얼(Exterritorial)은 8천800만 뷰로 비영어권 영화 중 최고 성과를 기록했으며, 멕시코의 카운터어택(Counterattack)은 7천100만 뷰, 네덜란드의 아이호스티지(iHostage)는 5천700만 뷰를 달성했다. 프랑스에서는 애드 비탐(Ad Vitam)이 7천만 뷰, K.O.가 4천400만 뷰를 기록했으며, 일본의 불릿 트레인 익스플로전(Bullet Train Explosion)은 3천300만 뷰, 인도의 주얼 시프 - 더 하이스트 비긴즈(Jewel Thief - The Heist Begins)는 2천300만 뷰를 달성했다.

Non-English Content Accounts for 1/3 of Total Viewing: The Global Content Era Begins

Another indicator showing Netflix's global content strategy working successfully is the rapid growth of non-English content. Over one-third of total viewing came from non-English content, with 10 of the top 25 most-watched series in the first half being non-English works. This shows global audiences actively consuming quality content through subtitles or dubbing, meaning content's linguistic barriers have significantly lowered.

In fact, other data shows the growing acceptance of non-English content, with demand for non-English content approaching 50% of the total for the first time ever, according to data analyzed by Parrot Analytics.

From 23% in 2018, the share of non-English content is expected to grow steadily to 42% in 2024, rapidly closing the gap between English and non-English in the global content market. The trend is clear: global audiences are increasingly favoring content in languages other than English.

Nordic content also gained attention. Denmark's "Secrets We Keep" recorded 34 million views, Norway's "Number 24" achieved 24 million views, while Sweden saw "The Åre Murders Season 1" with 33 million views, "The Breakthrough" with 29 million views, and "The Glass Dome" with 20 million views. This confirms global audiences' continued interest in Scandinavian noir and thriller genres.

Latin American content also showed strength. Following the success of "One Hundred Years of Solitude," Colombia presented a strong lineup with "Medusa Season 1" achieving 21 million views, "Fake Profile: Killer Match" with 20 million views, and "Karol G: Tomorrow was Beautiful" with 13 million views.

Non-English films also achieved global success. Germany's "Exterritorial" recorded the highest performance among non-English films with 88 million views, Mexico's "Counterattack" achieved 71 million views, and the Netherlands' "iHostage" reached 57 million views. France saw "Ad Vitam" with 70 million views and "K.O." with 44 million views, while Japan's "Bullet Train Explosion" recorded 33 million views and India's "Jewel Thief - The Heist Begins" achieved 23 million views.

코코와 유럽 진출 1주년, K-콘텐츠 글로벌 확장의 새로운 이정표

비영어 콘텐츠 인기는 한국 K스트리밍의 성장에서도 볼 수 있다. 2025년 7월 현재, 한국 3대 방송사 KBS, MBC, SBS 등의 연합 스트리밍 플랫폼 코코와(KOCOWA)가 유럽 진출 1주년을 맞아 놀라운 성과를 기록했다. 2024년 4월 유럽 출시 이후 포화 상태로 여겨지던 유럽 OTT 시장에서 월평균 20%의 성장률을 달성하며 K-콘텐츠의 글로벌 확장 가능성을 재확인했다.

코코와의 유럽 성공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점은 한국 콘텐츠가 문화적, 언어적 경계를 뛰어넘었다는 것이다. 스페인과 영국에서 45세 이상 연령층의 시청률 급증은 K-콘텐츠의 어필이 한류와 전통적으로 연관된 젊은 세대를 훨씬 넘어서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연령대 확산은 한국 작품의 우수한 스토리텔링, 매력적인 캐릭터, 그리고 감정적 깊이가 언어나 문화적 배경과 관계없이 보편적으로 공감을 불러일으킨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는 비영어 콘텐츠가 서구 시장에서 극복할 수 없는 장벽에 직면한다는 기존 통념에 도전하는 성과다.

유럽을 사로잡은 다양한 한국 콘텐츠

유럽 관객들은 다양한 장르의 한국 콘텐츠를 받아들였다:

에버그린 예능 프로그램:

  • Running Man과 Running Man Classics
  • Home Alone (나 혼자 산다)
  • 2 Days and 1 Night 4 (1박 2일 시즌 4)
  • The Manager (매니저)

드라마 시리즈:

  • Oh My Ghost Clients (오 마이 고스트 클라이언츠)
  • Queen's House (퀸즈 하우스)
  • The Woman Who Swallowed the Sun (태양을 삼킨 여인)
  • For Eagle Brothers (독수리 형제들을 위하여)

특화 콘텐츠:

  • Heart Pairing (하트 시그널)
  • NANA bnb with SEVENTEEN (나나비앤비 with 세븐틴)

이러한 다양한 콘텐츠 포트폴리오는 유럽 관객들이 코미디와 로맨스부터 리얼리티와 음악 중심 프로그램까지 모든 장르에 걸쳐 진정성 있는 한국 스토리텔링에 목마르다는 것을 보여준다.

글로벌 도달을 가능하게 하는 엔터테크의 우수성

코코와의 성공은 초고속 다국어 현지화 시스템에 기인한다. 한국어 원본 방송 후 6-8시간 내에 영어,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중국어, 베트남어 자막이 제공된다. 이러한 빠른 처리 시간은 유럽 팬들이 한국 관객들과 거의 동시에 콘텐츠를 즐길 수 있게 하여 공유된 글로벌 시청 경험을 만들어낸다.

플랫폼의 40,000시간 이상의 방대한 콘텐츠 라이브러리는 유럽 시청자들에게 클래식 시리즈부터 최신 작품까지 한국 엔터테인먼트에 대한 전례 없는 접근을 제공한다.

유럽 구독자들의 반응

  • "호주에서 이 앱이 존재해서 기쁘다. K-콘텐츠를 합법적으로 볼 수 있게 해준다"
  • "K-드라마와 K-예능을 위한 최고의 앱"
  • "코코와가 정말 대단하다"
  • "이 앱은 내가 가장 좋아하는 앱이다"

이러한 반응은 코코와가 단순한 시청 플랫폼을 넘어 주류 스트리밍 서비스로부터 소외되었던 유럽 관객들에게 한국 엔터테인먼트를 전달하는 문화적 다리 역할을 성공적으로 해내고 있음을 보여준다.

한국 콘텐츠가 유럽에서 지속적인 모멘텀을 얻고 있는 가운데, 코코와의 성공은 진정성 있고 잘 제작된 비영어 콘텐츠가 경쟁 시장에서 관객을 찾을 뿐만 아니라 번영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미래는 더 큰 문화적 교류와 전통적인 언어적, 문화적 경계를 초월하는 엔터테인먼트의 지속적인 세계화를 향하고 있다.

자막 언어 확대와 사용자 경험 개선에 대한 플랫폼의 노력은 이것이 한국 콘텐츠의 유럽 여정의 시작에 불과함을 보여준다. 강력한 팬 수요와 발전된 현지화 전략을 바탕으로 K-콘텐츠는 유럽 시장 전반에 걸쳐 더욱 큰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위치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

KOCOWA's European Success Story: Korean Content Breaks Barriers in Saturated Markets

KOCOWA, the joint streaming platform from Korea's three major broadcasters KBS, MBC, and SBS, has achieved remarkable success in its first year in Europe. Since launching in April 2024, the platform has demonstrated an average monthly growth rate of nearly 20% across Europe and Oceania, proving that Korean content can thrive even in markets dominated by global streaming giants.

Beyond Language Barriers: The Universal Appeal of K-Content

The most striking aspect of KOCOWA's European success lies in how Korean content has transcended cultural and linguistic boundaries. The surge in viewership among the 45+ age group in Spain and the UK particularly demonstrates that K-content's appeal extends far beyond younger demographics traditionally associated with the Korean Wave.

This demographic expansion suggests that quality storytelling, compelling characters, and emotional depth in Korean productions resonate universally, regardless of language or cultural background. The success challenges the conventional wisdom that non-English content faces insurmountable barriers in Western markets.

Content That Connects: Popular Titles Driving European Engagement

The European audience has embraced a diverse range of Korean content:

Evergreen Variety Shows:

  • Running Man and Running Man Classics
  • Home Alone (I Live Alone)
  • 2 Days and 1 Night Season 4
  • The Manager

Drama Series:

  • Oh My Ghost Clients
  • Queen's House
  • The Woman Who Swallowed the Sun
  • For Eagle Brothers

Specialized Content:

  • Heart Pairing (dating reality show)
  • NANA bnb with SEVENTEEN (K-Pop variety)

This diverse content portfolio demonstrates that European audiences are hungry for authentic Korean storytelling across all genres, from comedy and romance to reality and music-focused programming.

Technical Excellence Enabling Global Reach

KOCOWA's success is partly attributed to its lightning-fast multilingual localization system. Subtitles in English, Spanish, Portuguese, Chinese, and Vietnamese are available within 6-8 hours of the original Korean broadcast. This rapid turnaround time ensures that European fans can engage with content almost simultaneously with Korean audiences, creating a shared global viewing experience.

The platform's extensive library of over 40,000 hours of content provides European viewers with unprecedented access to Korean entertainment, from classic series to the latest releases.

Fan Community and Cultural Exchange

European subscribers' testimonials reflect the platform's impact:

  • "Glad this app exists in Australia, bringing K-Content in a legal manner"
  • "Best app for K-Drama and K-Variety"
  • "KOCOWA is slaying"
  • "This app is my favorite of all time"

These responses indicate that KOCOWA has successfully created not just a viewing platform, but a cultural bridge that brings Korean entertainment to European audiences who were previously underserved by mainstream streaming services.

Market Dynamics: Non-English Content in European Streaming

KOCOWA's success occurs within a broader context of Europe's evolving streaming landscape. The European OTT market is projected to reach USD 32-54 billion by 2025, with annual revenue growth rates of 8-13%. Infrastructure improvements, particularly in Eastern Europe, are making high-quality streaming more accessible.

The platform's growth demonstrates that there remains significant appetite for specialized, high-quality non-English content even in markets saturated with global and local offerings. This suggests that content quality and authenticity can overcome perceived market saturation when properly delivered to audiences.

Looking Forward: The Future of Korean Content in Europe

KOCOWA's European expansion represents more than geographical growth—it signals a fundamental shift in how international content can establish itself in new territories. The platform's rapid growth is supported by the rising global demand for Korean dramas and entertainment, with European fans increasingly open to international content that offers fresh perspectives and high production values.

As Korean content continues to gain momentum in Europe, the success of KOCOWA suggests that authentic, well-produced non-English content can not only find an audience but thrive in competitive markets. The future points toward greater cultural exchange and the continued globalization of entertainment that transcends traditional linguistic and cultural boundaries.

The platform's commitment to expanding subtitle language offerings and enhancing user experiences indicates that this is just the beginning of Korean content's European journey. With strong fan demand and advanced localization strategies, K-content appears positioned for even greater impact across European markets.

WWE 2억 8천만 시간 시청, 라이브 이벤트가 새로운 성장 동력

Netflix의 사업 모델 다각화 전략도 성과를 보이고 있다. WWE가 1월 Netflix에서 시작된 이후 상반기 동안 WWE RAW를 포함한 모든 이벤트에서 2억 8천만 시청 시간을 기록했다. 이는 넷플릭스가 단순한 주문형 스트리밍 서비스를 넘어 라이브 이벤트 플랫폼으로도 성공적으로 확장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공동 CEO 테드 사란도스(Ted Sarandos)는 "모든 시청 시간이 동등하지 않으며, 라이브 콘텐츠가 대화, 신규 가입자 유치, 그리고 우리가 추측하기로는 구독자 유지에 있어서 큰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강조했다. 라이브 이벤트는 시청자들에게 실시간 공유 경험을 제공하며, 소셜 미디어에서의 화제성과 입소문 효과를 극대화하는 역할을 한다.

WWE의 성공은 Netflix가 향후 더 많은 라이브 스포츠 이벤트나 실시간 쇼를 도입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는 기존 케이블 TV의 영역이었던 라이브 스포츠 시장에서도 Netflix가 경쟁력을 갖출 수 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신호다.

WWE Records 280 Million Hours Watched: Live Events Become New Growth Driver

Netflix's business model diversification strategy is also showing results. Since WWE began on Netflix in January, all events including WWE RAW recorded 280 million viewing hours during the first half. This shows Netflix successfully expanding beyond simple on-demand streaming service to live event platform.

Co-CEO Ted Sarandos emphasized, "We've confirmed that not all viewing hours are equal, and live content has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conversation, new subscriber acquisition, and what we believe is subscriber retention." Live events provide viewers with real-time shared experiences, maximizing social media buzz and word-of-mouth effects.

WWE's success suggests the possibility of Netflix introducing more live sports events or real-time shows in the future. This is an important signal showing Netflix can be competitive in the live sports market, which was traditionally cable TV's domain.

애니메이션과 키즈 콘텐츠, 전 연령대 장악

애니메이션 부문에서도 다양한 성과를 거두었다. Netflix는 애니메이션 팬들의 목적지로 자리잡고 있으며, 신작 시리즈인 사카모토 데이즈 시즌 1(SAKAMOTO DAYS Season 1)이 2천400만 뷰를 기록했다. 또한 사랑받는 프랜차이즈인 나루토(Naruto)가 여러 시즌을 통틀어 4천500만 뷰를 달성했으며, 스튜디오 지브리의 클래식 영화들인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Spirited Away)과 하울의 움직이는 성(Howl's Moving Castle)이 각각 600만 뷰를 기록하며 클래식 애니메이션의 지속적인 인기를 보여주었다.

키즈 앤 패밀리 타이틀도 지속적으로 모든 연령대의 어린이들을 즐겁게 하고 있다. K팝 데몬 헌터스(KPop Demon Hunters)같은 애니메이션 영화부터 미스 레이첼 시즌 1(Ms. Rachel Season 1)이 5천300만 뷰를 기록했으며, 프랑스의 아스테릭스 & 오벨릭스: 더 빅 파이트(Asterix & Obelix: The Big Fight)가 1천600만 뷰를 달성했다. 가비의 인형의 집(Gabby's Dollhouse)은 여러 시즌을 통틀어 1억 800만 뷰를 기록하며 키즈 콘텐츠의 지속적인 인기를 입증했다.

Animation and Kids Content: Conquering All Age Groups

The animation sector also achieved diverse results. Netflix is establishing itself as a destination for animation fans, with new series "SAKAMOTO DAYS Season 1" recording 24 million views. The beloved franchise "Naruto" achieved 45 million views across multiple seasons, while Studio Ghibli classics "Spirited Away" and "Howl's Moving Castle" each recorded 6 million views, showing classic animation's continued popularity.

Kids & Family titles also continue entertaining children of all ages. From animated films like "KPop Demon Hunters" to "Ms. Rachel Season 1" recording 53 million views, and France's "Asterix & Obelix: The Big Fight" achieving 16 million views. "Gabby's Dollhouse" recorded 108 million views across multiple seasons, proving kids content's sustained popularity.

드라마와 코미디 장르의 다양성, 글로벌 취향 반영

드라마 장르에서는 다양한 국가와 스타일의 작품들이 시청자들을 사로잡았다. 제로 데이(Zero Day)가 6,100만 뷰를 기록하며 정치 스릴러 장르의 인기를 보여주었다. 또 아메리칸 프리미벌(American Primeval)이 4천700만 뷰로 서부극의 부활을 알렸다. 스페인의 더 가드너(The Gardener)는 3천400만 뷰를 달성했으며, 포에버 시즌 1(FOREVER Season 1)이 1천900만 뷰, 인도의 더 로열스 시즌 1(The Royals Season 1)이 1천400만 뷰를 기록했다.

코미디 장르에서는 모든 종류의 작품들이 인기를 끌었다. 신작 러닝 포인트 시즌 1(Running Point Season 1)이 4천100만 뷰, 더 포 시즌스 시즌 1(The Four Seasons Season 1)이 3천900만 뷰를 달성했으며, 두 작품 모두 시즌 2 제작이 확정되었다. 리턴 시리즈로는 스페인의 알파 메일즈 시즌 3(Alpha Males Season 3)이 1천만 뷰, 아르헨티나의 엔비어스 시즌 2(Envious Season 2)가 1천만 뷰, 타이어스 시즌 2(Tires Season 2)가 700만 뷰, 서바이벌 오브 더 시키스트 시즌 2(Survival of the Thickest Season 2)가 600만 뷰를 기록했다.

오랫동안 사랑받은 시리즈들도 마지막을 장식했다. 코브라 카이 시즌 6(Cobra Kai Season 6)이 1천800만 뷰로 높은 점수로 최종 시즌을 마무리했으며, 빅 마우스 시즌 8(Big Mouth Season 8)이 600만 뷰를 기록하며 마지막 시즌을 성공적으로 완주했다.

Drama and Comedy Genre Diversity Reflects Global Tastes

In the drama genre, works from various countries and styles captivated viewers. "Zero Day" recorded 61 million views, showing political thriller genre popularity, while "American Primeval" announced the western genre revival with 47 million views. Spain's "The Gardener" achieved 34 million views, "FOREVER Season 1" recorded 19 million views, and India's "The Royals Season 1" achieved 14 million views.

In comedy, all types of works gained popularity. New series "Running Point Season 1" achieved 41 million views, "The Four Seasons Season 1" reached 39 million views, with both confirmed for second seasons. Return series included Spain's "Alpha Males Season 3" with 10 million views, Argentina's "Envious Season 2" with 10 million views, "Tires Season 2" with 7 million views, and "Survival of the Thickest Season 2" with 6 million views.

Long-beloved series also concluded well. "Cobra Kai Season 6" finished its final season strongly with 18 million views, while "Big Mouth Season 8" successfully completed its last season with 6 million views.

오리지널 콘텐츠의 장기적 가치 입증, 지속 가능한 투자 모델

Netflix 오리지널 콘텐츠의 지속적 가치도 주목할 만하다. Netflix 오리지널은 출시 후 수년이 지나도 여전히 관객들을 사로잡고 있으며, 이번 보고서에서 Netflix 오리지널 시청의 거의 절반이 2023년 이전에 출시된 작품에서 나왔다. 이는 Netflix의 콘텐츠 투자가 단순한 일회성 소비가 아니라 장기적인 자산 가치를 창출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오렌지 이즈 더 뉴 블랙(Orange Is the New Black), 오자크(Ozark), 종이의 집(Money Heist) 모두 2025년 상반기에 1억 시간 이상 시청되었다. 이들 작품은 각각 완결된 지 수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새로운 시청자들을 끌어들이고 기존 팬들의 재시청을 유도하고 있다. 영화 부문에서는 레드 노티스(Red Notice), 레오(Leo), 위 캔 비 히어로즈(We Can Be Heroes)가 각각 2천만 뷰 이상을 기록하며 오리지널 영화의 장기적 가치를 입증했다.

이러한 현상은 Netflix의 콘텐츠 투자 전략이 얼마나 현명한지를 보여준다. 높은 제작비를 투입해 만든 오리지널 콘텐츠들이 출시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시청자들에게 소비되면서 투자 대비 효과를 극대화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Netflix가 다른 스트리밍 서비스들과 차별화되는 핵심 경쟁력 중 하나로 평가된다.

Original Content's Long-term Value Proven: Sustainable Investment Model

The continued value of Netflix original content is also noteworthy. Netflix Originals continue captivating audiences years after release, with nearly half of Netflix Original viewing in this report coming from titles released before 2023. This means Netflix's content investment creates long-term asset value rather than just one-time consumption.

"Orange Is the New Black," "Ozark," and "Money Heist" were all watched for over 100 million hours in the first half of 2025. Despite completing years ago, these works continue attracting new viewers and encouraging rewatching from existing fans. In films, "Red Notice," "Leo," and "We Can Be Heroes" each recorded over 20 million views, proving original films' long-term value.

This phenomenon shows how wise Netflix's content investment strategy is. High-budget original content continues being consumed by viewers after release, maximizing return on investment. This is evaluated as one of Netflix's core competitive advantages differentiating it from other streaming services.

주가 1년간 2배 상승, 스트리밍 시장 독주 체제 확립

Netflix는 패스워드 공유 제한, 광고 사업 구축, 가격 인상 성공으로 촉발된 성장세를 이어가며 지난 1년간 주가가 거의 2배 상승했다. 실적 발표 후 시간 외 거래에서는 주가가 1% 미만 하락했지만, 이는 이미 높은 기대치가 반영된 주가에서 나타나는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해석된다.

다른 엔터테인먼트 회사들이 케이블 사업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Netflix는 이러한 문제를 겪지 않으면서 지배적인 글로벌 스트리밍 서비스로 확고히 자리잡았다. 전통적인 미디어 기업들이 케이블 TV 구독자 감소와 광고 수익 하락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반면, Netflix는 스트리밍 네이티브 플랫폼으로서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하고 있다.

3분기 전망으로는 매출 115억 달러를 예상한다고 발표했으며, 이는 2024년 3분기 대비 17% 이상 증가한 수치로 회원, 가격 책정, 광고 수익 성장에 의해 견인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영업 마진은 31%로 전년 동기 대비 2%포인트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지만, Netflix는 "과거 연도들과 유사하게, 더 큰 하반기 라인업과 관련된 높은 콘텐츠 상각 및 판매 마케팅 비용으로 인해 2025년 하반기 영업 마진이 상반기보다 낮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Stock Price Doubles in One Year: Streaming Market Dominance Established

Netflix has continued growth momentum triggered by password sharing restrictions, advertising business construction, and successful price increases, with stock price nearly doubling over the past year. After earnings announcement, shares declined less than 1% in after-hours trading, interpreted as natural phenomenon from stock price already reflecting high expectations.

While other entertainment companies struggle with cable business difficulties, Netflix doesn't face these issues while firmly establishing itself as the dominant global streaming service. Traditional media companies struggle with declining cable TV subscriptions and falling advertising revenue, while Netflix maximizes advantages as a streaming-native platform.

For Q3 outlook, Netflix announced expecting $11.5 billion in revenue, representing over 17% increase from Q3 2024, driven by member, pricing, and advertising revenue growth. Operating margin is projected at 31%, up 2 percentage points year-over-year, though Netflix noted that "similar to past years, we expect 2025 second-half operating margins to be lower than first-half due to higher content amortization and sales marketing costs related to larger second-half lineup."

글로벌 현지화 전략의 성공, 각국 문화의 보편적 어필 발견

Netflix의 성공은 단순히 미국 콘텐츠를 전 세계에 수출하는 것을 넘어서, 각국의 고유한 문화와 스토리텔링을 글로벌 관객들에게 소개하는 플랫폼 역할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한국의 오징어 게임, 스페인의 종이의 집, 독일의 다크(Dark) 등이 글로벌 히트를 기록한 것처럼, 각국의 독특한 문화적 배경과 사회적 이슈를 다룬 콘텐츠들이 언어와 문화의 장벽을 넘어 전 세계 관객들에게 어필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글로벌화 시대에 오히려 로컬 문화의 고유성과 진정성이 더욱 가치 있게 평가받고 있음을 시사한다. 관객들은 자신들이 경험해보지 못한 새로운 문화와 관점에 대한 호기심과 갈증을 가지고 있으며, Netflix는 이러한 수요를 충족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한국 콘텐츠의 성공은 이러한 트렌드의 선두에 서 있다. 한국의 사회적 이슈, 인간관계의 미묘함, 독특한 유머 감각, 그리고 높은 제작 품질이 결합되어 글로벌 관객들에게 신선한 충격을 주고 있다. 이는 한국 콘텐츠 산업에게 매우 긍정적인 신호이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성장 가능성을 보여준다.

Success of Global Localization Strategy: Discovering Universal Appeal of Each Nation's Culture

Netflix's success shows it's successfully performing a platform role introducing each country's unique culture and storytelling to global audiences, beyond simply exporting American content worldwide. Like Korea's "Squid Game," Spain's "Money Heist," and Germany's "Dark" becoming global hits, content dealing with each country's unique cultural backgrounds and social issues appeals to worldwide audiences transcending language and cultural barriers.

This phenomenon suggests that in the globalization era, the uniqueness and authenticity of local cultures are being valued more highly. Audiences have curiosity and thirst for new cultures and perspectives they haven't experienced, and Netflix fulfills this demand.

Korean content's success particularly leads this trend. Korea's social issues, subtle human relationships, unique humor sense, and high production quality combine to give global audiences fresh impact. This is a very positive signal for Korea's content industry, showing continued growth potential.

한국 콘텐츠 산업에 주는 메시지: 무한한 가능성의 시대

넷플릭스의 이런 성과는 한국 콘텐츠가 글로벌 스트리밍 시장에서 핵심 성장 동력으로 자리잡았음을 명확히 보여준다. 오징어 게임의 압도적 성공과 함께 다양한 장르의 한국 콘텐츠가 글로벌 관객들을 사로잡고 있어, K-콘텐츠가 Netflix의 핵심 성장 엔진 중 하나가 되었다.

이는 한국 콘텐츠 제작자들과 투자자들에게 매우 중요한 메시지를 전달한다. 더 이상 한국 콘텐츠가 한국 시장이나 아시아 시장에 국한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글로벌 시장을 처음부터 염두에 두고 기획하고 제작한다면, 충분히 세계적인 성공을 거둘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었다.

특히 웹툰 IP의 성공적인 영상화는 한국이 보유한 방대한 디지털 콘텐츠 자산들이 글로벌 영상 콘텐츠로 전환될 수 있는 무한한 가능성을 시사한다. 수백, 수천 개의 웹툰 작품들이 Netflix와 같은 글로벌 플랫폼에서 시리즈나 영화로 제작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Message to Korean Content Industry: An Era of Infinite Possibilities

Netflix's achievements clearly show Korean content has established itself as a core growth driver in the global streaming market. With Squid Game's overwhelming success and various genres of Korean content captivating global audiences, K-content has become one of Netflix's key growth engines.

This delivers very important messages to Korean content creators and investors. Korean content no longer needs to be limited to Korean or Asian markets. If planned and produced with global markets in mind from the start, there's sufficient environment to achieve worldwide success.

The successful adaptation of webtoon IP particularly suggests infinite possibilities for Korea's vast digital content assets to be converted into global video content. Hundreds and thousands of webtoon works have potential to be produced as series or films on global platforms like Netflix.

결론: 한국 콘텐츠가 글로벌 스트리밍 판도를 바꾸다

950억 시간의 시청 시간, 16% 매출 증가, 34.1% 영업 마진이라는 기록적 성과를 바탕으로 Netflix는 글로벌 스트리밍 시장에서의 독보적 지위를 더욱 공고히 하고 있다. 비영어권 콘텐츠가 전체 시청의 3분의 1 이상을 차지하는 현상은 글로벌 콘텐츠 시대의 본격적 개막을 알리는 신호이며, 그 중심에 한국 콘텐츠가 있다는 점은 한국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미래에 매우 긍정적인 전망을 제시한다.

넷플릭스의 성공은 단순히 한 기업의 성장을 넘어서, 글로벌 문화 콘텐츠 시장의 패러다임 변화를 보여준다. 과거 할리우드 중심의 일방향적 문화 수출 시대가 끝나고, 각국의 고유한 문화와 창작물이 글로벌 무대에서 경쟁하는 다극화 시대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것이다. 그리고 한국은 이 새로운 시대의 선두주자로 자리잡고 있다.

앞으로 한국 콘텐츠 산업은 이러한 글로벌 트렌드를 적극 활용하여 더욱 다양하고 창의적인 작품들을 선보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Netflix의 성공은 한국 콘텐츠의 무한한 가능성을 보여주는 동시에, 전 세계가 한국의 이야기에 귀 기울이고 있다는 강력한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

Conclusion: Korean Content Changes Global Streaming Landscape

Based on record achievements of 95 billion viewing hours, 16% revenue increase, and 34.1% operating margin, Netflix further solidifies its unparalleled position in the global streaming market. The phenomenon of non-English content accounting for over one-third of total viewing signals the full opening of the global content era, with Korean content at its center presenting very positive prospects for Korea's entertainment industry future.

Netflix's success shows paradigm shift in the global cultural content market beyond just one company's growth. The era of Hollywood-centered unidirectional cultural export has ended, and the multipolar era where each country's unique culture and creative works compete on the global stage has truly begun. Korea has established itself as a leader in this new era.

Looking forward, Korea's content industry can be expected to present even more diverse and creative works actively utilizing these global trends. Netflix's success shows Korean content's infinite possibilities while delivering the powerful message that the entire world is listening to Korea's sto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