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디 영화와 로스앤젤레스의 상생, 그리고 한국 영화계에의 시사점(How Indie Film and Los Angeles Can Help Each Other — and What It Means for Korean Cinema)


최근 한국 영화산업은 OTT 시장의 급성장, 대형 스튜디오 위주 투자, 그리고 코로나19 이후의 제작 환경 변화로 대규모 프로젝트에 집중되는 경향이 두드러지고 있다. 그러나 관객들의 취향이 다양해지고, 새로운 스토리텔링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면서, 중소 규모의 인디 영화에 대한 관심도 함께 커지고 있다. 미국의 할리우드 중심지인 로스앤젤레스(LA) 역시 대형 블록버스터 이탈 속에서 인디 영화가 새로운 돌파구로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흐름은 한국 영화계에도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이 기사는 버라이어티가 게재한 분석 기사를 참고해 작성됐다.


The Korean film industry has recently been leaning toward large-scale projects due to the rapid expansion of OTT platforms, major studio investments, and post-pandemic production challenges.

However, with audiences diversifying and seeking new storytelling experiences,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smaller-scale indie films as well. Meanwhile, in Los Angeles—often regarded as the heart of Hollywood—indie film has emerged as a potential lifeline amid the exodus of big-budget blockbusters. This shift carries meaningful implications for the Korean film sector, too.

This article was adapted from an analyst article published by Variety.

인디 영화와 로스앤젤레스의 상생, 그리고 한국 영화계에의 시사점

1. 위기 속에서 발견한 희망의 조짐

최근 들어 로스앤젤레스(LA)의 영화·TV 산업을 둘러싼 소식은 부정적인 내용 일색이다. 2023년 1분기 LA 지역의 촬영 건수는 전년 동기 대비 22% 줄었고, 이는 지난 5년 평균치와 비교해도 33% 이상 감소한 수준이다. 대형 미디어 기업들의 스트리밍 전략 재편, 코로나19 팬데믹 이후의 제작 지연, 거시경제적 압박 등 여러 요소가 겹치며 LA의 촬영 건수는 급감했다.

그러나 지난 3월, 캘리포니아 필름 커미션(California Film Commission)이 발표한 영화 세액공제 프로그램 승인 결과에서 한 가지 의미 있는 신호가 포착되었다. 무려 51편의 영화 프로젝트가 세액공제 대상에 선정되었고, 이는 단일 신청 기간으로는 사상 최대 규모다. 캘리포니아 주지사 개빈 뉴섬(Gavin Newsom)은 “이번 결정이 많은 스태프들과 지역 비즈니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내비쳤다.

물론 승인 건수가 많아졌다고 해서 곧바로 LA 제작 시장이 전성기로 돌아가는 것은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프로젝트들이 로컬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고, 특히 독립영화(인디 영화) 섹터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1. Glimmers of Hope in a Time of Crisis

The film and TV industry in Los Angeles (LA) has been surrounded by bleak headlines. In Q1 2023, on-location productions in LA dropped 22% year-over-year, down more than 33% compared to the five-year average. Major media companies’ evolving streaming strategies, lingering production delays post-COVID-19, and broader economic pressures have all contributed to this steep decline.

Yet, a noteworthy development emerged in March when the California Film Commission announced its latest round of tax credit allocations: 51 film projects were approved for the program, marking the largest single-application tally in the program’s history. California Governor Gavin Newsom expressed optimism, saying the initiative would “help support thousands of local jobs and businesses.”

While an increase in approved projects doesn’t automatically herald a return to LA’s former production heights, these new undertakings could inject some vitality into the local economy—particularly in the independent film (indie) sector.

2. 대형 텐트폴 영화의 이탈과 인디 영화의 부상

버라이어티는 최근 LA지역 제작 트렌드를 분석했다. 캘리포니아 필름 커미션이 최근에 승인한 51편 중 46편은 인디 영화 프로젝트이며, 특히 이들 가운데 43편은 예산 규모가 1,000만 달러 이하이다. 2020년부터 예산 규모를 추적하기 시작한 이래, 1,000만 달러 미만 인디 영화의 비중이 이렇게까지 높았던 적은 없었다. 2023~2024 회계연도 전체(여러 차례의 신청 기간을 포함)로 보면, 80% 이상이 1,000만 달러 이하 예산의 인디 영화다.


1억 달러 이상 영화 제작지(2018~2025) 분석

순위지역제작 건수
1영국 및 아일랜드65
2미국 조지아 주30
3미국 로스앤젤레스26
4캐나다17
4호주 및 뉴질랜드17
6미국 뉴욕10

영국 및 아일랜드가 65편으로 압도적으로 많은 1억 달러 이상 예산 영화의 촬영지로 선정되어, 글로벌 블록버스터 제작의 중심지임. 조지아(미국)가 30편으로 2위를 기록했는데, 이는 세제 혜택 등 정책적 지원 효과로 해석

로스앤젤레스(26편), 캐나다(17편), 호주·뉴질랜드(17편)도 주요 대형 영화 제작지로 자리잡고 있음. 뉴욕은 10편으로 상대적으로 적지만 여전히 주요 로케이션 중 하나.


한편, 1억 달러 이상의 제작비가 투입되는 ‘텐트폴’ 영화들은 세액공제나 인프라 면에서 더욱 매력적인 조지아주나 영국 등지로 빠져나가고 있다. 2018년부터 2025년까지 제작·개봉되었거나 예정된 1억 달러 이상 규모의 영화 136편 중, LA에서 촬영한 경우는 26편에 불과하다. 그나마도 LA를 ‘주 촬영지’로 활용하기보다는 다른 지역에서 촬영한 후 보조적으로 활용하는 사례가 대다수다.

즉, 이번에 승인된 다수의 프로젝트는 ‘할리우드 블록버스터’가 아닌, 상대적으로 예산이 작은 인디 영화가 중심을 이루고 있다. 이는 큰 폭발적 경제 효과로 이어지진 않겠지만, 어느 정도의 일자리 창출과 지역 경제 활성화에는 도움이 될 전망이다. 캘리포니아 필름 커미션에 따르면 이번 승인을 통해 약 6,500개의 일자리와 3억4,700만 달러의 임금이 발생할 것으로 추산된다.

2. The Flight of Big Tentpoles and the Rise of Indie Films

Of the 51 newly approved projects by the California Film Commission, 46 are indie films, and 43 of those have budgets of $10 million or less. According to commission data since 2020, the percentage of sub-$10 million indie projects has never been higher. Across the 2023–2024 fiscal year, over 80% of the projects receiving tax credit approval are indie films with budgets under $10 million.

Meanwhile, tentpole productions with budgets exceeding $100 million increasingly opt for locations like Georgia or the U.K., where tax incentives and infrastructure often prove more favorable. Between 2018 and 2025, of 136 films with budgets over $100 million, only 26 filmed even partially in LA. Most used the city merely as a secondary location rather than a primary shooting site.

In other words, rather than heralding a wave of Hollywood blockbusters, LA’s new projects are predominantly indie. This may not generate the same massive economic impact as tentpole productions, but it can still create meaningful jobs and bolster the local economy. The California Film Commission estimates that these approved projects will bring about 6,500 jobs and $347 million in wages.

3. LA 시 정부의 규제 완화 움직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