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EZ's 'K-Con Land' to Become Asia's Hollywood Amid K-Content's Rise(인천경제청, 'K-콘 랜드' 정부 지원사업 선정으로 아시아 할리우드 도약 박차)

인천경제청, 'K-콘 랜드' 정부 지원사업 선정 아시아 할리우드 도약 박차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이하 인천경제청)이 추진 중인 'K-콘 랜드(K-Con Land)'가 정부의 외국인 투자유치 상품화 지원사업에 최종 선정됐다. 이로써 국비 5300만원과 시비 2300만원 등 총 7600만원 규모의 투자전략 수립 용역이 본격 추진되며, 사업 구체화와 글로벌 투자유치에 더욱 박차를 가할 전망이다.

인천경제청은 20일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무역투자진흥공사(KOTRA)가 공동 주관한 '2025 외국인 투자유치 프로젝트 상품화 지원사업'에 K-콘 랜드가 최종 선정됐다"고 밝혔다.

이번 선정으로 △투자유치 전략 수립 △타깃 기업 발굴 △투자설명회(IR) 및 마케팅 등의 지원을 받을 예정이다. 또한 코트라 프로젝트 매니저(PM)를 통한 투자유치 자문도 병행된다.

IFEZ's 'K-Con Land' to Become Asia's Hollywood Amid K-Content's Rise as Global Mainstream Culture

The Incheon Free Economic Zone Authority's (IFEZ) 'K-Con Land' project has been selected for the government's foreign investment attraction commercialization support program. This selection will facilitate a comprehensive investment strategy formulation service worth 76 million won, including 53 million won in national funds and 23 million won in city funds, accelerating the project's development and global investment attraction.

The IFEZ announced on the 20th that "K-Con Land has been selected for the '2025 Foreign Investment Attraction Project Commercialization Support Program' jointly organized by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and the Korea Trade-Investment Promotion Agency (KOTRA)." This selection will provide support for investment strategy development, target company identification, and investment relations (IR) and marketing activities. Investment attraction consulting through a KOTRA project manager (PM) will also be provided.

IFEZ

"공항경제권 활용해 글로벌 콘텐츠 허브 만든다"

인천경제청이 구상하는 K-콘 랜드는 인천국제공항 근접 지역인 영종·청라 일대에 영상·문화·관광 산업을 융합한 복합클러스터를 조성하는 프로젝트다. 'K-콘(CON)'은 콘텐츠(Contents), 컨벤션(Convention), 연결(Connection)의 합성어로, 문화 콘텐츠의 생산과 소비, 관광 산업이 융합된 복합 문화산업 단지를 의미한다.

최근 스트리밍 서비스의 발달과 국제 공동제작 확대로, 대규모 스튜디오 및 문화시설을 공항 주변에 집약하는 전략이 더욱 주목받고 있다.

실제로 윤원석 인천경제자유구역청장은 최근 아시아경제(Asia Economy)와의 인터뷰에서 "우리나라는 제조업 수출이 관세 등 각종 무역장벽에 부딪히고 있지만, K-팝·K-드라마로 대표되는 K-콘텐츠는 세계적으로 높은 수요와 팬덤을 갖춘 '국경 없는 사업'"이라며 "공항에서 멀리 떨어진 서울 상암지역보다 인천 영종·청라에 스튜디오 등을 집약해 '아시아의 할리우드'로 도약하겠다"고 말했다.

윤 청장은 K-콘텐츠 제작 거점으로서 인천의 경쟁력을 '공항경제권'에서 찾고 있다고 아시아경제와의 인터뷰에서 강조했다. "해외 잠재 투자기업 입장에서 볼 때 공항 인근 30분 거리의 입지 조건은 굉장히 매력적이다. 여기에다 전력 공급망과 통신 네트워크 인프라를 집약할 수 있는 여건도 갖추고 있다.

지금은 서울 상암이 K-콘텐츠를 제작하는 거점 할을 하고 있지만, 스튜디오가 분산돼있고 공항에서 이동 시간도 길어 비효율적이다. 국제공항과 인접한 인천 영종·청라에 할리우드처럼 집약적 콘텐츠 제작 방식과 전 세계 배급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Incheon Free Economic Zone K-Content Land Development Plan
LabelKorean NameEnglish TranslationDescription
A청라 영상문화 복합단지 (SOM CITY)Cheongna Video Culture ComplexMedia and video industry hub
B문화기술 복합단지Cultural Technology ComplexCultural technology industries
C문화복합단지 (아마존시티)Cultural Complex (Amazon City)Themed cultural/entertainment area
D메가 테마파크Mega Theme ParkLarge-scale theme park
E메가 테마파크Mega Theme ParkAnother section or emphasis
F해외복합문화단지Overseas Complex Cultural Zone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facilities

The map is designed to show the planned integration of cultural, entertainment, and economic facilities in the Incheon Free Economic Zone, with a strong emphasis on "K-Content" (Korean content) industries, tourism, and international business

"Creating a Global Content Hub Utilizing the Airport Economic Zone"

The K-Con Land envisioned by the IFEZ is a project to establish a comprehensive cluster integrating video, cultural, and tourism industries in the Yeongjong and Cheongna areas near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The term 'K-Con' is a combination of Contents, Convention, and Connection, representing a complex cultural industrial complex where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cultural content are integrated with the tourism industry. 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online video services (OTT) and expansion of international co-production, the strategy of concentrating large-scale studios and cultural facilities around airports is gaining more attention.

In a recent interview with Asia Economy, IFEZ Commissioner Yun Won Sok said, "While Korea's manufacturing exports are facing various trade barriers such as tariffs, K-content represented by K-pop and K-dramas is a 'borderless business' with high global demand and fandom." He added, "Rather than the Sangam area in Seoul, which is far from the airport, we will concentrate studios and facilities in Incheon's Yeongjong and Cheongna areas to leap forward as 'Asia's Hollywood'."

In his interview with Asia Economy, Commissioner Yoon emphasized that he finds Incheon's competitive edge as a K-content production base in its "airport economic zone." "From the perspective of potential foreign investors, a location within 30 minutes of the airport is extremely attractive. In addition, we have the conditions to concentrate power supply networks and telecommunications infrastructure.

Currently, Seoul's Sangam serves as the hub for K-content production, but it's inefficient because studios are scattered and travel time from the airport is long. We plan to establish a Hollywood-like intensive content production method and global distribution system in Incheon's Yeongjong and Cheongna areas, which are adjacent to the international airport."

글로벌 K-콘텐츠, 대중문화의 메인스트림으로 부상

인천경제청의 K-콘 랜드 구상은 K-콘텐츠가 글로벌 대중문화의 '메인스트림'으로 자리 잡고 있는 현상과 맞물려 더욱 의미를 갖는다. K-드라마, K-팝, K-푸드, K-뷰티 등 한국 문화콘텐츠는 전 세계적으로 폭발적인 인기를 누리며, 단순한 유행을 넘어 대중문화의 '메인스트림'으로 자리 잡았다. 특히 넷플릭스, 유튜브 등 글로벌 플랫폼에서 K-콘텐츠는 시청률과 화제성 모두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전 방송통신위원회 상임위원을 역임하고 현재 동국대 AI융합대학 석좌교수로 재직 중인 고삼석 교수는 "K-콘텐츠가 최근 몇 년간 글로벌 시장에서 비약적으로 발전해 전 세계 대중문화의 주류(Mainstream)로 확고히 자리 잡았다"고 평가했다. 특히 그는 K-콘텐츠의 글로벌 확산을 현장에서 직접 관찰·분석하며, 이러한 현상이 한국 문화산업의 근본적 경쟁력에서 비롯됐다고 분석한다.

고삼석 동국대학교 AI융합대학 석좌교수(distinguished Professor at Dongguk University's AI Convergence College)

미디어 조사기관 암페어 애널리시스(Ampere Analysis)에 따르면, K-콘텐츠는 넷플릭스에서 미국 콘텐츠에 이어 두 번째로 인기 있는 콘텐츠로 자리 잡았다. 2023년 기준 넷플릭스 전체 시청 시간의 8~9%를 차지하며, 영국(7~8%), 일본(4~5%) 콘텐츠를 앞질렀다.

2020년 2%였던 넷플릭스 내 K콘텐츠 비중은 2024년 6.8%로 증가했으며, 2030년에는 10~15%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넷플릭스는 이러한 성장세에 주목해 2028년까지 한국 콘텐츠에 25억 달러(약 3조 5708억 원)를 투자할 계획이며, 올해만 40편 이상의 한국 오리지널을 공개할 예정이다.

고삼석 교수는 "K-콘텐츠는 독창적인 IP, 스토리, 한국 특유의 정서와 감성을 바탕으로 전 세계 소비자와 공명(Resonance)을 이끌어내고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오징어 게임', '더 글로리' 같은 한국 오리지널 콘텐츠의 세계적 성공으로 글로벌 제작사들이 한국에서의 콘텐츠 제작과 투자에 적극적인 관심을 보이고 있다. 또한 넷플릭스를 통해 K콘텐츠를 접한 해외 시청자의 72%가 한국 방문 의향을 보이는 등, 한국 문화 전반에 대한 호감도 상승 효과('넷플릭스 효과')도 크게 나타나고 있다.

The IFEZ's K-Con Land vision gains even more significance as K-content firmly establishes itself as a 'mainstream' element of global popular culture. K-dramas, K-pop, K-food, K-beauty, and other Korean cultural content are enjoying explosive popularity worldwide, going beyond mere trends to establish themselves as 'mainstream' in popular culture. In particular, K-content stands out in both viewership and buzz on global platforms such as Netflix and YouTube.

Professor Samseog Ko, a former standing commissioner of the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KCC) and distinguished Professor at Dongguk University's AI Convergence College, has evaluated that "K-content has developed dramatically in the global market in recent years and has firmly established itself as a mainstream in global popular culture." Particularly, through direct observation and analysis of the global spread of K-content in the field, he analyzes that this phenomenon stems from the fundamental competitiveness of Korea's cultural industry.

According to media research firm Ampere Analysis, K-content has established itself as the second most popular content on Netflix after American content. As of 2023, it accounts for 8-9% of total Netflix viewing time, surpassing content from the UK (7-8%) and Japan (4-5%).

The proportion of K-content on Netflix has increased from 2% in 2020 to 6.8% in 2024, and is projected to grow to 10-15% by 2030. Noting this growth trend, Netflix plans to invest $2.5 billion (approximately 3.57 trillion won) in Korean content by 2028, with more than 40 Korean originals set to be released this year alone.

Professor Ko analyzed that "K-content is creating resonance with consumers worldwide based on original IP, stories, and Korea's unique sentiments and sensibilities." In particular, the global success of Korean original content such as 'Squid Game' and 'The Glory' has sparked active interest from global production companies in content production and investment in Korea.

Additionally, 72% of overseas viewers who have been exposed to K-content through Netflix have expressed intentions to visit Korea, demonstrating a significant boost in overall favorability toward Korean culture (the 'Netflix effect').

싱가포르 사례와 K컬처의 미래 과제

고삼석 교수는 최근 싱가포르 현지 조사를 통해 K-콘텐츠의 글로벌 확산 현상을 실증적으로 분석했다. 그에 따르면 싱가포르에서는 OTT TV드라마 부문 10위권 내에 3~4개의 K-드라마가 꾸준히 포진하고, K-팝 아티스트들의 공연도 연중 이어지며, 이로 인해 한식당, K-푸드, K-뷰티 등 연관 산업도 함께 성장하고 있다.

"싱가포르는 작은 도시국가이지만 K-콘텐츠의 강력한 영향력을 볼 수 있는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현지 조사 결과, 싱가포르에만 300여 개의 한식당이 운영될 정도로 K-푸드의 인기가 높고, 싱가포르 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는 66%가 한국에 긍정적 인식을 보였으며, 15~19세 젊은 층에서는 무려 71%가 긍정적으로 답했습니다."

고 교수는 "K-콘텐츠의 힘은 한 국가의 문화를 총체적으로 전파하는 데 있다"며, "드라마나 K-팝이 인기를 얻으면 자연스럽게 한식, 화장품, 패션 등으로 관심이 확장되고, 이는 관광으로까지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를 만든다"고 설명했다.

한편, 고 교수는 K-콘텐츠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 "콘텐츠 판매를 뛰어넘어 첨단 기술을 접목한 엔터테크(Enter-Tech) 분야 개척, 콘텐츠 IP 투자 유치 등 새로운 한류 확산 모델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기술은 K콘텐츠 비즈니스의 판도를 바꿀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며, 미디어와 콘텐츠 산업의 혁신 방향으로 AI 등 첨단 기술과의 융합, 글로벌 네트워킹, 현지화 전략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고 교수는 한류가 세계 주류 문화로 성장한 지금, 정부와 기업의 글로벌 전략이 더욱 정교해져야 한다고 조언했다. "단기 실적이나 정치적 활용에만 치중할 것이 아니라, 장기적 비전과 소비자에게 제시할 가치를 고민해야 한다"는 지적과 함께 "K-콘텐츠를 중심으로 한 한류는 경제적 효과뿐 아니라, 국가 이미지와 위상 제고에도 크게 기여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Singapore Case Study and Future Challenges of K-Culture: Professor Ko's Perspective

Professor Sam seog Ko has empirically analyzed the global influence of K-content through a recent field study in Singapore. According to his analysis, in Singapore, 3-4 K-dramas consistently rank in the top 10 in the OTT TV drama category, K-pop artists' performances continue throughout the year, and related industries such as Korean restaurants, K-food, and K-beauty are growing together.

"Singapore, though a small city-state, is a prime example where you can observe the powerful influence of K-content. My field research reveals that there are around 300 Korean restaurants operating in Singapore alone, indicating the high popularity of K-food. In a survey of 1,000 Singaporean citizens, 66% showed a positive perception of Korea, with as many as 71% of the young population aged 15-19 answering positively."

Professor Ko explained, "The power of K-content lies in its ability to comprehensively spread a country's culture. When dramas or K-pop gain popularity, interest naturally expands to Korean food, cosmetics, fashion, and so on, creating a virtuous cycle that extends to tourism."

Meanwhile, Professor Ko emphasized that for the sustainable growth of K-content, "Beyond content sales, a new Korean Wave diffusion model is needed, such as pioneering the Enter-Tech field that incorporates advanced technology and attracting investment in content IP." He also argued that "Technology has the potential to change the landscape of the K-content business,"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convergence with advanced technologies such as AI, global networking, and localization strategies for innovation in the media and content industry.

Professor Ko advised that now that the Korean Wave has grown into a mainstream global culture, the global strategies of the government and businesses need to become more sophisticated.

Along with his observation that "Rather than focusing solely on short-term performance or political utilization, they should contemplate long-term vision and the value to be presented to consumers," he also diagnosed that "The Korean Wave centered on K-content not only has economic effects but also contributes greatly to enhancing the national image and status."

K-콘 랜드, 첨단 기술과 콘텐츠의 융합 거점으로

K-콘텐츠의 영향력은 드라마와 영화를 넘어 K팝, K푸드, K뷰티 등 다양한 영역으로 확대되고 있다. 2025년 글로벌 한류 조사에 따르면, K팝은 8년 연속 한국을 대표하는 문화로 선정됐으며, 17.8%의 응답자가 '한국 하면 K팝'을 가장 먼저 떠올렸다. 여기에 인천경제청의 K-콘 랜드 프로젝트는 이러한 K-콘텐츠의 글로벌 영향력을 인프라 및 산업 생태계 구축을 통해 더욱 체계화하고 확장하는 의미 있는 시도로 볼 수 있다.

고삼석 교수는 "K-콘텐츠의 성공은 콘텐츠 자체의 힘뿐 아니라, 정부와 민간의 협력, 그리고 창의적인 후속 세대의 등장이 뒷받침하고 있다"며, K-콘 랜드와 같은 프로젝트가 K-콘텐츠 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와 관련해 윤원석 청장은 아시아경제와의 인터뷰에서 "콘텐츠 제작 경비가 1일 때 지역경제 파급은 7~10배에 달한다"며 "미국이나 몽골 등에서도 제작비 환급(Rebate), 세제 혜택 등을 적극 활용하는 만큼, 경제자유구역법 개정과 영상·문화산업 특례조항 등을 통해 해외 제작사 유치를 위한 인센티브 확대가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현재 국내 영상 제작 인센티브 예산이 선진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2003년 기준 한국의 영상 제작 인센티브 예산(국·시비 포함)은 29억원에 불과하다. 특히 최근 몽골이 제작비 환급 명목으로 45%의 리베이트를 지급하겠다고 발표하는 등 아시아 경쟁국들이 영상 제작 지원을 확대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한국도 이에 대응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K-Con Land: Hub for Integration of Advanced Technology and Content

The influence of K-content is expanding beyond dramas and films to various areas including K-pop, K-food, and K-beauty. According to the 2025 Global Korean Wave Survey, K-pop has been selected as Korea's representative culture for eight consecutive years, with 17.8% of respondents first thinking of 'K-pop' when thinking of Korea. In this context, IFEZ's K-Con Land project can be seen as a meaningful attempt to systematize and expand this global influence of K-content through infrastructure and industrial ecosystem building.

Professor Ko noted that "The success of K-content is supported not only by the power of the content itself, but also by cooperation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private sector, and the emergence of creative subsequent generations," and evaluated that projects like K-Con Land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sustainable growth of the K-content industry.

In this regard, Commissioner Yoon emphasized in his interview with Asia Economy, "When content production expenses are 1, the regional economic impact reaches 7-10 times. Just as countries like the United States and Mongolia actively utilize production cost refunds (rebates) and tax benefits, it is essential to expand incentives for attracting foreign production companies through amendments to the Free Economic Zone Act and special provisions for the visual and cultural industries."

There have been criticisms that Korea's budget for video production incentives is relatively insufficient compared to advanced countries. As of 2003, Korea's budget for video production incentives (including national and city funds) is only 2.9 billion won. In particular, voices are growing that Korea should respond to the movement of Asian competitor countries to expand support for video production, especially as Mongolia recently announced that it would pay a 45% rebate in the name of production cost refunds.

"연 5000만 명 방문·5만 개 일자리 창출 목표"

인천경제청은 K-콘 랜드가 본궤도에 오를 경우 연 5000만 명 방문객 유치, 문화콘텐츠 수출액 약 10조 원, 100개 이상의 관련 기업 유치, 5만 개 일자리 창출을 전망하고 있다. 특히 글로벌 스튜디오가 대거 들어서면 K-콘텐츠의 세계 시장 점유율을 더욱 끌어올리는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윤 청장은 "K-콘 랜드는 콘텐츠와 지식 기반 산업의 핵심 성장 플랫폼"이라며 "정부 지원과 함께 구체적 투자 전략을 마련해 전 세계 고객과 제작사를 인천으로 끌어오겠다"고 말했다.

이 프로젝트는 정부의 'K콘텐츠 글로벌 4대 강국 도약 전략'에 발맞춘 것으로, 향후 인천경제청은 사업 대상지로 인천국제공항과 인접한 영종 4곳, 청라 2곳 등 총 6개 사업지구를 대상으로 마스터플랜을 수립할 예정이다. 오는 6월부터 특화 사업을 개발하는 마스터플랜 연구용역을 착수할 계획이며, 윤 청장은 "마스터플랜에는 로케이션 매니저 등 전문인력 양성이나 스튜디오 증설, 교통 통제 등 행정지원 체계까지 담을 것"이라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K-콘 랜드 프로젝트가 단순한 물리적 시설 구축을 넘어 AI 등 첨단 기술과의 융합, 글로벌 네트워킹, 현지화 전략을 포괄하는 플랫폼으로 발전한다면, K-콘텐츠 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과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K-콘텐츠를 중심으로 한 한류는 경제적 효과뿐 아니라, 국가 이미지와 위상 제고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갖고 있다는 이야기다.

"Targeting 50 Million Annual Visitors and 50,000 Job Creation"

The IFEZ forecasts that when K-Con Land gets on track, it will attract 50 million visitors annually, generate cultural content exports of about 10 trillion won, attract over 100 related companies, and create 50,000 jobs. In particular, the establishment of numerous global studios is expected to serve as a foundation for further increasing K-content's global market share.

Commissioner Yoon stated, "K-Con Land is a core growth platform for content and knowledge-based industries," adding, "Along with government support, we will develop specific investment strategies to attract global customers and production companies to Incheon."

The project aligns with the government's "K-content Global Top 4 Nation Leap Strategy."

Going forward, the IFEZ plans to develop a master plan for a total of six project districts near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including four in Yeongjong and two in Cheongna. The authority plans to begin a master plan research service to develop specialized businesses starting this June, and Commissioner Yoon has stated, "The master plan will include administrative support systems such as training professional personnel like location managers, expanding studios, and traffic control."

As emphasized by Professor Ko, if the K-Con Land project evolves into a platform that encompasses AI and other advanced technology convergence, global networking, and localization strategies beyond simply building physical facilities, it is expected to greatly contribute to the sustainable growth and global competitiveness of the K-content industry.

The Korean Wave centered on K-content has the potential to contribute not only to economic effects but also to enhancing the national image and stat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