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creator industry revenue of $5.3 trillion last year, up 30%(한국 크리에이터…지난해 업계 매출 5.3조, 30% 확대)

지난해 한국 디지털크리에이터 미디어 산업의 전체 매출이 5조 3159억 원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28.9%의 성장률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업체 규모는 1만 3514곳으로 약 21.5% 늘었고, 종사자는 4만 2378명으로 19.8% 증가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전파진흥협회는 12월 26일, 이러한 내용을 담은 ‘2024년 디지털크리에이터미디어산업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에서는 기존 500개였던 조사 대상(표본집단)을 1000개 기업으로 확대해 보다 폭넓은 현황을 살폈다.

Last year, the total revenue of the digital creator media industry in Korea reached KRW 5.315 trillion, a 28.9% year-on-year growth. The number of businesses increased by about 21.5% to 13,514, and the number of workers increased by 19.8% to 42,378.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 and the Korea Radio Promotion Association released the results of the '2024 Digital Creator Media Industry Survey' on the 26th, which shows the current status of the digital creator media industry in Korea last year.

The survey expanded the sample size from 500 to 1,000 companies.

조사 결과, 사업체 유형별 구성은 △영상제작 및 제작지원 1만 7개(23.8% 증가) △광고·마케팅 2132개(0.7% 감소) △매니지먼트(MCN) 1232개(49.9% 증가) △온라인 비디오 공유 플랫폼 143개(101.4% 증가) 순으로 집계됐다. 이 중 MCN은 1인 미디어 창작자를 계약해 콘텐츠의 기획부터 제작·유통, 법률, 마케팅까지 종합 지원하는 역할을 하는 기획사를 의미한다.

By type of business, the survey found that there were 10,700 video production and production support companies (up 23.8%), 2132 advertising/marketing companies (down 0.7%), 1232 management companies (MCN) (up 49.9%), and 143 online video sharing platforms (up 101.4%). MCNs are agencies that contract with independent media creators to provide comprehensive support for content planning, production, distribution, legal, and marketing.

디지털크리에이터 미디어 산업에서 한 사업체가 연평균 58.1편의 콘텐츠를 제작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분야별 매출을 살펴보면, 영상제작 및 제작지원이 2조 737억 원(전년 대비 30.5% 증가)으로 가장 컸으며, 뒤이어 광고/마케팅 1조 7,663억 원(12.6% 증가), 매니지먼트(MCN) 7,531억 원(14.1% 증가), 온라인 비디오 공유 플랫폼 7,229억 원(135.3% 증가) 순으로 나타났다.

업체당 평균 매출은 약 3억 9천만 원 수준이며, 5억 원 미만인 곳이 전체의 65.4%(8,838개)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종사자 수는 전반적으로 늘었지만, 여전히 5인 미만의 영세 사업체가 1만 1,000여 곳(83.5%)으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종사자 연령대에서는 30대 이하 청년이 58.7%로 가장 많은 비중을 기록했다.

The average business creates 58.1 pieces of content per year.

By sector, video production and production support generated KRW 2.73 trillion (up 30.5%) in revenue. Advertising/marketing generated KRW 1.76 trillion (up 12.6%), MCN generated KRW 753.1 billion (up 14.1%), and online video sharing platforms generated KRW 722.9 billion (up 135.3%).

The average revenue per company was KRW 3.9 billion, with the majority of companies (65.4%, 8,838) generating less than KRW 500 million in revenue.

Although the total number of employees increased, small businesses with fewer than five employees still accounted for the majority with more than 11,000 (83.5%). In addition, young people under 30 accounted for 58.7% of the workforce.

조사 대상 기업 중 자체 콘텐츠를 직접 제작하는 곳은 전체의 74%이며, 이들 기업은 연평균 58.1편을 제작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제작되는 콘텐츠 장르는 패션·뷰티 등 라이프스타일(36.5%)이 가장 많았고, 그 뒤로 교육·강의 등 정보전달(26.6%), 여행 등 취미(22.7%) 순이었다. 유통 플랫폼은 유튜브(68.1%), 인스타그램(10.8%), 네이버TV(7.3%) 순으로 사용 비중이 높았다.

최준호 과기정통부 방송진흥정책관은 “디지털크리에이터 미디어 산업이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과 고용을 창출하며 미디어 시장의 핵심 축으로 자리 잡았다”며 “영세 크리에이터와 사업체가 안정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책을 마련하겠다”고 전했다.

더 자세한 내용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전파진흥협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74% of businesses produce their own content, with an average of 58.1 episodes per year. The genres were lifestyle such as fashion and beauty (36.5%), information delivery such as education and lectures (26.6%), and hobbies such as travel (22.7%), and the distribution platforms were YouTube (68.1%), Instagram (10.8%), and Naver TV (7.3%).

"The digital creator media industry is becoming a core pillar of media, creating new business models and employment," said Choi Joon-ho, Broadcasting Promotion Policy Officer at MSIT. "Based on the survey, we plan to provide various support measures for the sustainable growth of small creators and businesses."

For more information, please visit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 and the Korea Radio Promotion Association we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