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크리에이터 경제, 팬데믹 이후 폭발적 성장... 미국 일자리 판도 바꾼다(Digital Creator Jobs Surge 7.5x Since the Pandemic)

디지털 크리에이터 일자리, 팬데믹 이후 7.5배 증가

미국에서 디지털 크리에이터로 풀타임 일자리를 갖게 된 사람의 수가 2020년 20만 명에서 2024년 150만 명으로 급증했다. 이는 총 2,840만 개에 달하는 미국의 인터넷 기반 일자리 중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분야로, 최근 4년간 무려 7.5배 증가한 놀라운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나도 크리에이터가 될 수 있다" - 진입장벽 크게 낮아져

26세 제시카 리(가명)는 2년 전까지만 해도 뉴욕의 마케팅 회사에서 일하는 평범한 직장인이었다. 주말마다 취미로 만들던 요리 콘텐츠가 틱톡에서 인기를 끌기 시작했고, 팔로워가 50만 명을 넘어서자 그녀는 과감히 직장을 그만두고 풀타임 크리에이터의 길을 택했다.

"처음에는 두려움도 있었지만, 지금은 브랜드 협업과 자체 제작 쿠킹 클래스를 통해 전 직장보다 더 많은 수입을 올리고 있어요. 무엇보다 내가 좋아하는 일을 하면서 살 수 있다는 게 가장 큰 행복이죠."

제시카와 같은 사례가 급증하는 배경에는 콘텐츠 제작 및 유통 툴의 혁신적 발전이 있다. 팬데믹 이후 서브스택, 비히브 같은 플랫폼이 늘어나면서 개인이 손쉽게 온라인 콘텐츠를 발행하고 수익화할 수 있게 되었다. 더불어 캡컷, 인스타그램 에딧 같은 편집 앱이 대중화되면서 전문가 수준의 영상 제작 기술이 없어도 고품질 콘텐츠를 만들 수 있게 된 것이 결정적 요인으로 작용했다.

Digital Creator Jobs Surge 7.5x Since the Pandemic

The number of full-time digital creators in the U.S. has skyrocketed from 200,000 in 2020 to 1.5 million in 2024, according to a new report. This explosive growth makes creator jobs the largest and fastest-growing segment among the 28.4 million internet-dependent jobs in the U.S. — a 7.5x increase over four years.

Rapid Expansion of the Internet Economy

A recent study, conducted every four years by the Interactive Advertising Bureau (IAB) in collaboration with Harvard Business School Professor Emeritus John Deighton, underscores the internet’s outsized impact on U.S. employment and GDP.

Year Employment (Internet-dependent) Share of U.S. GDP
2008 3 million 2%
2012 5.1 million 3%
2016 10.4 million 6%
2020 17.7 million 11%
2024 28.4 million 18%

The internet-related economy, valued at around $4.9 trillion, accounts for 18% of U.S. GDP in 2024, up sharply from 2% in 2008.

Creator-driven media revenue is growing at five times the pace of traditional media, highlighting creators’ increasing economic significance.

미국 인터넷 경제의 고용 및 GDP 기여도

아래는 미국인터넷광고사무국(Interactive Advertising Bureau, IAB)과 하버드비즈니스스쿨 명예교수인 존 데이튼(John Deighton)이 4년 주기로 작성하는 보고서에 담긴 핵심 수치다.

연도고용(명)미국 GDP 내 비중(%)
2008300만2%
2012510만3%
20161,040만6%
20201,770만11%
20242,840만18%
  • 인터넷 관련 분야가 창출하는 경제 규모(약 4.9조 달러)는 미국 GDP의 약 18%를 차지하며, 2008년 2%에서 비약적으로 확대
  • 특히 디지털 크리에이터가 창출하는 시장 규모는 전통 미디어 대비 5배 빠른 속도로 성장

소비자가 직접 ‘좋은 콘텐츠’를 결정

보고서 공동저자이자 컨설턴트인 레오라 콘펠드(Leora Kornfeld)에 따르면, “인터넷 초창기부터 소비자 개개인이 ‘판단자’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전망이 있었는데, 이제는 이를 뒷받침하는 실제 비즈니스 모델이 생겼다”라는 것이 특징이다. 개인화 알고리즘이 발전하며, 광고비도 소셜 플랫폼·스트리밍 서비스·온라인 매체 등 디지털 환경에 집중되고 있다.

미국 경제의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자리매김

미국인터넷광고사무국(IAB)과 하버드비즈니스스쿨 명예교수 존 데이튼의 공동 연구에 따르면, 인터넷 관련 분야가 창출하는 경제 규모(약 4.9조 달러)는 미국 GDP의 18%를 차지하며, 2008년 2%에서 비약적으로 확대되었다.

특히 주목할 점은 디지털 크리에이터가 창출하는 시장 규모가 전통 미디어 대비 5배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는 소비자들의 관심과 시간이 급속도로 디지털 콘텐츠로 이동하고 있음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IAB의 크리스 브루더리 부사장은 보고서에서 "미국 내 모든 의회 지역구에서, 규모를 불문하고 디지털 경제에 의존하는 일자리를 보유한 사람들이 상당수 있다"고 강조하며, 이러한 현실이 입법 및 규제 결정에 반영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Key Drivers Behind Creator Job Growth

Easier Tools and Platforms

Services like Substack and Beehiiv enable individuals to quickly launch newsletters and monetize their own digital publications.

Video-editing tools like CapCut (from ByteDance) and Instagram’s Edits make high-quality video production and distribution accessible to the average person.

Consumer-Driven Content Validation

Leora Kornfeld, principal research consultant and co-author of the report, points out that the internet’s promise of letting consumers, rather than traditional gatekeepers, decide what’s “good” has finally taken shape with viable business models.

As more ad dollars flow toward platforms that personalize content, the digital environment further empowers independent creators to find and grow audiences.

Broadening of the “Digital” Job Landscape

The digital economy now extends well beyond coding and engineering into service jobs (e.g., food delivery through DoorDash, ride-sharing via Uber, home rentals on Airbnb) and creative fields like content creation.

Creators who build businesses through content and community account for 30% of internet-dependent jobs, while service-platform workers make up about 8%.

플랫폼 경제, 기술직에서 창의직으로 확장

인터넷 일자리의 성장은 과거 코딩, 엔지니어링 같은 기술직에 한정되지 않고, 음식 배달(도어대시, 우버 등), 숙박 공유(에어비앤비), 콘텐츠 제작 같은 서비스·창의직 분야로 확대되고 있다.

그중에서도 콘텐츠와 커뮤니티를 기반으로 비즈니스를 창출하는 '크리에이터' 영역이 전체 인터넷 경제 고용의 약 30%를 차지하며, 향후에도 가장 높은 성장 가능성을 보이고 있다. 반면, 우버, 도어대시, 에어비앤비 등 공유경제 모델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인터넷 관련 일자리의 8% 정도를 차지한다.

디지털 마케팅 전문가 마이클 김은 "크리에이터 경제의 성장은 단순한 트렌드가 아닌 근본적인 패러다임의 변화"라며 "인공지능과 메타버스 기술이 발전할수록 디지털 콘텐츠 창작과 소비의 방식은 더욱 혁신적으로 변화할 것"이라고 전망한다.

미래를 위한 과제: 지속가능성과 규제의 균형

급성장하는 크리에이터 경제의 이면에는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들도 존재한다. 플랫폼 의존성, 수익 불균형, 알고리즘 변화에 따른 불안정성 등 구조적 문제들이 크리에이터들의 지속가능한 커리어 구축을 어렵게 만들고 있다.

또한 디지털 플랫폼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개인정보 보호, 콘텐츠 모더레이션, 공정 경쟁 등의 이슈가 정책적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IAB의 회원사인 구글, 메타, 아마존, 디즈니, 넷플릭스 등 주요 기업들은 성장을 저해하지 않는 선에서 합리적인 규제 프레임워크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디지털 크리에이터 경제가 이제 미국 경제의 중요한 한 축으로 자리잡았다는 사실이다. 150만 명의 풀타임 크리에이터와 그들이 만들어내는 콘텐츠 생태계는 앞으로도 계속해서 확장될 것이며, 이는 일의 개념과 경제 구조에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전망된다.

‘인터넷 경제’의 무게중심이 창작자에게 옮겨가는가

전통적 인터넷 기반의 경제 확장(쇼핑, 검색, 광고 등)은 이미 안정기에 접어들었다고 평가된다. 향후 대규모 성장은 개인 크리에이터카 주도하는 ‘콘텐츠·커뮤니티 경제’에서 비롯될 것으로 보인다.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온라인 콘텐츠 수요와 개인 맞춤형 플랫폼의 성장세가 이어진다면, 기업들은 크리에이터 지원·협업을 통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가능성이 높다.

특히, 짧은 영상 콘텐츠와 뉴스레터, 오디오 플랫폼(팟캐스트 등) 등 다양한 포맷의 개인화 콘텐츠가 대세가 되면서, 기존 미디어와의 경쟁 구도가 재편되고 있다. 기업들은 크리에이터 생태계(툴, MCN, 플랫폼, 광고, 커머스 연계)에 적극 투자해 브랜드·상품 노출을 극대화하고, 크리에이터 영향력을 활용하려 하고 있다.

Legislative and Policy Implications

The IAB commissions this report to inform U.S. lawmakers about the digital economy’s vast and growing footprint, emphasizing its role in job creation.

Chris Bruderle, IAB’s VP of Industry Insights and Content Strategy, notes that every congressional district in the country includes people whose livelihoods depend on the internet economy.

IAB members range from tech giants like Google, Meta, and Amazon to media powerhouses such as Disney, NBCUniversal, and Netflix.

Growing Corporate Interest in the Creator Economy

As the creator economy booms, traditional media and advertising groups are stepping up investments:

Publicis acquired Influential, an agency focused on creator-driven campaigns.

Live Nation purchased a majority stake in Timelin, a talent management firm specializing in creators.

These moves signal a broader push by established companies to tap into creators’ direct audience relationships, which can drive brand awareness and revenue in ways traditional marketing channels cannot match.

Analysis: Shifting Center of Gravity in the Internet Economy

While the early years of internet-driven growth relied on e-commerce, advertising, and platform-based services, the future appears increasingly shaped by individual creators who generate and monetize content across digital ecosystems. Given the accelerating demand for online content — from short-form video to newsletters and podcasts — established media players and new entrants alike are racing to support and benefit from this creator boom.

한국에 주는 메시지: “K-크리에이터 시장 확대의 기회와 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