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S2025] Media New BIZ "linear, personalization, contextual"
2025 CES 1월 8일 Business of Media Business of Media
- 모더레이터: 신시아 리틀턴(Cynthia Littleton, 버라이어티 공동 편집장)
- 패널
- 마이크 오도넬(Mike O’Donnell) – VIZIO 최고 매출·전략성장 책임자(CRO)
- 앨리슨 레빈(Alison Levin) – NBC유니버설 광고 부문 사장
- 도나 스페셜레(Donna Speciale) – 텔레비사 유니비전(TelevisaUnivision) 광고·마케팅 사장
- 사미라 박티아(Samira Bakhtiar) – AWS(아마존 웹서비스) 글로벌 미디어·엔터·게임·스포츠 총괄 GM
- 존 다이아몬트(John Diament) – 워너 브라더스 디스커버리(Warner Bros. Discovery) 광고 영업 부사장
Business of Media Panel –
Moderator: Cynthia Littleton (Co-Editor, Variety)
- Mike O’Donnell (VIZIO) – Chief Revenue & Strategic Growth Officer
- Alison Levin (NBCUniversal) – President of Advertising
- Donna Speciale (TelevisaUnivision) – President of Advertising & Marketing
- Samira Bakhtiar (AWS) – General Manager of Global Media, Entertainment, Games & Sports
- John Diament (Warner Bros. Discovery) – EVP of Ad Sales
최근 엔터테인먼트 기업은 경기 악화와 치열한 경쟁 환경 속에서 매출을 늘려야 하는 압박을 받고 있다. 게다가 스트리밍 서비스 확산, 콘텐츠 투자비 감소, AI의 적용, 소셜 미디어 서비스의 확산 등 미디어 환경도 변하고 있다.
특히, 넷플릭스가 2022년 광고 시장에 들어온 이후 미디어 시장 수익 확보 방식과 전략이 계속 바뀌고 있다. CES2025 C스페이스에서는 테크놀로지와 시장 환경 변화에 따라 바뀌는 미디어의 수익 모델을 분석하는 자리(Business of Media)를 마련했다. 이 세션은 버라아어티가 주관했다.
이 자리에서는 미디어 플랫폼 전반에서 수익 창출을 극대화하기 위한 전략과 혁신이 소개됐다.
In recent years, entertainment companies have been under pressure to increase revenue amid a weak economy and fierce competition.
In addition, the media landscape is changing, with the proliferation of streaming services, declining content investment, the application of AI, and the proliferation of social media services.
In particular, Netflix's entry into the advertising market in 2022 has changed the way media companies monetize and strategize. At CES 2025, C-space will analyze the changing revenue models of media as technology and the market environment change. This session was organized by VeraAuthority.
It showcased strategies and innovations to maximize monetization across media platforms.
1. 모두 발언: 광고 비즈니스의 지형 변화
- 광고 시장 규모: 연간 약 700억 달러 이상
핵심 화두:
- 프리미엄 콘텐츠 vs. 다양한 배급 경로(스트리밍·FAST·선형TV·소매채널·옥외광고 등)
- 테크놀로지 발전(클라우드, AI 등)으로 인한 광고 포맷·측정·타겟팅 혁신
- 브랜드-콘텐츠-소비자 간의 ‘진화된’ 관계: 시청 행태가 분산(모바일, OTT, 소셜, 게임 등)되면서도, IP(지적재산) 기반 확장, 실시간·몰입형 광고에 대한 니즈 증가
2. 리니어TV vs. 스트리밍 vs. FAST: 공존과 확장
선형TV의 지속성(앨리슨 레빈, NBCU / 존 다이아몬트, WBD)
- 대규모 ‘즉시’ 도달(라이브 스포츠·올림픽·이벤트) 여전히 강력
- “SNL, NBA, 메이저 스포츠처럼 ‘문화적 순간’을 선형으로 시청하는 습관은 여전”
- 다만, 이제 실시간 TV만으로는 부족, 스트리밍·디지털 융합 분석과 접목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