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S 2025: A Feast of Technology for a Sustainable Future

CES  2025  is a dynamic platform showcasing cutting-edge technology, including  artificial intelligence ,  mobility , and  digital health . This content provides insights into the central themes of connection, discovery,  and  collaboration at  CES , highlighting how these technologies can enhance our lives while promoting  sustainability . Experts discuss their experiences and observations from the event, emphasizing the significance of  innovation  and the participation of various  startups . Viewers will gain understanding of emerging trends and the interconnected nature of industries showcased at  CES . Overall, this content serves as a valuable resource for anyone interested in the future of technology  and its potential impact on society.

Experts in YouTube

Samseog Ko, Distinguished Professor, School of AI Convergence, Dongguk University (Former Commissioner,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O Sang Kweon, Director, Digital Future Institute
Jung Han CEO of K Entertechhub

1. 🎥 Overview of the Live Broadcast Preparation (00:00:00)

. The live broadcast is being prepared in  San Francisco , not Las Vegas, although many companies from Las Vegas are involved.

. The broadcast aims to provide insights from  CES and quickly share key takeaways and hash keywords.

. Participants have gathered experts from various fields to discuss  CES , highlighting its ongoing nature.

. The current location is a hotel in San Francisco where the broadcast is set to be conducted.

. The session will be around 20-30 minutes focusing on significant keywords, starting with  CES 's key features.

2. 🌟 Key Technological Themes at CES 2025 (00:08:47)

. CES 2025 focuses on four key areas :  artificial intelligence , advanced  mobility ,  digital health , and  sustainability .

. The main technological solutions are converging on  artificial intelligence .

. Sustainability is compressed as a core value guiding the direction of these technologies.

. The themes of CES 2025 can be summarized as solidarity, empathy,  and  warm technology .

. Different sectors are converging through AI, demonstrating the fusion of diverse fields.

(00:20:41)

. Only 1% of  CES participants are investors, highlighting a broader network for  business opportunities .

. As  CES progresses, connections between industries are expected to grow, offering more opportunities for commercialization.

. A substantial portion of  CES participants hail from Korea, representing nearly a quarter of the companies present.

. Koreans have a notable presence at  CES , being the third-largest group after the U.S. and China in terms of company participation.

. At the Venetian Campus, half of the approximately 1,300 startups are from Korea, emphasizing the strong Korean presence in  innovation .

4. ✨ Highlights and Key Insights from CES 2025 (00:30:46)

. LG's Innovative Showcase : LG's  transparent and wireless TV OLED  exhibited at CES 2025 stood out with its artistic display, attracting large crowds and earning impressive accolades, including six innovation awards.

. Advertising Dominance : The significance of advertising as a revenue model was emphasized, with prominent  Roku advertisements  marking the event landscape and fierce competition noted between Roku and Samsung's user base statistics.

. Mobility and AI Integration : Mobility and AI were crucial themes, with products showcasing the integration of AI in daily routines and the burgeoning competition in the high-resolution, large TV market. Companies like Sony and Honda showcased advancements in electric and autonomous vehicles.

. Startup and Venture Participation : The  Eureka Park at the Venetian showcased innovation s from over 1,300 international startups, with nearly half being South Korean. The area highlighted new technologies in  digital health and sleep improvement, emphasizing the growing health tech sector.

. Collaborative Innovation :  CES fostered collaboration between large corporations like Samsung and emerging startups through initiatives like Samsung's  C-Lab , enhancing support for tech startups and showcasing various innovative products.

4.1. Memorable Impressions of LG Electronics at CES

. The LG Electronics exhibition featured a striking display of 28 interconnected transparent and wireless OLED TV monitors, perceived as  mid-art rather than mere electronics .

. LG Electronics received six  innovation awards at  CES , marking the 13th consecutive year of winning in the TV category.

. The company's efforts in varying exhibition concepts annually reflect a strong desire to innovate, earning it high praise from attendees.

. Competitors have been observed to benchmark LG's previous exhibition concepts, indicating their influence  in the industry.

. Despite creating impressive products, LG has struggled with marketing, though recent efforts suggest attempts to overcome this challenge.

4.2. The Competitive Role of Advertising in Electronics

. Advertisements are achieving a  virtuous cycle  of increased sales and revenue in the U.S., which is viewed skeptically in Korea.

. Companies like Roku are heavily investing in advertising, evident from their prominent displays and public announcements of user statistics.

. There's intense competition between Roku and Samsung, both releasing significant user statistics to demonstrate industry leadership.

. Media companies are shifting focus to advertising technologies due to its central role as a major revenue source.

. LG exemplifies this trend by prominently associating their technology and solutions with monetization approaches at their booth.

4.3. Technological Advancements in Mobility and AI at CES

. A prominent theme was the integr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to household electronics, leading to intense competition, particularly in the TV market with trends towards  high-resolution  and larger displays.

. Companies like Samsung, LG, Sony, and Honda's partnership are innovating in the electric vehicle  and autonomous car sectors, showcasing advanced electronics and display technologies.

. LG effectively demonstrated a day fully connected with AI, using videos, while Samsung focused on connectivity across different fields, including  mobility .

. Samsung presented unique solutions, such as using  mobility tech for backup power at home, unlike LG, which explored vehicle energy management.

. There is a trend towards connecting AI technologies vertically and horizontally to create unified products, with companies showcasing these themes in varied formats.

4.4. Dynamics of Mobility and Consumer Electronics at CES

. Mobility is emerging as a crucial segment, dividing into  consumer electronics -led electric vehicles and evolving complete car systems towards electric and autonomous driving.

. Despite missing participation from major automakers like Hyundai-Kia,  CES showcases software and hardware for electric and autonomous vehicles, confirming  mobility as a key technology focus.

. Samsung's large display at  CES lacks impact due to its disjointed presentation, failing to leave a strong impression despite its extensive offerings.

. Amazon's prominence is speculated to rise with its integrated AI solutions like the  Amazon Ring , enhancing smart home interactivity and shaping the future of AI engagement.

. Startups showcased at Eureka Park are innovating by merging existing technologies with new ideas, with 48% of participants being  Korean companies out of about 1300 global startups.

4.5. Innovations in Digital Health Technology at CES

. Korea has shown significant dominance in  innovation at CES , winning numerous awards, including 129 out of 292  innovation awards.

. A major highlight at the event is the large  digital health corner showcasing global health companies, indicating a shift towards health technologies.

. Preventative health technologies , particularly those focusing on improving sleep quality, are emerging, as poor sleep is a major cause of various diseases.

. Many startups are presenting AI-based technologies to enhance sleep and brainwave quality, improving overall health and quality of life.

. The event also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sustainability , with companies like K-Water reflecting the broader emphasis beyond tech innovation .

4.6. Global Trends in Sustainability

. Sustainability was a key theme at the  CES event, with various countries like the U.S., Japan, Italy, Israel, Hong Kong, Turkey, and Belgium showcasing their efforts.

. The U.S. government demonstrated support for AI and related policies, though their contribution seemed limited compared to the overall presence of U.S. companies.

. Japanese innovation s focused on robotic technologies, integrating functions creatively, while Korean startups concentrated on software like unmanned payment systems.

. The  Bill & Melinda Gates Foundation  highlighted health initiatives, including methods for healthy living in communities, contrasting with the prevalent display of advanced technologies.

. The event emphasized the need for unique business models, with attention given to innovative ideas from startups, and discussions on integrating AI into media and advertising industries.

4.7. Integration of AI in Media and Content

. The speaker references a  column they published about media and content issues at  CES 2025, highlighting its relevance to the event's themes.

. U.S. media and advertising companies are prominently featured at  CES 2025 , exploring the use of AI in traditional media.

. The  Eureka  section attracts international broadcasters interested in AI's application in media business models.

. There is a noted absence of domestic media companies in the conversation on integrating AI with traditional media.

. The speaker notes the lack of familiar contacts from domestic media firms, indicating limited local engagement in this space.

5. 🎥 Insights on Innovation and Global Reach from CES 2025 (00:45:12)

. The evolution of media technology has drastically changed industries, highlighting the need for traditional media companies to embrace  AI-enhanced IT exhibitions  for innovation and opportunities.

. The Future tech Conference, linked to  digital health platforms like ZDNet Korea and MediOnTech, emphasized competitiveness and collaboration in the tech sector.

. Despite challenges in Korea, the event underscored the importance of a global vision for startups, advising them to expand beyond local markets.

. Attendees recognized CES as a prime venue for showcasing technology, finding business partners, and engaging with international markets, particularly for startups and SMEs.

. The exposure to global business opportunities at  CES is crucial due to Korea's shrinking domestic market, making global engagement more essential than ever.

5.1. Integrating AI in Traditional Media and Emerging Opportunities

. The shift from analog to digital media has transformed every industry, and the integration of AI  is critical for evolving traditional business models and discovering new opportunities.

. Participation in IT technology exhibitions, rather than just content exhibitions like MIB TV, is crucial for legacy media companies to adapt to technological advances.

. Future tech Conference , in collaboration with platforms like zdnet Korea and MedionTech, has been a vital event for discussions on medical tech and  digital health .

. Discussing the interconnectedness  of entertainment and meditech, the conference addressed key issues, enhancing the collaboration between emerging  digital health startups and traditional industries.

. AI is regarded as a tool to enhance life quality, emphasizing health as a key component of a well-lived life, and conferences should focus on connecting diverse fields for comprehensive  innovation .

5.2. Strategic Insights for Korean Startups Expanding Globally

. Korean startups, despite government support, face challenges in re-establishing after failure compared to systems in the US and Canada.

. Entrepreneurs find greater capital availability in  global market s, encouraging a global vision and strategy from the startup phase.

. Expanding internationally benefits  Korean companies , underlining the importance of having a wide-reaching perspective from the start.

. Korea's policy supports local companies, but guidance is needed for global expansion, particularly in markets like Nevada.

. Nevada is highlighted as a  "blue ocean"  and a welcoming environment for businesses wanting to expand there.

5.3. Significance of Korean Companies at CES 2025

. The  CES event prominently features  AI  and another key theme: the role and impact of  Korean companies  in the global market .

. Despite criticism that attending  CES is a waste of resources, it provides unparalleled opportunities for businesses and government officials to promote technology and forge partnerships.

. Korean companies head to  CES to engage with top global corporations and investors, indicating significant international interest and influence.

. There is criticism within Korea about the mass participation in  CES , but the dedication and enthusiasm of Korean business leaders highlight their importance to national economic growth.

. The role of companies in transforming Korea into a developed nation is emphasized, reflecting their crucial contribution amid challenging domestic political and economic conditions.

5.4. Strategic Outlook and Future Business Directions

. The speaker reflects on the importance of leveraging  global market s, emphasizing that local markets are shrinking and global engagement is crucial for business success.

. There is a need to transition from focusing on quantity to quality in future events to create a positive feedback loop for improvement.

. The conversation includes plans for a larger studio next year, indicating a commitment to enhancing the production quality of presentations.

. The session is wrapped up with a promise to delve into more detailed topics in future discussions, having already covered many general aspects today.

. Viewers are encouraged to stay updated through K-EntertechHub web(www.kentertechhub.com)  and engage with ongoing developments.

Q. 지금 방송 준비하고 있는 분들에게 한마디 부탁드립니다. 아직도 중요한 분들 들어오기 전에 좀 천천히 하려고 좀 기다리고 있습니다.

지금은 여기는 호텔이고요. 근데 라스베가스는 아니지만 사실 라스베가스에 가있는 많은 기업들이 있는 샌프란시스코에서 열심히 방송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방송 참여하고 있습니다.

네 일단은 이제 시작을 하겠습니다. 아무래도 또 한 분이라도 기다리신 분이 있으시기 때문에 그래서 여기는 현장이고요. 샌프란시스코입니다.

저희가 1월 6일부터 샌프란시스코에서 라스파이 넘어가서 라스에서 CS를 준비를 하고 CS를 고삼석 위원님 그리고 권원상 박사님 소장님 다 같이 둘러봤는데요. 일단 먼저 저희 지금 하는 방송은 CS 아직 끝나지 않았지만 한국시간은 사실 10일이잖아요. 그래서 11일 날 미국 시간으로는 끝나는데 지금은 좀 보다 빠르게 CS 현장을 정리하고 해시 키워드를 다시 한번 정리해드리겠지만 키워드를 좀 전달 실시간 전달되기 위해서 급하게 라이브 방송 잡았고요.

그러면 먼저 좀 저희가 방금 지나간 분들 소개를 시작으로 진행하겠습니다. 저는 아시겠지만 K-엔터테크컵의 한정훈이고요. 그럼 제 옆에 앉아계신 분은 직접 소개하시죠.

네, 동국대 AI용합대학 고삼석입니다. 네, 감사합니다. 네 안녕하십니까.

저는 디지털 미래연구소의 권호상 소장입니다. 네 뭐 이름 들으시면 아시겠지만 각 분야의 정책부터 시작해서 현장 다 전문가 분들이시고요. 그래서 이번에 사실 모시기 어려운 분들을 모셔가지고 제가 너무 함부로 현장을 가라고 말씀드린 게 아닌가 생각이 들 정도로 열심히 일하셨습니다.

그래서 저희가 오늘 간단하게 한 20, 30분 정도 진행할 것 같아요. CES 제가 고위원님한테 먼저 여쭤볼게요 CES 2025를 한마디로 정리한다면 뭐라고 보세요? 주제도 이제 연결하고 해결하고 발견하고 탐구하라 이게 메인토픽이고요 또 CES를 주관하는 CTA에서 핵심 기술 키워드를 세 가지를 제시했지 않습니까? 인공지능, 참단, 모빌리티, 디지털 헬스 그리고 그 밑에 깔려있는 지속가능성이 네 가지입니다. 그런데 두 가지로 압축이 가능합니다.

기술 그리고 제품은 인공지능으로 다 수렴이 되고요. 또 그 다음에 지향하는 가치는 지속가능성으로 압축이 됩니다. 그래서 제가 이번 CES2025를 몇 가지 단어로 정리한다면 연대, 공감, 그리고 따뜻한 기술 이 세 가지 정도로 저는 표현하겠습니다.

짧은 시간에 너무 정리를 잘 하시는데요. 그러면 연대 나오신 콜러스장 소장님. 한번 제가 이번에 그러면 소장님이 보시는 CS는 뭡니까? 그렇습니다.

고위원님 너무 완벽하게 말씀해 주셔서 저도 그 말에는 100% 동감하고요. 저는 그리고 약간 다른 측면에서 말씀을 드리자면 사실은 되게 매번 하는 얘기 같긴 한데 엄청 수십 년 전부터 나온 얘기긴 한데 이런 분야가 다 융합되고 있는 거잖아요. 그래서 모빌리티 뿐만 아니라 우리가 전혀 다른 분야라고 생각했던 게 다 융합되고 있어서 사실 CES 자체도 그런 모든 분야들이 AR하는 매개체를 통해서 다 융합되는 것 같고요.

그리고 우리가 진행하다가 조금 후에 이런 얘기가 나올 수도 있겠으나 사실 전시하고 참가자들이 참가하는 게 끝이 아니라 많은 분들이 그러더라고요. 여기에 참가하는 사람 중에 1%가 인베스터라고 하더라 그런 얘기가 있는 것처럼 실제로는 전후방 산업이 다 연결이 돼서 실제로 스타트업이 됐건 아니면 삼성 엘지가 됐건 그게 사업화되는 기회를 찾는 것 그런 것들이 앞으로 CES가 점점 더 진행이 될수록 훨씬 더 잘 될 것으로 예측합니다. 제가 생각할 때도 저는 이번에 CES가 조금 더 화제성은 좀 떨어질 수 있는데 실질적인 행사였다는 생각이 들고요.

그리고 참가자를 포함하면 아마 직계가 나오겠지만 미국 제외한 것은 가장 많은 숫자가 아마 왔을 겁니다. 중국은 조금 떨어지고 중국 기업이 많이 나왔지만 조금 떨어지고. 기업 3원은 우리가 세 번째입니다.

미국, 중국, 그다음에 한국이고요. 인구 대비 참가 기업의 수는 우리가 두 번째다. 이렇게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인구 대비 압도적일 것 같은데요. 그렇죠. 아는 분들 다 왔잖아요.

그리고 우리가 이제 뒤에 얘기하겠습니다마는 베네시안 캠퍼스 거기에 가면 대표적으로 스타트업 5년 미만의 스타트업이 참여하는 유력혁안이 있죠. 거기에 1,300개 정도의 기업들이 참여했는데 우리나라 기업이 무려 약 48% 절반 가까이 차지했기 때문에 거기 유레카관에 들어가는 순간 이게 서울의 코엑스죠. 코엑스 느낌으로 그렇게 우리 많은 기업들이 왔습니다.

사실 권 소장님 안 쉬는 기업도 많이 왔잖아요. 네, 그렇죠. 직접 만나 뵙고 그러긴 했는데 그런 분들이 또 하시는 말씀이 한국보다 여기가 훨씬 기회가 많기 때문에 그런 기회를 실제로 누렸으면 좋겠다 하는 얘기들을 많이 하셨어요.

그리고 상담 같은 건 정말로 진행은 잘 되는 것 같더라고요. 8명 보고 있습니다. 8분 감사합니다.

오늘 보낼까요? 그 다음에 이게 어떻게 보면 이어진 질문인데요. 어쨌든 키워드 정리하셨다면 그 키워드가 나오게 된 배경이 있으실 거 아니에요. 그러면 딱 CS에 갔었을 때 가장 좀 뇌리에 남는 인상 깊은 기업이나 장면 이런 게 있으실까요.

규모 면에서 압도를 했던 게 아시다시피 LG전자 전시장 중앙에 있었던 28개의 모니터를 이어 붙였던 투명 그리고 진정한 무선 TV OLEDT 이게 저는 상당히 인상이 깊었는데 그 자체가 규모도 규모이지만 기술력 그리고 또 잘 만들어 놨지 않습니까? 그 자체가 전자제품이라기보다는 하나의 미드아트로서 그렇게 좀 인식이 됐던 것 같고 LG LG 6 그래서 해수로는 지금 13년 연속 TV부분에서 LG전자가 혁신상을 수상하는 큰 기록을 세웠다. 이렇게 지금 알고 있습니다. LG를 너무 강조 많이 해주신 것 같아요.

왜냐하면 상당히 매년 전시상 구성의 컨셉도 다양하게 하고 혁신을 하려는 노력들이 보인다. 이렇게 저는 생각을 했습니다. 그러게요.

LG가 높은 평가를 받았던 것 같아요. 사람들한테. 네.

그렇습니다. 그래서 전자기업 같은 경우는 사실 LG의 컨셉을 카피한 것도 저는 사실 보면 느껴지거든요. 자기들이 혁신을 해야 되는데 그러지 않고 전년도 LG전자의 전시 컨셉이나 구성 방식 이런 것들을 조금 벤치마킹하지 않았나 하는 생각도 듭니다.

회장님. 네, 맞습니다. 저는 갑자기 지금 여기 슬로건이 연결하고 발견하고 풀고 다이브인인데 거기 하나 더 붙어야 될 것 같은 게 끝없이 걸어라.

아, 그렇죠. 10km 걸었던가요? 네, 오전에만 10kg를 걸었는데. 제가 아주 광고를 시켰습니다. 거의 그냥 다리가 아작이 났는데.

많이 배웠잖아요. 예, 많이 배웠습니다. 사실 LG 말씀하셔서 다시 한 번 제가 갑자기 들은 생각이 LG가 사실 굉장히 제품도 잘 만들고 그러는데 소비자들한테 인상 깊은 제품이 굉장히 많은데 실제로 소비자들이 하는 말들이 마케팅을 너무 못한다.

이렇게 잘 만들어 놓고 왜 못 파느냐. 그런데 이번에는 약간 그런 단점을 극복하려고 뭔가 좀 다른 여러 가지 아이디어를 넣었나 싶고요. 그리고 지나다니다가 광고판들을 많이 봤는데 첫날 셔틀버스 타고 내려서 들어가는데 로크 광고가 굉장히 크게 있더라고요.

우리나라에 계신 분들은 사실 전문가라고 하시는 분들일수록 패스트에 대해서 부정적인 시각? 부정적이 뭐라고 해야 될까요? 회의적이죠. 회의적인 시각? 이런 게 많은데 미국은 이렇게 광고를 한다는 거는 일단 광고를 해서 자기네가 매출이 오르고 선순환이 되어야 하니까 이미 굉장히 선순환이 많이 되고 있는 거거든요 거의 로코가 메인 스폰서 중에 하나인 것 같아서 저는 처음에 들어갈 때 첫 장면이 그게 굉장히 로크 광고가 계속 많이 붙어 있는 것들 저희한테도 광고해주시면 좋겠네요

그러게요 로크가 실제로 발표를 했었어요 끝나고 나서 애매하게 9천만 명이다 사실 그래서 로크가 근데 이게 왜 발표했냐면 삼성이 그전에 기억하시겠지만 한 한달 전쯤에 8.8백만 명이라고 발표했었거든요 그래서 서로 로크나 삼성이 경쟁이 지금 치열하게 패스해서 진행이 되고 있습니다 저도 인사시킬 장면은 저는 약간 외형적인 것보다는 보다는 주로 c스페이스 콘텐츠 쪽에 많이 가봤는데 거기에 물론 전시되어 있는 기업들도 있지만 모두 다 한 곳에서 하고 있습니다. 광고, 광고, 광고.

미디어 기업들이 이제는 그전에 우리가 구독 모델들도 개발하고 그리고 여러 가지 몰입한 기술들도 했는데 결국에는 지금은 가장 수익원의 중심이 광고니까 광고 기술들이 집중적으로 개발되고 cs에 많이 소개되고 이런 것들도. 그래서 LG 부스 처음 갔을 때 다른, 이게 보통 머니타이제이션이라고 많이 얘기하는데 기술을 개발하면 우리나라는 스타트업이나 기업들이 그게 제일 문제잖아요. 그래서 돈을 어떻게 벌지? 그런데 물론 다른 데도 상담하거나 할 때는 그런 얘기들을 많이 했겠지만 LG 부스에는 머니타이제이션이라는 게 아예 붙어 있었어요.

자기네가 광고 개발 솔루션을 만들어가지고 그걸로 데이터를 이용해서 모니터이제이션 해라. 하는 게 제가 기억이 나네요. 저희가 또 추가로 말씀드리고 싶고요.

혹시 위원님 추가로 하실 수 있나요? 아까 말씀하신 트렌드죠. 우리나라 같은 경우도 미디어 시장, 광고 시장이 사실 미국을 쫓아가는 경향이 있거든요. 그러니까 미국에서 그런 현상이 나타나고 얼마 안 있으면 우리나라에서 그런 현상이 있는데 작년 하반기에 L.A를 갔을 때 같이 갔지 않습니까? 로크 패스트 채널인 로크TV에 대한 광고가 헐리우드 중심이라고 할 수 있는 돌비 시어터즈 메인 광고판에 그게 있었고요.

또 글로브 몰 거기 갔을 때도 글로브 국장 메인 광고 공간에 로크TV가 있던 걸 보고 그 전년때에는 넷플릭스가 있었거든요. 그런데 작년은 로크TV 패스트가 헐리우드 메인 스트리 죄송합니다. 상징적인 사건이네요.

넷플릭스가 로크로 바뀐 것. 맞습니다. 의원님 또 요즘에 미국을 워낙 많이 가시기 때문에 역사를 정리해서 조만간 아마 의원님이 이거 다 정리해서 책으로 내신다고 하니까 한번 보겠습니다.

보시면 좋을 것 같고요. 그러면 저희가 또 이제 한국사람이 제일 좋아하는 섹션별 정리 그리고 저희가 소개를 못 드렸는데 이 방송을 준비하는 분들은 김남훈, 훈, 픽세우스 대표고요. 저희랑 또 저희 KNT 테크 허브의 역사적인 순간을 함께하고 있습니다.

지금 뭐 아주 불편한 자세로 앉아있는데 하여튼 뭐 잘 끝내보겠습니다. 그리고 이제 각 관별 정리를 한번 해볼게요. 일단은 제가 혹시 CES 모르신 분들을 위해서 설명을 드리면 CS는 크게 3개 파트로 되어 있잖아요.

물론 이제 각 분야별로 많지만 LVCC라고 하는 컨벤센터 그 부분 제일 메인홀이죠. 그 부분이 있고 그 다음에 조금 아래쪽에 베네시안 아까 말씀하셨던 국가별 그리고 디지털 헬스 이쪽으로 집중되어 있는 부분도 있고 그리고 시스페이스 아리아 이쪽은 시스페이스라는 이름이 콘텐츠잖아요. 그래서 커머스라고 불리기도 하는데요.

콘텐츠 중심으로 해서 세 파트도 되어 있는데 그러면 아마 두 분이 제일 잘 아실 것 같아요. 가장 센터럴이 중앙 센터. 주로 삼성엘 작가 말씀하신 기업들이랑 그리고 모빌리티부터 시작해서 AI도 다 전시되어 있었죠.

그래서 이거를 그러면 제가 누구를 구분하기보다도 그냥 센터를 두 분에서 이제 마지막 날 7시부터 제가 두 분을 알게 된 게 10년 넘었는데 7시에 이렇게 회사에 방문 처음 봤거든요. 그리고 뭐 거리미가 상당히 빠르게 돌아진 것 같은데 그럼 제가 위원님부터 먼저 센트롤 잠깐 정리해 주세요. 센트롤은 사실 개별 기업 기술 제품도 뛰어났습니다마는 관통하는 하나의 컨셉이 뭐냐면 메인 주제였던 인공지능 그리고 TV 수상기를 놓고 벌이는 경쟁이 대단히 치열한 것 같아요.

그러니까 AI 인공지능을 모든 가전제품에 접목시켰다는 게 하나 있고 TV TV TV 그게 이제 있었고요. 그 다음에 모빌리티입니다. 삼성전자도 그렇고 LG전자 그 다음에 우리가 이렇게 알고 있는 소니와 혼다의 아필라 이것처럼 이제 전기차나 자율주행차에 들어가는 각종 전자장비 기술들 여기에 가전사들이 기존의 자동차 제조사 아니면 전기자동차 제조사들과 직접 제휴를 해서 나온 제품이 인상적이었습니다.

모빌리티랑 TV 말씀해주셨고요. 네, 그렇죠. 그러면 또 소장님.

제가 잠깐 이거 진행하다 보니까 갑자기 제 역할을 떠올렸는데 고 의원님이 전문가로서 말씀해 주시면 제가 약간 처음 오는 사람으로서 고 의원님 덕분에 두 번을 이틀을 연속으로 갔는데 사실은 저는 처음에는 이거를 보시고 내년에 오시는 분들한테 한번 말씀드리려고 하는 거예요. 저는 한 관을 한 번 보면 끝날 거라고 생각했는데 두 번째 가니까 훨씬 괜찮더라고요. 새로운 게 보이죠.

왜냐하면 여기서 지도 같은 거 아무리 나눠줘도 그거 잘 눈에 안 들어오잖아요. 맞아요. 첫날 제가 센트럴관 처음 갔을 때 딱 느낌은 이 뭐가 하늘에 들어오는 게 없으니까 이게 도대체 어딨나 싶었는데 다시 가니까 이렇게 쭉 일렬로 배치되어 있는 것도 보이더라고요.

그리고 그런 것처럼 저는 센트럴관 가서 지금도 사진 찍어놓은 사진들을 보니까 AI가 당연히 접목되어 있는 거고 그리고 대부분의 기업들이 모든 자기네가 생산하는 제품 그리고 활동하는 활동의 A부터 Z까지를 다 AI를 붙여놓고 그걸 다 연결을 시켰다는 거고요. LG가 사실은 그거를 수평적으로 제일 잘 보여준 것 같고 LG는 뒤쪽에 자기네 메인 화면에서 설명할 때 24시간을 AI로 연결된 걸 쭉 한 1분, 2분짜리 동영상에 보여줬거든요. 근데 삼성은 그걸 그렇게 보여주지는 않고 각 분야별로 연결되는 걸 보여줬고 그리고 거기에 대부분 다 모빌리티가 연결돼가지고 실제로 사람들이 활동할 때 아침에 일어나서 우리가 흔히 하는 양치질하고 그런 거 말고도 차를 타고 나가기도 하니까 그런 것까지도 생각을 했더라고요.

LG는 그렇지 않고 차를 타고 가면서 예를 들어서 전기를 제어한다거나 이런 여러 가지 어쨌든 제가 말씀드리고 싶은 거는 Vertically, Horizontally, AI로 다 연결해서 그것들을 하나의 상품으로 만들고 컨셉화를 하려고 하는 시도를 자꾸 하고 있다. 기업들마다 그거를 보여주는 형식들이 조금씩은 달랐던 것 같다. 한 말씀 더 드리면 우리 권 소장님이 잘 설명을 해주셨는데요.

사실 모빌리티 같은 경우는 별도의 관이 또 있지 않습니까? 노스관 그쪽이 주로 모여 있는데 사실은 2, 3년 전에 전기차하고 관련된 전장이 뜰 때는 CES에서도 전기차라는 장르를 만들어서 별도의 토픽을 분류해서 했는데 지금은 그렇게 하지 않았는데 이게 약화된 게 아니라 사실 어찌 보면 지금 가전사 코너에 가면 그게 모빌리티예요. 모빌리티가 두 축으로 나눠지는 거죠. 가전사들이 주도하는 전기차 분야를 중심으로 하는 모빌리티가 하나 있고 그다음에 완성차 부분에 모빌리티가 있는데 그 완성차가 점점 전기차와 비슷하게 가거나 자율주행으로 가고 그래서 그와 관련된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를 전시하는 그래서 어찌 보면 양쪽 센트럴과 노스 쪽에서 같이 지금 모빌리티가 상당히 크고 있다.

실제로 이번 같은 경우는 현대기아차도 오지 않고 몇 개의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이 참여를 안 해서 사실 전체로 보면 이게 조금 약화된 거 아니냐 이렇게 얘기할 수 있습니다만 실은 보게 되면 가전 부분까지 전기차라든가 자율주행차에 관련된 소프트웨어, 하드웨어를 지금 전시를 하고 있기 때문에 실제로 보면 CES 주차 측인 CTA가 얘기했듯이 모빌리티가, 첨단 모빌리티가 핵심 기술 키워드인 것은 분명하다 이렇게 보면 되겠습니다. 네, 들으셨겠지만 이 썸네일은 나중에 LG로 바꾸시고요. LG 이야기를 너무 많이 했어서.

그런가요? 네, 네. 아, 그리고 제가 오늘 들으니까 진짜 이 방송은 행동하는 현장형 어떤 방통연하고 국내 방송 최고의 전문가가 또 현장 와서 새롭게 깨닫는 또 새로운 지평을 여는 또 이런 새로운 방송이 되는 것 같습니다. 우리는요.

입만 살아있는 건 아니고. 네, 그러니까요. 발로.

예 많이 뛰었기 때문에 예 아무래도 좀 앞으로 풀어낼 얘기들은 많은 것 같습니다 예 제가 왜 이야기 드리냐면요 사실 제가 여기 뭐 대부분 말 말씀 많이 해주셔서 제가 첨언할 건 없는데 아마존 이번에 뭐 아마존 링 이라고 있습니다 스마트홈 있잖아요 그쪽에서 서세 뭐냐면 행동한 에이전트 입니다 그래서 이제 실제 아까 말씀하신 것처럼 어 외부에서 이제 그 약간 이상지원을 감지 감지해서 감지해서 그럼 뭐 그 이런 조치를 하기도 하고 그래서 우리가 행동하는 AI에 대해서 AI 스스로 행동한다기보다 조금 더 AI에 대해서 조금 더 인간화 가까운 공감형 AI들 이런 것들이 많이 진행이 되고 있죠.

]그러면 저희가 센트럴과는 말씀하신 대로 모빌리티, AI, 그리고 삼성 LG 경쟁들 저는 그리고 사실 하이센스나 TCR 같은 기업들도 아주 인상적이었습니다. 물론 화질이나 이런 사이즈는 한국 기업 이상으로 훨씬 더 좋고요. 가격 경쟁이 가장 큰 장점이니까요.

특히 그 부분은 아시겠지만 스포츠 사랑하는 TV를 보는 것 중에 상당수가 스포츠 중계들 그리고 이제 뉴스들인데 실시간 콘텐츠를 가장 잘 받아들일 수 있는 틀이잖아요. 결국에는 아무리 TV가 좋아도 TV 화질이 좋지 않으면 더 이상 의미가 없는 거니까 그 부분들은 좀 안 되시면 좋을 것 같고요. 그래서 제가 천문을 좀...

지니장님께서 응원한다고 메시지를 받으셨어요. 누구요? 지니장님. 지니장님?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그래서 저처럼 둔한 사람들은 TV 화면이 100인치네 200인치네 하고 511이네 잘 모르게 가문인적은 없거든요.

맨날 보던 것 같아서. 그래서 CES가 됐든 이런 분야가 대부분 앞으로는 그럴 것 같고 인간이 상상할 수 있는 것은 하드웨어 말고 소프트웨어적으로 어떤 기능을 구현하느냐가 훨씬 더 중요할 것 같아요. 사실 그런 스펙들은 비슷비슷할 수 있고.

그리고 사실은 여기 CES에 아마 안 온 것 같은데 진정한 승자는 AWS가 아닌가 싶습니다. 이런 모든 기능이 다 클라우드 연결되는 거잖아요. AWS aws ai 이 부분들은 좀 나중에 좀 카실 말씀 안했지만 한국 기업 좀 아쉽죠 사실 예 그렇죠 플랫폼이 없기 때문에 결국엔 우리가 의실을 만들면 구글 아마존 ms 가 열심히 그 과실 과실을 나가잖아요 그 세계가 이제 그 클라우드에서 책 강자니까요 지금 그러니까 이제 사실상 온라인 기반 모바일 기반으로 옮겨가면서 사실은 이게 클라우드 이용 환경으로 전환되고 있는 거 아니겠습니까.

그런데 사실 우리가 IT 강국이라고 그러지만 이 클라우드 부분에 있어서의 경쟁력은 대단히 떨어지거든요. 그리고 자연스럽게 글로벌 마켓 세워내 이런 것들도 정말 얘기하기 부끄러울 정도로 낮은 수준인데 이런 것들도 좀 정책적으로 그리고 또 기업 차원에서 좀 분발을 해야 되지 않냐 하는 생각입니다. 네 그러면 말씀하세요.

그리고 AI도 사실은 마찬가지로 우리가 아는 파운데이션 모델이라는 게 있고 그거를 응용해서 파인팅을 해서 지금 이런 대부분의 상품들을 만드는 거잖아요. 그럼 결국에는 한 기자님이 말씀하셨던 것처럼 그 파운데이션 모델이 돈이 되는 거거든요. 원천 기술이니까요.

앞으로는 그런 것들도 더 생각을 해야 될 것 같아요. 한 가지 더 얘기하면 하나 아쉬웠던 게 삼성전자. 아쉬움 느끼지 않으셨어요? LG의 칭찬을 이어서 삼성이 아쉽다고? 왜냐하면 너무 좋은 얘기만 하면 안 되고요.

다들 삼성이 정말 많은 걸 가져왔는데 자파점식으로 나열을 했는데 이게 딱 엣지가 없다 하는 느낌들을 사람들이 많이 받았던 것 같습니다. 그래서 규모나 그 다음에 드린 시간에 비하면 사실 임팩은 남는 잔상은 그렇게 강하지 않았다는 그런 평을 좀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그리고 이제 가전에서 넘어가는데 가전 중에 아까 제가 자동차 얘기를 했는데 사실은 소니 스튜디오에 자동차가 있었어요.

처음에는 아필라이더 소니가 혼다 가져왔고 아니 근데 보니까 소니 코너에 가도 전시장 가도 자동차가 있는 거예요 그래서 두 가지로 나가러 오는구나 이랬는데 왔고 아주 그 부분에서 매 시간마다 시연을 해보는 보니까 이번에 소니가 그 아키라를 대표 브랜드로 상품으로 가지고 나온 것 같습니다 작년에도 봤지만 작년에는 지면에 자동차를 놓고 카메라가 움직이는 거였는데 지금 같은 경우는 아예 자동차를 놓고 컨트롤하는 기기에서 조작하는 조작자가 하는 것에 따라서 자동차 위치가 바뀌는 것 이런 것들까지 아주 실감나게 촬영할 수 있는 그런 솔루션을 가지고 나온 게 대단히 인상적이었습니다. 네 이제 이러다가는 밤을 새기 때문에 저희가 이제 다음 관으로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드디어 이제 120명까지 올 정도로.

몇 명이요? 12명이나 들어왔답니다. 1200명 왔어요? 네 일단 삼성 분발하는 멘트로. 저희는 삼성 사랑합니다.

그리고 이제 그 다음에 아마 두 분이 또 가장 많이 보신 베네시안. 베네시안이 가장 많은 업체들이 또 모여 있고 그리고 한국에 아마 제가 한국 베네시안 키워드 검색하면 가장 많은 기사들이 나오는 것 같은데요. 말씀드린 대로 베네시안은 각 국가별로 혁신적인 기업들이 나와 있는 그리고 국가별로 내에서도 각 지역별로 전남, 서울, 강남, 우차기 쪽이 나와 있고 그리고 각 기관들도 코트라, 코카 이런 데 다 나와 있죠.

그리고 다른 나라들은 그렇게까지 기관별로 나온 데 많지가 않았던 걸로 제가 알고 있는데 미국 정도만 사실 미국 정부가 나와 있고. 그리고 그다음에 말씀드린 지속가능한 삶에 대한 부분도 있기 때문에 주로 디지털 헬스관들 이렇게 나눠졌죠. 그러면 베네시아는 많이 가보셨는데 한번 고위원님 말씀해 주시죠.

네, 베네시아에는 아까 말씀하셨듯이 5년 미만의 스타트업들이 참여하는 유레카간 이게 아주 새로운 아이디어들이 많죠. 기존 기술을 가지고 아이디어 가지고 결합시켜서 새로운 기술과 제품을 개발하는 그중에 약 48%가 한국 기업이었다 이렇게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그리고 국가 간 규모로도 보더라도 개최국인 미국보다도 제가 봤을 때는 국가 간 규모는 단연 우리 한국이 규모 면에서는 앞섰다 이렇게 좀 보여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그리고 또 이제 CES가 매년 행사를 앞두고 하는 혁신상 부분에서 전체 292개 가운데서 129개가 우리 기업이 혁신상을 차지했고요. 그다음에 최고 혁신상도 7개인가요 저희가? 네. 19개 중에서 7개를 차지하는 등 전혀 혁신상 그러니까 혁신 능력에 있어서 만큼은 우리 기업들이 대단히 앞서 있다 이렇게 좀 보여집니다.

그리고 유럽회관도 다시 얘기하겠습니다마는 2층에 가게 되면 디지털 헬스 코너가 정말 크게 설치되어 있어서 글로벌에서 많은 헬스 기업들이 들어가 있습니다. 그런데 제가 이번에 느꼈던 것 중에 하나는 디지털 헬스가 우리가 이번에 사전에 공부도 하고 갔습니다마는 이전에 예방을 위한 그런 기술들이 많이 등장했다고 그러는데 그 중에 하나가 뭐냐면요. 사람이 질병이 가장 많이 생기는 것 중에 하나가 또 뭔지 아세요? 사람 질병이요? 네.

질병이 많이 생기는 원인. 원인? 감염 아닌가요? 잠이요. 잠을 못 자죠.

그 불균형으로 인해서 각종 질병이 발생한다는 거거든요. 이건 우려 광고는 아니고. 제가 눈여겨봤더니 디지털 헬스 쪽에 보면 잠을 예를 들어서 수면의 질을 높이는 이러한 어떤 기술과 제품을 가지고 온 기업들이 꽤 많이 있었고요.

또 밑에 유레카 간의 스타트업들이 의외로 많은 스타트업들이 인공지능 기반으로 뇌파라든가 수면 이라든가 이런 것들을 이제 질을 높여주는 그를 통해서 사람들의 건강과 삶의 질을 높여주는 그 분야 에 관련된 기술과 제품을 많이 가지고 온 게 눈에 띄었습니다. 우리 권 박사님 잠 잘 주무세요 . 예예 지금 괜찮습니다.

잠도 졸리죠 지금 많이 깼습니다. 너무 열심히 돌아오셨죠. 그러면 저기 베네수엘 많이 가보셨 죠.

베네시아는 엄청 크더라구요. 거기 기억도 많죠. 지금 당장 생각나는 건 일단 우리나라가 통합한국관.

엄청나죠. 한 번 더 썼어요. 통합한국관라는 말을 왜 썼냐면 그 옆에도 많이 있어가지고.

한국이 너무 많아. 한국만 있는 게 아니라 통합한국부 뿐만 아니라 그 옆에도 여러 지자체 부적에서 코카, 그리고 약간 여기랑 어울릴 것 같지 않지만 왠지 굉장히 잘한 K-Water. K-Water는 아까 말씀하신 대로 물이 아주 중요하죠.

그게 아까도 고위원님 처음에 초대 말씀하셨는데 사실 Sustainability를 제일 마지막으로 강조하는 거잖아요. [3]맞습니다. 그래서 Sustainability를 주제로 해서 K-Water가 들어왔었고 그리고 국가관들을 쭉 보니까 미국, 일본, 이태리, 이스라엘, 홍콩, 터키, 벨기에 이렇게 있거든요. 이스라엘도 왔고요.

그런데 문제는 들어가서 별 볼 게 없었어요. 모든 기업들이, 모든 국가가. 그러니까 예를 들어서 미국은 심지어 미국 정부관이라고 써 있었어요.

미국은 진짜 스타트업과는 볼 게 없어요. 근데 그거는 이렇게 생각하면 되게 될 것 같은데 미국은 애초에 정부가 주도해서 한다기보다는 여기가 미국이잖아요. 미국에서 하는 미국 기업들이 다 나오는 거니까 미국 정부로서는 크게 할 건 없을 수도 있겠으나 우리가 AI가 됐건 이런 정책들을 하는 방향이 어떤지를 정확히 잘 보여주는 것 같긴 한데 어쨌든 우리는 정부에서 그런 지원들을 잘 된다는 소리가 아니라 어쨌든 그런 노력들은은은은은은은은은은은은은은은은은은 일본관도 상당히 좋고 아까 말씀했던 우리나라 한국관도 대단히 컸는데 이동에 아주 특화된 어떤 조건에서도 물건을 이송할 수 있는 이런 로봇들이 많았고 반면에 우리나라 스타트업들 같은 경우는 하드웨어 집중하기보다는 소프트웨어에 집중했던 것 같아요.

그래서 예를 들어서 무인결제 시스템이라든가 이게 보안 프로그램에서 비롯된 건데 그걸 가지고서 사람들이 그냥 자기 개인정보를 예를 들어서 체인점에 주면 그걸 통해서 결제가 자동으로 될 수 있는 그런 것도 있고요. 또 그다음에 제가 봤던 아주 인상 깊었던 기업 중에 하나는 텍스트 기반으로 해서 아무리 분량이 많더라도 거기에 있는 것들을 요약을 해서 별도로 또 다른 요약된 문자로 표출해서 그걸 상품화해서 판매하는 그런 것도 있었고. 제가 볼 때 우리나라 기업들의 참신한 아이디어, 혁신성은 대단히 뛰어나다.

그런 느낌을 받았습니다. 사실 제가 볼 때도 베네시아만 보면 한국 기업들의 스타트업은 아주 강하죠. 그런데 제가 매년 집계하고 하지만 이런 기업들이 살아남는 기업들이 많지는 않고 제일 중요한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지 못하는 기업들이 많습니다.

그래서 그분들이 중요할 것 같고요. 조금 있다가 저희 K-엔터테크 허브 중심으로 GDNET KOREA 그다음에 메디언텍 이렇게 해서 CES 기간 동안 현지 바로 가까운 데죠. 거기에서 진행했던 CS2025 피트테크 컨퍼런스 거기에서 바로 이러한 문제점들 이런 것들에 대해서 논의를 하고 전문가들의 또 조언을 들었기 때문에 끝까지 이 방송을 시청하시면 마음이 되게 좋았는데 실제로 지금 현역 학생 졸업하기 전 선배님 마음으로 질문 열심히 하시더라고요.

갑자기 선배님이 밝혀져서 그렇긴 했는데 현역 학생인 학생기업을 만들어서 실제로 인터뷰한 학생 중에 하나는 벌써 두 번째 창업이라고 에너지가 대단합니다. 그래서 그런 친구들 앞으로 계속 잘 되기를 응원하고요. 그리고 아주 적극적인 게 우리가 미디어로서 돌아다녔으니까 몇몇 일본 기업 이런 데서 자기들 취재해달라고 요청한 적은 있었는데 학생들은 막 쫓아와가지고 취재해달라고 그거는 진짜 어른들, 어른들? 학교를 졸업한, 사업을 하시는 분들은 배워야 될 자세일 것 같아요.

쉽지 않죠. 여기 와가지고 미디어 달고 다니는 사람들한테 쫓아가서 취재 좀 해달라고 하면 얼마나 좋겠어요. 좋겠어요.

그리고 그런 것도 있었는데 베네시아는 벤처랑 스타트업 중심이긴 했는데 그런 학생들도 어떤 학생들은 자기는 사회적 기업을 추구한다라는 얘기를 많이 했었고. 사실 CES라는게 말하자면 이런 컨벤션이 자본주의 끝판왕이잖아요. 선전하고 팔고.

근데 제가 또 재밌게 유심히 본 것 중에 하나는 빌 앤 멜린다 파운데이션이 부스가 있었어요. 것들이 아니라 이거는 약간 마음이 따뜻해지는 경험이긴 한데 그래도 같은 공간 내에 이런 것들이 다 섞여 있으니까 사실 이거는 뭐 어떻게 기획적으로 굉장히 좋은 것 같아요 아 그리고 아까 제가 이제 뭐 삼성전자 부분에 대해서 약간 야박하게 평가를 했다고 그래서 제가 여기서 약간 좋은 냉정하게 말씀 하신거죠?

네 이번에 그 베네시안 캠퍼스에 그 유레카관 벤처역에 가면 삼성이 이렇게 가능성 있는 스타트업 벤처들을 지원 육성해서 그들이 이렇게 자기의 제품, 자기 회사를 소개할 수 있도록 CeS까지 상가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이러한 것들은 사실은 대기업과 벤처와 스타트업의 상승 모델로 대단히 중요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이게 꼭 정부의 산하기관, 공공기관들 뿐만 아니라 대기업들도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 역할이라는 관점에서 보면 이러한 스타트업들, 벤처기업들 중에서 정말 성장 가능성이 큰 기업들과 협업하는 모델들을 계속해서 만들어주면 좋겠습니다. 삼성에 아주 큰 영향을 많이 미쳤고요.

그리고 아까 말씀하신 무선 이어폰 갤럭스 버즈 프로3rk 최고 혁신상을  받았습니다. 제가 사실은 조금 전에 방송 오기 전에 삼성의 주력 계열사로부터 인터뷰를 하자는 제 칼럼을 보고 다음 주에 인터뷰를 할 수 있냐고 연락이 왔는데 아깝게도 제가 이번 주말에 서울 경유에서 싱가포르로 가기 때문에 그걸 제가 이번에 죄송하다고 그래서 갑자기 삼성 얘기를 많이 합니다만 이제 LG의 삼성으로 감사합니다. 40분 지났습니다.

아우 너무 자 그러면 이제 아리아 아리아 아리아 파크 엠젤 뭐 c스페이스 c스페이스는 콘텐츠 스페이스구요 별도로 원래 운영이 많이 안되고 있다가 근데 이제 콘텐츠 기업들이 많이 방문하니까 네트워킹 장소도 많이 하고 최근에는 그 전시 그리고 저는 사실 여기 있는 컨퍼런스를 많이 들어보라고 하거든요. 그래서 이제 컨퍼런스 주제들도 매년 또 보면 사실 컴버런스 다 듣지 않아도 주제들만 봐도 어떤 것들이 흐름에 있는지를 알 수가 있고요. 그러니까 말씀하신 대로 사실 근데 그래서 시스펙스는 센트럴하고 연동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시스펙스 보면 센트럴 어떤 제품이 안 가보면 안 되겠지만 안 가봐도 어떤 제품이 전시했을 거라고도 보여요. 왜냐하면 콘텐츠 생태계가 그쪽에서 형성되고 있기 때문에 시스템을 보셨는데 어떠세요? 일단 우리 한 대표님 말씀하셨듯이 이게 콘텐츠라는 것은 미디어하고 연계됩니다. 미디어 중에서 가장 큰 미디어는 TV 디바이스죠.

그리고 이제 이 디바이스를 통해서 콘텐츠가 이제 방송이 되거나 송출이 되는 과정에서 바로 수익원이 광고이죠. 그렇기 때문에 TV라는 수상기 디바이스와 또 그리고 콘텐츠 그리고 광고는 대단히 밀접한 연관이 있다. 이렇게 보여집니다.

그래서 그동안 사실 많은 분들이 보면은 그리고 CES에서 코로나 팬데믹 이후에 본격적으로 C스페이스를 좀 더 구체화했고 거기에 OTT를 비롯한 그런 콘텐츠 기업들이 참여를 하게 된 거잖습니까. 그런데 제가 이번에 오면서 사전 공부를 해보니까 그동안 사실은 이 CES가 2000년대부터 해서 TV 수상계의 발전을 주도했어요. 그러니까 고화질 TV라든가 3D TV라든가 그 다음에 커넥티드 TV 이런 것들의 어떤 신상품이 CS를 통해서 지금까지 출시됐던 거거든요.

그럼 잘 아시겠지만, 잘 아시겠지만 이제 미디어, 수상기의 혁신은 바로 콘텐츠 혁신으로 이어지는 것이죠. 그걸 이제 시스페이스의 역사 그리고 이제 CS에서 콘텐츠와 미디어 부분이 차지한 역사를 좀 보면 알 수 있었던 것 같고요. 역시 이번에도 이제 어떻게 미디어 기업 콘텐츠 기업 그리고 광고 기업이 AI를 어떤 본인 기업의 사업에 접목시키느냐 즉 비즈니스 모델과 접목시키느냐 그게 가장 이제 두드러진 특징이었다 이렇게 지금 보고요.

또 그 다음에 콘텐츠 부분과 관련해서는 XR이나 VR 같은 그리고 메타버스와 같은 이러한 부분들을 앞으로 콘텐츠 제작에 어떻게 접목시킬 것이냐. 이러한 그리고 완성도를 어떻게 높일 것이냐. 이게 이제 보면은 매 세미나의 세션의 중심 주제였다.

이렇게 지금 보여집니다. c스페이스를 저희들 일정으로는 제일 마지막에 갔는데 사실 중간에 웨스트랑 사우슨과 노슨과가 있었잖아요. 그래서 그때 롯데도 메타버스로 들어와서 그것도 약간 인상 깊었고요.

롯데 파이팅입니다. 약간 좀 그런데 말하자면 이게 변방에 있는 것 같아서 조금 안타깝긴 했는데 새로운 사업을 찾아서 하시는 것 같으니까. AWS UAM 그냥 하드웨어만 이렇게 보여주는 거라 크게 인상 깊지는 않았는데 어쨌든 중국 회사들이 그런 것들까지도 많이 들어오는구나.

그 부분에 제가 좀 말씀드릴 게 있는데요. 지금 중국 기업이 이번에 대거 전년에 비하면 상당히 많이 들어왔습니다. 그러니까 제가 알기로는 화웨이나 이런 데 같은 경우는 불참했지만 중국의 스타트업과 벤처기업들은 대단히 많이 들어왔고요.

모빌리티 분야에서는 어떤 기업들이 들어왔냐면 퍼스널 모빌리티라고 그러죠. 킥보드라든가 자전거 특히 전기 전동 킥보드 전기 자전거와 같은 그런 퍼스널 모빌리티를 가지고 대거 중국 업체들이 들어왔는데 저는 사실 그 부분에서 어떤 측면에서는 글로벌 퍼스널 모빌리티 시장을 지금 중국이 거의 선점하고 있지 않느냐. 왜냐하면 이 모빌리티 시장의 대부분이 지금 중국과 동남아시아에 집중이 되어 있거든요.

그다음에 미국이나 유럽 같은 경우 레저용의 퍼스널 모빌리티가 있고. 그런데 사실은 우리나라 기업도 있는데 우리나라 기업은 제가 알기로는 안 나온 걸로 알고 있어요. 유레카 간에 있는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이 부분도 앞으로 아마 CES가 해를 거듭할수록 퍼스널 모빌리티 부분이 강조가 될 겁니다.

그래서 그 부분에 대해서 우리 기업들도 좀 더 신경을 써야 되지 않냐 하는 그런 생각을 했습니다. 모빌리티 관련해서는 웨스트가 주로 모빌리티를 주제로 하긴 했었는데 실제로 눈에 볼 수 있는 건 웨스트 간에 되게 많았고요. 제 느낌에는 일단 센트럴에서 벌써 모빌리티로 완성을 지었기 때문에 컨셉촐리는 그냥 센트럴 가면 삼성, 소니, LG 해서 모빌리티로 그 아래 다 섞여 있어서 거기서 이미 모빌리티를 다 본 느낌이었고요.

그래서 웨스트에 갔더니 그냥 우리나라 코엑스에서 하는 중소규모의 전시회 같은 그런 느낌은 들었습니다. 그리고 시스펜을 마무리를 해야 되니까 마지막으로 고 의원님 쫓아서 걸음 너무 빠르셔서 시스펜 갔더니 저는 퍼졌어요 안 보신 거예요? 안 보신 거예요? 그래서 강연 중간 잠깐 듣고 못했습니다 강연이 제일 중요하죠 시스펜 MS MSS 그래서 그게 우리나라에 가장 부족한 부분이거든요. 미디어 기업들.

아까 베네치아 말씀하셨죠. [4]베네치아에도 일본의 TBS는 사실 나왔었거든요. 그런데 국내에는 또 안 나왔죠. 그래서 어떤 콘텐츠 기업들이 이런 광고 모델 개발하고 그리고 어디에서 이야기해야되는 데이터들 이런 데이터들을 좀 더 열심히 해야 되는데 한국 기업들은 또 그런게 안되니까 또 플랫폼이 밀리기도 하고 우리 김감독님께서 지금 시간 체크를 하고 있는데 제가 한 말씀만 더 드리면 제가 행사 중에 특히 CS2025가 관심을 가진 미디어와 콘텐츠 이슈 제가 칼럼을 하나 내보냈거든요.

그런데 거기도 썼습니다마는 지금 보면 시스페이스 같은 경우는 주로 미국계 미디어 콘텐츠 광고회사들이 나와 있고요. 또 그리고 아까 말씀드린 유레카강 가면 또 다른 외국의 방송사들도 어떻게 하면 인공지능 등 기술을 전통적인 미디어 콘텐츠 비즈니스에 접목시킬까. 이걸 하기 위해서 오거든요.

그런데 제가 봐도 눈을 씻고 찾아봐도 국내 미디어 콘텐츠 기업들 전통적인 이런 곳에서 회사에서 온 분이 한 분이 없어요. 제가 몰라서 그런지 모르겠는데 보통 보면 제가 시스페이스에 간다고 하면 아는 분들이 연락이 오거든요. 그래서 예를 들어서 이통사에 있는 IPTV 쪽이나 이런 분에 있는 분들 한두 분 보는데 정말 레거시 전통적인 미디어 그다음에 콘텐츠 기업에 있는 분들은 임원이나 직원들 한 분도 안 옵니다.

그런데 우리가 미디어 역사 콘텐츠 역사를 보면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그리고 흑백에서 컬러로 이 역사가 결국은 미디어 기술의 발전이 콘텐츠 기술의 발전으로 그래서 모든 산업 구조를 변화시키고 있지 않습니까? 그러면 지금 ai가 모든 영역에 전 산업에 지금 접목이 된다는 이런 추세를 본다고 그런다면 사실은 꼭 뭐 밉티비라든가 이런 콘텐츠 전시회만 갈 게 아니라 이러한 it 기술 전시회 여기에 와서 어떻게 하면 전통 비즈니스 모델을 혁신할 것이냐 그리고 새로운 기회를 찾을 것이냐 이러한 어떤 노력들을 해야 된다고 봅니다.

그렇죠? 공감하시죠? 이제 가장 중요한 이벤트 중 하나가 저희 이제 어 두 분도 참석해주신 뭐 퓨처테크 컨퍼런스 아까 말씀하셨던 그리고 말씀하신 지지넷 코리아 그리고 메디온텍이라는 이런 메디컬테크 네트워킹 플랫폼이랑 저희랑 같이 했는데 고 의원님도 처음부터 끝까지 사회를 맞이하는 토론 정수잖아요. 그래서 토론해 주셨으니까 한번 총평 한번 해 주시죠.

앞서 말씀드렸습니다만 엔터테크 이건 시스페이스 캠퍼스하고 관련된 거 그다음에 메디테크는 디지털 헬스, 베네시안 캠퍼스 두 곳을 다 연관된 부분이고 센트럴까지 넘어오면 가전사까지 다 연결이 되는 부분이죠. 그러니까 연결이 안 되는 게 없어요. 엔터테크하고 메디테크.

엔터테크는 말 그대로 가전사하고 직접 연결이 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그래서 상당히 중요한 양대 이슈를 다뤘다 그렇게 지금 보고요. 또 그리고 무엇보다도 여기에 우리가 디지털 헬스 기업 신생 기업들도 소개하고 또 그러한 기업들이 앞으로 어떻게 하면 경쟁력을 갖출 수 있고 또 자생할 수 있느냐. 또 그리고 국내외 협업을 어떻게 할 것이냐.

죄송합니다. 이러한 것들까지 종합적으로 다룬 사실은 규모에 비해서는 정말 중요한 이슈를 다루고 또 제가 실제로 토론까지 진행했습니다마는 나중에 다시 이걸 정리해서 공유를 하겠습니다마는 정말 중요한 그러한 제안들이 많았다 그렇게 생각을 하고요. 앞으로도 이러한 것들이 한국과 또 특히나 이건 피처테크 컨퍼런스는 미국의 비영리단체인 사망연구소 DRI와 그다음에 네바다 주립대 리노캠퍼스 그리고 네바다 벤처 투자 기관 벤처타운 이렇게 어느 정도 보면 이미 국제행사입니다.

시작은 작년부터 시작을 했습니다마는 점점 규모가 커져가고 있고 내실 을 다지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 정말 중요한 그런 이벤트가 될 것 같습니다. 권 소장님 똑같은데 처음으로 와서 토론까지 해주셨잖아요. 보통 이제 이렇게 저희는 보고서 쓰는 걸 많이 하다 보니까 그래서 한마디로 하면 뭐야 이렇게 한번 생각을 해보면 표시테크를? 컨퍼런스를? 그게 이제 저희 CS2025랑도 맞물려 있는데 말하자면 삶의 가치를 늘려서 끝까지 잘 살아보자잖아요.

그래서 한 대표님이 미디어 쪽의 전문가이긴 하지만 건강이 붙어야 헬스가 붙어야 끝까지 잘 살 수 있고 사실 그리고 우리가 AI가 제너러티브 AI가 나온 다음부터 이게 AI구나 라는 걸 느끼게 돼서 신기해서 자꾸 AI AI 하는 거지 AI 자체로는 뭘 하는 게 아니라 AI는 사실 우리 좀 더 가치 있고 편안하게 해주는 도구잖아요 그래서 그런 것들이 붙어서 결국엔 건강하게 잘 살아야 되는 거기 때문에 제일 중요한 건 마지막은 사실은 건강 같거든요. 그래서 그 주제를 잘 연결시켜서 그리고 심지어 네바다에 있는 원자탄을 연구하는. 왜냐하면 아주 극과 극의 성격을 가진 만나서 정말로 접점을 잘 찾아서 좋은 컨퍼런스를 한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제가 말씀하신 대로 퓨치테크 컨퍼런스를 사실 규정하는 데 상당히 어려움이 있었지만 그런데 저도 건강과 미디어 사실 이런 것 다 비슷한 주제라고 생각하고 있고요. 우리 삶을 또 한 축을 이루는 주제들이니까 앞으로도 계속 그 종합토론에서 많은 전문가들 그다음에 청중들까지 멘트를 해주셨지 않습니까? 제가 정리를 해보니까 두 가지로 나눠지는 것 같아요.

물론 한국의 정부의 노력, 지자체 지원 이런 걸 통해서 한국의 스타트업이나 벤처들도 실패를 하다라도 다시 재개할 수 있는 그런 시스템이 있지만 실제로 한국에서 벤처처처처처처처처처처처처처처처처처 미국에 지금 오신 분들 같은 경우는 정말 미국이나 캐나다에 이러한 벤처나 스타트업들이 실패하고 재개하는 그런 프로그램들과 비교해 보면 아직도 한국의 그러한 실패한 스타트업 벤처들이 재개할 수 있는 시스템은 여전히 최악하다 하는 그러한 점들을 하나 공통적으로 지적해 주셨고요. 두 번째는 역시 그분들이 한국에서 사업하다가 미국으로 캐나다로 와 보니 정말 세상은 넓고 또 스타트업 벤처한테 가장 필요한 돈, 자본이 풍부하더라. 그래서 이분들이 조언을 하기는 한국에만 머물지 말고 스타트업 벤처를 시작한 단계에서부터 반드시 좀 글로벌로 진출할 수 있는 그런 비전, 전략 그걸 크게 갖고 시작하면 좋겠다 하는 그런 조언을 해줬는데 정말 마음에 와닿았습니다.

사실 한국 기업들이 해외 진출하게 되면 다 도움이 되는 거니까요. 그리고 벤처기업들도 많이 이야기하시는 게 우리가 정책이 또 한국에 국내에 있는 소재기업들에 대한 지원을 많이 하잖아요. 그런데 실질적으로 한국 기업이 뭔지 이런 것에 대해서 중요한 정책들도 중요하고요.

네바다는 또 저희 K-아트테크업의 떨어질 수 없는 친구이기 때문에 혹시 네바다에 진출하고 싶으신 기업이나 단체에 있으면 꼭 연락주시면 저희가 안내를 해드리겠습니다. 네바다가 불로션입니다. 네바다 민스홈이라고 네바다는 홈입니다.

그리고 자연스럽게 한국에 대한 이야기로 사실 너무 시간이 많이 지나서 저희가 정리를 하면요. CS는 또 AI지만 또 다른 키워드는 한국이었잖아요. 조금 말씀해주셨지만 사실 거의 30년 동안 한국 정책이나 그리고 여러 분야에서 관여하신 고위원님께서도 그러면 CS에서 본 본 본 본 본 본 본 본 본 본 본 본 본 본 본 본 본 본 본 본 저는 정부에서도 일해보고 대학에서도 있어보고 또 이렇게 민간기업과 많은 얘기를 해봤습니다마는 기업은 단순하거든요.

기회가 있는 곳에 그리고 자본 돈이 모이는 곳에 갑니다. 그런데 CS를 나오면 일단 세계 정말 유수 유력한 그런 글로벌 기업부터 시작해서 투자자들까지 다 지금 오는 거거든요. 그런데 각 정부 관계자들 오지 않습니까.

CeS만큼 제가 뭐 CeS 쪽 홍보위원은 아닙니다마는 CS만큼 자사의 기술과 제품을 홍보하기 좋고 또 그다음에 프로모션하기 좋고 비즈니스 파트너를 찾기 좋은 그러한 기회의 장은 많지는 않은 것 같습니다. 특히 중소기업 스타트업이나 벤처에. 그래서 제가 보면 정말 한국에서는 일부 와보지 않은 분들이 왜 이렇게 CS를 몰려가냐고 비판하지만 정말 우리가 권 소장님 현장에서 만나는 기업의 대표자분들 그리고 젊은 직원들 보면 정말 눈에 불이 들어와요.

한 명이라도 더 만나고 한 명이라도 붙들고 소개하고 느낀 게 뭐냐면 너무 잘 아시겠지만 지금 국내 정치, 사회 상황이 정말 안타깝습니다. 또 그로 인해서 경제 상황도 지금 정말 악화되고 있고 그런데 지금까지 우리나라를 개발도상국에서 선진국으로 올린 것은 역시나 기업인들, 기업의 혁신 역량, 혼신이지 않나 생각을 하고요. 지금도 대한민국 경제, 사회의 주역은 이렇게 해외에 나와서 열심히 뛰는 기업과 기업인들이라는 그런 말씀 그리고 또 그분들께 감사하다는 그런 말씀을 드립니다.

네.  Ces 정부 역할 이런 거. 한국이죠.
한국에. 미국에서 느낀 한국에. 약간 좀 양극단이 있는 것 같은데.

그 CES가 그래서 올해는 뭐가 좀 어떻습니까 피드백이 와서 내년에는 뭘 좀 다르게 해볼까 라는 것들이 선순환이 됐느냐 라는 차원에서 생각을 해보면 그냥 좀 이렇게 질보다는 양으로 계속 밀어붙인 측면이 있지 않았나 하는 물론 제가 올해 처음 보고 감히 이렇게 평가하기는 어렵지만 내년 후년 계속해서 지속되는 행사이고 실제로 비즈니스의 장이고 그리고 우리나라에서도 진짜 우리나라가 인구가 점점 줄어들고 있어가지고 사실은 국내 시장이랄 게 정말 별로 없으니까 글로벌 시장이 옛날에 수출할 때보다도 지금이 더 중요한 거 아니에요. 그러니까 수출은 그냥 우리나라에서 만들어서 파는 게 아니라 정말 거기 현지에 가서 사업을 해야 되는 정말 그런 상황이기 때문에 이런 것들을 더 좀 더 잘 활용해서 선순환이 돼서 올해 그러면 좀 부족한 점을 내년에 다시 보완할 수 있는 그런 체계들이 좀 잘 갖춰졌으면 좋겠습니다. 내년에 또 오셔가지고 또 말씀해 주세요.

내년에. 내년에는 조금 더 여기보다 더 큰 스튜디오에서 저희가 모시면 저희가 늘 그렇지만 짧게 시작했는데 이미 1시간 지나가고 있어가지고요. 일단은 저희 집중력이 더 떨어지기 전에 일단 저희에서 끝내는 걸 하고요.

오늘은 여러 가지 전반적인 걸 말씀을 드렸는데 다음번에는 조금 더 세밀한 부분들에 대해서 오늘 키노트는 또 말씀 못하셨잖아요. 그래서 이런 걸 전해드리고 현장 느낌을 드리기 위해서 바로 연결했고요. 그러면 계속 K-Entertech 허브를 팔로우 하시고 저희 사이트를 보시면 또 이 두 분들 개발 활동도 많이 하시니까 팔로움도 쓰고 그러니까요.

많이 공유 될 겁니다. 네. 같이 보시면 또 전체적인 IT 흐름과 정책 그리고 콘텐츠의 흐름을 아실 수 있습니다.

그러면 늦은 시간까지 참여해주셔서 감사하고요. 방송을 이렇게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수고하셨습니다. 고맙습니다. 감사합니다..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