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기업들, “마케팅 전문가 대거 영입” 움직임(AI Firms Accelerate Hiring of Marketing Veterans as Competition Shifts From Technology to Commerce)

AI 기업들, ‘마케팅 전문가’ 영입 가속화… 기술 경쟁서 상업 경쟁으로 확대

최근 인공지능(AI) 업계가 기술 경쟁에서 본격적인 ‘마케팅 전쟁’ 국면으로 빠르게 이동하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와 오픈AI 등 글로벌 AI 리더들은 메타(Meta) 출신의 마케팅 베테랑을 잇따라 영입하며, 단순한 기술 혁신을 넘어 시장 점유율 확대와 수익 다각화를 위한 상업 경쟁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메타에서 10년 넘게 광고주 캠페인과 플랫폼 최적화를 이끌었던 마크 다시(Mark D’Arcy)를 영입해, AI 챗봇 ‘코파일럿(Copilot)’의 마케팅 전략을 총괄하게 했다. 오픈AI 역시 인스타카트 CEO이자 메타 광고 사업 구축 경험이 있는 피지 시모(Fidji Simo)를 ‘애플리케이션 부문 CEO’로 임명, 챗GPT 등 주요 서비스의 사업화와 광고·커머스 모델 구축을 본격화하고 있다

이처럼 AI 챗봇 시장은 챗GPT의 독주가 끝나고, 마이크로소프트 코파일럿, 구글 제미니, 메타 AI, xAI 그록, 앤스로픽 클로드, 퍼플렉서티 등 다양한 경쟁자가 등장하며 기능 차별화만으로는 한계에 봉착했다. 각 기업은 대형 플랫폼과의 연동, 모바일 앱 지원, 광고·커머스 결합 등 마케팅과 브랜딩 역량을 앞세워 사용자를 끌어들이고 있다.

결국 AI 산업의 성공 여부는 기술력뿐 아니라, 브랜드 이미지와 시장 내 신뢰도, 그리고 얼마나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을 펼칠 수 있는지에 달려 있다. AI가 대중화되는 시대, 광고·세일즈·브랜딩 전문가 영입은 AI 기업의 ‘필수 경쟁력’이 되고 있으며, 앞으로 AI 챗봇의 승부는 기술과 마케팅이 동시에 맞붙는 새로운 상업 경쟁의 장에서 결정될 전망이다.

AI Firms Accelerate Hiring of Marketing Veterans as Competition Shifts From Technology to Commerce

AI firms accelerate hiring of 'marketing experts'... moving from technology to commercial competitio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AI) industry is rapidly moving from a technology race to a full-blown marketing war. Global AI leaders, including Microsoft and OpenAI, have been hiring marketing veterans from Meta, spurring a commercial race to expand market share and diversify revenue beyond mere technological innovation.


Microsoft has hired Mark D'Arcy, who spent more than a decade leading advertiser campaigns and platform optimization at Meta, to lead marketing strategy for its AI chatbot Copilot. OpenAI also appointed Fidji Simo, CEO of Instacart and experienced in building a meta-advertising business, as CEO of Applications, to commercialize major services such as ChatGPT and build an advertising and commerce model.


As such, the AI chatbot market has seen the end of ChatGPT's monopoly and the emergence of various competitors such as Microsoft Co-Pilot, Google Gemini, Meta AI, xAI Grok, Ansropic Claude, and Perfectity, which are no longer able to differentiate themselves through functionality alone. Each company is trying to attract users with marketing and branding capabilities such as integration with large platforms, support for mobile apps, and ad-commerce combinations.


In the end, the success of the AI industry depends not only on technology, but also on brand image, trust in the market, and effective marketing strategies. In the era of AI's popularization, hiring advertising, sales, and branding experts is becoming an "essential competitiveness" for AI companies, and the future of AI chatbots is expected to be decided in a new commercial competition arena where technology and marketing go head-to-head.

1. 마이크로소프트·오픈AI, 마케팅 베테랑 영입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마크 다시(Mark D’Arcy) 영입

메타(Meta)에서 약 10년간 광고주 대상 캠페인을 설계·지원

페이스북·인스타그램 등의 광고 플랫폼 최적화 역할을 맡았던 핵심 인물

마이크로소프트가 개발 중인 AI 챗봇 ‘코파일럿(Copilot)’의 마케팅 전략 수립을 담당할 예정

오픈AI(OpenAI)

피지 시모(Fidji Simo) 임명

OpenAI는 수요일 늦은 시간에 인스타카트 CEO 피지 시모(Fidji Simo)를 신임 부사장으로 임명했다. 시모는 오픈AI 내 신설 직책인 ‘애플리케이션 CEO(Chief Executive of Applications)’로 합류하며, 기존 CEO인 샘 알트먼(Sam Altman)에게 직접 보고한다.

그녀는 "연구 성과가 사용자에게 도달하고 혜택을 줄 수 있도록 하는 비즈니스 및 운영팀"을 총괄한다. 인스타카트 이전에 메타에서 근무했던 시모는 광고 사업 구축에 풍부한 경험을 보유하고 있어, ChatGPT의 광고 영업 부문 출범을 이끌 것으로 예상된다.

식료품 배달 기업 인스타카트(Instacart)의 CEO, 과거 메타에서도 광고 사업 구축 경험

오픈AI의 새 “애플리케이션 부문 최고 책임자(CEO of Applications)”로 합류

오픈AI가 연구 성과를 어떻게 사업화·제품화할지, 그리고 챗GPT(ChatGPT) 등에 대한 광고·세일즈 조직을 꾸리는 역할을 맡을 가능성

이처럼 메타 출신의 베테랑들이 AI 업계로 몰려드는 것은, 기술 혁신이 일정 수준 도달한 AI 시장에서 마케팅과 비즈니스 역량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샘 알트먼은 여전히 오픈AI 전체 CEO로 남아 연구, 컴퓨팅, 안전 등 핵심 분야에 집중할 계획이다. 시모는 오픈AI의 사업, 운영, 세일즈, 마케팅, 재무 등 애플리케이션 관련 조직을 이끌며, 오픈AI의 전통적인 비즈니스 기능을 대규모로 확장하는 역할을 맡게 된다.

1. Microsoft and OpenAI Lead the Charge in Marketing Hires

Microsoft

Mark D’Arcy Hire

Formerly spent over a decade at Meta (Facebook, Instagram) overseeing advertiser campaigns and optimizing ad platforms.

Tasked with spearheading the marketing strategy for Microsoft’s AI chatbot, Copilot.

Brings extensive knowledge of global brand relationships and large-scale ad solutions.

OpenAI

Fidji Simo Appointment

Served as CEO of Instacart, with prior leadership roles in building Meta’s ad business.

Joins OpenAI in a newly established position as Chief Executive of Applications, reporting to CEO Sam Altman.

Will oversee “business and operational teams” responsible for connecting OpenAI’s research to end-user benefits.

Expected to build out OpenAI’s ad sales, e-commerce, and marketing infrastructure—particularly around ChatGPT and future commercial products.

This influx of Meta veterans into AI signals a shift toward robust marketing and business operations—a natural evolution as AI technology reaches maturity and the focus turns to brand expansion and revenue diversification.

2. “챗GPT도 더 이상 독주 아냐” … 경쟁자 속속 등장

한때 챗봇 분야에서 챗GPT가 독보적인 선두를 달렸지만, 최근에는 △마이크로소프트의 코파일럿(Copilot),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xAI의 그록(Grok), △구글의 제미니(Gemini), △메타의 메타 AI, △앤스로픽(Anthropic)의 클로드(Claude), △퍼플렉서티(Perplexity) 등 다양한 챗봇이 등장했다.

특히 Gemini, Grok, 메타 AI는 모회사의 다른 서비스를 통한 유통망을 확보했다는 장점이 있다. 모든 챗봇이 본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제공하는 만큼, 마케팅이 차별화의 핵심 요소가 된다.

이들 챗봇은 다음과 같은 강점으로 빠르게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모바일 앱 지원: 대부분의 챗봇 서비스가 iOS·안드로이드 앱을 출시해 접근성을 극대화

강력한 배경 플랫폼: 구글 제미니는 지메일(Gmail)과 연동, 메타 AI는 메타(페이스북·인스타그램)와 통합 등 대형 플랫폼과 결합

기능 유사화: AI 챗봇들이 다들 비슷한 대화형 기능을 제공, 사용자가 느끼는 차별화 폭 줄어듦

이에 따라, 기능 차별화만으로는 시장 주도권을 확보하기 어려워졌고, 마케팅·브랜딩이 곧 경쟁력으로 떠올랐다. 오픈AI(OpenAI)는 유료 구독 없이 챗봇을 사용하는 수백만 명의 사용자로부터 수십억 달러의 수익을 창출할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가장 유력한 방안은 광고다. 쇼핑 사이트로의 사용자 유도 수수료나 챗봇 내 직접 결제 기능 도입도 검토하고 있다.

2. “ChatGPT No Longer Reigns Alone”: New Competitors Arrive

ChatGPT once dominated the AI chatbot discussion, but the market is becoming crowded with contenders, including:

Microsoft’s Copilot

xAI’s Grok (led by Elon Musk)

Google’s Gemini

Meta’s AI

Anthropic’s Claude

Perplexity

Many of these services enjoy substantial distribution advantages, thanks to integration into parent-company platforms—e.g., Gemini in Gmail, Meta AI across Facebook/Instagram, etc. As they provide essentially similar conversational functionalities, marketing and branding have become the key differentiators.

3. 오픈AI의 야심: 광고·커머스 등 다각적 수익 모델

오픈AI는 무료 사용자층이 광범위한 챗GPT를 통해 연 매출 수십억 달러 이상을 창출하겠다는 목표를 갖고 있다. 현재까지 거론되는 수익화 방안은 아래와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