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엔터테크]FAST 서부 시대에서 문명의 시기로, 한국 FAST시장 1조 3,000억 원(Korea's FAST market grows to KRW 1.3 trillion)

무료 광고 기반 스트리밍 TV(Free Ad Supported Streaming TV, FAST)는 광고를 편성하는 대신 무료로 TV급 콘텐츠를 보여주는 플랫폼이다. 주로 스마트TV를 통해 소비된다. 그래서 스마트TV의 케이블채널로 불리기도 한다.  그만큼 다양한 콘텐츠를 소비자의 취향에 맞게 전송한다는 이야기다.

FAST시장은 성장하고 있다. 일부에선 FAST를 다목적 플랫폼(Multi Purpose Platform)으로 부른다. 시장에 들어온 사업자들이 FAST플랫폼을 운영하는 이유는 각자 다르다.

[2030]Entertainment Tech Report(스트리밍/FAST)
2030년 엔터테인먼트 테크 시장 전망 시리즈 첫 편. 2030년 한국 FAST시장 1조 원 돌파/K콘텐츠 점유율(넷플릭스 ) 15% 돌파..엔터테크 허브로 재탄생하는 한국

디즈니, 워너브러더스디스커버리 등 스튜디오들은 자신들의 콘텐츠 IP를 홍보하고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콘텐츠 채널(Single IP)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또 NBC나 ABC와 같은 레거시 미디어들은 뉴스나 지역 채널을 FAST에서 홍보하고 오디언스를 확장한다.

마지막으로 스트리밍 서비스들은 자신들의 오리지널 콘텐츠를 홍보하는 마케팅 플랫폼으로 FAST를 쓰고 있다. 애플TV+가 사상 처음으로 '프리미엄 오리지널 콘텐츠 세브란스' 시즌1을 로쿠채널에  한시적으로 오픈한 것도 이 때문이다. 1월 17일 공개됐던 시즌2에 앞서 이 시리즈를 알기기 위해서다.

이외 케이블TV, 지역 방송사들은 잃어버리린 오디언스를 다시 확보하는데  FAST플랫폼 활용하고 있다.

Free Ad Supported Streaming TV (FAST) is a platform that shows TV-quality content for free in exchange for commercials. It is mainly consumed through smart TVs, which is why it is sometimes called the cable channel of smart TVs.  This means that it delivers a wide variety of content to suit consumers' tastes.


The FAST market is growing. Some call FAST a multi-purpose platform. The operators that have entered the market have different reasons for operating FAST platforms.
Studios such as Disney and Warner Bros. Discovery often use it as a single IP channel to promote and utilize their content IP. Legacy media like NBC and ABC use FAST to promote their news and local channels and expand their audiences.


Finally, streaming services are using FAST as a marketing platform to promote their original content. For the first time ever, AppleTV+ made Season 1 of its premium original content show Severance available for a limited time on Roku Channel. The idea was to get people excited about the series ahead of its second season, which premiered on January 17th.
Other cable and local broadcasters are using FAST to recapture lost audiences

[미국 2030년 FAST시장 18조 원 돌파]

이런 수요들 때문에 FAST는 당분간 성장을 거듭할 것으로 예상된다. K엔터테크허브(Kentertechhub)가  FAST의 성장 궤적을 추적하는 이유는 단 하나다. 현재 미디어 시장에서 유일하게 성장하는 플랫폼이며 글로벌 시장에서 한국 콘텐츠를 중심으로 한 '미디어 생태계'를 만들 수 있는 엔터테인먼트 테크' 기술이기 때문이다.

FAST 서비스는 테크놀로지를 활용하여 엔터테인먼트 경험을 향상시키고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한다는 점에서 미래 엔터테인먼트 테크(Entertainment Tech)의 중요성 부분이다.

이는 엔터테인먼트 기술의 핵심 개념인 "모든 종류의 엔터테인먼트 경험을 향상시키거나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제조 또는 생성된 구성 요소(manufactured or created components to enhance or make possible any sort of entertainment experience)”와 일치한다.

이에 K엔터테크허브는 2030년 엔터테인먼트 테크 전망 중 하나로 FAST시장을 분석했다.  자세한 내용은 보고서에 담겼지만 여기선 간략한 요약만을 제공한다. 2030년 미국 FAST시장은 130억 달러(18조 7,000억 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전체 FAST시장에서 미국이 차지하는 비중이 80% 정도다. 이를 기준으로 하면 글로벌 FAST시장은 20조 원을 넘긴다.

서부시대에서  문명의 시대로

미국 FAST시장은 보다 정돈되고 있다. 와일드와일드 웨스트에서 도시 단계로 접어들었다. 광고 미집행률도 급격히 하락했고 시간당 광고 시간도 늘고 있다. 2024년 4분기 평균 광고 매집행률은 14% 정도였다. 광고가 편성되지 않는 스팟을 방송사들이 직접 판매하는 백필도 늘어나고 있다.

From the Wild West to the Age of Civilization
The US FAST market is becoming more organized.

It has moved from the Wild Wild West to the city. The unfulfilled ad rate has dropped sharply and the number of ad minutes per hour is increasing. In Q4 2024, the average ad fill rate was around 14%. Backfill is also on the rise, with broadcasters selling spots that don't run.

FAST성장, 한국 1조 3,000억 원

한국 FAST시장도 동반 상승할 것으로 예측된다.  옴디아 등의 시장 자료를 바탕으로 K엔터테크허브가 예측한 바에 따르면 한국 FAST시장은 1조 3,000억 원 규모로 커진다. 지상파, 종편 등 주요 미디어 플레이어들이 참전하며 유튜버, 셀럽, 홈쇼핑 등이 싸우는 격전지가 된다.

(유료 프리미엄 기사에는 FAST 채널 런칭 방법, 비용(글로벌), 트렌드도 담겼습니다.)

한국 FAST시장 성장을 부정적으로 보는 시각이 있다.

그러나 오리지널 콘텐츠 주도권이 레거시 미디어에서 유튜브와 소셜 미디어로 넘어가는 상황에서 한국도 FAST 시장이 자연스럽게 형성될 것으로 예상된다. 만약 프로야구나 주요 스포츠리그가 FAST에서 동시 중계된다면 성장 속도는 더 빠를 수 있다.  

그동안 한국 미디어 시장을 형성했던 레거시 미디어들은 FAST의 시작의 주인공은 되겠지만 모든 레거시가 결승전의 승자는 아닐 수도 있다.

FAST시장에서도 브랜드 인지도와 IP가 중요하지만 새로운 오디언스를 불러오는 니치(Niche) 시장은 분명히 존재한다.

[FAST growth, KRW 1.3 trillion in Korea]


The Korean FAST market is also expected to rise.  Based on market data from Ommedia and others, K-EntechHub predicts that the Korean FAST market will grow to KRW 1.3 trillion. Major media players such as terrestrial and broadcast media will participate, and it will become a battleground for YouTubers, celebrities, and home shopping.


(The paid premium article also includes how to launch a FAST channel, costs (global), and trends).


The growth of the Korean FAST market is viewed negatively by some.
However, as original content dominance shifts from legacy media to YouTube and social media, a FAST market is expected to form naturally in Korea. Growth could be even faster if professional baseball or major sports leagues were broadcast simultaneously on FAST.


The legacy media that have shaped the Korean media market will be the main players in the beginning of FAST, but not all legacies will be winners in the end.


Brand recognition and IP are important in the FAST market, but there are definitely niche markets that bring in new audiences.